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채널코딩(Channel Coding)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0-7 부동소수점 (Floating-Point) 계산  컴퓨터에서 숫자를 표기하는 방법  가수 (Fraction) : 부호화된 고정소수점 숫자 지수 (Exponent) : 소수점의 위치를 표시 ( 예 )10 진수 를 표기하면 Fraction Exponent.
Advertisements

오류 검출 및 정정  정보 전송시 발생하는 오류 검출 및 정정 코드  오류 검출 : 패리티비트, CRC 코드  오류 검출 및 정정 : 해밍코드  오류 검출 - 패리티비트 (parity bit)  비트 1 의 개수가 짝수 또는 홀수가 되도록 조절  간단한 오류.
Ⅰ. 연산자 Ⅱ. 제어 구조. 연산자 : 할당 연산자 - 사용자가 정의한 변수에 임의의 값을 저장하는 기능 strvar = strVar1+ “ Hello ”
Chapter 03. 디지털 코드. 다양한 디지털 코드를 구분하여 이해할 수 있다. 문자와 숫자를 나타내는 코드를 이해할 수 있다. 가중치 코드와 비가중치 코드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에러 검출 코드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01. BCD 코드와 3.
자동창고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for Low Voltage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CDMA 이동통신시스템과 부호이론.
Hamming Code 이근용. 2 Error Control Error Detection Parity Check CRC Check Error Correction Hamming Code.
16장 X.25 패킷 교환망 16.1 X.25 계층 구조 16.2 패킷 계층 프로토콜 16.3 요약.
제2장 주파수 영역에서의 모델링.
10장 오류 검출과 오류 정정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7장 D/A 변환기 D/A Converter? D/A Converter 원리 Bit 수와 최대범위 및 해상도와의 관계.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제 9 장의 구성 9.1 원천부호화 (Source Coding) 9.2 채널부호화 (Channel Coding) 연습문제
제 9 장의 구성 9.1 원천부호화(source coding) 9.2 채널부호화(channel coding)
<소스코딩(Source Coding)> 제5장 상관관계와 자료압축
정보공학의 구조 (관련분야) 신호시스템 모델 정보의 원천과 디지털 신호 Source/Channel Alphabet
제4장 조합논리회로 내용 4.1 조합논리회로 설계 과정 4.2 산술회로 : 가산기(adder)/ 감산기(subtractor)
8장 서브 쿼리.
3 디지털 코드 IT CookBook, 디지털 논리회로.
데이터 파일 C 데이터 파일과 스트림(Stream) 텍스트 파일 처리
발표제목 발표제목 둘째 줄 2000년 11월 송 홍 엽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송 홍 엽
TSV Testing challenges [한국테스트학술대회 Tutorial]
Chapter 5 링크 계층.
Data Communications 제 10 장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
15장 X.25 패킷 교환망 15.1 X.25 계층 15.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5.3 요약.
2장. 데이터의 표현 Lecture #2.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10 장 오류 검출 및 수정 10.1 오류 종류 10.2 검출 10.3 오류 정정 10.4 요약.
Javascript Basic Sample Programs
제 19 장 TFTP 19.1 메시지 19.2 연결 19.3 데이터 전송 19.4 UTP 포트 19.5 TFTP 예제
osp.chungbuk.ac.kr/2012년 강의자료
osp.chungbuk.ac.kr/2012년 강의자료
Tail-recursive Function, High-order Function
Chapter 03. 디지털 코드.
Chapter 03 디지털 코드.
컴퓨터의 코드 시스템.
Serial 통신(RS-232) 2 김성환 기계설계 자동화 공학부 비주얼베이직의 기초사항을 공부합니다.
<소스코딩(Source Coding)> 제4장 가변길이 코드
17장 X.25 패킷 교환망 17.1 X.25 계층 17.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7.3 요약.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From Block To C SW 코딩을 위한 5단계 교육
어서와 C언어는 처음이지 제14장.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TFTP)
자료구조: CHAP 7 트리 –review 순천향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하 상 호.
Chapter 03. 네트워크 통신.
논리회로 설계 및 실험 3주차.
☆ASCII☆ 김연주.
논리회로 설계 및 실험 5주차.
2장. 변수와 타입.
Young-Tae Han 오류 검출과 오류 정정 Young-Tae Han
2장. 직접 연결에 의한 컴퓨터 통신.
1. 2진 시스템.
UNIT 25 SPI 로봇 SW 교육원 조용수.
디 지 털 공 학 한국폴리텍V대학.
ATmega128의 특징 아이티즌 기술연구소
VHDL를 이용한 DES 설계 정보통신컴퓨터공학부 5조 김인옥, 백미숙
제3장 함수와 배열수식 전진환
제 5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피드백 제어 시스템 과도 성능 (Transient Performance)
DK-128 직렬통신 실습 아이티즌 기술연구소
AT MEGA 128 기초와 응용 I 기본적인 구조.
UNIT 25 SPI 로봇 SW 교육원 조용수.
3. 반/전 가산기, 반/전 감산기 제작 컴퓨터 구조 실습 안내서.
9 장 오류 검출 및 오류 정정 9.1 오류 종류 9.2 검출 9.3 오류 정정 9.4 요약.
제10강 PC정비사 1급(필기) Lee Hoon Copyright(c) 2008 LeeHoon All rights reserved.
10장 오류 검출과 오류 교정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실습과제 (변수와 자료형, ) 1. 다음 작업 (가), (나), (다)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작성
제 4 장 Record.
Computer System Architecture
Lecture #6 제 4 장. 기하학적 객체와 변환 (1).
Presentation transcript:

제3장 채널코딩(Channel Coding) Parity Check (error-detecting/correcting) Weighted code Hamming code Channel coding의 기하학적 접근 방법

채널코딩(Channel Coding) 채널상에서 발생하는 오류(error)를 제어하기 위하여 송수신 간에 약속된 코드 조작방식 오류검출코드(error-detecting code) 오류정정코드(error-correcting code) <필요성>  시스템의 신뢰성 및 성능의 유지 및 향상  시스템의 유지보수  round-trip delay가 큰 경우 : error-correcting <구현의 형태>  H/W : 고속으로 동작, High cost  S/W : 저속으로 동작, Low cost (융통성) 정보공학 2001-1

Parity Check 1. Simple Parity Check nth n-1st       3rd 2nd 1st Parity bit Information bits : One Block 홀수 개의 오류 검출 2. Multiple Parity Check nth n-1st    (k+1) kth    2nd 1st : One Block Parity bits : n-k개 Information bits : k개 Redundancy : R  n / k Excess Redundancy = R-1 Redundancy가 증가할수록 - 오류제어능력 향상, 시스템 신뢰성 향상 - 정보율(information rate) 감소 정보공학 2001-1

독립오류(백색잡음) 다발오류(burst error)의 검출 Block 내의 각 bit는 서로 독립이다. bn bn-1 bn-2 b2 b1 p 다발오류(burst error)의 검출 원인 - 전파환경의 급격한 변화 - 전력공급의 성능 변화 - 자성체 기억장치의 흠 등 오류검출코드의 설계 - 실험에 의하여 burst-error의 최대길이 L(bits)을 추적 - Word 단위/Bit 단위 parity 검사를 동시에 적용 정보공학 2001-1

가중치(Weighted) 코드 시스템 운용자의 실수에 의한 오류를 검출 1. Alphanumeric Weighted Code(mod-37) S={0, 1, 2, …, 9, space, A, B, C, …, Z} : 총 37개 원소 1) 문자블록의 최후에 “check character” 첨가 2) 문자블록의 가중합(weighted sum)이 mod-37을 만족하도록 W X Y Z p 문자열 검사문자      5 4 3 2 1  “weights” 가중합(Weighted sum) = 5W + 4X + 3Y + 2Z + p 정보공학 2001-1

Progressive Digiting : 문자블록의 가중합을 구하는 방법 W X Y Z p 문자열 검사문자      5 4 3 2 1  “weights” 문자열 합 합의 합 W W W X W+X 2W+X Y W+X+Y 3W+2X+Y Z W+X+Y+Z 4W+3X+2Y+Z p W+X+Y+Z+p 5W+4X+3Y+2Z+p 정보공학 2001-1

가중합(weighted sum)이 mod-11을 만족하도록 검사번호 설정 2.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 국제표준 도서번호 S={0, 1, 2, …, 9, X} : 총 11개 원소 (mod-11 weighted code) ISBN 0 - 13 - 21 - 2571 - 4 검사번호 (mod-11) 국적(미국) 출판사 (Prentice-Hall) 도서번호 번호 사이의 하이픈(‘-’)은 임의로 삽입 가중합(weighted sum)이 mod-11을 만족하도록 검사번호 설정 검사번호가 ‘10’인 경우 ‘X’를 사용 정보공학 2001-1

오류정정코드(error-correcting code) 삼중코드(triplication code) - 한 블록을 3회씩 전송하는 방식 - RT = 3k/k = 3 (redundancy가 매우 크다.) 사각형코드(rectangular code) • • • • m-1 n-1 : 정보 bits : 패리티 bits 정보공학 2001-1

3. 삼각형코드(triangular code) • • • • • • n-1 • • • • • • 4. 육면체코드(cubic code) n n • • • • • • n • 정보공학 2001-1

Hamming 코드 (기본지식) Syndrome : 한 블록 내에서 오류의 발생위치를 표시하도록 설 계된 이진수 (그 십진 표현이 오류의 위치를 표시함) Syndrome bits - Parity check의 결과에 따라, even  ‘0’, odd  ‘1’ - m 번의 Parity check  m-bit syndrome 기본 관계식(fundamental relationship) Redundancy of n-bit Hamming Code 정보공학 2001-1

Hamming 코드 (Syndrome과 검사위치 ) 검사위치 이진수 표현 1 0 0 0 1 2 0 0 1 0 3 0 0 1 1 4 0 1 0 0 5 0 1 0 1 6 0 1 1 0 7 0 1 1 1 8 1 0 0 0 9 1 0 0 1 10 1 0 1 0 11 1 0 1 1 12 . . . 1 1 0 0 . . . 정보공학 2001-1

7-bit Hamming 코드 (예) 1 2 3 4 5 6 7 <Encoding> 위치 정보 1 0 1 1 1 2 3 4 5 6 7 <Encoding> 위치 정보 1 0 1 1 Encoded 정보 0 1 1 0 0 1 1 <전송중 오류발생>  Encoded 정보 0 1 0 0 0 1 1 <Decoding> 1st 2nd 3rd 0 0 0 1  fail 1 0 1 1  fail 0 0 1 1  success 0 1 1 Syndrome = 3 (세 번째 위치에서 오류) 정보공학 2001-1

채널코딩의 기하학적 접근 n-bit code system n-dimensional binary space n = 1 n = 2 n = 3 001 000 111 011 010 00 100 110 01 11 10 1 101 # of points = 2n 1-bit error = 1-edge transfer point(정점) vs. code-point(코드점) vertex = code edge = 1-bit difference gray code 순으로 표시 정보공학 2001-1

기본 개념 거리함수(distance function or Hamming distance) : 두 코드점 사이의 최소 edge 수 - 서로 다른 bit의 수 -  연산하여 나타나는 ‘1’의 수 최소거리(minimum distance of a system) : 코드체계(code system) 내의 각 코드점 사이의 거리함수 중 최 소값 - 오류제어능력의 척도로 사용됨 구의 표면(surface of a sphere) : 한 코드점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갖는 정점들의 집합 - 중심(origin) - 반경(radius) - 원소(element) 구의 체적(volume of a sphere) : 한 구에 포함되는 모든 정점의 수(중심+구각+구의 표면) 공간의 체적(volume of a space) : 한 Binary space에 포함되는 모든 정점의 수 (2n) 정보공학 2001-1

최소거리에 따르는 오류제어 능력 최소거리 오류제어 능력 (min. distance) (error-control capability) 1 유일코드(unique code) 2 단일오류 검출 3 단일오류 정정 혹은 이중오류 검출 4 단일오류 정정 및 이중오류 검출 5 이중오류 정정 7 삼중오류 정정 정보공학 20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