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장 데이터 통신 기본 개념 2.1 회선 구성 2.2 접속형태 2.3 전송 방식 2.4 네트워크 분류 2.5 네트워크간 연결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Chapter Internet Telephony 39. Contents Background: The Integrated Digital Telephone Network IP Telephony Software IP Telephony Hardware and Systems Legal.
Advertisements

Copyright © 2006 b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All rights reserved. McGraw-Hill Technology Education Copyright © 2006 by The McGraw-Hill Companies,
1)RACK 2)UPS 3)P D U 장치 4)Server Group 5)KVM Switch 7)UPS 를 위한 HUB 6) RACK Monitor.
4 장. 인터넷 접속 환경 Section 03 TCP/IP 인터넷 프로토콜 학습목표 인터넷 접속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ADSL 과 VDSL 의 장단점을 알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Using Telephone and Cable Networks
Mobile 모바일 싱크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 류재희, 이호성, 김소영.
CHAPTER 07. 네트워크와 인터넷 컴퓨터 통신망의 구축_네트워킹 및 인터넷 기술의 이해
Part TCP / IP(계속) 3. IP 주소 4. IP 라우팅 5. 응용 프로토콜.
LAN의 구성요소 컴퓨터 네트워크과 오세원.
16장 X.25 패킷 교환망 16.1 X.25 계층 구조 16.2 패킷 계층 프로토콜 16.3 요약.
인터넷의활용.
6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Communications 제 7 장 기기간의 접속규격.
3 장 OSI 기본 참조 모델 OSI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축 + 활용 네트워크 구성도.
연결리스트(linked list).
Chapter 7 Transmission Media.
메카 세미나 무선통신
20장 SONET/SDH 20.1 동기 전송 신호 20.2 물리적인 구성 20.3 SONET 계층 20.4 SONET 프레임
18장 SONET/SDH 18.1 동기 전송 신호 18.2 물리적 구성 18.3 SONET 계층 18.4 SONET 프레임
중소규모 WAN의 구성 지도교수님 : 김정배 교수님 박명윤 박종수.
2부 네트워크 기본 이론 Chapter 3. OSI 7계층
제 1 장 정보통신의 개념 1. 1 통신모형과 기능 - P9 그림 1-1 샤논의 통신 모형 전송로 송신기 정보원 수신기 수신자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9장 데이터 링크층 개요 (Introduction To Data-Link Layer)
Chapter 13 Wired LANs: Ethernet.
제 15 장 점 대 점 프로토콜 15.1 천이상태 15.2 PPP 계층 15.3 링크 제어 프로토콜 15.4 인증
11 장 LAN 기본 개념과 Ethernet LAN
15장 X.25 패킷 교환망 15.1 X.25 계층 15.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5.3 요약.
HomeNetWork의 개념과 실생활의 예
2 장 데이터 통신 기본 개념 2.1 회선 구성(Line configuration) 2.2 접속형태(Topology)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3 장 광역 통신망(WAN) 13.1 점대점 WAN 13.2 교환형 WAN 13.3 ATM LAN 13.4 요약.
4. LAN의 배선체계 (3장. LAN: Local Area Network)
17장 X.25 패킷 교환망 17.1 X.25 계층 17.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7.3 요약.
제7장 백본 부하 모델링 및 생성 1 과 목 : 네트워크 설계 및 실험 조 명 : 1 조
P2P시스템에 대해서 (peer to peer)
2장. 인터넷의 개념과 주소.
22 장 전송층(Transport Layer)
21 장 전송층(Transport Layer)
McGraw-Hill Technology Education
2장. 직접 연결에 의한 컴퓨터 통신.
20 장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0.1 리피터(Repeaters) 20.2 브리지(Bridges)
21 장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1.1 중계기(Repeaters) 21.2 브릿지(Bridges)
Data Communications 제 4 장 OSI 참조 모델 정보보호학과 양 계 탁.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UNIT 25 SPI 로봇 SW 교육원 조용수.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2 네트워크 모델 학습 목표 모듈 개념을 알아보고 계층 구조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3 네트워크 기술 학습 목표 회선 교환 시스템과 패킷 교환 시스템의 차이와 원리를 이해한다.
Chapter 26 IP over ATM.
네트워크 환경 구축과 이미지 전송 호스트/타겟 통신 직렬 통신을 이용한 이미지 전송 수퍼 데몬 BOOTP 환경 구축
Home Network.
Teaming pms.
홈 네트워크 시스템 Home Network System.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Chapter 27 Mobile IP.
LAN의 구성요소 학습내용 서버 클라이언트 NIC(Network Interface Card) 전송매체
AT MEGA 128 기초와 응용 I 기본적인 구조.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UNIT 25 SPI 로봇 SW 교육원 조용수.
Chapter 01. 네트워크의 이해와 설정.
5.2.3 교환방식의 비교 학습내용 교환방식의 비교.
네트워크 이론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네트워크 통신 방식의 이해 네트워크 연결 방식의 이해 한빛미디어(주)
네트워크 제어 정보제어공학과 이준
제 4 장 Record.
버스와 메모리 전송 버스 시스템 레지스터와 레지스터들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경로
네트워크란? Onescore 네트워크팀.
초고속 인터넷 망 구축제안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 Home Network System.
Presentation transcript:

2 장 데이터 통신 기본 개념 2.1 회선 구성 2.2 접속형태 2.3 전송 방식 2.4 네트워크 분류 2.5 네트워크간 연결 2.6 요약

기본 개념 다섯 가지 일반 개념은 통신 장치간의 관계에 대한 기본 사항을 제공한다 회선 구성 접속형태 전송 방식 네트워크 분류 네트워크간 연결(인터넷)

2.1 회선 구성 둘 이상의 통신 장치가 하나의 링크에 연결되는 방식 둘 이상의 통신 장치가 하나의 링크에 연결되는 방식 링크(link)는 하나의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보내는 물리적인 통신 경로

회선 구성(계속) 점-대-점(Point-to-point) 다중점(Multipoint) 교환 방식(Switching) 두 장치만 사용하는 단일 전용 링크 제공 두 장치간 전송에 채널의 전체 용량 사용 다중점(Multipoint) 두 개 이상의 장치가 단일 링크를 공유하는 방식 채널 용량을 공간적으로 또는 시간적으로 공유 교환 방식(Switching) 교환기들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하여 여러 기기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식

회선 구성(계속) 점-대-점

회선 구성(계속) 다중점

회선 구성(계속) 교환 방식

2.2 접속형태(Topology) 물리 또는 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 방법 네트워크 링크의 물리 또는 논리적인 링크의 배열 접속형태를 선택할 때 고려사항 대등-대-대등(peer-to-peer) : 장치들이 동등하게 링크를 공유(링형, 그물형) 주국-종국(primary-secondary) : 하나의 장치는 트래픽을 제어하고 다른 하나는 이를 통하여 전송가능(성형, 트리형)

접속형태의 종류

그물(Mesh)형 중앙 제어 노드의 중계 없이 모든 노드가 다른 노드와 점-대-점 전용 링크로 직접 연결 n개의 장치를 서로 그물형 접속형태로 연결하기 위해 n(n - 1)/2개의 물리적인 채널이 필요 모든 노드는 n - 1개의 입출력(I/O) 포트 필요 장점 전용 링크를 사용하므로 교환 기능이 필요 없고, 매우 빠른 전송 시간 제공 안전성이 매우 높음 프라이버시(privacy)와 보안(security) 점-대-점 링크는 결합 식별과 분리가 용이

그물형(계속)

그물형(계속) 단점 케이블링과 I/O 포트 수와 관계 모든 장치는 다른 장치와 연결 되기 때문에 설치와 재구성이 어렵다 케이블 묶음이 수용 공간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천정, 벽, 마루 등) 각 링크 연결에 필요한 하드웨어가 비교적 고가이다

성형(Star) 각 장치는 허브(hub)라는 중앙 제어기와 점-대-점 링크로 연결 제어 장치가 교환기(또는 스위칭) 역할 담당

성형(계속) 단점 장점 그물형 접속형태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각 장치는 하나의 링크와 하나의 I/O 포트만 필요하므로 설치와 재구성이 쉽다 안전성 하나의 링크에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링크만 영향을 받는다 단점 중앙의 허브가 고장 날 경우 전체 망이 마비된다

트리형(Tree) 성형의 변형 성형처럼 트리에 연결된 노드는 네트워크상의 통신을 제어하는 중앙 허브에 연결 능동적인 hub(중앙 hub) : active 전송하기 전에 수신된 비트 패턴을 생성하는 하드웨어 장치인 재생기(repeater)를 포함 수동적인 hub : passive 연결된 장치간에 간단한 물리적 연결을 제공

트리형(계속)

트리형(계속) 장점 & 단점 대체적으로 성형과 같음 장점으로는 제어가 간단하여 관리 및 확장 용이 단점으로는 중앙 허브에 병목 현상이 발생하고 중앙 허브의 고장은 네트워크 전체가 마비

버스형(Bus) 다중점 연결 백본(Backbone)인 케이블에 모든 장치를 연결 노드는 drop lines과 taps에 의해 버스 케이블에 연결된다 유도선(drop line) 주 케이블과 장치를 연결하는 선 탭(tap) 주 케이블의 연결 장치나 전선의 금속심에 연결하기 위해 케이블의 피복에 구멍을 낸 것

버스형(계속)

버스형(계속) 장점 단점 설치가 쉽다 그물형, 성형, 트리형 접속형태보다 적은 양의 케이블 사용 재구성과 결함 분리가 어렵다 버스 케이블 결함이나 파손은 모든 전송을 중단하게 한다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많을 경우 네트워크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링형(Ring) 각 장치는 이웃하는 장치와 점-대-점 링크를 갖는다 장점 단점 비교적 설치와 재구성이 쉽다. 결함 분리가 간단하다 단점 단방향적인 트래픽 링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다 해결책으로 이중 링(dual ring)

링형(계속)

혼합형(Hybrid)

2.3 전송 방식 두 개의 장치간에 데이터 전송 신호의 흐름 방향 기준

전송 방식(계속) 단방향(Simplex) 반이중(Half-Duplex) 전이중(Full-Duplex) 통신이 한쪽 방향으로만 이루어짐(예: 자판, 모니터, 라디오, TV) 반이중(Half-Duplex) 각 장치는 송/수신이 가능하나 동시에는 불가능 예: 무전기, 양방향 통행이 가능한 1차선 도로 전이중(Full-Duplex) 양쪽 장치가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 예: 전화, 양방향 통행이 가능한 2차선 도로

전송 방식(계속) 단방향(Simplex)

전송 방식(계속) 반이중(Half-Duplex) 동시 전송이 불가능

전송 방식(계속) 전이중(Full-Duplex) 동시 전송이 가능

2.4 네트워크 분류 네트워크 분류 규모, 목적, 구조, 이용 기술에 따라 구분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 통신망) WAN(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PAN(Personal Area Network, 개인 영역 통신망) BAN(Body Area Network, 신체 통신망) 규모, 목적, 구조, 이용 기술에 따라 구분

네트워크 분류(계속)

네트워크 분류(계속) LAN(Local Area Networks) 사무실, 빌딩, 대학에서 사용하는 기기들의 연결

네트워크 분류(계속) MAN(Metropolitan Area Networks) 도시 전체를 수용하도록 확장 설계

네트워크 분류(계속) WAN(Wide Area networks) 지역적인 영역(대륙, 국가)을 통한 데이터, 음성, 영상, 비디오 정보의 장거리 전송

네트워크 분류(계속) PAN(Personal Area Network) 10 m 안팎의 개인 영역 내에 위치한 정보기술 장치들 간의 상호 통신

네트워크 분류(계속) BAN(Body Area Network) 몸 속(in-body), 몸 위(on-body), 몸 주위(off-body)에 있는 기기들 사이의 통신 및 통신망

2.5 네트워크간 연결(Internetworks) 네트워크 상호 연결 장치(라우터, router)를 이용한 네트워크간 연결 비교 internet: 개별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한 네트워크 총칭 Internet: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CP/IP를 사용하고 있는 특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2.6 요약

연습문제 풀이해서 Report로 다음 주까지(일주일 후) 제출해 주세요! 알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