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선번확인시험(와이어 맵) : 정확한 배선연결 여부 확인 배선구간 길이 측정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Copyright © 2006 b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All rights reserved. McGraw-Hill Technology Education Copyright © 2006 by The McGraw-Hill Companies,
Advertisements

1)RACK 2)UPS 3)P D U 장치 4)Server Group 5)KVM Switch 7)UPS 를 위한 HUB 6) RACK Monitor.
전자회로 설계 Home Work # 서태규. HW#2 CS & Cascode Homework Homework [1] CL=0 일 때, Common-Source 증폭기 [2] CL=40pF 일 때, Common-Source 증폭기 [3] CL=0 일 때,
NT 955 소개자료 VLT Corp. March, 2006.
Using Telephone and Cable Networks
for Low Voltage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119 신고요령 경기도 남양주 소방서 1. 휴대전화보다 유선전화로 신고 2. 낯 선 거리에서는 상가 전화번호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예비보고서1 : 8개의 푸시버튼 스위치가 있다. 이 스위치에 각각 0~7개까지의 번호를 부여하였다고 하자
실험 1 오실로스코프 목적 오실로스코프 작동원리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오실로스코프 적용 R-C 회로 주파수 특성 측정.
임피던스(Impedance) 측정 일반물리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장비 구성도 (특징) (장비 구성품) 1) Beam Projector
Data Communications 제 7 장 기기간의 접속규격.
Excel 일차 강사 : 박영민.
공차 및 끼워맞춤.
AOE-212 설치방법 MANUAL & FAQ 작성일자:2012년02월20일 INTER-M C/S팀
무선 personal area network(WPAN)
Chapter 7 Transmission Media.
메카 세미나 무선통신
무선 11N Chariot throughput절차서
목 차 IMPEDANCE란 무엇인가 ?? IMPEDANCE CONTROL이 왜 필요한가 ??
전기공학실험 함수발생기 설계.
실험 11.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부하선 해석 방 기 영.
CHAPTER 04 안테나 기초 Antenna Basics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오브젝트 조합 회로 IT CookBook, VHDL을 이용한 디지털 회로 입문.
프로젝트 8. Electron Spin Resonance
- 기본 네트워크 구축 장비 랜케이블 - BNC 명칭 : RG58 A/U 10Base-2 전송속도 : 10Mbps
483(W) x 88(H) x 260(D) / 19(W) x 3.5(H) x 10.2(D)
HomeNetWork의 개념과 실생활의 예
SqlParameter 클래스 선문 비트 18기 발표자 : 박성한.
WIRELESS SOLUTION CATALOG WIRELESS REPEATER SYSTEM RF ACE TECH
초고속정보통신 특등급아파트용 홈 네트워킹 구축을 위한 제품 솔루션
멀티미디어 시스템 (아날로그 이미지,신호를 디지털로 변환 방법) 이름 : 김대진 학번 :
“DC POWER SUPPLY의 소개”.
장 비 사 양 서 제품특징 제품사양 제조국 브랜드 KEVIC 모 델 KA2224 품 명 POWER AMPLIFIER
4. LAN의 배선체계 (3장. LAN: Local Area Network)
상관함수 correlation function
Chapter 03. 네트워크 설계와 메체별 특징.
차세대통신시스템 2. 신호와 시스템 (2) March 14 – 15, 2011 Yongwon Lee
임피던스 측정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10강. JSP 본격적으로 살펴보기-II 스크립트릿, 선언, 표현식 지시자 주석 Lecturer Kim Myoung-Ho
플랫폼의 개념 클럭, 버스, 대역폭의 의미 64비트 PC
장 비 사 양 서 제품특징 제품사양 제조국 브랜드 KEVIC 모 델 KA1000 품 명 POWER AMPLIFIER
JPA-1360B/1480B ATT 5-ZONE AMPLIFIER JPA-1360B JPA-1480B 입력 감도 / 임피던스
AMC-2300 주차장 연동 구역 설정 방법 작성일자 : 2016년 07월 25일 INTER-M C/S팀 김성배
TFT-LCD 구조 동작원리 응용분야.
통신네트워크구축 2017 IoT엔지니어링.
483(W) x 88(H) x 260(D) / 19(W) x 3.5(H) x 10.2(D)
4 장 신호(Signals) 4.1 아날로그와 디지털(Analog and Digital)
2장. 직접 연결에 의한 컴퓨터 통신.
8장. spss statistics 20의 데이터 변환
장 비 사 양 서 제품특징 제품사양 제조국 브랜드 KEVIC 모 델 DC2148 품 명 DIGITAL PROCESSOR
Thevenin & Norton 등가회로 1등 : 임승훈 - Report 05 - 완소 3조 2등 : 박서연
2. 누화와 케이블링 1. 서론 2. 용량성 누화 3. 유도성 누화 4. 복합적인 누화(누화의 일반적인 이해)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전반사(Total Reflection)와 광통신
LAN의 구성요소 학습내용 서버 클라이언트 NIC(Network Interface Card) 전송매체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제 5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피드백 제어 시스템 과도 성능 (Transient Performance)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5장 광 파이버 도파로 5.1 계단형 광파이버 (step-index fiber).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JDC-200/400/600 1CH DIGITAL P.A POWER AMPLIFIER
IO-Link 통신 기술 소개 산업 Ethernet 필드버스 게이트웨이 접속 IO-Link 마스터 IO-Link 통신
제디아가 만들고 세계가 듣는다. 기능 특성 JEQ-231A
Automatic Music Transcription
8장 표면거칠기 1. 표면 거칠기의 종류 - KS의 가공 표면의 거칠기(요철현상)를 지시하는 방법 최대높이 거 칠기(Ry), 10점 평균 거칠기(Rz), 산술(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요철의 평균 간격(Sm), 국부 산봉우리의 평균 간격(S), 부하 길이 율(tp)
버스와 메모리 전송 버스 시스템 레지스터와 레지스터들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경로
Presentation transcript:

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선번확인시험(와이어 맵) : 정확한 배선연결 여부 확인 배선구간 길이 측정 전기적 특성 시험 - 전파지연(Propagation delay) - 지연왜곡(Delay Skew) - 최대 삽입손실(Insertion Loss = Attenuation) - 반사손실(Return Loss) - 근단누화(NEXT) - 전력합근단누화(PSNEXT) - 등위원단누화(ELFEXT) - 전력합등위원단누화(PSELFEXT) - ACR(Attenuation to Crosstalk Ratio) - PSACR

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정상 와이어맵 1,2번과 3,6번 크로스 4번과 5번 크로스 (1) 와이어맵(Wiremap) - 와이어맵은 8개 각각의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확인 - 케이블 설치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하여 본체 및 리모트 장비에서 각각 장애 발생 지점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표시 자동 장애 진단 단선, 단락 된 지점 떨어져 있는 끝까지의 연속성 크로스 페어 / 리버스 페어 스플릿 페어 기타 연결 불량 정상 와이어맵 1,2번과 3,6번 크로스 4번과 5번 크로스 2번 4번 본체로부터 2.7m 단선 2번 4번 본체로부터 2.7m 단락

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일반적으로100 m (+ 10%) (2) 길이 (Length) - 장비와 연결하기 위한 양쪽 패치코드 두 개의 길이를 포함한 링크의 총 길이 - 구내배선 구간의 길이를 측정 했을 때 패치코드를 포함한 동 선로 구간의 길이는 일반적으로는 100m를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 4페어 중에서 제일 짧은 페어의 길이가 일반적으로 100(+ 10%)미터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각 페어 별 길이 표시 일반적으로100 m (+ 10%) *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제도와 사용전검사 규정은 패치코드의 성능이 총 링크의 결과에 포함되는 채널(Channel) 측정 방식을 따르므로 장비 본체와 리모트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패치코드 2개의 길이가 총 길이 값에 포함됨

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길이 측정 (TDR) 방식 - TDR(Time Domain Reflectometry)의 원리 Transmitted pulse Scan Pulse 케이블 종단 : open Reflected pulse - TSB-67 allows 10% tolerance : 케이블 각 페어 별 꼬임을 감안하여 실체 길이 한계 일반 100m + 10%의 여유분을 줌 : 실제 제일 짧은 페어가 110m를 넘지 않으면 합격

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길이 측정 시 사용되는 값 NVP - NVP (Nominal Velocity of Propagation)란? : 진공상태에서의 빛에 속도에 대한 시그널의 전송속도를 퍼센트(상대속도)로 표시 -> NVP 값에 따라 케이블 길이 달라짐 -> NVP 값을 임의대로 변경하면 안됨 케이블의 펄스 전송속도 NVP = X 100% 진공상태에서의 빛의 속도 (300,000 km per second) RT_Prop_delay (nsec) x NVP x300K(Km/sec) Length = 2

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3) 전파지연(Propagation Delay) - UTP케이블의 꼬임 차이로 Pair간의 실제 길이는 서로 다르며 신호의 전달 속도도 차이가 발생 이때 UTP 4pair 모두의 신호가 전달되는 전달시간을 말한다. (4) 지연왜곡(Delay Skew) - UTP cable의 가장 빠른 페어와 가장 느린 페어의 전파지연 사이의 차이 - 각 페어의 Propagation Delay가 다를 때, 가장 빨리 도달한 페어를 기준으로 각 페어의 도달 시간차를 나타내는 것이 Delay Skew이다. 전파지연에서 가장 짧은 시간이 나온 페어를 지연왜곡 0ns로 한다.

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Transmit Receive (0.1 Volt) (1 Volt) (5) 최대삽입손실 (Insertion Loss = Attenuation) - 모든 신호는 소스로부터 멀리 전달됨에 따라 점점 약해지며, 케이블링을 따라 흐르는 LAN 신호도 예외는 아니다. 멀어짐에 따라 신호 레벨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최대삽입손실(감쇠 손실)이라 한다. - 선로의 길이와 주파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케이블 길이 : 90 m Transmit (1 Volt) Receive (0.1 Volt) 거리에 따른 신호 감쇠 = 20dB 대표 주파수에서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인증 규정 값 주파수 (Mhz) 최대 감쇠 (dB) Category3 Category5e 1 4.2 2.2 16 14.9 9.2 100 - 24.0

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6) 반사손실 (Return Loss) - 링크의 반사손실(RL)는 일반 값(UTP의 경우, 보통 100ohms)과 관련된 링크의 임피던스 전체의 동일성에 관한 측정이다. -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신호가 지나갈 때, 일종의 장애물에 의해서 모든 신호가 다 지나가지 못하고 일부는 튕겨 나와서 시작점으로 되돌아 가다가 손실되는데, 이렇게 튕겨 나와서 손실되는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이 Return Loss항목이다. Transmit (1 Volt) Return Loss = 20dB Reflected (0.1 Volt) 대표 주파수에서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인증 규정 값 주파수 (Mhz) 최소 반사손실 (dB) Category3 Category5e 1 - 17 16 100 19

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7) 근단누화 (NEXT = Near End Crosstalk) - 근단누화라고도 하며, NEXT는 2개의 pair간에 발생 되어지는 불필요한 신호의 간섭 또는 혼선을 의미한다. - 평소에 전화 통화를 하면 잡음이 많이 들린다든지 다른 사람의 통화 내용이 들린다든지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처럼 음성통신에 있어서 잡음이 끼거나 혼선과 같은 현상이 데이터 통신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근단누화(NEXT)라 한다. Transmit (1 Volt) NEXT = 40dB Reflected (0.1 Volt) 대표 주파수에서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인증 규정 값 주파수 (Mhz) 최소 근단누화손실 (dB) Category3 Category5e 1 - >60.0 16 43.6 100 30.1

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Outlet Patch panel Cabling (8) 전력합누화손실 (PSNEXT = Power Sum NEXT) - NEXT는 2개의 페어 간(Pair to pair)에 발생되어지는 불필요한 신호의 간섭 또는 혼선을 의미하지만 2pair 이상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에서는 하나의 페어에 나머지 페어들이 끼치는 영향(신호의 간섭)을 측정하여 가장 나쁜 값을 갖게 된다. - 전력합 누화손실(PS NEXT)는 하나의 페어에 나머지 페어들이 끼치는 근단누화의 총 합을 말한다. Outlet Patch panel PC Hub Cabling

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Outlet Patch panel Cabling FEXT Attenuation (9) 등위원단누화 (ELFEXT = Equal Level Far End Crosstalk) - 반대편의 입력 측에서 발생하는 출력 신호에 대한 감쇠와 간섭이 발생하게 될 때 그 값의 차이를 말하며 일종의 ACR이라 할 수 있다. - 원단누화에서 감쇠율의 측정치를 빼 준 실측 값이다. ELFEXT = FEXT – Attenuation [ 원단누화 (FEXT = Far End Crosstalk) ] -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페어가, 반대방향의 입력 측에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페어에 간섭을 일으켜 입력 측의 신호를 감쇠 시키는 현상 - dB로 그 값을 표현 Outlet Patch panel Cabling Hub PC FEXT ELFEXT Attenuation

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10) 전력합등위원단누화 (PSELFEXT = Power Sum Equal Level Far End Crosstalk) - ELFEXT는 2개의 페어 간(Pair to pair)에 발생되어지는 불필요한 신호의 간섭과 혼선에 대하여 감쇠의 정도를 의미하지만 멀티 페어 에서는 일대 다수의 영향력에 대한 ELFEXT값이 네트워크의 신뢰성 정도를 가늠하게 된다. 즉 하나의 페어에 나머지 모든 페어 들이 끼치는 ELFEXT의 총 합이다. Outlet Patch panel PC Hub Cabling 주파수 (Mhz) ELFEXT PSELFEXT Category5e 1 57.4 54.4 16 33.3 30.3 100 17.4 14.4

5. UTP 링크성능 측정 - Parameter (11) ACR (Attenuation to Crosstalk Ratio) - Signal to Noise Ratio의 변형 (SNR) - NEXT (in dB)과 Attenuation (in dB)의 차이 - “useable” bandwidth를 결정하는 “best” performance indicator ACR = NEXT - Attenuation External noise Signal Transmit (Output) Receive (Input) PC NEXT Signal LAN장비 Receive (Input) Transmit (Output) SNR = ACR (12) PSACR (Power Sum Attenuation to Crosstalk Ratio) - 각 페어 별 ACR의 총 합

5. UTP 링크성능 측정 – 케이블 문제점 분석 1. 잘못된 커넥터 2. 잘못된 구간 3. 잘못된 스풀 케이블 (1) HDTDX ( High-Definition Time Domain Crosstalk) 기능 - 근단누화(NEXT)에서 불합격이 발생하였을 때 참조하여 장애 위치를 확인. - 테스트 중인 케이블링 상의 근단누화(NEXT)의 수치와 위치를 차트로 보여 줌. - 자동 문제분석을 하여 NEXT와 ELFEX문제의 원인을 제공. 1. 잘못된 커넥터 2. 잘못된 구간 3. 잘못된 스풀 케이블 1. 측정기 본체 쪽 근처의 패치 코드의 끝에 잘못된 커넥터가 있다. 2. 측정기의 리모트 장비 근처에 잘못된 구간이 있다. 3. 케이블 전반적에 걸쳐 성능이 좋지 않은 스풀 케이블이다.

5. UTP 링크성능 측정 – 케이블 문제점 분석 (2) HDTDR ( High-Definition Time Domain Return Loss) 기능 - 반사손실(Return Loss)에서 불합격이 발생하였을 때 참조하여 장애 위치를 확인. - 분석기는 테스트중인 케이블링 상의 임피던스 변형에 의한 반향의 수치와 위치를 차트로 보여 줌. - 자동 문제분석을 하여 반사손실 문제의 원인을 제공. 1. 단선 2. 단락 3. 잘못된 커넥터 1. 스마트 리모트 근처의 7,8 번이 단선 되었다. + 반향은 임피던스가 증가 함을 나타낸다. 단선은 임피던스가 크게 증가 하고 + 반향이 크게 나타난다. 2. 스마트 리모트 근처의 3.6번이 단락 되었다. – 반향은 임피던스가 감소 함을 나타낸다. 단락은 임피던스가 크게 감소 하고 – 반향이 크게 나타난다. 3. 스마트 리모트 근처에서 잘못된 커넥터가 문제이다.

5. UTP 링크성능 측정 – DTX UTP Auto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