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9 솔라리스 네트워크 관리 Solaris2 . 네트워크 관리 명령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비즈쿨 - 정 성 욱 - - 금오공고 비즈쿨 - 정 성 욱 1. 나는 각 단원들의 활동들에 성실하게 참여 하겠습니다. 우리의 다짐 2. 나는 나와 전체의 발전을 위해 각 멘토들의 지도에 순종하겠습니다. 3. 나는 각 단원들을 숙지함으로써 비즈니스 마인드를 함양하고 자신의.
Advertisements

Linux Advanced Routing & Traffic Control HOWTO (1) 성 백 동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영어영문 이충훈 정보통신 김재학. SSH( 보안텔넷 ) SSH 란 ? SSH(Secure Shell) 는 다른사용자가 세션을 엿듣지 못하도록 세션을 감싸주는 텔넷 응용프로그램으로 보안버전의 프로그 램입니다. 즉, 패스워드가.
키보드 보안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임강빈 교수.
Part 4 장치 관리하기 Chapter 13. 주변 장치 관리하기 Chapter 14. 하드디스크 관리하기
조준희 (Cho, Junhee) TCP/IP 조준희 (Cho, Junhee)
CH7. 데비안에서 고정 ip를 설정하는 방법.
Chapter 7 ARP and RARP.
ASIC의 개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특정 용도 주문형 집적회로
TCP/IP 통신망 특론 3장 인터넷프로토콜( IP ).
Internet Protocol Version4
문화이벤트 특강 시민축제에 대하여 애니메이션 김철환.
제 13 장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Linux University of Seoul Computer Science Park Jong wook
8장. VLAN과 Inter-VLAN 라우팅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Network Security - Ethereal 실습
11장. WAN 기술 (PPP, Frame-Relay)
연습 문제 풀이 E BF F8 85 A5 E5 9B 37 A5 E5 9B FF 버전 헤더길이 서비스유형 전체길이
Copyright © 2002, Cisco Systems, Inc.
Linux LVS Tutorial Austin.
Delivery and Routing of IP Packets
V44408(다산네트웍스) 개량개선 내역(1.05) KT 네트워크기술지원본부 유선액세스망기술담당 1
Chapter 16 백업 및 복구 Solaris 2 . ufsdump 와 ufsrestore
3장. 라우터와 스위치의 기본설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10. About TCP / IP SPARCS 08 우성필.
제 18 장 TCP/IP 연결 확립과 종료 정보통신연구실.
Chapter 02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3장. 라우터와 스위치의 기본설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모든 내용에 대한 저작권은 BANNA에 있으며, 허가된 사용자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art 라우터 1. 라우터 장비의 이해 2. 라우터 네트워크 환경 설정 3. 라우팅 테이블 설정과 점검.
PSINet BackBone Network
실습1 : 장치 기본 설정 (basic configuration)
3COM 스위치 교육 자료.
Routing Protocol - Router의 주 목적 중 하나는 Routing
Processing resulting output
Chapter 05 목록화.
TCP/IP 네트워크 제 9장 IP 라우팅 정보통신연구실.
제 9 장 IP 라우팅.
리눅스 기본 명령어 기본 명령어 명령어 기능 사 용 예 date 날짜 및 시간을 확인하고 생성.
Choi Seong Yun 와이어샤크 Choi Seong Yun
3장. 라우터와 스위치의 기본설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제 21 장 TCP 타임아웃과 재전송.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제 21 장 TCP 타임아웃과 재전송 정보통신연구실.
11장. WAN 기술 (PPP, Frame-Relay)
Chapter 8 The Routing Table
IP(Internet Protocol)
개요 설립 배경 및 목적 • 정부는 2005년 전면 발효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근거, 개인의 유전정보 보호와 근거없는 유전자검사의 상업적 이용 제한, 유전자검사기관의 정확도를 관리하는 장치를 만들었다.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은 정부로부터 유전자검사기관에 대한.
TCP/IP 인터네트워킹 INTERNETWORKING with TCP/IP <vol
Chapter 8 The Routing Table
목차 INDEX 1. 회원가입 및 로그인 2. 업체정보 3. 제조검사 신청 4. 인보이스 5. 검사진행현황(현장검사 신청)
SYSMAC GATEWAY 간이 매뉴얼.
IPv 이 동 주 HONGIK UNIVERSITY.
3장. 라우터와 스위치의 기본설정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Information Security - Wired Sniffing 실습
Chapter 19 솔라리스 네트워크 관리 Solaris 3 . 네트워크 이중화
과거사 청산, 밝은 미래를 위하여 역사 청산 비교 분석-독일과 우리나라.
칼빈의 생애와 개혁자로의 변모 사학과 김종식.
국제의료관광 관련 법, 제도.
6장. EIGRP 2012년 2학기 중부대학교 정보보호학과 이병천 교수.
Unix 방문(접속하여 로그인) 하기 수퍼 유저 되어 사용자 계정 만들기 Unix의 아파치 웹 서버에 홈페이지 등록하기
시스템 인터페이스 Lab3 Unix 사용법 실습.
AI Robot #3 2010년 2월 2일, AI Robot Graduation Project
CHAPTER 9-1 한국의 사회복지정책 - 사회보험제도 -
3부 해킹 전 정보 획득 Chapter 9. IP 주소 추적
책을 읽읍시다  탈향 진지하게 설명해드림 1303 김소희 1309박지호 1315이지수.
IPv 이 동 주.
2016년 제1차 운영위원회 평택시건강가정 ∙다문화가족지원센터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경찰학 세미나 제 5 강 경찰관직무집행법 2조 5호의 의미 신라대학교 법경찰학부 김순석.
Presentation transcript:

Chapter 19 솔라리스 네트워크 관리 Solaris2 . 네트워크 관리 명령어 솔라리스10 Chapter 19 솔라리스 네트워크 관리 Solaris2 . 네트워크 관리 명령어

1. 네트워크 관리 명령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ifconfig 명령어 현재 인터페이스 확인 및 설정 # ifconfig -a lo0: flags=2001000849<UP,LOOPBACK,RUNNING,MULTICAST,IPv4,VIRTUAL> mtu 8232 index 1 inet 127.0.0.1 netmask ff000000 e1000g0: flags=1000843<UP,BROADCAST,RUNNING,MULTICAST,IPv4> mtu 1500 index 2 inet 192.168.64.3 netmask ffffff00 broadcast 192.168.64.255 ether 0:c:29:1e:27:b0

네트워크 카드 인식시키기 # ifconfig e1000g1 plumb 네트워크 카드를 물리적으로 인식시킴 운영체제에서 인식시키기 # ifconfig e1000g1 plumb IP 설정하기 ( 192.168.64.20 / 255.255.255.0 ) # ifconfig e1000g1 192.168.64.20 netmask \ 255.255.255.0 broadcast + up

# ifconfig e1000g0:1 plumb 192.168.64.21 up # ifconfig -a 가상 네트워크 사용 ( 192.168.64.21 /255.255.255.0 ) # ifconfig e1000g0:1 plumb 192.168.64.21 up # ifconfig -a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내리기 # ifconfig e1000g0:1 down # ifconfig e1000g0:1 unplumb

네트워크 상태 확인 명령어 # netstat -a # netstat -rn netstat 명령어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 netstat -a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는 명령어 # netstat -rn Routing Table: IPv4 Destination Gateway Flags Ref Use Interface -------------------- -------------------- ----- ----- ---------- --------- default 192.168.64.2 UG 1 24 192.168.64.0 192.168.64.4 U 1 16 e1000g0 224.0.0.0 192.168.64.4 U 1 0 e1000g0 127.0.0.1 127.0.0.1 UH 4 115 lo0

# netstat -i 2 5 인/아웃/에러 패킷을 확인하는 명령어 옵션 input e1000g0 output input (Total) output packets errs packets errs colls packets errs packets errs colls 2922 0 2612 0 0 3198 0 2888 0 0 2 0 1 0 0 2 0 1 0 0 2 0 2 0 0 2 0 2 0 0

라우팅 테이블 확인 명령어 # netstat -rn 라우팅 테이블 삭제 명령어 라우팅 테이블 추가 명령어 # route delete 목적지네트워크 목적지게이트웨이 # route delete default 192.168.64.2 라우팅 테이블 추가 명령어 # route add 목적지네트워크 목적지게이트웨이 # route add default 192.168.64.2

네트워크 가 다른 경우 라우팅 테이블 추가 # ifconfig e1000g1 plumb 172.16.10.10 netmask 255.255.0.0 broadcast + up # ifconfig -a lo0: flags=2001000849<UP,LOOPBACK,RUNNING,MULTICAST,IPv4,VIRTUAL> mtu 8232 index 1 inet 127.0.0.1 netmask ff000000 e1000g0: flags=1000843<UP,BROADCAST,RUNNING,MULTICAST,IPv4> mtu 1500 index 2 inet 192.168.64.4 netmask ffffff00 broadcast 192.168.64.255 ether 0:c:29:1e:27:b0 e1000g1: flags=1000843<UP,BROADCAST,RUNNING,MULTICAST,IPv4> mtu 1500 index 3 inet 172.16.10.10 netmask ffff0000 broadcast 172.16.255.255 ether 0:c:29:1e:27:ba

라우팅 테이블 추가 # route add net 172.16.0.0 -netmask 255.255.0.0 172.16.0.1 add net 172.16.0.0: gateway 172.16.0.1 # netstat –rn Routing Table: IPv4 Destination Gateway Flags Ref Use Interface -------------------- -------------------- ----- ----- ---------- ----------- default 192.168.64.2 UG 1 28 172.16.0.0 172.16.10.10 U 1 0 e1000g1 172.16.0.0 172.16.0.1 UG 1 0 192.168.64.0 192.168.64.4 U 1 20 e1000g0 224.0.0.0 192.168.64.4 U 1 0 e1000g0 127.0.0.1 127.0.0.1 UH 4 115 lo0

네트워크 패킷 캡쳐 명령어 snoop 명령어 # snoop host1 host2 <중간 생략…> Using device /dev/pcn0 (promiscuous mode) host2 -> host1. TELNET C port=32846 \377\372\30\0VT100\377\360\377\372#\000192.1 host1. -> host2 TELNET R port=32846 login: host2 -> host1. TELNET C port=32846 r host1. -> host2 TELNET R port=32846 r host2 -> host1. TELNET C port=32846 o <중간 생략…>

snoop 특정 포트 번호 패킷 캡쳐 # snoop port 53 패킷 캡쳐 결과를 파일에 저장하고 싶을 경우 # snoop -o /down/snoop.txt 230 ^c 패킷 캡쳐 결과를 확인하고 싶을 경우 # snoop -i /down/snoop.txt > /tmp/a.txt

네트워크 파라메타(parameter) 확인 명령어 ndd 명령어 # ndd /dev/e1000g1 \? ( read and write ) ( read only )

네트워크 상태 확인 # ndd /dev/e1000g0 link_status 1 # ndd /dev/e1000g0 link_speed 1000 # ndd /dev/e1000g0 link_duplex 2 # ndd /dev/e1000g0 link_autoneg 0 down 1 half duplex 2 full duplex # dladm show-dev

solaris10 # vi /etc/rc2.d/S90hme #!/sbin/sh /usr/sbin/ndd -set /dev/hme instance 0 /usr/sbin/ndd -set /dev/hme adv_autoneg_cap 0 /usr/sbin/ndd -set /dev/hme adv_100fdx_cap 1 /usr/sbin/ndd -set /dev/hme adv_100hdx_cap 0 /usr/sbin/ndd -set /dev/hme adv_100T4_cap 0 /usr/sbin/ndd -set /dev/hme adv_10fdx_cap 0 /usr/sbin/ndd -set /dev/hme adv_10hdx_cap 0 solaris10 # chmod 755 /etc/rc2.d/S90hme solaris10 # /etc/rc2.d/S90hme

# cat link_e1.ksh #!/bin/ksh /usr/sbin/ndd -set /dev/e1000g1 adv_autoneg_cap 0 /usr/sbin/ndd -set /dev/e1000g1 adv_1000fdx_cap 0 /usr/sbin/ndd -set /dev/e1000g1 adv_100fdx_cap 1 /usr/sbin/ndd -set /dev/e1000g1 adv_100hdx_cap 0 /usr/sbin/ndd -set /dev/e1000g1 adv_10fdx_cap 0 /usr/sbin/ndd -set /dev/e1000g1 adv_10hdx_cap 0 # chmod +x link_e1.ksh # ./link_e1.ksh

# ifconfig e1000g1 down unplumb # ifconfig e1000g1 plumb 192. 168. 64 # ifconfig e1000g1 down unplumb # ifconfig e1000g1 plumb 192.168.64.11 up # dme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