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ELERATORS in KOREA, PAST and PRESENT MY PERSPECTIVE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GNEP 관련 국제동향 양 맹 호 * 본 자료의 의견은 개인 의견임을 미리 밝혀둠.
Advertisements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1 내용 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 생명주기의 의미  생명주기 모델 –Waterfall Model –prototyping model –Spiral Model –Iteration Model.
기상청 레이더 운영 현황 및 향후계획 기상청 원격탐사과 김 병 선
기초 디자인 프로젝트 ( Foundation for Electronics System Design ) S G Sogang Univ. Robot & Vision Lab. September 2007 Byung-Sung Kim 모터 구동.
한국전력기술 송이철 전기설비기술기준 워크샵. HEMP 관련 규격 HEMP 대책 EMP 위협 HEMP 방호 성능 검증 결론 전기설비기술기준 워크샵.
인하공전 기업소개자료 주성엔지니어링㈜ 인사팀.
DIGITAL TELEPHONE LINK
목차 국가 R&D 기획ㆍ조정ㆍ평가 체계 국가 R&D 사업의 조사ㆍ분석 국가 R&D 예산 조정ㆍ배분 국가 R&D사업의 평가
울산환경운동연합 기후변화와 재생 에너지 -햇빛과 바람으로 탈출하라! 김형근 울산환경운동연합 기획실장.
천연가스(LNG) 보급촉진 제도 JULY 7, 2005 한국가스공사 영 업 처.
User activities and proposals at FRIB
KCMS-MECARO GEM Production Status RD51 meeting Feb. 22, 2017
Mother glass 표준화가 TFT LCD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troduction of SOC Credit Guarantee System (Oct. 2012)
Evaluation of Green roofs from the Water-Energy-Food Nexus perspective
DEOK KWANG HEAVY INDUSTRIES.CO.,LTD.
방사성폐기물 처분의 안전성평가 - 수학적 모델의 사용 -
Lecture review 김대석 기계시스템공학부 Division of Mechanical System Engineering,
건설생산시스템과 CM 건 설 교 통 부 건 설 관 리 과.
Heavy Ion Facility, Present and Future
Nondestructive Material Testing with Ultrasonics
High-voltage Bushings
ORAS 온라인 채용대행 솔루션 제안서 (Online Recruiting Application Service)
모형설계제작 서강대학교 기계공학과
철강의 고온 파단 시 만들어진 주상절리 (1) (2) (3-1) (3-2)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x100)
WG1 Report Detector Jun-Suhk Suh KNU/CHEP 12/29/2004
다편파 레이다 산란계(X, C, L-band)를 이용한 벼 군락의 산란특성 측정
건축물의 Life Cycle Cost 목원대학교 건축도시공학부 박 태 근.
민 · 군 합동조사단 C I V – M I L J I G.
A STUDY FOR RFID APPLIC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High Voltage Engineering Symposium ,22-27 August 1999
 midi LOGGER GL220   신제품 소개 Dec, 2011.
‘CEO의 8가지 덕목’ 탁월한 리더의 공통점 ‘무엇을 하고 싶나’ 보다 ‘무엇을 해야 하나’ 를 물음
EARNED VALUE MANAGEMENT
Qualit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연구소의 R&D 관리 - 과제 선정/개발/상품화 -
DIGITAL VIDEO LINK FCC PRODUCT SPECIFICATION EL – V2202 TX / RX LINK 1
Heavy Ion Physics Experiments Survey
과학기술 발전의 형태와 특성 최 영 락 고 려 대 학 교.
Program Management - Program and Project Definition -
- Make Processes Manageable -
무선통신 기본지식 김 상 철.
2nd ILC-Korean Workshop WG3 Accelerator Technology SRF Technology
BPR 추진전략 및 사례 1.
좋은 공학논문 작성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기계요소설계 I 기초 기계설계 (大英社) Web Vision 21C Co., Ltd.(
국가우주개발 미래 비전 수립 김 병 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략협력실
SungKyunKwan University
핵반응을 이용한 TiT 표적의 특성 분석 한국 자원 연구소 김기동, 양태건, 김준곤, 김영석 홍완, 최한우, 우형주
Team no.13 Tech TonicS.
2007 INVESTOR GUIDE.
(주)IBS 인재육성을 위한 전략적 교육 훈련 계획
Test of CaMoO4 crystal for double beta decay experiment
습도변화에 따른 X-band GB-SAR 시스템의 위상지연
myfood.com 상명대 맛집 홈페이지 구축 제안서
안과 레이저 (Opthalmology laser)
핵반응을 이용한 TiT 표적의 특성 분석 한국 자원 연구소 김기동, 양태건, 김준곤, 김영석 홍완, 최한우, 우형주
괗과학비지니스벨트 중이온가속기 (가칭) KoRIA 프로젝트 채종서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목차 변경 및 형상관리의 기초 개념 형상항목 확인 및 버전관리 변경관리 감사 및 감사보고 99_11
2005년 3분기 경영실적(잠정) October, 2005.
홍완, 김기동, 김영석, 이진호, 양태건, 김준곤, 최한우, 우형주
저널클럽 검출기 조기현.
Horizontal Axis,Gearless
Metal Forming CAE Lab.,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resented by An Min-ho ( )
탄뎀형 가속기용 빔 bunching 시스템의 제작 및 설치 I
전략적 경영관리.
제16대 총장 취 임 사 신 성 철 총장 Inaugural Address of the 16th President
ARM프로세서 1.전기의 발생 2.전류전압저항 Sept. 1, 2010 Yongwon Lee
Presentation transcript:

ACCELERATORS in KOREA, PAST and PRESENT MY PERSPECTIVE 18th ICABU2014 NOV 12 2014 Y Y LEE

1959 BEVATRON COSMOTRON SYNCHROPHASATRON AGS 1960 CERN PS TWO YOUNG MEN SENT TO STUDY ABOUT ACCELERATOR

EVENTS AROUND 1959 1958 KOREA ATOMIC ENERGY INSTITUTE ESTABLISHED 1959 FIRST HOME BUILT CYCLOTRON REPORTED 1960 TWO YOUNG STUDETS BEEN SENT ABROAD TO LEARN/STUDY ACCELERATOR EVENTS AROUND 1959

The First Cyclotron in Korea (1959) 1.5 MeV Cyclotron B field : 18,000 gauss Weight : 2 tons Pole diameter : 22 cm Max. Current : 10-9 Amp M.J. Rhee et a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59) First Cyclotron (1932) by E.O. Lawrence (Phys. Rev. 40, 19 (1932)

Development of Cyclotrons in Korea Development of KIRAMS-30 (‘07) 2010 - 1MeV Cyclotron (‘00) 13MeV Cyclotron (‘02) Regional Cyclotron Centers 1st Cyclotron in Korea (‘59) 2007 - Proton Cyclotron Operation(‘14) 70MeV Cyclotron (‘19) 1999 - 1984- MC50 Cyclotron Operation(‘84) C30 Cyclotron Operation(‘01) C235 Cyclotron Operation(‘06)

동기 1979말 공대 관악 이전  가속기 실험공간(31동) 마련 실행   동기 1979말 공대 관악 이전  가속기 실험공간(31동) 마련  수직 Tandem형 전환(수평형 문제점 해소, 다양한 이온 가속) (정기형, 박혜일)  본격 착수 (과학재단, IAEA 지원) 실행 1. 가속기 공간 개발  1,2, 지하층 관통(헤머로 뚫기, 정기형, 홍상희, 대학원생) 2. 가용 자원; 공작기기 & 기술, 1,680만원(과학재단) (최종완 과기처장관) 3. 주요 부품 조달 (교내.외)) • 압력용기: 수평형 개조(안전, 기밀문제)새 압력용기 교체(85) (공대 이낙주학장) • 고전압 터미널: SUS 재질로 섬유과 폐품 개조 (직경 58cm x 103cm) • 질량분리 전자석: 물리과 1MeV 사이클로트론 전자석 (물리학과 제공) • 고전압 안정기: Corona Probe + 고저항 (M.K. Metha/IAEA, 박혜일) 4. 장치설계 • 이온빔 수송계통 설계: BOTDM 프로그램 (FOTRAN) 개발 (수송행렬법) (전체 빔 수송계통 확정  개별 광학부품 특성 결정) • 펠렛 설계 : 운반전류; 85x2uA @ 16.3m/s @ 8kg/cm2 • 이온광학부품 : 90도 전자석, EQT, 가속관, 질량분리 전자석, MQD 등 • 빔라인 부품: BPM, Stripper, Steerer, Slit, Generating Voltmeter 등 5. 제작, 시험 • 절연지지대/ 가속관: Stack 조립식 (정기형, 김기홍)/ Porcelain 링 접착 (박주식) • 전하운반: 유도 충전식  펠렛 체인: 스텐관 + 나이론봉 (정기형, 박주식, 우형주) • 자기4극(최희동), 전자석(김기홍) 탄소 포일 (우형주, 조규성) • 조립 시험 (우형주, 박주식, 조규성, 고승국, 이헌주, 황순모, 배영덕, 정대욱 & 대학원생) 결과 • H-음이온 인출(15uA) • 도달전압(1.3MV) • 운반전류(113uA) @8kg/cm2 • 각종 이온광학부품 및 가속기 구성품 특성 시험 완료  박사 논문 * 이온 가속 시험 (86 우형주, 조규성) 및 운전 배움 기술적 : Tandem의 이론과 실제를 배우고 익히다. 정신적 : 모두 힘과 재주를 모아 해냈다 !

High energy and Accelerator workshop FERMI, SPS,PEP,PETRA

Pohang Light source Initiated TEVATRON, LEP

PAL Chronology 1980 1988. 05 Foundation of the Pohang Accelerator Laboratory 1989. 07 Ground breaking 1990 1991. 04 Starting the building construction 1994. 12 Completion of the Pohang Light Source (PLS) 1995. 09 Start of the user service (with only 2 beamlines) 2000 2002. 11 PLS beam energy upgraded to 2.5 GeV 2004. 09 20th beamline available to the user 2009. 01 PLS upgrade project start (3.0 GeV PLS-II project) 2010. 12 Starting dismantlement of the PLS 2011. 06 Completion of PLS-II installation 2012. 03 Resume the user service of PLS-II 2010 2010. 01 Government approval of PAL-XFEL project 2010.05 Project Manager appointed by MEST (Prof. In Soo Ko) 2015.12 Expected completion of PAL-XFEL

PAL Major facility Storage ring Beamline Linear accelerator Total site : 651,048㎡ Linac : 170m (3.0GeV) Strorage Ring : diameter 88m, Circumference 280m Beamline : 30 beamlines in operation

PLS-II Machine Parameters PLS-II (present) PLS (old) Beam Energy (GeV) 3.0 2.5 Beam emittance (nm-rad) 5.8 18 Beam Current (mA) 400 200 No. of Insertion Devices 20 10 Tune (H/V) 15.28 / 9.18 14.28 / 8.18 Natural chromaticity (H/ V) -32.95 / -14.88 -23.36 / -18.19 Harmonic Number 470 468 RF Frequency (MHz) 499.973 500.087 RF voltage (MV) 3.3 (Super Conducting) 2.0 (Normal Conducting) Lattice DBA TBA Operation mode Top-Up Decay Photon Beam Brightness ~1020 ~2×1018

PAL-XFEL Layout Out vacuum Undulator Photocathode RF-gun 3.0 GeV Undulator Line HX1 SX1 Wavelength [nm] 0.06 ~ 0.6 1 ~ 4.5 Beam Energy [GeV] 4 ~ 10 3.15 (2.55) Wavelength Tuning 0.1 ~ 0.06 (Undulator Gap) 0.6 ~ 0.1 (Beam Energy) 3 ~ 1 (Undulator gap) 4.5 ~ 3 (Beam Energy) Undulator Type Planar Planar + APPLE II Undulator Period [cm] 2.6 3.4 Undulator Gap [mm] 8.3 Modulator, Klystron S-band Accelerating Structure

Light Brightness comparison PLS-II (3 Gen.) ~10 billion times Brighter ! PAL-XFEL (4 Gen.)

Aerial view of PAL (Oct 2014) posco iron & steel Co. e PAL-XFEL PLS-II 3-GeV Injector Linac PAL site overview as of Oct. 26, 2014

 양성자가속기 타당성조사연구(96-97, 원연, KAPRA) - 해외 관련연구 시찰 (미 LANL, ORNL, ANL, 97.2 단장,남궁원) - 1회 국제 양성자가속기 워크샵 개최(97.9, 서울대) KOMAC Review : 가속기개발, 이용, 건설 이슈 등 참석자 : 97명 (국외연사 : 조양래, 이용영, 김석홍, 신용무] * International Workshop  ICABU 로 확대 발전  원자력산업용 가속기 개발계획 수립(특정연구, 원연) - KOMAC 및 APR 계획(안) 수립 & 입사기 개발 및 평가 - 2회 양성자가속기 워크샵 (중앙대 안성캠퍼스) KOMAC 개발계획(안) 및 기본설계 검증 참석자: 125명 (중앙대 협찬)  중점 국가연구개발사업(과기처) 제안 – 채택 않됨 과제명: 대용량 양성자가속기 건조 및 산업적 이용  원자력중장기과제 채택(97-02) 대과제 (최병호) : 핵종변환 및 장치개발 세부과제 : 핵파쇄 장치개발

1997 FIRST HIGH POWER PROTON LINAC CONTEMPLATED FIRST ICABU

KOMAC Overview Proton Engineering Frontier Project (PEFP) : 1st phase of KOMAC 21C Frontier R&D Program, MEST, Republic of Korea Objectives: To develop a High Power Proton Linac (100MeV, 20mA) To develop Beam Utilization & Accelerator Application Technologies To Industrialize Developed Technologies Period: July 2002 – December 2012 Budget: 307.4 B KRW (~275.0 M US$) Gov.: 176.3B(57.3%), Local Gov.: 118.2B(38.5%), Industry: 12.9B(4.2%) 66B KRW to Accel. & Beamline (including R&D & personnel expenses ) KOMAC : KOrea Multipurpose Accelerator Complex

Accelerator Development Develop proton linac technologies over the past 10 years Microwave ion source 3MeV, 350MHz RFQ 3MeV~ 100MeV, 350MHz DTL 5 cell elliptical SC cavity Digital LLRF system EPICS based control system

Long-term Plan : Upgrade Proton Accelerator 1GeV, 2MW Proton Accelerator, Pulsed Neutron Source 1GeV, 2MW SFR Linac Long-pulse Neutron Source Short-pulse Acc. Ring Included in National Large Research Facility Road Map('10.12) 1GeV, 2MW Proton Linac + Pulsed Neutron Source To Contribute and advance Neutron Science with Reactor Source Upgrade Plan 1 2 3 4 5 6 7 8 9 10 11 CDR Development (6years) Survey TDR Operation Strategy for Upgrade Project Accelerator: Developed by KOMAC Target: Utilize MEGAPIE Results (SINQ) Neutron Facility: Cooperate with Hanaro ※ SFR Tech and Land are secured

연구동(2단계 구축) 치료센터동(1단계 구축)

RFQ Prototype RFQ Design (2013.08) Design review (2013.11) - vane machining and 3D measurement - The 1st brazing failed (2014.04) - Brazing procedure modified (2014.05) - Confirmed brazing procedure (2014.06) - RFQ prototype completed successfully through domestic vendor (2014.10) RFQ Prototype test - 15kW SSA, coupler, RCCS are ready RFQ coupler Leak test

Superconducting cavity QWR HWR Parameters Unit QWR HWR SSR1 SSR2 bg - 0.047 0.12 0.30 0.51 F MHz 81.25 162.5 325 Aperture mm 40 50 QRs Ohm 22 42 94 112 R/Q 468 310 246 296 Vacc MV 1.1 1.5 2.4 4.1 Epeak MV/m  35 Bpeak mT  57 55 58 64 Qcalc/109 2.1 4.2 9.0 10.5 Temp. K 4.5 2 SSR1 SSR2 (Ep = 35MV/m)

CONCLUSION ALTHOUGH KOREAN ACCELERATOR PROGRAM HAS STARTED LATE OWING TO EFFORTS AND TALENTS OF MANY MANY OF THEM ARE HERE TODAY WE HAVE PROGREESSED LEAPS AND BOUNDS TODAY WE ARE ABOUT TO BE EVEN WITH REST OF WORLD AHEAD OF?? X-FEL RAON CONCLUSION

THANK YOU

SC Cavity Prototyping CAVITY Manufacturing Process MATERIAL INSPECTION DEEP DRAWING MACHINING 3D SCAN (CMM) BCP EB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