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 현대화 국제통합 시기에 베트남의 기술기능인력의 질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항공 예약 시스템 1 조 ( 김민철, 김영주, 이혜림, 장유정, 조윤주, 문하늘 ). 목차 차세대 전산시스템 도입의 필요성 현재 항공 시스템 ( 대한항공 ) 항공 시스템의 변화 미래항공 시스템.
마케팅원론 사례연구 1 조 조사자 경영 강대국 PPT 행정 강민호 답변자 영문 강경우 조장 경정 강창재 1 조 조사자 경영 강대국 PPT 행정 강민호 답변자 영문 강경우 조장 경정 강창재 과목명 : 마케팅 원론 교수명 : 정연근 교수님 발표일 : 2011/04/13 과목명.
학생 포트폴리오 에너지자원공학과 학생 포트폴리오란 ? 포트폴리오의 기능  학생의 경험 및 전공 관련 학습결과를 정리한 결과물  학교생활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과정, 목표, 노력, 태도, 교육활동, 성과물  재능 및 취미 등을 의도적으로 조직하여 모아둔 것  자신의.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SK E&S와 세계 에너지 시장의 Global Utility Player로 성장할
국내 조사 산업의 현황 장 재 섭 ACNielsen Korea.
신화학산업을 위한 바이오리파이너리의 원천기술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자동창고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베트남의 문화 & 경제 경영학과 김태성 경영학과 김시홍 벤쳐중소 전석곤 정통전공 송성식 전기공학 박주영 경제학과 서준영.
중국 현지 연수 프로그램(5박6일) - 체계적인 벤치마킹 및 인프라 체험
컴퓨터와 인터넷.
<부산대학교 건설관 오시는 길>
나의 진로와 앞으로의 계획에 관하여 박세훈.
Project Management(인력관리)
두뇌유출지수 경영학부 홍석민.
전력전자연구실 (정승기, 최주엽, 송승호 교수님)
기업 경영전략의 의의 경영전략 기업경영전략의 요소 확인 전략수행과 달성 기업의 모든 자원인 물적, 인적자원과 능력, 환경적인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컴퓨터과학 전공탐색 배상원.
제 18 장 생산요소시장 1.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노동시장발전정책: 과제와 대책 베트남노동보훈사회부 고용국.
이런 직업도 있어요^^ 빅데이터분석전문가 Q : 어떤 일을 하는 직업인가요?
국가균형발전과 환경정책 - 기업경영 관점에서의 고찰 한국 환경 경영 학회 부회장 차 근 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예제] 의사결정나무 현재의 공장을 기술적 진부화에 대비하여 현대화하는 문제를 고려 중인 상태에서,
Blue Ocean.
직무 공통 · 직장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과 실무를 겸비한 중소기업 맞춤형 인재 양성 · 자기소개서, 면접 등 취업 컨설팅과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UX design)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IxD)은 인간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상호간 작용하는 것 UI 디자인은 사용자와 컴퓨터·프로그램 간 의사소통의.
중국 조선업의 몰락 경영학과 윤동현.
2016 동계 실습 프로그램.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자기계발과 학습혁명의 Key! 마인드맵 세미나! 직장인을 위한 디지털 업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2012 PISA 한국 VS 핀란드.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생화학자란? -생화학자가 하는 일은? -유명한 생화학자는? -생화학자가 되려면?
데이터 베이스 DB2 관계형 데이터 모델 권준영.
우리는 왜 급식을 직접 만들어야 하는가? 꿈틀자유학교 교육사랑방
제3장 스포츠 산업.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란? 홈페이지 │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전북대학교 물 재이용 증진을 위한 범국민적 사고전환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창업의 이해 Powerpoint Template Powerpoint Template 오현준.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자원 개발 계획 광체 조사 광체 경제성(feasibility) 평가 광업권 및 채굴권 등록 광산 디자인 및 개발
㈜엔프라넷.
글로컬 특화관광 인재 양성의 허브 ◉ 관광경영학과 체계도 관광경영학 글로벌 특화인력 양성 관광혁신 인력 양성 특화인력 양성
생산 운영관리의 기초 공 정 설 계 생산능력계획 및 일정계획 재 고 관 리 노동인력관리 품질관리 및 설비보전 생산의 국제화
인공 지능 시대에 필요한 인재 행복한 미래를 만드는 기술자 김송호.
여행용 자동통역서비스를 위한 서버형 한국어 대화체 음성인식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폐업·도산 사유로 고용보험을 상실한 근로자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제조업 23.8 % 기 타 36.8 % %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제13주: 재벌과 중소기업 1.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1.1 국경없는 경쟁시대 - 세계화와 우리경제의 글로벌화 1.2 기업경영의 글로벌화 - 기업의 글로벌화와 해외직접투자의 증가 2. 재벌의 명암 2.1 재벌의 흥망성쇠 - 10위 이내 재벌의 변화
KOREA NAZARENE UNIVERSITY
Bizforms PowerPoint 네트워크, 시스템4 파워포인트 디자인
외국인 노동자 고용사례 일어일문 정 솔.
1. 강의 소개 컴퓨팅적 사고와 문제해결.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산업화 현대화 국제통합 시기에 베트남의 기술기능인력의 질 Nguyen Ba Ngoc 박사 - 부원장 노동사화과학연구원 하노이, 2013년

발표 순서 기술기능인력의 개념 기술기능인력질의 실태 기술기능인력질 향상을 위한 대책

1. 기술기능인력의 개념 기술기능인력이란 높은 기술적 능력을 요구하는 작업공정에 일하는 사람의 일부아다. 이사람들은 보통 3년대학에 교육받은 사람이라서 기술적으로 어려운 일을 하기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이 있으며 제작기술발전에 잘 적응할 수 있고 생산의 효율과 질을 위한 배웠던 기술을 창조적 응용할 수 있다. 기술기능인력이란 지식의 탄생과 지식의 발전, 지식전달, 지식응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일자리에 직접 일하는 사람이다. 기술기능인력의 인식, 전문능력 특징, 창조능력 특징, 계기/태도 특징

2. 기술기능인력질의 실태 2.1. 국제경쟁력으로 기술기능인력 능력 평가 그림1. 베트남에서 사업시 당할 어려움 자본투자 받기 인플레이션 부족한 인프라 교육받는 노동자 불안정a한 정책 세금에 관한 규정 노동자의 약한 직업도덕 세금율 부정부패 관료적 제도 외화정책 정부의 불안정/쿠데타 혁신성 부족 의료보건의 낮은 수준 좋지 않는 치안 노동법의 제한 출처: WEF 2012-2013 세계 경쟁력 보고서

그림1. 베트남 기술기능인력과 ASEAN.중국의 경우 비교 대학교육.인력교육 인덱스 혁신.창조 인덱스 세계경제경쟁력 인덱스 1. 싱가포르 - 순위 점수 144개국중 2위 점수: 5,93/7 8/144 5,39/7 2/144 5,67/7 2. 말레시아 - 점수 39 4,83 25 4,38 5,06 3. 브루나이 57 4,4 59 3,31 28 4,87 4. 중국 순위 62 4,32 33 3,85 29 5. 태국 60 4,35 68 3,19 38 4,52 6. 인도네시아 73 4,17 3,61 50 7.필리핀 64 4,3 97 2,97 65 4,23 8. 베트남 96 3,69 81 3,07 75 4,11 9. 캄보디아 111 3,82 67 85 4,01 Nguồn: Báo cáo năng lực cạnh tranh toàn cầu 2012-2013, WEF

그림 2. 2007년 국제 발표 과학기술논문 (베트남과 하나의 태국대학 교비교) 그림 2. 2007년 국제 발표 과학기술논문 (베트남과 하나의 태국대학 교비교) 태국 출랄롱코른 대학교 베트남 연구분야 국제발표 화학 97 수학 58 의료보건 72 물리학 39 기술 51 15 생화학, 생학 36 자재의 과학과 기술 12 합성 자재, 솜 28 11 플리머과학 26 컴퓨터과학 10 수의학 20 9 생명공학과 미생 19 환경, 지리 7 식물학 14 영양 5 농업 13 아시아 연구 미생학 자동화 및 사이버네틱스 (인공두뇌학) 4 재활 치료 조원 약학 및 약품 8 에너지와 연료 3 환경과 지리 기타 (국제발표 논문 7개 이하) 158 기타 (국제발표논문 3개 이하) 50 합계 569 234 출처: Pham Duy Hien교수, 베트남 원자에너지연구원, www.hdcdgsnn.gor.vn

2. 기술기능인력질의 실태 2.1. 노동시장요구 만족도로 평가 그림 3. 2001-2011기술기능인력원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총 노동력원 (천명) 41033 42125 43242 44382 45579 46708 48340 49302 50837 51724 3년대학, 4년대학교 이상 수준 (천명) 1970 2233 2551 2441 2552 2941 3253 3370 3561 4244 노동력원의 비율 기술기능인력/총 노동력원 (%) 4.8 5.3 5.9 5.5 5.6 6.3 6.7 6.8 7 8.2 출처: MOLISA, 2002-2005년 단계 노동과 일자리 조사; TCTK, 2007-2012년 단계 노동과 일자리 조사

그림 4. 2011 분야별 기술기능인력의 규모 및 구조 출처: KX.01.04/11-15호 국가연구논문 분야 인력수 (명) 노동력에 비하는 비율 분야별 비율 농업, 임업, 어업 157.494 3,80% 0,64% 광업 30.090 0,73 10,68 가공업, 제조업 396.489 9,55 5,61 전기, 가스, 스팀, 에어콘과 같은 제품을 생산하고 유통하기g khí 44.067 1,06 31,06 수돗물 공급, 폐물 처리 16.885 0,41 15,64 건설 186.699 4,50 5,74 도매와 소매, 자동자 수리, 모토바이 수리, 엔진이 있는 기계 수리 402.213 9,69 6,81 운송 수송, 창고 102.909 2,48 7,17 호텔 서비스, 식당 서비스 75.669 1,82 3,73 정보와 메디아 144.780 3,49 52,86 재정, 은행, 보험 사업 209.477 5,05 68,26 부동산 사업 30.797 0,74 25,39 과학기술 124.320 3,00 55,53 행정 사업 및 보조 서비스 43.007 1,04 21,37 공산당, 정치사회단체, 국가관리, 국방 등 690.513 16,64 44,11 교육 1.269.087 30,58 72,20 의료보건 및 사회봉사활동 168.234 4,05 34,40 예술, 인터테이먼트 24.587 0,59 9,67 기타 서비스 사업 29.447 0,71 3,95 가정 심부름, 가정 자궁자급 생산 사업 836 0,02 0,45 국제 기구 사업 2.199 0,05 77,02 합계 4.149.800 100 출처: KX.01.04/11-15호 국가연구논문

그림 5. 직업별 기술기능인력수 직업의 유형 전문대학 3년대학 대학교 합계/비율 각 분야, 각 급, 각 기관의 관리자 2.820 24.390 319.418 346.627 (8,2%) 고급기술기능인력 22.816 299.125 2.460.568 2.782.509 (66,47%) 중급기술기능인력 49.938 378.717 69.583 498.238 (11,90%) 사무실에 종사하는 초급기술인력 - 64.131 64.131 (1,53%) 개인서비스직원, 기술기능인 경비와 점원 23.841 95.065 174.723 293.629 (6,78%) 농임어업분야에 종사하는 기술기능인력 25.010 25.010 (0,60%) 기술력이 있는 장색 및 기타 기술자 38.925 38.925 (0,93%) 기계설비 조립하고 운전하는 기술자 25.772 25.187 29.040 79.999 (1,91%) 간단한 노동 57.271 57.271 (1,37%) 군인 Tổng cộng 125.188 822.484 3.238.668 4.186.340 (100%) Nguồn: Báo cáo Chuyên đề tổng hợp số 2 Đề tài cấp nhà nước KX.01.04/11-15

2012년에 발표한 기술기능인력에 대한 연구한 관련 KX.01.04/11-15호 국가논문에 따르면: - 대부분의 기술기능인력이 보통의 전문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 외국어 실력과 컴퓨터학 실력이 부족하여 업무에 외국어와 컴퓨터 응용하기 힘들다. - 팀워크 능력이 부족하다.

“발전”대상크룹별 평가가 다음과 같다. - 공무원진은 정책을 세우고 전개하기에 능력이 부족하다. 소프트시킬과 외국어능력 또는 컴퓨터 능력이 부족하다. - 과학 연구자들은 보토의 연구능력을 지니며 실제에 과학연구결과를 잘 응용하지 못하다. 우수한 과학연구자가 부족하다. - 대학강사진은 과학연구능력과 실천 지식이 부족하다. - 기업가진은 전문성이 부족하고 제대로 경영지식 교육을 못 받아서 장기적 전략을 세우지 못하다. - 기술자인 근로자가 산업화 시대의 노동환경에 맞는 워킹스타일을 갖추지 못하며 의식이 부족하다. 또는 스터디 스킬, 독학 스킬, 분석 비판 능력, 팀워크 능력이 부족하다..

그림 6. 대상별 인력인재질의 실태 출처: KX.02.24/06-10호 국가연구논문 내용 임무를 실시하는 사람 평균점수 관리자 설계 컨설팅 전문가 기술자 직접 작업하는 사람 업무숙련도 3,1603 3,1537 3,1051 3,1420 3,1402/5 창조능력 3,1491 3,2684 3,2131 3,0936 3,1810/5 업무에 적응성 việc 3,5051 3,4984 3,4991 3,4065 3,4762/5 업무에 융통성 3,4203 3,4022 3,4348 3,2994 3,3891/5 3,3076/5 3,3306/5 3,3130/5 3,2353/5 3,2966/5 출처: KX.02.24/06-10호 국가연구논문

2011년에 ManpowerGroup과 노동과학연구원은 공동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의하면 기업 대상으로 물어봤을 때 ¼ 답변자가 베트남노동자가 과학기술지식을 부족하고 자재,제조,제품에 대해 지식을 부족하다고 대답했다. 1/5답변자는 베트남노동자가 노동안전위생지식을 부족하며 창조능력을 부족하고 새로운 과학기술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고 대답했다. 특히 식품가공업, 의료보건업, 운송수송업, 화학업, 비료업, 건설업, 원단 생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과학기술지식과 업무에 관련 지식, 노동안전위생규정, 과학기술발전에 적응성이 많이 부족하다. 관리직은 전문성이 많이 부족하여 직원한테 계기를 마련해 주지 못하며 인력원을 발전하고 관리를 잘 하지 못한다. 업무분담능력과 법률지식을 부족 그림 2. 채용시 껶을 어려움의 원인  

  그림 3. 2011년 학급별 실업율 출처: 2011년 통계국의 노동-일자리 조사결과

베트남의 직업이동에 기술기능인력의 직업이동율이 11. 3%를 차지한다 베트남의 직업이동에 기술기능인력의 직업이동율이 11.3%를 차지한다. 그리고 기술기능인력의 작업이동에 대학졸업 노동자율이 71%를 차지한다. 대부분의 기술기능인력은 노동시장을 발전한 지역이나 도시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해외투자가 있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노동자는 36%이다. 특히 일부의 기술기능인력은 직장을 자꾸 바꾸고 장기적으로 직업발전에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다.

베트남에 대학졸업 노동자의 투자(16년동안 학업에 투자)회수율은 1년에 12%이다. 대학졸업한 사람의 기본 수입이 적다. 국가기관이나 국영기업에 종사하는 대학 졸업자는 대학졸업 2-3년 이후 급여가 3-4백만동 밖에 안 된다. 노동시장은 기술기능인력을 끌지 못하고 있다. 노동시장은 크게 분화된다. 기술기능인력은 보통 국가기관이나 국영기업에서 민영기업으로 이동하고 과학연구나 교육기관에서 해외직접투자기업으로, 국내에서 외국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노동시장의 인프라구조가 부족한다. 노동시장에 관한 정보를 잘 업테이트되지 않고 체계화되지 않아서 각 지방의 노동정보를 취득하기 쉽지 않다. 노동시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부족하며 잘 업테이트되지 않다. 대부분의 조사결과는 수시로 발표되지 않다. - 직업상담.직업교육.일자리소개사업의 효율성이 적다. - 일자리소개서비스는 실제의 직업상담과 일자리소개요구의 10-15%만 해결한다. 특히 기술기능인력에게 직업상담 및 일자리소개를 해 주지 못하고 있다.

노동자와 대화하거나 상담하기, 노동조합협약 체결하기와 같은 효율적인 관리방식은 잘 실시되지 않거나 형식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베트남의 사회노동효율성이 적어지고 다른 나라의 사회노동효율에 비하면 1/3~1/2정도 된다. 그래서 국제통합과정에 베트남의 경제적 경쟁력이 약해진다. 원인은 질이 높고 잘 구성된 기술기능인력진이 부족한 것이다. 그리고 베트남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술기능인력을 효율적으로 쓰기가 중요하다.

3. 기술기능인력의 전문능력을 강화를 위한 대책 베트남정부입장: 기술기능인력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국제경쟁하고 경제발전하기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여긴다. 그외에는 산업화는 주요 산업을 위한 인재양성, 우수한 전문가진양성을 해야 한다.

베트남의 목표: 2020년 산업화 국가가 될 것이다. 1년에 GDP는 7 - 8%일것. 1인당 GDP는 약 3.000 USD일것; 산업분야와 서비스업은 GDP에 85%를 차지할 것 하이테이크제품은 GDP에 45%를 차지할 것. - 종합생산력요인은 경제성장에 35%를 기여할 것..

그러한 목표를 위한 인력이 다음과 같다. - 2020년에 인력수요는 62.6백만명이다. 그중 기술기능인력은 8,53백만명 (전문대학 1,8 백만명; 삼년대학 1,4 백만명; 대학졸 이상 5,33백만명). - 총일자리에 기술기능인력의 일자리는 약 13,6%를 차지할 것이다. 그것은 현재의 기술기능인력수가 2배로 (4,3백만명) 증가해야 한다. - 1년간 4-5십만명 증가하고 1년에 증가속도가 11-12%이다.

1) 경제성장모형에 하기에 과학기술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진다. 동시에 고급인력양성을 위한 정책을 마련한다. 경제모형 바뀌기: + 경제를 깊이 재구조한다. + 인력과 과학기술 바탕으로 나라를 발전시킨다. 다음과 같은 주요 인력을 강화하기에 노력을 기울인다. + 공무원진; + 과학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사람; + 대학강사과 직업교육강사; + 기업인; + 기술기능인력.

+ 직위에 따라 직급명표준체계를 세우고 분명한 기준으로 직급명을 정할 것이다. 공무원을 위한 대책: + 직위에 따라 직급명표준체계를 세우고 분명한 기준으로 직급명을 정할 것이다. + 급여제도를 개선하고 직접관리급에 따라 기관장에게 급여평가를 하고 지불하다. + 공평한 경쟁을 위하여 모든 직위에 임명하기 전에 시험제도를 실시한다. 국가의 과학기술능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모둔 자원을 동원한다. 특히 IT기술과 메디아기술발전에 노력이 기울인다. + 베트남 정부는 국가제품과 하이테이크제품에 대해 주문하도록 한다. +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을 마련한다.

+ 기술기능인력양성사업은 큰 부가가치를 창조하고 하이테이크기술발전사업과 같이 한다. + 과학기술연구개발을 촉진하다. + 시장메커니즘과 국제기준에 따라 과학기술연구결과를 평가하고 과학자와 기업인의 권리를 보장한다. 다음과 같은 대책을 전개한다. + 우수한 전무가에게 특별한 급여제도를 마련한다. + 노동환경을 개선한다. 특히 인재인력을 발굴하고 인재인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인재인력을 기리고 특별한 대우를 취한다.

사고방식을 바꾸고 노동시장의 수요에 만족시키기 위하여 교육체계를 개선하다. 2) 교육을 개선하며 표준화.현대화한다. 사고방식을 바꾸고 노동시장의 수요에 만족시키기 위하여 교육체계를 개선하다. + 나라발전의 요구와 알맞은 교육목표를 정하고 실시한다. + 채용자의 요구와 맞는 능력이 있는 노동자를 배출하기 위하여 전문지식, 소프트스킬교육에 노력을 기울인다.

학교에서 외국어과 컴퓨터학, 수학 교육을 강화한다. + 초등학교에서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직업교육체계에 외국어 (영어)교육법을 개선한다. + 고등졸업자가 좋은 수학실력이 있고 컴퓨터학의 기본지식을 가지고 외국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기 위하여 교육질을 향상시킨다.

평생교육사회를 만들기: + “평생공부”방침에 따라한다. + 사교스킬, 문화이해하고 문화쉐어링스킬, 팀워크스킬교육에 집중한다. + 국민책임, 직업도덕과 애국심수양을 강화한다.

교육기관과 기업은 길밀한 관계를 지니도록 정책을 마련한다. + 기업요청에 따라 여러 유형의 직업교육을 실시한다. + 기업들이 인력교육양성사업에 많이 참여하도록 한다. + 기업은 직업교육을 주도해야 한다.

대학강사양성을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한다. + 강의실력, 외국어능력 등을 표준화한다. + 고급인력을 배출하기 위하여 현대적 교육노하우를 이전받는다. 대학교 또는 연구기관에 교육진과 연구진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교육과 과학기술연구에 참여하도록 베트남 교포를 흡수하다.

3) 기술기능인력의 수요와 공급을 연결시키고 노동시장을 관리하다. 모든 채용자가 노동시장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국내노동시장과 해외노동시장에 대한 정보망과 상담서비스체계를 세우고 운영한다. + 노동시장의 신호를 잘 살펴보다. + 직업유형별 기술기능인력의 수요와 공급, 그리고 기술기능인력의 직업이동경향을 예보한다. 인재인력양성사업을 감시하고 평가하는 국가위원을 설립한다.

지적 소유법과 관련 법을 잘 지킨다. 직업능력의 국가기준을 표준화한다. + 각 급의 교육목표와 알맞은 교육과정을 실시한다. + 채용자의 수요와 국제직업이동과 알맞은 직업능력평가서비스를 제공한다.

채용자와 노동자간 관계에 관련 있는 법률과 규정을 개정하다. + 양측은 평등하게 의무를 실시해야 한다. + 채용자와 노동자의 책임을 분명히 정하고 실시하도록 한다. 안정하고 활약한 기술기능인력역량을 강화한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