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제어공학과 2003030478 박민욱 mindsaga@naver.com P I D 제어 정보제어공학과 2003030478 박민욱 mindsaga@naver.com.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피드백 ( 궤환 ) 제어 제어루프의 기본으로 프로세스 상태 정보를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상시 정정하는 구조를 갖는 제어 시스템 피드백 제어 (Feedback Control) 조작부 검출기 조절기 설정치 제어량 + - 조작량 제어편차.
Advertisements

안전을 생각합니다. 어머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하루 종일 밭에서 죽어라 힘들게 일해도 어머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찬밥 한 덩이로 홀로 대충 부엌에 앉아 점심을 때워도 어머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 습니다... 한겨울 차가운 수돗물에 맨손으로.
직군직종직 무 경영관리 인 사인 사 인사기획, 정원관리, 평가 / 승진, 급여관리, 노무총괄, 교육, 후생기획 총 무총 무 법규 / 규정관리, 관재, 총무관리, 의전, 복지후생지원, 보안 재 경재 경 세무회계, 일반회계, 자금관리, 자금출납, 채권관리 전 산전 산 전산기획.
U+ Paynow  애터미 이용 및 결제 방법 안내 애터미 App 실행 구매할 상품선택 및 상품가격 확인 상품 결제를 위해 홈 >“PayNow” 선택 결제 금액 입력 후 “PayNow 단말기 ” 장착 결제 진행 / 내역 확인 애터미 App 에서 구매 상품 선택 주문.
Readme 1. 실행 i-Smart 아이콘을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Readme 2. 추가 DVR 에 접속을 하기 위해 DVR 접속 정보를 추가합니다. 1) 하단의 ‘ 추가 ’ 탭 선택 -> 정보 입력 -> 상단의 ‘ 추가 버튼 선택 -> 알림 메시지의.
시설안전본부 건설사업팀. 목 차 5. 총평 ( 향후 추진계획 ) 4. 개 선 효 과 3. 세부 개선 사례 2. 추 진 내 용 1. 추 진 배 경.
1 I. 프로모션 목적 신규미디 어 소개 정보공유고객확보 브랜딩 구축 광고주와 고객 모두에게 생소한 미디어임 G BUS TV, 웹사이트에 대한 서비스 안내, 정보 공유 등 홍보 필요 서비스 관심자를 서비스 이용고객으로 전환 공통 메시지의 반복적인 전달로 브랜딩 확보 ▣
재활복지학과 신지혜 식품영양학과 황원영. 목차 1. 대중음악이란 ? 2. 대중음악의 문제점 예 ) 인기가수 우상화, 백 워드 마스킹, 선정적 가 사 3. CCM 이란 - 대중문화가 CCM 에 끼치는 영향 - CCM, 찬송가, 복음성가의 차이점 4. 대중음악이 그리스도인들에게.
Module1 PI 브랜딩과 연출 - 3 차시 - 김효진 강사 Color consultant.
국제통상 3 학년 허득진 국제통상 3 학년 박갑용 러시아어문 2 학년 황금택 1. I. P&I 보험과 P&I 클럽 II. P&I 보험의 위험부담 III. KP&I 클럽 설립목적과 설립배경 IV. KP&I 클럽 운영현황 V. KP&I 클럽 특징과 장점 VI. KP&I 클럽의.
천안 / 아산 / 충남 서북부 인사쟁이 Business plan 2009 년. Content Business 개요 1 진행 및 추진 방향 2 Business 구성 3 진행 절차 4.
2008년 하계 석/박사 인턴십 모집 요강 1. 모집분야 및 자격요건 2. 원서접수 및 전형 일정 안내
◆반드시 취급설명서를 읽으신 후 사용하시고 취급설명서는 분실하지 않도록 잘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주식회사 설립 계획 경 제 실.
CRC 세미나 <제 61 차> IRB 업무 관련 문서의 이해 3 · 연자 : 김지예
SUPERTANASENSOR 300 CP 취급설명서
ON/OFF LINE 연동, SKOOLOOKS 매출증대를 위한
Moving Walk Set by sequential circuit 6조 장철훈 장황재
차 례 품질보증 및 A/S안내 1. 제품의 제원 2. 제품의 특징 3. 제품의 구성품목 4. 제품의 부분별 명칭 및 기능
▶ 서울 식약청 위생안전 교육자료 단체급식업 위생관리 방향 삼성에버랜드 위생안전지원팀 정 병 택 팀장
DB1000조절및 PID 관계 작성자 : 김영복.
온도 측정 최적제어 Process를 운전중에 Operator가 가장 많은 고심을 하는것 중의 하나가 Controller의 PID-Tuning으로 생각된다. 보다 쉬운 방법으로 운전시 적용을 할수있는 PID-설정방법을 설명 한다. PID설정시 고려사항 PID-Tuning을.
사용 설명서.
PLC :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원전에서의 제어시스템 지능제어연구실 이창구.
성과보상 인사관리 2561 신 승 환 구 선 예 박 지 영 이 민 주
전동기의 원리및 특성 도장보전 박 주 희.
제어기술 소개 목표 : 제어기의 종류, 제어 방식 등을 살펴본다. 주요내용 제어기의 종류 제어방식 : 시퀀스, 피드백, 등.
나의 꿈 6학년 2반 4번 도원영.
차 례 품질보증 및 A/S안내 1. 제품의 제원 2. 제품의 특징 3. 제품의 구성품목 4. 제품의 부분별 명칭 및 기능
18 1. 추진방법 –실수방지 구조 Fool Proof ▣의미: fool proof 란 바보,증명의 뜻으로 불 량
ReloadedStudios Inc Q Study TED
멀티파이 파트별 기능소개 라즈베리파이 핀 헤더 소켓 연결(26 핀, 2.54mm) 라즈베리파이 GPIO 26핀
본 문서의 내용은 컬러로 인쇄를 해야 정확한 내용 이해가 가능 합니다.
시퀀스제어와 PLC응용 제1장 시퀀스 제어의 개요.
20xx 생산성 향상 컨설팅 ㈜OOOO 컨설팅 수행계획서 컨설팅사 이름(로고)
21강 기사 분석 및 과제물 평가(1).
This is not the time, please wait.
<정보이론(Information Theory)> 제6장 정보의 특성과 Entropy
동사의 어간과 어미 B 김성엽 홍수인 장은규.
CST-P150E/V2 15인치 PC일체형 모니터 세트 상품소개서.
제 5 장 근 궤적 법.
귀중 인터넷 메신저 관련 조사 ` 엠브레인.
Ubiquitous Information Communication
캡스톤디자인 런치패드 과제목적 제작과정 과제내용 활용 방안 및 기대효과
다이얼 게이지.
-9장- 디지털 제어시스템.
은행연합회 비시장성지분증권 시스템 사원은행 담당자용 사용설명서
Ⅲ 농과원 스마트온실.
I S WORD 이재근, 김 진수.
ESCO사업 안내 및 투자사례.
네트워크 설치 전 확인 사항 INTERNET INTERNET 인터넷 모뎀 (KT, SK , LG 등등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28 LG트윈타워 동관 14층 LG디스플레이 인재확보팀 TEL 02) FAX 02)
Underground parking Control System 임베디드 프로젝트 D 팀
계측제어시스템 instrumentation and control systems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확인 제도 (산업안전보건법 제48조)
KU GREEN CAMPUS 그린캠퍼스 홍보대사 10기 박승진 김민준
PLC :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피드백 제어 (Feedback Control)
제 14 장 응용 계층과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14.2 동시성 14.3 프로세스 14.4 요약.
2012년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금강유역환경청.
목차 PMAC Tuning 2축 구동.
켈러의 경영경제통계학 제11장 모집단에 관한 추론.
Project 7.2 입출력 장치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반도체란.
SUPERTANASENSOR-X/S 300,400,500,600 W
(±)3% (사용후 감격 있는 장력에 의해 더욱 더 오차가 생길 우려가 있습니다)
PID 제어 알아보기 자동제어의 절대 강자 하늘소 19기 한승욱.
스크래치(Scratch)로 아두이노 제어
차 례 품질보증 및 A/S안내 1. 제품의 제원 2. 제품의 특징 3. 제품의 구성품목 4. 제품의 부분별 명칭 및 기능
Presentation transcript:

정보제어공학과 2003030478 박민욱 mindsaga@naver.com P I D 제어 정보제어공학과 2003030478 박민욱 mindsaga@naver.com

목 차 1. PID 제어란? 2. P, PI, PID 제어기의 특성 3. 제어기의 특성과 각 요소 4. PID 제어기의 정리 5. 자료 출처

PID 제어란? 제어 변수와 기준 입력 사이의 오차에 근거하여 계통의 출력 이 기준 전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피드백 제어 의 일종. 실제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자동제어 방식 가운데서 가장 흔 히 이용되는 제어 방식. P(Proportional) 은 비례 제어, I (Integral) 은 적분 제어, D(Differential) 은 미분 제어들을 조합한것. P 제어에 의해서 어떠한 헌팅도 없이 부드러운 운전을 달성 할 수 있으며, I 제어에 의해서 정상상태 오차를 보정할 수 있 고, D 제어에 의해서 피드백 값에 영향을 미치는 외란 에 대 한 빠른 응답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의 출력 값을 측정하여 이를 원하고자 하는 참조 값 혹은 설정 값과 비교하여 오차(error)를 계산하 고, 이 오차값을 이용하여 제어에 필요한 제어 값을 계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PID 제어기의 블록 다이어그램

PID 제어기의 특성 On/off 제어 단순한 On/Off 제어의 경우에는 제어 조작양은 0%와 100% 사이를 왕래 하므로 조작양의 변화가 너무 크고, 실제 목표 값에 대해 지나치게 반복하기 때문에 목표 값의 부근에서 凸凹 를 반복하는 제어로 되고 만다. .

P(비례) 제어 비례 제어란 기준 신호와 되먹임 신호 사이의 차인 오차 신호에 적당한 비례상수 이득을 곱해서 제어신호를 만든 다. on/off 에 대해 조작 량을 목표 값과 현재 위치와의 차에 비례한 크기가 되도록 하며, 서서히 조절 하는 제어 방법이 비례 제어라고 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목표 값에 접근하면 미묘한 제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하게 목표 값에 가까이 할 수 있다. 아주 단순한 시스템의 경우를 제외 하고는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가 없다.

PI(비례적분) 제어 P 제어로 잘 제어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제 어 량이 목표 값에 접근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P 제어의 특성 그래프를 보면 일정 크기의 정상상태 오차가 계속 남아있게 된다. 이는 P 제어로는 처리 할 수 없는 작은 오차(잔류편차)이므로  P 제어 만으로는 없앨 수가 없다.  이 미소한 오차인 잔류편차를 없애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I 제어이다. 즉, 미소한 잔류편차를 시간적으로 누적하여, 어떤 크기로 된 곳에서 조작 량을 증가하여 편차를 없애는 식으로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비례 동작에 적분 동작을 추가한 제어를 "PI 제어"라 부른다. 정상상태 오차를 없애기 위해 사용되며 반응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PI 제어기의 특성 그래프 파란 선은 P 제어에 의한 조작 량이고, 녹색 선이 I 제어에 의한 조작 량이다. 그림을 보면 I 제어는 일정 시간 동안 오차가 누적되어 일정 값을 넘어서면 시작하게 된다.

D(미분) 제어와 PID 제어 PI 제어로 실제 목표 값에 가깝게 하는 제어는 완벽 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또 하나 개선의 여지가 있다. 그것은 제어 응답의 속도이다. PI 제어에서는 확실히 목표 값으로 제어할 수 있지만, 일정한 시간(시정수) 이 필요하다. 이때 정수가 크면 외란 이 있을 때의 응 답 성능이 나빠진다. 그래서 필요하게 된 것이 미분 동작이다. 이것은 급격히 일어나는 외란 에 대해 편차 를 보고, 전회 편차와의 차가 큰 경우에는 조작 량을 많이 하여 기민하게 반응하도록 한다. 즉 D 제어는 오차 값의 변화를 보고 조작 량을 결정 하는 방법이다.

PID 제어기의 특성 그래프 D 제어는 오차의 변화의 반대방향으로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오차의 값을 미분한(즉 빨간 선의 기울기)의 반대방향으로 조작량을 변화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빨간 선과 파란 선을 비교하면 서로 반대의 모양으로 급격하게 조작 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제어기의 특성과 각 요소 Overshoot 목표 값에 비해서 최고로 오차가 커지는 부분이 얼마인가를 보는 것이다. 이 값이 너무 커지면 시스템에 무리를 줄 수도 있다. 정착시간 제어는 어차피 완전히 100% 수렴 할 수는 없다. 그래서 목표 값의 ±2%에 들어가면 제어가 완료된 것으로 본다. 그 시간이 짧을 수록 좋은 제어기이다. C. 정상상태 오차 제어 량이 목표량의 일정범위에 도달하였으나 없어지지 않고 남아있는 오차이다.

PID 제어기 정리 P 제어는 PID 제어기에서 반드시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제어이며 구현하기 쉽다. 그러나 이 제어만으로는 I 제어 가 플랜트에 없을 경우에 정상상태 오차가 발생한다. I 제어는 정상상태 오차를 없애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계수조정이 잘못되면 시스템이 불안정해지고 반응속도가 느려진다. D 제어는 잘 활용하면 안정성과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는 데 시스템에 잡음성분이 있을 경우 제어입력에 나쁜 영향 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D 제어는 편차의 미분을 바탕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매우 민감한 제어이다. 그러므로 외부의 신호나 잡음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시스템이 쉽게 불안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D 제어는 유량이나, 압력, 온도와 같은 프로세 서 제어에 필요하지는 않다.

자료 출처 제어시스템공학 - 청 문 각 제어시스템공학 - 생능 출판사 제어시스템공학 - 생능 출판사 http://kr.blog.yahoo.com/kkhpys/1045 http://maxpulse.tistory.com/139 http://blog.daum.net/sq599/1272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