컴퓨터 네트워크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임효택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6 장. 네트워크 개론 네트워크 장비, 프로토콜, 통신망. 개요 네트워크란 ? 네트워크의 종류 데이터전송방식 네트워크 장비 프로토콜의 종류 IP 주소체계 네트워크 토폴로지 통신망 네트워크진단 명령어.
Advertisements

1 비동기와 동기 전송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Transmission) 전송링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두 장치 사이의 긴밀한 협조와 동의가 필요 — 송 수신기간에 동기 (synchronize ) 를 맞추기 위한 비트들의 Timing( 전송률,
Using Telephone and Cable Networks
11 장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11.1 비동기식 프로토콜 11.2 동기식 프로토콜 11.3 문자-중심 프로토콜
Young-Tae Han 데이터 링크 제어 Young-Tae Han
11 장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 11.1 비동기 프로토콜 11.2 동기 프로토콜 11.3 문자-중심 프로토콜
16장 X.25 패킷 교환망 16.1 X.25 계층 구조 16.2 패킷 계층 프로토콜 16.3 요약.
6 데이터 링크 계층.
컴퓨터 네트워크 제 1 장 LAN 담당교수 : 천 성 광.
15 장 무선랜 15.1 IEEE 블루투스 15.3 요약.
Data Communications 제 7 장 기기간의 접속규격.
Fast 이더넷 & Gigabit 이더넷 김 지 영 김 혜 란.
네트워크 개요 Network의 이해 Network Cabling Ethernet.
3 장 OSI 기본 참조 모델 OSI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10장. 무선 LAN의 기본개념과 설정방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Chapter 14 Wireless LAN.
무선 personal area network(WPAN)
Chapter 2: LAN 기술 및 네트워크 장비 규격
Underlying Technologies
Chapter 7 Transmission Media.
2. LAN의 연결구조와 공유매체 접근제어 (3장. LAN: Local Area Network)
Chapter 11 Data Link Control.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데이터 전송 Chapter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12장 근거리 통신망(LAN) 12.1 프로젝트 이더넷(Ethernet)
6장 무선과 이동 네트워크.
Chapter 13 Wired LANs: Ethernet.
Underlying Technologies
12 장 근거리 통신망(LAN) 12.1 프로젝트 이더넷(Ethernet)
15장 무선 LAN (Wireless LANs)
PPP (Point-to-Point Protocol)
제 15 장 점 대 점 프로토콜 15.1 천이상태 15.2 PPP 계층 15.3 링크 제어 프로토콜 15.4 인증
PPP (Point-to-Point Protocol)
Chapter 02. 네트워크의 구성.
11 장 LAN 기본 개념과 Ethernet LAN
11장 데이터 링크 제어 (DLC: Data Link Control)
15장 X.25 패킷 교환망 15.1 X.25 계층 15.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5.3 요약.
무선 네트워크 기술 (IEEE , MAC) 발표자 : 황세원.
Chapter 21 Network Layer: ARP, ICMP (IGMP).
PART 01 개념 컴퓨터 네트워크 Chapter 3 OSI 참조모델과 인터넷 임효택.
6장 무선과 이동 네트워크.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PART 02 프로토콜 컴퓨터 네트워크 Chapter 04 데이터링크 계층과 LAN 임효택.
TCP/IP 통신망 특론 2장 Link Layer 컴퓨터 네트워크 실험실 이희규.
13 장 광역 통신망(WAN) 13.1 점대점 WAN 13.2 교환형 WAN 13.3 ATM LAN 13.4 요약.
4. LAN의 배선체계 (3장. LAN: Local Area Network)
Chapter 12 다중 접속 (Multiple Access).
17장 X.25 패킷 교환망 17.1 X.25 계층 17.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7.3 요약.
C C N A (9.1.1 ~ 9.3.1) 4 조 조래한 민종혁 최유성.
(Wired LANs : Ethernet)
4.3 근거리 통신망(LAN) LAN의 개요 – P249 ❚ LAN(Local Area Network)의 정의
2장. 인터넷의 개념과 주소.
4장. 데이타링크 계층과 LAN 내용 LAN 표준안 구성(Topologies) 전송 매체 매체 접근 제어(MAC)
Chapter 03. 네트워크 통신.
22 장 전송층(Transport Layer)
5 MAC 계층 학습 목표 LAN 환경에서 MAC 계층과 LLC 계층의 차이와 역할을 이해한다.
21 장 전송층(Transport Layer)
6 데이터 링크 계층 학습 목표 오류 제어, 흐름 제어의 원리와 동작 방식을 이해한다.
10장. 무선 LAN의 기본개념과 설정방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20 장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0.1 리피터(Repeaters) 20.2 브리지(Bridges)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시스코 네트워킹 (CCNA) 1주차.
Chapter 26 IP over ATM.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LAN의 구성요소 학습내용 서버 클라이언트 NIC(Network Interface Card) 전송매체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데이터 전송 Chapter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5.2.3 교환방식의 비교 학습내용 교환방식의 비교.
빠른 인쇄하는 방법 등록정보를 클릭한다. 인쇄품질을 고속으로 한다.
ARP.
Presentation transcript:

컴퓨터 네트워크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임효택 E-mail : htlim@dongseo.ac.kr Home page : http://kowon.dongseo.ac.kr/~htlim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개요 1.1.1 LAN의 정의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개요 1.1.1 LAN의 정의 사무실, 빌딩, 공장 등과 같이 제한된 지역에서 고속의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LAN의 특징 제한된 접속 길이 전송 용량: 보통 1Mbps ~ 수십 Mbps 방송(broadcasting) 형태의 패킷 네트워크 패킷지연의 최소화 낮은 오류율 : 10-8, WAN : 10-5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1.1.2 IEEE의 LAN 표준안 [그림 1.1] LLC MAC 물리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1.1.2 IEEE의 LAN 표준안 [그림 1.1] LLC MAC 물리 IEEE 802.2 Unacknowledged connectionless service Connection-mode service Acknowledged connectionless service IEEE 802.3 802.4 802.5 FDDI CSMA/CD Token bus Token ring Baseband : 10 BASE 5 10 BASE 2 1 BASE 5 10 BASE T Broadband : 10 BROAD 36 1, 5, 10 Mbps (coaxial) Carrier band Opticalfiber : 5, 10, 20 Mbps STP (Shielded Twist pair) : 4, 16 Mbps UPT (Unshielded Twist Pair) : 4 Mbps0 Opical fiber : 100 Mbps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1.1.3 LAN 프로토콜 참조 모델 응 용 표 현 세 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1.1.3 LAN 프로토콜 참조 모델 [그림 1.2] LAN 표준안과 OSI 모델과의 관계 응 용 표 현 세 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데이터링크 물 리 LLC MAC 물 리 () () () Service-access LAN 표준안과 OSI 모델과의 관계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LAN, MAN의 계층 OSI 모델의 계층 1~2에 해당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LAN, MAN의 계층 OSI 모델의 계층 1~2에 해당 MAC 부계층(Sublayer) 공유되는 전송 매체에의 접근 제어 LLC 부계층(Sublayer) LAN 구조에 무관하게 상위 계층에 동일한 서비스 제공 대표적인 LAN 구조 CSMA/CD (IEEE 802.3) Token Ring (IEEE 802.5)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IEEE 802.1 : 상위계층 인터페이스 및 MAC 브릿지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IEEE의 LAN 관련 위원회 IEEE 802.1 : 상위계층 인터페이스 및 MAC 브릿지 IEEE 802.2 : LLC(Logical Link Control) IEEE 802.3 :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IEEE 802.4 : 토큰 버스(Token Bus) IEEE 802.5 : 토큰 링(Token Ring) IEEE 802.6 : MAN(Metropolitan Area Networks) IEEE 802.7 : 광대역 LAN IEEE 802.8 : 광섬유 LAN IEEE 802.9 : 종합 데이터 음성 네트워크 IEEE 802.10 : 보안(Security) IEEE 802.11 :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1.1.4 토폴로지 (Topologies) 스타(star)형 구성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1.1.4 토폴로지 (Topologies) 스타(star)형 구성 버스(bus)형 구성 링(ring)형 구성 계층형 구성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구성(Topologies)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LLC(Logical Link Control) 프로토콜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LLC(Logical Link Control) 프로토콜 LLC 서비스-접근점(LSAP)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 세 가지 타입을 제공 Unacknowledged connectionless service (비확인 비연결 서비스) 반드시 제공 ACK, 흐름제어, 오류복구 지원하기 않음 Connection-mode service (연결 서비스) ACK, 흐름제어, 오류복구 지원 Acknowledged connectionless service (확인 비연결 서비스)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그림 1.4] LLC PDU 형식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MAC(Medium Access Control)프로토콜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MAC(Medium Access Control)프로토콜 1.3.1 CSMA/CD (Carrier-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IEEE 802.3 MAC 버스나 트리형 LAN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 보통 이더넷(Ethernet)이라고도 함 CSMA/CD 방식은 채널을 사용할 때 먼저 다른 스테이션이 채널을 이용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한 다음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경쟁(contention)에 의해 채널 사용권을 획득 Collision 발생 -->binary exponential backoff로 해결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Time t0 : A가 전송을 시작 Time t1 : D 가 전송을 시작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Time t0 : A가 전송을 시작 Time t1 : D 가 전송을 시작 Time t2 : D가 충돌을 탐지, 전송 중단 Time t3 : A는 전송 완료 바로 전에 충돌 탐지 [그림 1.5] CSMA/CD 의 Collision 예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그림 1.6] IEEE 802.3 프레임 형식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CSMA/CD 방식은 통신량이 적을 때에는 90% 이상으로 채널 이용률이 높음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CSMA/CD 방식은 통신량이 적을 때에는 90% 이상으로 채널 이용률이 높음 통신량이 많아지면 충돌의 횟수가 증가하면서 채널 이용률이 떨어지는 단점 비교적 저속이며 저 부하의 경우에 적합 제어 방식이 간단하면서 시설비가 저렴하므로 소규모에서 대규모 LAN까지 경제 적인 구성이 가능 전송매체는 동축 케이블이 일반적 최근에는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하는 추세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Ethernet: CSMA/CD 사용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Ethernet: CSMA/CD 사용 A: sense channel, if idle then { transmit and monitor the channel; If detect another transmission abort and send jam signal; update # collisions; delay as required by exponential backoff algorithm; goto A } else {done with the frame; set collisions to zero} else {wait until ongoing transmission is over and goto A}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Ethernet CSMA/CD (more) Jam Signal : LAN상의 모든 스테이션에게 Collision 이 발생했음을 알도록 함 48 bits; Exponential Backoff : Goal : 재전송 시도를 부하의 정도에 따라 조절 heavy load : 더 오래 기다리도록 함 첫번째 collision : {0,1}에서 k를 선택; 지연(delay)시간은 K x 512 bit 전송시간 두번째 collision : {0,1,2,3}에서 k 선택 열번째 collisions {0,1,2,3,4,…,1023}에서 k 선택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IEEE 802.3 물리계층 트위스트 페어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IEEE 802.3 물리계층 트위스트 페어 STP(Shielded Twist Pair) UTP(Unshielded Twist Pair) 동축 케이블 10BASE2라고 하는 얇은(thin) 동축 케이블 10BASE5라고 불리는 굵은(thick) 동축케이블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표 1.1] IEEE 802.3 물리 계층 매체의 종류 전송 매체 시그널링방식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표 1.1] IEEE 802.3 물리 계층 매체의 종류 종류 10 BASE 5 10 BASE 2 1 BASE 5 10BASE T 10 BROAD 36 전송 매체 시그널링방식 전송율 (Mbps) 최대 세그먼트 길이(m) 네트워크 길이 (m) 세그먼크당 노드수 케이블 직경 (mm) Coaxial cable (50 ohm) Baseband (Manchester) 10 500 2,500 100 185 925 30 5 Unshielded Twisted pair 1 - 0.4-0.6 Coaxial Cable (75 ohm) Broadband (DPSK;differenti Al phase-shift Keying) 1,800 3,600 0.4-1.0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그림 1.7] 세 개의 세그먼트를 가진 10 BASE 5 LAN 구성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그림 1.7] 세 개의 세그먼트를 가진 10 BASE 5 LAN 구성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전송 매체 10 BASE 5 10 500 1 BASE 5 1 10 BASE 2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전송 매체 10 BASE 5 10 500 베이스밴드 1 BASE 5 1 10 BASE 2 185 UTP 10 BASE T 100 STP 토큰링 4/16 10 BROAD 36 3600 브로드밴드 광 섬유 16 4500 굵은 동축 케이블 50W 동축 케이블 얇은 동축 케이블 브로드밴드 동축 케이블 전송 매체 표준 이름 속도 (Mbps) 최대 거리(미터) 전송 모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매체 접근 제어 : CSMA/CD 버스(Ethernet) Hub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매체 접근 제어 : CSMA/CD 버스(Ethernet) Hub 터미네이터 커넥터 Twisted Pair(UTP) Thin Coaxial Cable Thick Coaxial Cable 트랜시버 드롭 케이블 컴퓨터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허브(Hub) * Ethernet Interface Card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허브(Hub) * Ethernet Interface Card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1.3.2 Token bus(토큰 버스) IEEE 802.4 MAC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1.3.2 Token bus(토큰 버스) IEEE 802.4 MAC 버스형 구성에서 사용 고유 채널의 사용권을 균등 분배하기 위해 사용권을 의미하는 특정의 비트 패턴 신호인 토큰 사용 논리적인 링(logical ring) 구성 스테이션은 토큰을 소유해야만 데이터를 전송 데이터 전송 완료 이후에는 다른 스테이션이 채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토큰을 전달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그림 1.8] 토큰 버스의 논리적인 링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그림 1.9] 데이터 전송 동작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네트워크의 연결 방법 LAN-LAN LAN-WAN WAN-WAN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네트워크의 연결 방법 LAN-LAN LAN-WAN WAN-WAN LAN-WAN-LAN [그림 1.11] 종류 리피터(Repeater) CSU/DSU 허브(Hub) 브리지(Bridge)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리피터(Repeater) 물리 계층 신호의 품질 향상 및 거리 제한 극복 LAN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리피터(Repeater) 물리 계층 신호의 품질 향상 및 거리 제한 극복 LAN 세그먼트 물리 MAC LLC 리피터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CSU/DSU 물리 계층에서 동작 DSU(Data Service Unit) 저속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CSU/DSU 물리 계층에서 동작 DSU(Data Service Unit) 저속 디지탈 망의 종단점 기능 신호 구조 변환 기능 CSU(Channel Service Unit) 고속 DSU의 모든 기능 회로 검사 및 에러 제어 기능 추가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브리지(Bridge) 물리 계층과 MAC 계층 - 장점 물리적 제한 극복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브리지(Bridge) 물리 계층과 MAC 계층 - 장점 물리적 제한 극복 다른 타입의 LAN 연결 가능 추가의 기능(보안, 망관리) 가능 - 종류 트랜스 페어런트 브리지(Transparent Bridge) 소스 라우팅 브리지(Source Routing Bridge)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라우터(Router) - 물리 계층,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 일반적 구조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라우터(Router) - 물리 계층,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 일반적 구조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게이트웨이(Gateway) - 모든 계층을 포함 상이한 망들을 연결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게이트웨이(Gateway) - 모든 계층을 포함 상이한 망들을 연결 - 일반적 구조

PART 02 프로토콜 IEEE 802.11 Wireless LAN 802.11a 5-6 GHz range up to 54 Mbps 802.11g 2.4-5 GHz range All use CSMA/CA for multiple access All have base-station and ad-hoc network versions 802.11b 2.4-5 GHz unlicensed radio spectrum up to 11 Mbp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in physical layer all hosts use same chipping code widely deployed, using base stations

Wireless Link Characteristics PART 02 프로토콜 Wireless Link Characteristics Differences from wired link …. decreased signal strength: radio signal attenuates as it propagates through matter (path loss) interference from other sources: standardized wireless network frequencies (e.g., 2.4 GHz) shared by other devices (e.g., phone); devices (motors) interfere as well multipath propagation: radio signal reflects off objects ground, arriving ad destination at slightly different times …. make communication across (even a point to point) wireless link much more “difficult”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IEEE 802.11 LAN IEEE 802.11 Wireless LAN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IEEE 802.11 LAN IEEE 802.11 Wireless LAN wireless LANs : mobile networking IEEE 802.11 standard: MAC protocol unlicensed frequency spectrum: 900Mhz, 2.4Ghz Basic Service Set (BSS) (“cell” 이라고도 함) 구성요소 : wireless hosts access point (AP): base station Distribution system (DS) 는 여러 개의 BSS로 구성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IEEE 802.11 MAC Protocol: CSMA/CA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IEEE 802.11 MAC Protocol: CSMA/CA 802.11 CSMA: 송신측 sender - if DISF sec.동안 channel이 idle then 완전한 frame을 전송 (no collision detection) -if channel이 사용중 then binary backoff 알고리즘 수행 802.11 CSMA 수신측 receiver: if received OK return ACK after SIFS 802.11 CSMA Protocol: others NAV: Network Allocation Vector 802.11 frame has transmission time field 다른 노드들은 NAV 시간동안 access 연기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Ad Hoc Networks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Ad Hoc Networks Ad hoc network : 스테이션은 AP 없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Applications: “laptop” meeting in conference room, car interconnection of “personal” devices battlefield IETF MANET (Mobile Ad hoc Networks) working group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CA(Collision Avoidance) : RTS-CTS exchange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CA(Collision Avoidance) : RTS-CTS exchange CSMA/CA: explicit channel reservation sender: short RTS (request to send) 보냄 receiver: short CTS (clear to send)로 응답 CTS는 채널을 예약, notifying (possibly hidden) stations avoid hidden station collisions IEEE 802.11는 다음을 허용: CSMA CSMA/CA: reservations

Avoiding collisions (more) PART 02 프로토콜 Avoiding collisions (more) idea: allow sender to “reserve” channel rather than random access of data frames: avoid collisions of long data frames sender first transmits small request-to-send (RTS) packets to BS using CSMA RTSs may still collide with each other (but they’re short) BS broadcasts clear-to-send CTS in response to RTS RTS heard by all nodes sender transmits data frame other stations defer transmissions Avoid data frame collisions completely using small reservation packets!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PPP(Point-to-Point Protocol)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PPP(Point-to-Point Protocol) Point to Point Data Link Control one sender, one receiver, one link : broadcast링크 보다 쉬움 no Media Access Control no need for explicit MAC addressing e.g., dialup link, ISDN line popular point-to-point DLC protocols: PPP (point-to-point protocol) HDLC: High level data link control (Data link used to be considered “high layer” in protocol stack!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PPP non-requirements (불필요 항목)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PPP non-requirements (불필요 항목) no error correction/recovery no flow control out of order delivery OK no need to support multipoint links (e.g., polling) Error recovery, flow control, data re-ordering : 상위 계층의 책임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PPP Data Frame Flag : delimiter (framing)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PPP Data Frame Flag : delimiter (framing) Address : does nothing (only one option) Control : does nothing; in the future possible multiple control fields Protocol : 상위계층 프로토콜 ( 예 : PPP-LCP, IP, IPCP 등 ) 01111110 11111111 00000011 protocol info check flag control address 1 1 or 2 가변길이 (Variable Length) 2 or 4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Byte Stuffing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Byte Stuffing “data transparency” requirement : 데이터 필드는 flag pattern <01111110>을 포함할 수 있어야 함. Q: is received <01111110> data or flag? Sender : 각 <01111110> data byte 마다 여운의 <01111110> 바이트 추가 Receiver: 두개의 연속적인 <01111110> 수신 : 첫번째 바이트 삭제, 데이터 수신 계속 단일 01111110: flag byte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Byte Stuffing 데이터 내에 있는 Flag 바이트 패턴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Byte Stuffing 데이터 내에 있는 Flag 바이트 패턴 Flag 바이트 패턴 Stuffed 바이트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PPP 설계 요구사항 (RFC 1557)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PPP 설계 요구사항 (RFC 1557) packet framing : 데이터 링크 프레임 내에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그램의 Encapsulation. bit transparency : data 필드내에 어떠한 비트패턴도 전송가능 (Byte Stuffing) 에러 탐지(에러 교정 불필요) connection liveness : 링크 실패를 탐지, 네트워크 계층에게 알림 네트워크 계층 address 현상 : 양쪽 스테이션은 서로간의 네트워크 주소를 알고 구성할 수 있음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PPP Data Frame Info : 전송될 상위계층의 데이터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PPP Data Frame Info : 전송될 상위계층의 데이터 Check : 에러탐지를 위한 CRC 01111110 11111111 00000011 protocol info check flag control address 1 1 or 2 Variable length 2 or 4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PPP Data Control Protocol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PPP Data Control Protocol 네트워크계층 데이터교환 전에 데이터 링크 두 스테이션간에 해야 할일 : configure PPP link (max. frame length, authentication) 네트워크 계층 정보를 숙지/구성 for IP: carry IP Control Protocol (IPCP) msgs (protocol field: 8021) to configure/learn IP address [그림 1.19] PPP연길이 이루어지는 단계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비트 지향 프로토콜 : HDLC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비트 지향 프로토콜 : HDLC (High-level DataLink Control) 특징 다양한 환경에서 동작 다양한 동작 모드 여러가지 이름 SDLC: IBM ADCCP: ANSI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 HDLC 프레임 형식 주국 부국 명령 응답 혼합국 주국과 부국에 의한 일대일 연결 단일 주국과 다중 부국에 의한 일대다 연결 혼합국에 의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데이터 전송 동작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데이터 전송 동작 초기화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어 논리적인 연결이 확립되면 양측은 I-프레임에 사용자 데이터를 보내기 시작 I-프레임내의 N(S)과 N(R)필드는 흐름제어와 오류제어를 위해 사용 N(S) : 프레임에 순서적으로 번호를 부여 N(R): I-프레임을 받게 되면 자신의 I-프레임으로 잘 받았음을 송신측에 확인해 주게 되는데 이때 N(R)필드는 그 다음 받게될 프레임의 번호가 세팅 순서번호의 기능 흐름제어(3 or 7bit) Pipelining 오류제어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HDLC 프로토콜의 동작 모드 정규 응답 모드(NRM)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HDLC 프로토콜의 동작 모드 정규 응답 모드(NRM) 불균형 구성 ( [그림 1.20]의 (a),(b) ) 주국과 부국 : 일대일 또는 일대다 부국의 데이타 전송 : 주국의 허락 비동기 응답 모드(ARM) 불균형 구성 일반적으로 일대일로 연결된 전이중 링크 부국의 데이타 전송 : 주국과 무관 비동기 균형 모드(ABM) 균형 구성( [그림 1.20]의 (c) ) 일대일로 연결된 전이중 링크 X.25 프로토콜에서 사용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그림 1.20] HDLC 네트워크 구성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HDLC 프로토콜의 동작 환경 플래그 주소 제어 사용자 데이타 FCS 8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HDLC 프로토콜의 동작 환경 플래그 주소 제어 사용자 데이타 FCS 8 8/16 16/32 0~N N(S) p/f N(R) 1 7 6 5 4 3 2 S Information 프레임 Supervisory M Unnumbered N(S): 송신 순서 번호 N(R): 수신 순서 번호 RR(receive ready), RNR(receive not ready), REJ(reject), SREJ(selective reject) 비트수 SABM(set ABM), SNRM(set NRM), SARM(set ARM), RSET(reset), FRMR(frame reject), DISC(disconnect), UA(unnumbered ACK), .... 전체 구조 제어부 표준 구조 9 16 15 14 13 12 11 10 unused Information 프레임 Supervisory프레임 Unnumbered 프레임 확장된 구조

.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HDLC 동작절차 연결 설정 및 해제 주국( I ) 부국( J )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HDLC 동작절차 연결 설정 및 해제 주국( I ) 부국( J ) 혼합국( I ) 혼합국( J ) 정규 응답 모드(NRM) 비동기 균형 모드(ABM) 데이타 전송 . SNRM(J,P=1) UA(J,F=1) DISC(J, P=1) SABM(J, P=1) UA(J, F=1) DISC( I, P=1) UA( I, F=1)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동작예 : [그림 1.23]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고속 이더넷과 기가바이트 이더넷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고속 이더넷과 기가바이트 이더넷 1.8.1 고속 이더넷(Fast Ethernet) 기존 이더넷의 10배 속도. LAN 스위치 혹은 라우터를 이용하여 이미 설치되어 있는 이더넷과 패스트 이더넷 네트워크에 단절 없이 통합 될 수 있다. Fast Ethernet의 기술 DATA-LINK-LAYER PHYSICAL LAYER MEDIA OPTION PHYSICAL LAYER SIGNALING SCHEMES Fast Ethernet의 종류 100BASE-TX 100BASE-T4 100BASE-FX 100VG-AnyLAN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1.8.2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1.8.2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 Gigabit Ethernet의 구성 Media Access control(MAC) Full Duplex/Half Duplex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GMII) 1000BASE-SX Encoder/Decoder 1000BASE-X 8b/10b 1000BASE-T Transeeiver Transceiver 1000BAE-LX 1000BASE-CX MAC PHY 802.3z 802.3a [그림 1.24] 기가비트 이더넷의 구성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Gigabit Ethernet의 종류 1000Base-SX 1000Base-LX PART 02 프로토콜 Chapter 01 데이터 링크 계층과 LAN Gigabit Ethernet의 종류 1000Base-SX 1000Base-LX 1000Base-CX 1000Base-T 프레임 포맷 이더넷과 패스트 이더넷에서 사용되는 가변 길이 IEEE 802.3 프레임을 그대로 사용한다. 이더넷으로의 업그레이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Gigabit Ethernet의 특징 1Gbps 속도에서 전이중, 반이중 통신 방식 지원 이더넷 네트워크 상호 운영시 프레임의 변환이 필요 없다. 기존 이더넷 네트워크를 간단히 고속 네트워크로 업그레이드 가능 기종 이더넷, 패스트 이더넷의 모든 장점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