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2) 사회복지학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동서 식사예절 박재용이은미. 보기 닫기 카톡 안철수가 빌게이츠에게 면박 당한 이유는...??
Advertisements

방과후 컴퓨터 교실 실력 Up 행복 Up 신풍초등학교. 실력 UP 행복 UP 방과후컴퓨터교실 한글 2005 에서 문서를 관리할 수 있다. 한글 2005 에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 한글 2005 의 화면을 구성하는 요소의 종류와 역할을 설명할 수 있 다. Ⅰ. 한글.
Albert Ellis 의 인지적 이론. 2. 생애 · 1913 년 피츠버그 (Pittsburgh) 에서 출생하여 브롱크스 (Bronx) 거리에서 성장 · 부모는 좋은 사람이었지만 무관심하였기에 고독하게 자람 · 12 살 때 작가가 되기로 결심 · 원하는 모든 것을 하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5). 집단대상 사회복지 실천  집단의 정의 ( 공통적 요소 )  집단의 목적  집단의 분류  집단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  집단사회복지의 발전  집단 역동성 이해 및 구성요소, 집단지도력  집단발달단계  집단사회복지실천과정의 실제.
에이스 하이엔드 타워 9 차 분양제안서 에이스종합건설 분양사업본부 문의 : 담당자 : 현성희부장.
객혈의 원인과 치료 국립목포병원 흉부외과 김 대 연 2010 년 9 월 28 일. 국립목포병원 대기중의 공기를 호흡하여 기도를 통하여 기관지를 거쳐 폐포에 이르게 하여 모세혈관을 통하여 산소는 흡수하고 이산화 탄소는 배출하는 가스교환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2007 학년도 수시 2 학기 한성대학교 인문계 구술면접 특강 상상력 CT 한성대학 교.
대장암의 검진과 예방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대전지역본부 교육정보센터 전 이 구 목 차 대장암 이란 대장암 발생현황 발생원인 대장의 구조 대장내시경 검사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 7 질의 및 응답.
세강병원 고정자산 재물조사 총무 UNIT. 1 차 : 2015 년 11 월 10 일 전체공지 2 차 : 2015 년 11 월 11 일 ~2015 년 11 월 18 일 까지 부서별 자료 취합 서면 및 엑셀 파일 작성 3 차 : 2015 년 11 월 19 일 ~ 12 월.
한옥과 신한옥의 개념.
혁신! < 테마 프로젝트 > 운영Flow
제 3 호 농촌 어메니티 관광개발 정보 -농어촌체험 ∙ 휴양마을 지정제도- 농 촌 진 흥 청 농촌자원과.
◎ 사회복지학과 ◎ 김금하 김무근 노경림 방미선 정지혜
7~9월 프로그램 광산구드림스타트 호 소식지 신체 / 건강 인지/언어 정서/행동
질병과 그에 따른 치료비 및 후유장해에 대한 부담감
산업재해보상보험 원무관리 제 5 강 (화) 강의실 9호관 506호 보건행정학과 2학년 B,C반.
乖乖♂坐好 开始♂上课.
제6과 이전에 이런 복통이 있으셨나요? 第六课 您以前有过这样的腹痛吗?
圣诞快乐 乖乖♂坐好 开始♂上课.
문화이벤트 특강 시민축제에 대하여 애니메이션 김철환.
8. 행동치료 1-C 최 아람 하 평화 허 진영 홍 경희.
2017년 스타트Up-청년취Up 매칭사업 개요 □ 사업목적 □ 지원내용 □ 청년인재 정의 □ 스타트업 정의
사 회 6학년 1학기 3. 대한 민국의 발전 [2]민주 시민이 승리하던 날들 (10 /14 ) 5.18 민주화 운동과
서 론 금융소득종합과세제도 제 1 절 이자소득 제 2 절 배당소득
인본주의 이론.
창의 경영 학교 2011 사교육절감형 학 성 초 등 학 교 (목) 집중컨설팅 안녕하십니까
커뮤니케이션 스킬 UP -전화매너- ..
직업재활실습 김은비.
재학생들의 자존감 향상을 돕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5. 맥도날드가 만든 것은 더 좋은 햄버거가 아니다 정보 경제학 시장과 경제-정기문.
사회복지실천론 박 석 돈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
행동유형세미나 Discover & Capitalize ! (주) 아그막 WWW. gurus.co.kr
심 사 위 원 전 운 천.
제11장 사회복지 실천 모델의 종류 아낌없이주는 사랑.
제6장 인지행동모델 기본전제 개념 적용.
동물 매개 치료 강아지요가 수의사 노나미.
이상행동의 치료.
인지이론.
트레이닝의 기본원리 트레이닝의 궁극적인 목적은 발달시키고자 하는 체력요소를 목표 수준까지 증진시키는 것이다. 가 과부하의 원리
2.1 재배정 재배정요구등록 재배정승인취소 재배정부서연결 재배정단위업무연결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1. 과학적 진단.
STONE THERAPY STONE THERAPY 이지영 이찬미.
11장. 이상행동.
생활지도와 상담 윤 향 숙.
사회복지개론 3장 사회복지의 가치와 이념.
미술로 만드는 가족사랑 1회기 오리엔테이션 및 활동 안 명 현.
4.19 혁명의 원인과 과정, 결과 사 회 6학년 1학기 3. 대한 민국의 발전 [2]민주 시민이 승리하던 날들(9/14)
디 스타 프로그램 2009년 5월 27일 수요일 9 조 애솔나무 9조 디스타 프로그램.
법인객실 예약 메뉴얼 하이원리조트 중부사무소.
상담심리-인지상담 조장: 임체리 조원: 김은미 신아름
3) 합리적 정서행동 상담이론 1) 개요 외부자극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매개하는 신념체계, 즉 해석방식의 중요성을 강조
Human Behavior & Social Environment
제5장 사회복지조직의 환경과 관리전략.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학습목차 1. 학습개요 2. 사전학습 3. 본학습 : - 선택이론 - 상담과정과 기법 4. 학습정리
성립전예산 요구등록 (사업담당자) 사업관리카드 1 2
울산동구정신보건센터 2012년 7월 2일~ 7월 27일 (4주간) 윤찬란.
정신건강 치료의 형태 정신건강의 정의 정신건강의 의미 정신건강에 대한 학문적 견해 상담과 심리치료는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 스킬 UP -전화매너- ..
정신보건 사회복지 제17장.
국가별 의료문화적 특성 이해.
안현정 전은영 황보라 비교경찰론 “일본경찰관련특징”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스마트폰 입문과 활용 강사 : 정 훈 희 STEP 1. 스마트폰 기본기능 익히기 (안드로이드 계열 -갤럭시)
新노동계약법 및 기업의 대응방안 코트라 대련무역관 이평복 관장.
저출산 극복을 위한 우리공단의 추진과제 경인 제4권역 Mind up 100분 토론.
세부담 증가의 사례연구 1 기본가정 변동사항 목적 금융소득의 구성은 다음과 같음 1. 금융소득 중 배당소득은 비상장 법인
Ⅳ. 기술과 발명 Ⅰ. 청소년의 이해.
정신건강론 심리 치료 응용 치료 접근법.
Presentation transcript:

사회복지실천기술론(2)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실천모델 심리사회모델 인지행동모델 과제중심모델 역량강화모델및 위기개입모델

심리사회모델 철학과 기본개념 실천과정 심리사회적관점 인간을 단순히 심리적인 측면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인 측면과 사회적인 측면, 그리고 양자 상호작용 결과까지 고려 ‘상황 속의 인간’을 강조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대상관계이론, 체계이론, 생태체계이론, 역할이론,의사소통이론, 자아심리학이론,실천을 통해 획득된이론 등 기원과 발달 .메리 리치몬드(Mary Richmond)가 기원 .1930년대 고든 해밀튼(Gordon Hamilton)에 의해 심리사회적 이론으로 불림 .1960년대 플로렌스 홀리스(Florence Hollis)에 의해 실천이론과 접근방법으로 체계화 됨 특징(핵심포인트) C.T가 자신의 사고, 감정, 행동 등에 대해 이해하고 고찰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문제해결능력을 향상-개인과 환경 양자 개입 실천원칙 C.T의 수용, C.T의 자기결정 원칙 중요, C.T 욕구 존중, C.T가 있는 곳에서 출발, 사회복지사와 C.T의 관계 중시 실천과정 초기단계:심리사회적 조사 문제상황과 문제에 기여한 요소들에 관련된 사실들을 수집·관찰·조사⇒논리적으로 정리 심리사회적 사정과 진단 . 수집된 정보들을 비판적으로 검토, 사실로부터 추론 전개 ⇒심리사회적 사정 . 문제의 성격을 엄밀하게 이해하기 위해 C.T와 상황, 도움이 요청되는 문제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 ⇒진단 개입단계:심리사회적 개입 C.T가 경험한 과거의 사건이나 경험들 혹은 현재 경험들과 관련된 심리내적인 갈등과 어려움을 C.T가 이해하고 통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개입기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개인, 환경또는 양자의변화를 초래하며, C.T의 권익 옹호나 지역사회자원이 필요한 경우 C.T의 환경에 직접 개입한다. 개입기법 직접적 개입: C.T와 직접 관계하면서 심리적인 변화 추구 (6가지) 지지하기, 직접 영향주기(지시하기), 탐색-기술(묘사)-환기, 개인과 환경에 관한 고찰- ‘현재’에 초점, 유형-역동성 고찰, 발달적 고찰-과거에 초점을 둠 간접적 개입: 환경 조정하기 . 환경에 관련된 사람과의 관계에 개입하거나 사회환경적인 변화를 추구한다. . 기법: 직접 기법들이 활용됨

인지행동모델 인지행동모델의 철학과 기본개념 인지행동모델의 실천 이론적 기반 . 인지이론, 행동주의 이론, 학습이론 . 인지이론: 감정이나 행동을 사고의 산물로 간주한다. . 행동주의적 요소: 과제부여, 강화, 보상, 반복, 행동기술의 교육및 습득 원조 등 인지행동모델의 구분과 모델들 .합리적 정서치료(RET:Rational-Emotive Therapy)-비합리적신념-재구조화하기 .합리적 행동치료(RBT:Rational-Behavior Therapy)-Self-talk(자기대화,자기독백), 자기패배적 인지적 습관- 합리적행동유도 . 인지치료, 자기지시 훈련, 문제해결치료, 불안관리 훈련(대처기술 향상:체계적 둔감법, 이환훈련등), 스트레스 훈련 공통된 기본 가정 . 인지활동은 행동에 영향을 준다. . 인지활동을 모니터하고 바꿀 수 있다. . 인지를 변화시킴으로써 행동 변화가 가능하다. 인지행동모델의 실천 개입목적 . 비합리적 신념이나 인지적 오류, 자기 패배적인 사고 변화 ⇒감정이나 행동 변화 . 자기 자신과 타인, 삶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평가 ⇒합리적인이고 기능적인 인지 창출 개입의 특징 . 주관적 경험의 독특성 중시, 협조적인 노력, 구조화 · 방향적인 접근, 능동적(적극적) 참여, 교육적 접근, 문답식 방법, 경험적인 초점, 시간 제한적인 개입, 문제재발의 방지, 문제중심, 목표지향적, 현재중심, 다양한 개입방법

주요모델 합리적 정서 치료(RET) 인지치료 기본가정 . 인간의 사고와 정서(감정)는 상호관계가 있으며 인간의 정서와행동은 사고의 결과이다. . 인간이 지니는 부정적 감정들과 심리적 증상들은 비합리적 신념에서 비롯된다. 인간에 대한 관점 . 인간은 본래 비합리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자신의 비합리적 사고를 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비합리적 신념 . 정서, 심리장애의 원인 . RET(Rational-Emotive Therapy)에서 변화 대상(표적) . 인정의 욕구, 과도한 자기 기대감, 비난 성향, 좌절적인 반응, 정서적 무책임, 과도한 불안, 문제 회피, 의존, 무력감, 지나치게다른 사람을 염려하기, 완전 무결주의 개입목적 부정적인 감정의 근원이 되는 비합리적 신념을 밝혀내고 도전함으로써 재구화하는 것 ABC(DE)모델 . 사선 A는 C라는 정서를 유발하는 사건이나 현상 . 행동의 원인이 아니라, 사건A에 대해 개인이 갖는 신념체계인 B(신념)가 바로 C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 인지치료 사람들이 감정이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어떤 사건이나 상황 자체가 아니고 그들이 그 상황을 해석하는 방식에 달려 있다. 인지적 오류(왜곡) 임의적 추론(자의적 유추), 선택적 요약(추론), 과잉일반화, 극대화&극소화(과장&축소), 개인화, 이분법적 사고 개입목표 C.T의 생활사건에 대한 왜곡된 평가를 좀 더 현실적인 인지적 평가로 대체해주는 것 개입방법 . C.T의 자동적 사고 점검하기 . 인지,정서, 행동의 관계에 대해 인식하게 하기 . 자동적 사고의 타당성 검토하기 . 왜곡된 사고를 좀 더 현실적인 인지로 대체하기

문제해결 치료 기본가정 문제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것은 정서적 · 행동적 장애의 필요충분조건이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문제해결 절차나 기술을 개인에게 훈련시킴으로써 문제해결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특징 . 자기통제훈련의 한 형태이다. .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치료자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을 중요하게 여긴다.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5단계 . 오리엔테이션(문제지향 혹은 문제인식 단계) . 문제 정의와 형성(문제규정과 목표설정) . 가능한 대안의 모색: 양의 원칙, 판단유예원칙(판단유보원칙), 다양한 원칙 . 의사결정 . 문제 해결책의 실행과 검증-모티터링

과제중심모델 등장배경 시간 제한적인 단기치료에 대한 관심의 고조 집중적이고 구조화된 개입형태 선호 전통적인 사회복지의 장기개입의 효과성에 대한 비판 경험적 자료를 통해 치료접근의 기초를 마련하려는 움직임 특징 시간 제한적인 단기 개입, 클라이언트가 인식한 문제 중심, 과제중심, 경험적 기초, 협조적 관계, 자기결정의 원리, 통합적 접근, 구조화되고 체계적인 접근 단기개입(단기치료)의 공통된 특성 신속한개입, 시간 제한적, 초기 문제규명, 선택된 초점 유지, 체계적인 문제해결과정, 구체화 목표, 초점화되고 현재 중심적인 면접, 직접적이고 활동적인 면접, 초기 신속한 사정, 융통성 있는 개입, 감정표출, 긍정적 치료관계 과제(task, 과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수행해야 하는 활동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간 합의에 의해 계획, 면접의 안팎에서 이루어짐 클라이언트의 과제: 문제해결을 위해 혹은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활동으로서 클라이언트가 수행하는 활동 사회복지사의 과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원조하고 지지하기 위한 활동 과제의 유형: 일반적, 조작적, 단회성, 반복,단일,복합, 개별, 공유된, 인지적, 개방, 폐쇠과제

과제 계획 및 형성 시에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내용 클라이언트의 동기화 과제의 실행가능성 과제의 바람직성 변화에의 융통성 실천과정 시작하기 단계 의뢰한 이유와 목표 확인(자발적 , 비자발적 클라이언트) 지원 가능한 자원 확인 문제규정단계 (제1단계) 클라이언트가 제시하는 문제 탐색하기 표적문제 정하기 우선순위 정하기 신속한 초기 사정- 본격적인 사정 단계에 앞서 클라이언트의 장 단점, 환경, 가족 등에 대해 임시적인 초기 사정단계를 거친다. 계약에 포함되는 내용(제2단계) 주요 표적문제(최대 3 개 우선순위) 구체적인 목표(사회복지사가 동의한 것) 클라이언트의 과제와 사회복지사의 과제 정하기 개입 일정. 지속기간. 면접일정. 참여자, 장소 정하기 실행단계(제3단계) 후속사정 수행, 대안모색, 다른 사람 및 기관과 지지적이고 협조적인 활동에 대해 협상하기, 의사결정(목표와 개입), 과제 개발하기, 과제수행 지지하기, 과제수행, 과제점검, 모니터링, 개입전략 수정하기 종결단계(제4단계) 계획된 종결 종결 혹은 연장 성취한 것 점검 사후지도(follow-up)

역량강화모델과 위기개입모델 1) 역량강화모델 개념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기 삶에 대해 결정하고 행위함에 있어서 힘을 가지도록 돕는 것 클라이언트의 욕구, 복지, 만족감을 강화하는 데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회복 또는 획득 하도록 하는 것 방법 개인의 내면에 임파워먼트의 초점을 둔다. ⇒개인적 차원 자조집단에 참가 ⇒ 대인관계적 차원 환경 및 조직적 차원 사회정치적 차원 강점관점 모든 인간은 성장하고 변화할 능력을 이미 내부에 가지고 있고, 문제가 생겼을 때 문제를 해결할 능력과 힘이 있다고 보는 관점 강점관점에 따른 중요한 변화 문제 ⇒ 도전, 병리 ⇒ 강점, 과거 ⇒ 미래 과정 대화단계(1) 발견단계(2) 발전단계(3) (발달) 대화를 통해서 ct의 현재 상황, 욕구 등을 공유, 관계 발전시키기 파트너십 형성, 현재상황의 명확화(도전들을 설명), 방향 설정 (잠재적 자원들의)사정, (수집된 정보의)분석, (행동의)계획 강점확인, 자원역량 사정, 해결방안 수립 실행, 변화 유도, 강화 및 안정화 자원의 활성화, 동맹관계 창출, 기회의 확대, 성공 확인, 성과 집대성

전통적 문제해결 과정과 역량강화 과정의 비교(장인협,2005:492) 전통적인 문제해결 과정 역량강화 과정 1. 문제(욕구, 결함, 증사으 병리)중심 1. 강점(소망, 열망, 재능, 가슐, 지식)중심 2. 문제를 부정적으로 인식 2. 문제를 도전과 기회로 적극적으로 인식 3. 분석적 3. 총체적 4. 전문가적 관점 중심, 질문식 인텨뷰 4. 클라이언트 자신의 관점에서 정보 수집, 민속지학적, 대화적, 목적적 5. 초점: 과거와 현재 중심 5. 초점: 지금 여기에 두며 미래중심 6. 전문가 중심 6. 협력적 동반자 관계 중심 7. 클라이언트를 수동적 수혜자로 인식, 전문가에 의해 통제됨 7. 클라이언트를 적극적 권리 행사자, 소비자, 서비스 이용자로 인식 8. 최종 목적: 문제해결 8. 최종목적: 삶의 질 향상

2) 위기개입모델 위기의 개요 개념 현재 자원과 대처기제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사건 또는 상황을 지각하거나 경험하는 것 현재 자원과 대처기제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사건 또는 상황을 지각하거나 경험하는 것 상황이나 사건 자체보다는 그것에 대한 반응에 초점을 두므로, 동일한 사건에 대해서도 사람에 따라 위기라고 느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음 특성 위험과 기회의 공존, 복잡한 증상, 성장과 변화의 씨앗, 만병통치나 빠른 해결책의 부재, 선택의 필요성, 보편성과 고유성 위기의 유형 및 영역 발달적 위기, 상황적 위기, 실존적 위기, 환경적 위기 위기상태의 구성요소 위험한 사건, 취약한 상태, 위기를 촉진시키는 인자, 실제적인 위기상태, 재통합 위기상태 에서 나타나는 특징 극심한 정서적 혼란 문제해결능력과 대처기제 약화 타인의 도움에 대해 수용적 정서적 균형을 되찾으려 노력

위기개입 정의 개인이나 가족이 갑작스럽고 심각한 위험에 처했을 때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개입하는 방법 위기개입의 기본원리 신속한 개입, 행동, 제한된 목표, 희망과 기대, 지지, 초점적 문제해결, 자기상 , 자립 모델의 목표 증상의 제거 위기 전의 상태로 기능 회복 불균형 상태에 기여하는 촉진적인 요인의 이해 클라이언트와 그의 가족 및 지역사회의 자원을 통하여 가능한 치료 방법 모색 과거 생활경험과 갈등에 관련된 현재의 스트레스 파악 인식과 사고 및 감정에 대한 새로운 양식 개발, 새로운 적응기제와 대처 방법 개발

위기개입의 실천과정 시작단계: 형성 접촉 확립, 위기의 존재 파악 현재 상태 파악, 수행할 활동에 대해 계약 위기상황에 즉각적인 초점 맞추기 현재의 곤경에 대해 평가하기 계약 설정 중간단계: 수행 계약 이행 계획된 과업 확인 과거의 부적절한 방법 수정, 새로운 대처 기술 · 유형 습득 자료의 조직과 이에 따른 활동 행동변화 초래 종결단계: 종료 개입상황 점검 종결과업 수행 새로 개발된 대처유형과 성취한 과업 확인, 미래에 대한 계획 수립 장래 활동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