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론 제6강. 선거와 유권자, 투표행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개인의견 차가있을수있음 훈훈한남자 배우 TOP 5. 5 위는 박보검 웃을때보이는 치명적인 미소 꺄 ~~~ 5위5위.
Advertisements

기업 인사담당자가 밝힌 면접 합격 비법 취업포털 사람인 ( 기업 인사담당자 397 명 조사 )
폭력. 폭력이란 무엇인가 우상의 눈물 물리적인 폭력 ( 최기표 ) VS 지능적인 폭력 ( 임형우, 담임선생님 )
1 박 2 일 !!! 인천마장초등학교 유수아. 1 박 2 일 멤버 인기순 위 1 위 이승기 2 위 엄태웅 3 위 은지원 4 위 김종민, 이수근 ※인터넷에서 본것이기 때문에 사람에따라 서 다를 수 있다. ※
뿌리기업-수요기업 기술협력 지원사업 소개자료
I. 사업의 개요 1. 사업의 목적 및 내용 2. 장기 사업 수행 계획 3. 측정 방안.
품질경영과 지식경영 및 정보시스템의 연관성.
석관중앙교회 5남전도회 석 관 중 앙 교 회 회원 소식 통권 05-04호 발행일 : 2005년 04월 회 장 : 장진호 집사
저탄소 사회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의 방안
목 차 Context Of Presentation 검토 배경 IT 산업의 정의 및 특징 우리나라 IT 산업의 현황
가수 아이돌 김수빈.
지역사회복지론 1조. 요양보호시설에 대해서 황성국 임재형 이동영
서울특별시 마포구 (
아가피아 독서스쿨 중등부 (고대호,최경부,장성훈,신용현) 지도교사 : 이창주
제 6장 증권분석 (기본적 분석) 소비자 아동학과 최랑 기본적분석.
문화이벤트 특강 시민축제에 대하여 애니메이션 김철환.
선거론 제7강. 투표행태 1: 사회적 균열과 투표행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커뮤니케이션 스킬 UP -전화매너- ..
연장근로와 야간·휴일근로 김영호 노무사 나눔 노사관계연구소 소장 연세대 일반대학원 박사 수료 고려사이버대 법학과 외래교수
이 재 호 (Ph. D. in Edu.) 광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I 문학의 개념과 역할 1. 문학의 개념 (1) 언어 예술로서의 문학 (2) 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
행정자치부 성과관리체계
기획서의 조건과 역할 기획서는 아이디어가 장차 창출할 가치를 명확히 보여 주어야 한다. 기획서 채택 가치 창출 체 제 표 현
한국 사회와 정치 제5강. 제3공화국과 제4공화국: 군사정권과 유신체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2016 원대로 전공체험’ 예산 및 진행 관련 담당조교 OT
4.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2. 결과론적 윤리와 공리주의
Logic Tree 만들기.
대학생활을 위한 자기관리 프로그램 개발 제6강 Module 2.
제13장 종합적 설비관리 마스터 제목 스타일 편집 공업경영과 경제 마스터 텍스트 스타일을 편집합니다 둘째 수준 셋째 수준
현대 사회와 정치 제5강. 선거와 정치참여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OECD Cluster Focus Group
연구기획 및 연구개발 과정에서의 특허정보 활용
제6장 인지행동모델 기본전제 개념 적용.
이상행동의 치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 기술기획 측면에서 본 이 장 재
All about Travel 하나샵 즉당 검색 이벤트
개항기 조선과 동아시아 박 범 한국역사입문Ⅱ.
All in HANATOUR Convention 2008
정 책 결 정 론 제8장 의사결정론 정책결정론.
본원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152-2번지 부산산업용재유통상가 7동 201호-203호
Ⅰ. 추진배경 Ⅱ. 출연(연)의 성장과 변화방향 Ⅲ. 산업기술 출연(연)의 비전과 전략 Ⅳ. 세부 정책과제 Ⅴ. 2020년 산업기술 출연(연)의 미래모습.
이한일 전도사 아이폰 차단 설정.
제 3 장 경영이론의 발전과정 학과 교수.
TPM 과 6σ 의 비교 구 분 TPM 6 시그마 추진방식 사 상 활동 단위 강 점 범 위 Level up 기 법 활동단계
제2부 조직 관리.
표준화 임원코칭 ③ 전략적 사고 2009年 05月 20日 先進標準化팀 SD경영연구소.
23rd KIMUN Orientation ROP 리서치 하는 방법 포지션페이퍼 쓰는 법 QNA
KPI 이론 및 실무교육.
지난주 Quiz와 이번주 Reading Q3. 한국정치학 연구는 유럽정치학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 놓여 왔다고 종종 비판 받는다. 참 ( O ) 거짓 ( O ) 이번 주 Reading Anthony Downs (1957) Ch 8. 일부.
하드웨어 vs 소프트 웨어 볼 수 있다. 만질 수 있다. 볼 수 없다. 만질 수 없다. 키보드, 마우스 ? 하드웨어
대구의 부도심 대구의 주요축 동대구 부도심 4조 강민석 / 박성균 / 최은지/ 황재현/김예지.
열린 기업문화 확산을 위한 POSCO『조직활성화』프로그램 POSCO 인재개발원.
공공기관의 통합성과관리시스템 구축방안 ㈜아이에스앤에프 대표 박정수 ㈜아이에스앤에프.
Crime, Criminology & Criminal Law 범죄 ,범죄학, 형법
정당의 유형 정당ppt-5정당의 유형/2014.
사도행전 13장 22절 말씀 –아멘 다 윗 을 왕 으 로 세 우 시 고 증 언 하 여 이 르 시 되 내 가 이 새 의 아 들
제 5강 지각.
KPI 이론 및 실무교육.
제5장 아들러학파 치료.
What Do Political Parties Do?
다문화 사회의 이해 배 상 훈 . 1.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 2. 원인과 정책으로 살펴본 다문화 한국사회.
<그림> 정치와 미디어의 상호 영향관계
경찰행정과 세미나 결과를 공개해야한다. VS 비공개로 해야한다. 경찰의 근무성적평정 제도.
1장 듣기 교육론 개괄.
선거론 제9강. 투표행태 3: 합리적 선택과 투표행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의사소통.
11장. 가족과 사회복지 윤철수 노 혁 도종수 김정진 김미숙 석말숙 김혜경 박창남 성준모 공저.
행동-학습 이론 1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 안석균.
합리적 의사결정이론(rational decision-making theory)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중년기 박준홍 안진선 유다빈 유승원
Presentation transcript:

선거론 제6강. 선거와 유권자, 투표행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1. 선거에서의 유권자(Electorate) ○ 선거과정에서 정당 및 후보와 더불어 또 다른 행위자로서 유권자의 투표행태는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  - 선거는 일반 시민이 정치에 참여하여 직접 정책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정책을 결정하는 정당이나 후보(공직자)를 선출하는 정치제도  - 따라서 선거의 핵심은 투표이며, 투표는 유권자들이 어느 정당의 어떤 후보자를 지지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이것을 행동으로 옮길 때 비로소 의미가 있다.  - 유권자의 선택과 투표 결과에 따라 선거의 승패와 당락이 결정되기 때문에 유권 자의 선택과 투표행태는 언제나 선거과정의 주요한 관심사 ○ 선거 연구의 유형 ① 제도적(institutional) 접근방법: 선거제도 및 정당체계 등 선거과정의 제도적 환경과 구조적 요인에 따른 영향력과 선거결과 분석 ② 행태적(behavioral) 접근방법: 선거과정에 있어서 정당 및 후보자, 유권자들의 선거행태와 결과에 대한 원인 분석 ③ 과정적(process) 접근방법: 선거과정에서 정당 및 후보와 유권자 등 선거 행위자 들 사이의 다양한 역학관계와 선거결과에 대한 요인 분석

2. 유권자의 선거권(투표권) ④ 인지심리적(cognitive-psychological) 접근방법: 유권자들의 정치의식 및 투 표결정 요인 등에 대한 심리적 접근과 계량 분석 ※ 특히 행태적 접근과 과정적 접근, 인지심리적 접근에 있어서 유권자의 투표행태는 선거 연구의 중요한 관심거리 2. 유권자의 선거권(투표권) 선거연령(age)  - 대의민주주의가 시행되는 정치체제에 있어서 모든 국민들은 헌법과 선거법이 지정 하는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면 누구나 선거권(투표권)과 피선거권을 소유  - 20세기 초·중반 선거권 확대와 더불어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은 18세를 투표연령 기준으로 활용(영국과 미국의 영향)  - 15세: 이란 등, 16세: 니카라과, 브라질 등, 17세: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등, 18 세: 미국, 영국 등(가장 많은 국가들이 채택), 19세: 한국, 오스트리아 등, 20세: 대만, 일본, 태국 등, 21세: 말레이시아 등  - 한국의 선거연령은 1948년 21세로 시작, 1960년 20세, 2005년 19세로 하향 ※ 인도네시아 등 몇몇 국가들은 투표연령 기준과 상관없이 기혼자의 경우 성인으로 간주하여 투표에 참여

3. 유권자와 투표행태(voting behavior) 2) 자격조건  - 헌법과 선거법이 지정하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시민권을 갖는 모든 국민들은 투표권(선거권)을 갖는다.  -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형 집행을 받는 자나 금치산자, 정신병자 등에게는 투표권 (선거권)이 주어지지 않는다(소극적 제한: 보통선거).  - 일부 국가들의 경우 문자해독 능력 등 일정 기준을 통과하지 못하는 자에게 투표 권(선거권)이 주어지지 않는다(적극적 조건: 제한선거).     예] 남태평양 통가: 문자해독 능력이 투표권 기준으로 제시 3. 유권자와 투표행태(voting behavior) ○ 투표행태란 유권자들이 선거에 임하여 정당 혹은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택하고 투표를 결정하여 실행하는 행동양식 의미  - 선거과정의 또 다른 참여자이자 행위자로서 유권자들의 투표행태는 한 국가의 정치 수준을 가늠하는 중요한 판단요인으로 활용  - 유권자들의 투표행태는 그 국가나 국민들이 지니는 정치문화의 반영이며, 따라서 투표행태를 통해 그 국가의 민주주의 수준을 직접적으로 평가  - 유권자들의 선거에 대한 관심도와 태도, 투표행태 등은 선거결과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이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

○ 투표행태 연구 - 투표행태는 특정 선거 시기에 행해지는 설문조사 연구, 그 동안의 역대 선거결과 에 대한 추세 연구, 지역별 차이에 대한 연구, 유권자의 구분에 따른 요인별 분석 연구, 국가 간 비교연구 등 매우 다양  - 선거 연구의 초점은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투표행태가 어떻게 나타나고 변화하는 가에 대한 관심으로 집중  - 선거과정에서 나타나는 유권자들의 선거관심도와 투표참여율은 국민들의 정치의 식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좋은 지표, 유권자들의 투표행태 또한 선거과정의 민주 성과 합리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으로 활용 1) 선거관심도와 투표율 ○ 유권자들의 선거에 대한 관심도나 인지도, 투표참여율 등은 그 국가의 정치참여 정도나 민주주의 지표로 활용 ○ 일반적으로 한 국가의 선거과정 수준은 유권자들의 선거관심도와 투표참여율이 높게 나타날수록 그 수준이 높은 것으로 평가  - 선거에서 투표율은 각 국가들마다 차이가 있으나, 흔히 유권자들의 선거에 대한 관심도가 높으면 투표율이 높은 것으로 평가

 - 이론적으로 선거에서의 투표율이 높으면, 그 국가의 국민들이 지니는 정치의식 수준은 높은 것으로 평가; 국민들의 높은 정치의식이 선거(투표) 참여율을 높인 다는 논리  - 그러나 현실적으로 민주주의체제를 형성한 선진국들의 경우 투표율이 낮으며, 정치 경제적 후진국들의 선거과정에서 투표율이 높은 현상도 발견 ○ 투표율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으로는 의무투표제 여부, 유권자 등록제도, 국가의 규모, 유권자의 교육 수준, 선거제도의 유형 등이 있다.  - 유권자 등록제도가 까다로울수록, 국가 규모가 클수록, 유권자의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투표율은 낮다.  - 선거제도에 있어서 비례대표제가 시행되는 국가의 투표율은 단순다수제가 시행 되는 국가의 투표율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 비례대표제가 유권자들의 투표효능감이 보다 더 크기 때문 (유럽 > 미국) 2) 합리적 선택이론과 유권자들에 대한 가정 ○ 합리적 선택이론(rational choice theory): 선거와 투표행태에 대한 이론  - 선거과정(투표결정)에 있어서 유권자는 합리적이기 때문에 정당과 후보 선택 에서 경제적 계산(예상)을 하게 되며 합리적으로 투표를 결정한다는 주장  - 합리적 선택이론에 근거하면, 유권자들의 투표행태를 분석/예측할 수 있다.

○ 유권자에 대한 가설: ① 전망적 투표행태(prospect voting behavior): 유권자들은 자신에게 보다 유 리한 정책을 공약하는 정당과 후보에게 투표하게 된다는 논리 ② 회고적 투표행태(retrospect voting behavior): 유권자들은 현 정부의 과거 정책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투표결정에 반영하게 된다는 논리 회고적 전망적 투표 시점 ※ 선거과정에서 전망적 투표와 회고적 투표는 동시에 나타나며, 그 중 어떤 경향이 보다 강화되어 나타나는가에 따라 투표행태 결정 3) 투표동기에 따른 투표행태의 유형 ○ 투표동기에 따른 투표행태 유형은 크게 정당 혹은 정책 지향적 투표행태와 인물 지향적 투표행태로 나뉘며, 전자(前者)의 것이 합리적 투표행태로 논의

① 정당 지향적(party orientation) 투표행태: 유권자들이 투표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정당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투표행태 의미, 유권자들이 후보의 소속 정당을 보고 지지를 선택하는 투표행태  - 정당 지향적 투표행태는 유권자의 정당에 대한 일체감(party identification) 이 비교적 강한 국가들에서 나타나는 투표행태  - 내각제와 더불어 정당정치가 발전되어 있는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의 경우 정당 지향적 투표행태가 일반화 ② 정책 지향적(policy orientation) 투표행태: 유권자들이 투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정당이나 후보가 제시하는 정강정책과 선거공약 등을 판단하여 투표하 는 투표행태  - 정책 지향적 투표행태는 주로 정당이나 후보가 내세운 정책공약, 정견, 이념, 그리고 현안 문제의 해결방식에 공감하여 지지후보를 결정하는 투표행태  - 정책 지향적 투표행태는 흔히 쟁점 지향적(issue orientation) 투표행태와 혼용되어 사용, 이것은 선거과정에서 정책이나 이념 또는 정치적 현안에 대한 쟁점이 등장하여 후보나 정당이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가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투표행태

※ 중위투표(medium voting): 정책 혹은 쟁점 지향적 투표행태에서 유권자들의 투표가 주로 중간으로 쏠리는 현상 → 포괄정당(catch all party)의 원인 제공 유권자의 정책 선호도 정당의 정책 좌 우 ③ 인물 지향적(candidate orientation) 투표행태: 유권자들이 후보자의 됨됨이, 주요 경력 등을 고려하여 투표를 결정하는 투표행태  - 인물 중심적 투표행태는 다른 말로 후보 지향적 투표행태로 불리며, 후보자의 소속 정당이나 쟁점 보다는 후보 개인의 인물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투표행태  - 후보자 인물에 대한 고려사항으로 각 후보자의 학력, 경력, 인격, 식견, 이미지 등이 후보 선택의 기준으로 활용

※ 개인연고 지향적(personal link orientation) 투표행태:  - 개인연고 지향적 투표는 후보를 선택함에 있어서 지연, 학연, 혈연, 개인적 친분, 사적 이해관계 등과 같은 실리를 고려하여 투표를 결정하는 투표행태  - 유권자들이 주로 자신의 일차적 사회관계를 고려하여 후보를 선택하는 투표행태, 이러한 투표행태는 정치문화에 있어서 전통적·관습적 가치관이 지배하는 사회에 서 많이 발생  - 따라서 개인연고 지향적 투표행태가 나타나는 국가는 정치적으로 후진적이며, 비합리적이라고 평가 ○ 이러한 투표행태는 복합적으로 나타나지만, 어떤 행태가 보다 지배적이냐에 따라 투표행태의 유형 구분 ○ 주로 정당정치가 안정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서구 민주국가들에서는 인물 지향적 투표행태보다 정책·정당 지향적 투표행태가 많이 나타난다.     예] 한국의 경우 과거 인물 지향적 투표행태가 많았으나, 근래 들어 점차 정책·정당 중심의 투표행태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 ○ 유권자들의 투표행태는 그 국가의 정당체계 수준과도 깊은 관련이 있어 뚜렷한 정책적·이념적 차이를 나타내는 정당들의 정당체계가 안정적으로 공고화되어 있을 경우 유권자들의 정당·정책 중심적 투표행태가 심화되어 나타나게 된다.

4. 유권자들의 투표결정 요인 ○ 사회인구학적 통계와 기타 부가적 설문조사를 통해 유권자들의 투표결정 요인 을 분석할 수 있다. ① 출신 지역: 지역주의 투표  - 유권자들의 출신 지역 차이에 따라 정당 혹은 후보에 대한 선호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  - 한국의 경우 민주화 이후 그 어떤 변수보다 지역주의 변수가 투표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요한 변수로 작용     예] 지역주의 투표는 유권자들의 합리적 선택인가?     예] 2002년 대선과 2004년 총선 이후 지역주의 변수는 사라졌는가? ② 이념 성향: 보수 vs. 진보, 여성(輿性) vs. 야성(野性)  - 과거 한국 유권자들의 이념적 성향은 정당일체감을 대체하여 여성과 야성으로 구분되어 이념적 성향을 대체  - 근래 들어 한국의 선거과정에서는 보수와 진보 사이의 이념적 격차에 따른 선거 결과가 표출되고 있다.    예] 한국의 경우 지난 제17대, 제18 국회의원선거를 통해 보수-혁신 사이의 갈등이 투표 결과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출현

- 유권자의 연령이 젊을수록 보다 진보적, 유권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보다 보수적 투표 성향을 나타낸다. ③ 연령 차이: 세대 투표  - 유권자의 연령이 젊을수록 보다 진보적, 유권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보다 보수적 투표 성향을 나타낸다.     예] 근래 들어 세대 간 격차는 선거결과에서 보수와 진보의 이념적 편차 표출 ④ 경제 수준: 계급 투표  - 유권자의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보다 진보적, 유권자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 수록 보다 보수적 투표 경향을 나타낸다.    예] 한국의 경우 경제위기 이후 경제적 계급, 즉 개인소득 차이나 계층별 차이에 따른 요인들이 투표 성향에 주요 영향을 미치고 있다. ⑤ 교육 수준: 합리 vs. 감성  - 유권자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합리적,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감성적 투표행태 표출  - 한국의 경우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진보적,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보수적 투표 경향 표출 ※ 결국 이러한 투표결정 요인들과 선거 변수는 각 선거 시기마다 유권자들의 투표 행태와 선거결과를 가름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 반면 선거에 임하는 정당과 후보자들은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선거공약 개발과 전략을 모색

미국의 예비선거(Open Primary)와 한국의 (완전)국민경선제 ○ 한국 정당들이 활용하는 국민경선제  - 최초 일반 당원 + 국민으로 시작하여 요즘 활용되는 것은 정당 이외에도 모든 국민들이 후보 경선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로 변형  - 정치적 의도 자체는 현실 극복과 국면 전환을 위한 것으로, 당의 언론 노출과 지지율 향상을 꾀하기 위한 것으로 부정적 의미 ○ 미국의 예비선거(Primary Election):  - 일반적으로 총선거(General Election)와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당외 후보경쟁 (inter party competition)이 아닌 당내 경쟁(intra party competition)  - 미국의 선거방식은 지극히 예외적인 경우, 특히 선거인단(electoral collage) 을 통한 간접선거 방식  - 미국의 예비선거 방식은 개방적 예비선거(Open Primary), 폐쇄적 예비선거 (Closed Primary), 코커스(Caucus) 방식 등 각 주(州)마다 방법이 다르며, 예비선거 시기 또한 조금씩 다르다.     개방적 예비선거: 선거 직전에 등록, 누구나 모두 선거참여 가능 ↔ 총선거 폐쇄적 예비선거: 예비선거에 참여하기 위해 사전 등록 의무화  ↕ 코커스 방식: 위원회 선거로 당 간부들 만이 선거참여 가능

○ 한국과 미국의 후보경선제도 비교 ① 제도적 발전의 맥락이 다르다.  - 미국의 경우 Bottom Up, 한국의 경우 Top Down 방식으로 제도 유입; 제도적 맥락이 다르기 때문에 그 결과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 과거 미국의 대통령 후보는 Caucus 방식을 통해 국회의원 혹은 정당 간부들에 의해 선출, 이후 전당대회(Convention)에서 대의원에 의한 후보 선출이 이루 어지다가 1968년 민주당의 개혁과정에서 최초 예비선거 제도가 도입  - 미국의 경우 정당 지지자나 당원들의 의사에 반대되는 후보가 선출되는 과정에 대한 개혁적 목적에서 예비선거 제도 도입, 한국의 경우 당원의 의지와 관계없이 위로부터의 제도개혁 추진 ② 당원에 대한 개념이 다르다.  - 미국의 정당은 엄격한 의미에서 당원이 존재하지 않으며, 당원이라 함은 정당 지지자를 의미  - 미국식 예비선거제도를 모방한 한국의 국민경선제는 정당의 민주적 기능과 역 할을 축소, 당원 있는 정당이 당원 없는 정당의 제도를 모방하는 넌센스

③ 예비선거에서 당원 참여비율을 강화하는 미국의 경향과 반대되는 제도 유입  - 미국의 경우 1988년 민주당, 2004년 공화당이 예비경선의 완전 개방을 제한, 각 정당의 과거 간부들에게 일정 비율(18% 내외)의 대의원 대표권 부여  - 한국의 경우 반대로 정당의 참여비율을 낮추고 일반인의 참여비율을 높임. ④ 미국의 대통령제는 대통령의 권한이 약하다.  - 미국의 대통령은 의회, 사법부에 의한 경제가 강한 반면, 한국의 경우 그 견제 력이 약하기 때문에 대통령의 권한이 강하다.  - 따라서 한국의 경우 정당정치가 강화되어야 대통령에 대한 견제가 가능하다 (정당은 지속적인 집권을 위해 대통령의 독단적 정책을 견제할 수 있다). ⑤ 여론조사 반영의 허와 실  - 미국의 예비선거에는 여론조사 결과를 반영하는 제도가 없으나, 이것은 한국의 정당들이 정치적 흥행을 위해 인위적으로 삽입한 제도  - 여론조사는 그 수행방식에 따라 결과적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며, 따라서 미묘한 차이로도 당락이 결정되는 후보경선제도에 그 결과가 반영되는 것은 넌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