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기반산업 인력양성을 위한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산학협력 성공사례 세미나 최재붕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컴퓨터공학과. 이세돌 vs 인공지능 알파고 컴퓨터공학과 인생은 실험과 도전의 연속 인생은 실험과 도전의 연속.
Advertisements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프로그램 일정 [ 교외 캠프 ] 1 일차 프로그램 시간프로그램내용비고 09:30~11:00 학교 집결 후 연수원 이동 11:00~12:00 개회식 / 오리엔테이션 - 인사말 - 교육일정 및 프로그램 안내 1H 12:00~13:00 점심식사 13:00~15:00 기업정보.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2014 하반기 대졸 신입 / 인턴 / 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분류세부직무신입인턴장학생관련전공 R&D 설계 전기, 전자, 전파, 반도체, 정보통신, 컴퓨터, 물리 CAE 전기, 전자, 전파, 반도체, 정보통신, 컴퓨터, 물리 소자 반도체,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ICT 기반 베이비붐 세대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목차 1. 창업 동기 2. 지원 동기 3. 자체역량 분석 4. 시장 전망 5. 재무 분석 6. 창업자 및 경영진 준비하시는 사업 특성에 따라 목차 및 세부내용의 일부 변경 ( 추가 및 Skip) 은 가능합니다.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학생 포트폴리오 에너지자원공학과 학생 포트폴리오란 ? 포트폴리오의 기능  학생의 경험 및 전공 관련 학습결과를 정리한 결과물  학교생활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과정, 목표, 노력, 태도, 교육활동, 성과물  재능 및 취미 등을 의도적으로 조직하여 모아둔 것  자신의.
HRD 목표 HRD 전략 HRD 실행과제 HRD 실행계획 Human Centered Process/SystemDevelopment 체계적 육성과 지속적 관리를 통한 인적가치 극대화 소통과 신뢰 투명하고 공정한 인간중심 문화 HRD ERP 구축 성과 역량.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기계시스템 공학과 4 학년 취업선호도 설문조사 결과 조사인원 30, 중복응답 졸업준비위원회.
창의적 교육과정: 실적 현황 2013년 및 2014년 신규 교과목 14개 개발, 개설
GCTI 창의연구 융합팀 참가자 모집 R s v i t a c e h r C
‘비유와 상징’ 학습조 현장답사 -답사일: 인원: 지나라, 정지온, 한민수
2012년도 1학기 인하대학교 IT공과대학 전자공학부/정보통신학부 공동 세미나 (협찬: 차세대 DTV 인력양성사업)
2차 Genesis 연구과제 운영 계획 목적 정의 대상 : 국내 4년제 대학 교수
2015년 ★ 연수대상자 ★ 연수기간 (1일 4시간 이상 8시간 이하/1주 총 20시간 초과불가)
중국 현지 연수 프로그램(5박6일) - 체계적인 벤치마킹 및 인프라 체험
지속가능형 화공기술 인재양성 사업단 화학공학 사업단장 설용건 BK 산학연사업 우수사례 연세대 화공사업단
SCM의 정의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관리망
서강대학교 – LG이노텍 산학 Track 모집 안내.
휴먼트로닉스 사업단 산학협력 사례 연세대학교 사업단장: 민동준 2007년 12월 21일.
연수프로그램 실시계획서 1. 신청부서 CTO 미래 IT 융합 연구소 기획팀 2. 연수프로그램 실시 목표 / 내용
Project Management(인력관리)
2011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한성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014 상반기 대졸 신입/인턴 모집 모집 분야 지원접수 전형방법 지원자격
2014 하반기 대졸 신입/인턴/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 분류 세부직무 신입 인턴 장학생
2013 상반기 대졸 신입/인턴/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 지원접수 전형방법 지원자격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전력전자연구실 (정승기, 최주엽, 송승호 교수님)
로봇 소프트웨어.
2017학년도 기계공학부 하계방학 프로그램 안내 (월) 18:30~19:00 / 소강당.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현장실습(Co-Operation) 소감 발표
2014 상반기 대졸 신입/인턴/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 지원접수 전형방법 지원자격
I.E.C.C.란 Industrial Engineering Computer Club의 약자로서, 정보화시대에 필수적인 컴퓨터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주대학교 산업정보시스템공학부 학생들의 모임입니다. IT산업을 리드하는 폭넓은 지식의 전문가가.
2019년도 과정평가형자격 도입 훈련과정 개발방법 안내.
슬러지 감량형 Membrane Bioreactor 오수고도처리공정 개발
소규모 IPTV 사업자용 실시간 미디어 플랫폼 기술
명지대학교 화학공학심화 프로그램 이수체계도 [2018년 변경]
컴퓨터소프트웨어설계및실험 년 1학기 실험계획 -.
직무 공통 · 직장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과 실무를 겸비한 중소기업 맞춤형 인재 양성 · 자기소개서, 면접 등 취업 컨설팅과
2016 동계 실습 프로그램.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졸업 요건 충족을 위한 추가 이수 학점에 대해서는 ‘졸업요건‘ 규정 확인 바람
자기계발과 학습혁명의 Key! 마인드맵 세미나! 직장인을 위한 디지털 업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이광근 프로그램분석 시스템 연구단 ropas.kaist.ac.kr KAIST 전산학과
발표평가 자료 작성 유의사항 각 페이지의 작성 TIP을 참고하여 내용 기재 (총 20페이지 이내, 발표시간 약 10~15분)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란? 홈페이지 │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3-2학기 종료 동계방학 시점에서 취업준비 정보통신공학부 안병철 교수.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나노 소재 ∙ 공정 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 2016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 특성화학과 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장 목 표
채 용 공 고 ※ 취업설명회 -. 일시 : ’ (목) 16:00~ -. 장소 : 공대10호관 313호 ㈜ 피플웍스
㈜엔프라넷.
글로컬 특화관광 인재 양성의 허브 ◉ 관광경영학과 체계도 관광경영학 글로벌 특화인력 양성 관광혁신 인력 양성 특화인력 양성
금속재료공학전문전공 교과목 이수체계 (KEC2005)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제12회 KHU 봄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경희대학교 학생들의 졸업 후 국내외 최고 수준의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의 비전 아래, 프로그래밍 실력 향상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자 프로그래밍 경시대회를 개최합니다. 본 대회는 경기남부 6개 대학 프로그래밍 경시대회(SHAKE)의 예선을.
KOREA NAZARENE UNIVERSITY
마이크로프로세서 수업진행 안 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송 명 규.
외국인 노동자 고용사례 일어일문 정 솔.
소프트웨어 설계 및 실습 강기준.
CSPN Program 2017 국보연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양성 과정 개설
[인증과정-기계공학전공] 2011~2014학년도 입학자 기준 기계공학부 교과과정 이수체계도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Global Expert Education for Korea-Belgium Future Innovation)
Presentation transcript:

지식기반산업 인력양성을 위한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산학협력 성공사례 세미나 2005. 8. 23 최재붕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중소기업 중소기업 중소기업 (노동집약, 하청) (노동집약형) (다양화)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변화 대기업 (자본기반) 대기업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대기업 (자본기반) 대기업 (기술기반) 대기업 (지식기반) 중화학공업 제품 중심 대규모 대기업 자동차, 반도체, 조선, 플랜트 등 시스템제품 중심 첨단 IT제품, LNG선박, 고급승용차 등 첨단제품 중심 중소기업 (노동집약, 하청) 중소기업 (노동집약형) 중소기업 (다양화)

산업분야별 산학협력 현황 기존주력산업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미래형 지식산업 산학협력현황 첨단 IT제품, LNG선박, 2만불 시대를 위한 산업발전 모델 기존주력산업 첨단 IT제품, LNG선박, 고급승용차 등 첨단제품 중심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미래형 지식산업 첨단제품 경쟁력확보 NT, IT, BT등 미래산업용 연구분야투자 대기업 어느 정도 연구투자는 하고 있으나 시장을 선도할만큼의 집중투자는 꺼림 중소기업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창업은 하고 있으나 시장이 약해 경제성확보에는 어려움 정부 및 대학 R&D 투자가 거의 이부분에 집중되어 있으나 국내시장은 아직 전무. 기술개발, 인력양성 측면에서 기존 산업계와 괴리감. 대기업 첨단 기술집약형 제품에서 세계적 경쟁력 확보. 산학협력 미약 중소기업 기술중심 중소벤처기업이 등장하고는 있으나 세계적 경쟁력확보는 미흡 산학협력연구 미약 정부 및 대학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력향상에 대한 R&D 투자는 지엽적이고 미미함 대기업 경쟁력확보를 위한 투자는 강화하고 있으나 산학협력은 미미함. 준비된 인력확보 어려움. 중소기업 지식기반 중소기업이 등장하고 있으나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기에는 R&D 능력확보 어려움. 산학협력연구 미약 정부 및 대학 현장기술에 대한 산학협력은 거의 없음. 인력양성이나 중소기업 기술향상에 어려움. 산학협력현황

산업분야별 인력양성 현황 기존주력산업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미래형 지식산업 인력양성현황 첨단 IT제품, LNG선박, 2만불 시대를 위한 산업발전 모델 기존주력산업 첨단 IT제품, LNG선박, 고급승용차 등 첨단제품 중심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미래형 지식산업 첨단제품 경쟁력확보 NT, IT, BT등 미래산업용 연구분야투자 대기업 소수정예의 연구인력을 필요로함. 주로 외국 유수대학의 인력 스카우트를 목표로 함 중소기업 독창적인 아이디어 기반의 기업들은 창업되고 있으나 첨단기술 및 지식 기반 기업의 창업자는 양성되지 못하고 있음. 정부 및 대학 R&D 자금의 지속적 투자와 SCI 논문 확대정책으로 순수 연구인력의 양성은 효과를 거두고 있으나 창업등 산업화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 대기업 빠른 제품개발 주기로 기술력 우수한 현장중심 인재 요구. 공대 대졸신입사원에 대한 불만 고조 중소기업 기술력 우수한 인재확보에 어려움 대기업 기술개발 요구에 부응 어려움 정부 및 대학 대기업 현장중심인력 및 중소기업 기술수준 제고를 위한 R&D 인력 양성위한 투자 미약 대기업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을 선도할 R&D 인력 확보에 어려움. 석박사 중심의 연구인력 요구 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찾기 어려움. 중소기업 독자적 경쟁능력확보를 위해 R&D 강화를 원하고있으나 현장중심 인재확보에 어려움. 정부 및 대학 연구중심대학들에 대한 대기업 및 중소기업 R&D 강화를 제대로 유도하지 못하고 있음. 인력양성현황

지식기반 산업사회는 우수한 1명이 20만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사회 지식기반 산업인력 수요 공급의 문제점 지식기반산업 기업체 장비ㆍ부품 등 첨단기술력 필요 많은 연구인력 필요 시스템 전반 인력 고급화 필요 높은 생산성 필요 빠른 제품개발역량 필요 전문성없는 대졸신입사원 기피 전문 연구인력 확보 어려움 단기 연구개발팀 구성 어려움 고용의 유연성확보에 어려움 직군별 전문인력 채용에 어려움 대기업 전문적 경력사원 선호 석박사급 연구인력 선호 해외우수인력 선호 직군별 전문인력 선호 전문인력 고용의 유연성 선호 대학졸업후 취업에 어려움 재학중 산업현장 업무에 관한 정보 습득에 어려움 적성에 맞는 진로설정에 어려움 취업후 업무 적응에 어려움 중소벤처기업 학생 지식기반 산업사회는 우수한 1명이 20만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사회

선진국에서의 산학협력 교육 시스템 지식기반산업시대에 있어서 산학협력교육을 국가역량 확보의 최우선 과제로 파악하고 대학, 기업체, 정부가 책임 분담 대학은 산업체와의 활발한 연구교류를 통해 산업체의 요구를 교육시스템상에 적극 반영. 또한 Co-op, 인턴쉽 등 학생의 기업체 참여제도 도입 산업체는 대학의 연구결과를 사업화에 적극 연계. 또한 회사 운영에 있어서 대학 재학생들의 참여를 능동적으로 활용. 학생들은 Co-op제도, 인턴쉽 등을 통해 현장업무에 대한 적응력 배양.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기 위한 전문지식 습득을 위해 대학원진학 동기유발. 기술에 대한 조기 지식확보로 전문지식기반 창업동기 유발 사례: Univ. of Waterloo (Canada)

선진국에서의 산학협력 체계 선진국은 이미 RIS를 이용한 기술발전의 선순환구조 진입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산학협력단의 역할이 정착되지 못하고 있음

선진국시스템 벤치마킹의 문제점 선진국의 주력산업은 첨단연구에 기반한 지식산업으로 이미 정착되어 IT, NT, BT 등의 미래연구가 비교적 쉽게 산업화됨. 우리나라 주력산업은 첨단 시스템제품의 판매로 설계 및 조립 기술의 경쟁력은 확보하고 있으나 원천기술은 의존적임. 첨단연구를 산업화하기에는 시장여건이 좋지 않음. R&D 투자와 연구인력의 양성이 주력산업 발전과 첨단기술 개발에 균형있게 배분되어야 상호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음. 무조건적인 선진국 산학협력 시스템의 도입보다는 국내 산업실태를 반영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

SCI 논문중심의 평가체계로 인한 인력양성의 문제점 각 기업들이 OJT를 통해 인력양성 및 공급. 관련분야에 있어서 연구중심대학과의 산학협력은 미미 산자부중심의 관련과제들 다수진행. 연구중심대학의 참여 및 인력양성은 미흡 IT, NT, BT등 관련연구와 BK사업을 통해 혁신적 인력양성 진행중 NT, IT, BT등 미래산업용 연구분야투자 미래형 지식산업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첨단 IT제품, LNG선박, 고급승용차 등 첨단제품 중심 기존주력산업 경쟁력확보

국내 신산학협력 5대 핵심정책 대학평가제도 개선 대학의 기업설립 및 출자허용 국가 산학협력 D/B 구축 활용 [자료: 국가균형발전위] 1 산학협력 중심(Hub)대학 육성 연구중심대학의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 미흡 대학평가제도 개선 2 대학의 기업설립 및 출자허용 3 연구개발 중심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한 구체적 방안 미흡 국가 산학협력 D/B 구축 활용 4 산학협력을 위한 민관협력체계 구축 5

현 산학협력 교육 추진의 문제점 현 산학협력 교육은 전문지식보다는 단순현장업무 경험을 목표로 진행. 전문지식을 요하는 지식기반 산업체에서는 필요성을 인식 못하고 있음. 연구중심대학의 경우, 최근의 지식기반산업의 성장으로 이공계 졸업생 높은 취업률 유지. 산학협력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 못하고 있음. 그러나 기업체에서는 국내대학 졸업자들이 글로벌 인재에 비해 현장지식 및 전문지식에 있어서 경쟁력이 매우 낮다고 판단. 재교육을 위한 고비용 지출. 실제로 우리 학생들은 취업후 전문지식의 습득 및 활용에서 글로벌 인재에 비해 떨어짐. 지식기반산업에서 요구되는 평생 자기 개발 노력 또한 미흡. 결과적으로 취업후에도 직장에 대한 공헌도 낮음. 자기 미래에 대한 불안감 형성. 기업체에서는 경쟁력있는 글로벌 연구인력의 스카우트에 주력. 국내 연구인력에 대한 불신감 형성. 대학, 기업체 및 학생간 상호불신의 악순환 지속.

지식기반산업계 애로사항 대기업에서는 20대 초반부터 전문지식을 습득한 전문능력이 있는 인재확보에 어려움.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장애요소. 중소벤처기업에서는 연구개발분야에 투입가능한 고급 연구인력의 확보에 어려움. 지속적 연구개발을 통한 대기업으로의 발전에 장애 요소. 20대 초반에 습득한 기술로 도전하는 벤처 창업자 IMF 이후 급감. 지식기반산업계는 대기업중심의 제품개발 분야 뿐 아니라, 장비ㆍ부품ㆍ소프트웨어 등 중소기업군이 담당하는 분야에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 연구중심대학 졸업 인력은 업무에 관계없이 전통적 사고에 따라 대기업 선호, 국내 대학원 진학 기피. 취업후 전문지식 습득 및 활용에 이르기까지 오랜 시간 소요. 산업계에서는 높은 수준의 지식 축적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은 반면, 학생들은 이를 직접 경험해 보지 못함. 자기개발을 위해 오직 해외어학연수에만 투자. 국가적으로 볼때 엄청난 인적ㆍ물적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음.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개발 방향 지식기반 산업체 인력양성을 위한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개발” 이 필수 현 산학협력교육의 사각지대인 지식기반산업의 전문인력 양성(중소벤처기업 및 대기업)을 목표로 개발 연구중심대학의 특성을 살려 학부시절부터 현장에 필요한 전문지식의 축적이 가능하도록 교육시스템 구축 필요 이를 위해 선진국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인력 양성 Co-op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대학별 특성에 맞게 구성하도록 유도 – MIT, 스탠포드대학, 워털루대학 등 최신의 전문지식을 요하는 지식기반 산업체의 참여 적극 유도 필요(중소벤처기업 및 전경련) 상당수준 활성화되어 있는 대학원 산학협력 연구역량을 학부 교육 프로그램에 확산함으로써 상호보완의 시너지 효과를 유도 취업후에도 지속적인 자기 개발을 위해 빠르게 발전하는 전문지식을 평생 학습할 수 있는 e-learning 교육 시스템 구축 추진 지식기반 산업체 인력양성을 위한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개발” 이 필수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개발 방안 1학기 여름학기 2학기 겨울학기 취업소양교육 (산업체 CEO 강의) 정보시스템 활용 교육 (e-러닝) 1학년 연구 현장 실습 연구 현장 실습 현장중심 전공 교육 (설계+e-러닝) 대학원 현장 학습 (연구프로젝트 학습) 2학년 산업체 현장 학습 (주1회 방문 근무) 산업체 연구 인턴쉽 (총 6~8개월 근무) 3학년 연구 현장 실습 Capstone Design 또는 글로벌 인턴쉽 4학년 대학원 현장 학습 (연구프로젝트 학습)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주요 내용 1학년 계열 모집 학생들에 대해서는 취업을 위한 소양교육 및 정보시스템 활용교육 실시 2학년 1학기에 현장중심 설계교육과 전문 소프트웨어 교육 실시. e-러닝 활용. 여름학기중 연구현장실습 교육. 비교적 단순한 소프트웨어 및 실험기기 사용 2학기와 겨울학기에는 보다 높은 강도로 실질적인 연구 프로젝트 참여 3학년 1학기에는 연구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습득한 현장기술을 바탕으로 주 1회 현장 근무. 해당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지식 습득 및 인턴쉽 준비. 8개월간 해당산업체에서 실질적 연구개발 업무 수행. 부족한 전공교육은 e-learning을 통해 보충. 마지막학기에는 회사참여하에 Capstone Design 설계 프로젝트 수행 Co-op 참여학생중 우수학생 10%를 선발하여 세계 유수대학과의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참여. 글로벌 연구 인력으로 양성

산업체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 대학과 공동으로 학생에 대한 교육을 담당해야한다는 사회적 소명 인식 필요. 그러나 경제논리에 입각한 유도 프로그램 개발이 우선 (Tax Credit 제도등) – 전경련 역할 필요.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참여 필요. 이를 위해 소규모 디자인프로젝트등의 개발 필요. – 교수와 기업 담당자간의 협의 통해 구성 기존 산학협력연구과제의 틀(교수로비나 학교로비를 통해 연구 내용에 무관한 과제를 내어주는 방식)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대학과의 산학협력 연구 프로젝트 적극 개발 필요. 주 1회 근무 현장수업을 위한 학생 교육 및 산업체 적응 방안 마련. 필요한 업체들로 부터 출발해서 정착시킬 필요있음. – 현재 중소벤처기업들은 고급인력 요청하고 있음. 인턴쉽 학생의 근무성과에 비례하는 실질적 임금 지급 체계 정비 필요

중소벤처기업 및 대기업 인력공급 방안 대기업 및 중소벤처기업과 연구과제 코업을 수행한 학부학생들은 현업지식에 대한 능력을 확보하는 한편, 연구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받을 수 있음. 학생들은 코업의 경험을 통해 연구 또는 현업에서의 평생근무를 미리 기획해 볼 수 있음. 졸업후 대기업취업시에는 상당부분 현장경험을 축적한 상태로 경쟁력 있음 졸업후 중소벤처기업에 스톡옵션등의 좋은 조건으로 취업이 가능함 또는 코업 및 연구과제 수행시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가능성 증가. 이러한 순환구조가 정착되면 대학과 산업체간의 실질적 교류증가로 RIS 구축시 대학의 역할이 정립될 수 있음. 선진국형 선순환구조 구축 가능. 지식기반 고부가가치 산업을 위한 교육시스템의 정착 기대.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의 기대효과 지식기반 산업체 연구중심 연구중심 Co-op 대학 프로그램 정부/ 지역사회 우수한 대학연구력 활용 신입사원 재교육 비용 절감 우수 연구인력 확보 검증된 전문인력 채용 가능 연구개발 국제경쟁력 확보 우수인재 조기발굴 가능 연구기반 벤처창업 활성화 지식기반 산업체 산학협력연구 활성화 현장실무 교육 강화 연구 중심교육 실현 전문 연구인력 배출 글로벌 교육 경쟁력 확보 장기적 재원확보 가능 세계적 연구성과 창출 연구중심 대학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정부/ 지역사회 국가적 연구역량 혁신 연구인력 해외 유출 방지 연구개발 사업화 활성화 지식산업분야 경쟁력 제고 지역 클러스터의 성공적 구축 이공계 활성화 유도 성장동력산업 전문인력 양성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사례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사례 - 교육 설계관련 학년별 수업구성 – 공학인증제 설계제작실습 창의적공학설계 전산제도 CAE 1학년 2학년 3, 4학년 4학년 미래의 공학 창의적공학설계 공학컴퓨터 프로그래밍 과학기술 문서작성 기타교양강좌 설계제작실습 전산제도 실험 기본역학 기계설계 CAD CAE CAM 생산지향설계 창의설계실습1 창의설계실습2 졸업논문 Capstone Design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사례 - 교육 1학년 - 창의적 공학설계 ‘드래곤볼’이라는 주제에 걸맞도록 전체적인 형상을 승천하는 용의 형태로 제작했다. 그리고 주제의식을 분명히 표현하기위해 곳곳에 ‘드래곤볼’의 상징인 칠성구를 곳곳에 배치했다.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사례 - 교육 2학년 – 설계제작실습. 실제 제품 설계 및 제작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사례 - 교육 2학년 – 전산제도. 전문 소프트웨어 교육 Presentation By PAOS Design 팀 Presentation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사례 - 교육 3학년 – CAE. 전공관련 전문 소프트웨어 교육 해석결과 평가 σY 30MPa 안전계수미달 두께가 얇기 때문에 (t=5mm) 전체적으로 충격에 약하다 설계변경이나 범퍼 보조장치 필요 σY 30MPa σmax 35.045MPa F.S. 0.87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사례 – 실습1 3, 4학년 – 연구현장실습. POSCO 프로젝트 수행 (a) 고철 투입                                                                                                                                                                                                                            (a) 고철 투입 (b) 용선 투입 (c) 산소 주입

charging crane-쇳물(용선) 운반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사례 – 실습1 POSCO 현장 방문후 협의 및 사진 촬영 ladle crane-고철 운반 charging crane-쇳물(용선) 운반 crane converter-전로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사례 – 실습1 교수, 대학원생, 학부생이 참여하여 과제수행 대학원 산학협력 과제에 참여하여 IT기반의 설비관리 시스템 설계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사례 – 실습1 - 설계는 대학원생이, 학부생은 시스템 구축 담당 - 전공관련 전문 소프트웨어 4개 활용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사례 – 실습2 - 디스플레이 장비제조업체 ㈜코닉시스템과 산학협력연구

연구중심 Co-op 프로그램 사례 – 실습3 - 삼성전자 LCD 사업부와 산학협력 연구 참여 Strain gauge Accelerometer Strain Amp Accelerometer Amp Dynamic Signal Analyzer

연구중심 대학교육 트랙 - 특성화사례 대학과 산업체의 협력 교육 융합형 첨단시스템 설계를 위한 연구개발 인력 양성 산학협력교육 대학중심교육 산학협력교육 산업체중심교육 설계실습과목교육 창의공학설계 창의설계실습 1, 2 Capstone Design 기계설계 학부교육 프로그램 Co-op 교육 3차원 CAD 실습 CAE 실습 계측실습 실제제품 모델링 창의적 시스템 설계능력 함양 설계실무능력(CAD, CAE) 함양 연구개발에 대한 참여 유도 첨단이론교육 설계관련전공과목 입자공학 나노공학 계측공학 대학원 프로그램 첨단실무이론교육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공정 산학협동 세미나 첨단장비 사용실습 융합시스템 설계를 위한 이론학습 현장설치 시스템에 대한 학습 실무관련 장비, S/W 사용법 학습 연구개발능력교육 문제해결능력 배양 이론의 실무적용 논문기술 능력배양 연구개발실무교육 제품설계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학습 시뮬레이션 기법 제품성능 테스트기법 산학협력 연구 참여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개발 융합형 첨단시스템 설계를 위한 연구개발 인력 양성

연구중심 대학교육 트랙 - 특성화사례 설계실습중심의 학부교육 1학년: 창의적 공학설계 3, 4학년: 연구현장실습 A, B 창의적 설계능력 함양을 위한 설계과목 개발 (ABEEK 인증 프로그램) 학부생의 연구현장참여를 위한 Co-op 프로그램 운영 1학년: 창의적 공학설계 3, 4학년: 연구현장실습 A, B 2학년: 설계및제작 실습, CAD 3, 4학년: 심화연구현장실습 A, B 3학년: 창의설계실습(1,2), CAE 4학년: Capstone Design Project 창의적설계기술연구소에서 프로그램 개발 (과기부 창의연구단) 실험실에서 수행중인 산학협력과제 참여 (CAD를 이용한 제품설계등)

연구중심 대학교육 트랙 - 특성화사례 전문이론과 현장실무를 복합한 대학원 교육 첨단 이론교육 교육과정 개발 실무관련 전문세미나 개발 U.of Tokyo Yoshimura 교수 초청강좌 개설 설계관련 시뮬레이션 기법 교육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 세미나 코닉시스템, 삼성전자 Brown U. 김경석교수 초청강좌 개설 나노역학 및 계측기술관련 교육 정밀계측시험기 사용법 세미나 공동기기원, National Instrument 유한요소해석, 최적설계, IT기반기계설계 최신설계관련 전문이론과정 교육 해석용 전문 소프트웨어 사용법 교육 LS-DYNA, ABAQUS, ANSYS 기계공학부내 연구센터별 협동교육 교내 RIS 핵심기관 협동교육 산학협력 연구참여 코닉시스템과의 차세대 장비개발 과제 참여 실제 설계업무관련 기술 및 노하우 습득

연구중심 대학교육 트랙 - 특성화사례 지식기반산업을 위한 최고의 인력과 지식 창출 교내연계기관 해외연계기관 성균나노과학기술원 (삼성종합기술원) 일본 U. Of Tokyo 교내 RIS 핵심기관 기계공학부 대학원 미국 Brown Univ. 학부 Co-op 교육 미국 U. Of Minnesota 반도체사관학교 (삼성전자) 대학원 첨단 이론 교육 대학원 실무 이론 교육 산학협력연구과제 참여 지식기반산업을 위한 최고의 인력과 지식 창출 차세대성장동력산업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핵심 연구개발 인력 양성 실험실 창업 반도체/디스플레이관련 장비제작업체 대기업 인력양성 반도체/디스플레이 관련 제품 및 장비설계 중소기업 인력양성 반도체/디스플레이관련 장비제작업체

결 언 2025년, 한반도 1억 인구를 먹여 살릴 대한민국 우수한 학생들에게 싱싱한 날개를! 결 언 우리사회는 학생과 산업현장을 격리시키는 시스템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은 학생시절부터의 경험을 통해 탄생 시대의 패러다임에 맞는 교육 수준의 제고 필요 창의적 인재양성이 곧 우리 모두의 미래라는 공감대 형성 필요 산업체와 대학의 시각차, 수준차를 줄이는 노력 필요 우리의 학생들은 창의성, 열정, 감성 등 무한한 가능성 보유 학생들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산학협력 교육 필요 2025년, 한반도 1억 인구를 먹여 살릴 대한민국 우수한 학생들에게 싱싱한 날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