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무역환경 및 수출입 전망 2004. 2. 17 한국무역협회.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Advertisements

( 화 ) 주네덜란드대사관 (e)2013(e) GDP(%) 민간소비 (%) 투자 (%) 정부지출 (%)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 10 월 주식시장 전망 개인고객부 자산관리팀 월 중 주요 변수 ( 긍정적 요인 ) 주요국 증시의 긍정적 흐름 주요국 증시의 긍정적 흐름 지지선 확인 후 전 고점 돌파 기업실적 및 경제 호조 전망으로 상승 이중 바닥형성 후 상승 시도  서브프라임 이후 글로벌.
한국 섬유산업 및 해외투자 현황 통상마케팅팀 팀장 김부흥. 1 목 차 1 1 한국 섬유산업 현황 2 2 한국 섬유산업 해외투자 현황.
한국경제 : 전망과 과제 김 종 석 한국경제연구원 원장 ‥ 2 ‥ 한국 경제 ‘ 건강진단표 ’ 거시 경제 변수 2007 년 말 2008 년 3 월 말정상치 GDP 성장률 5.0%5.7%4.5% ~ 5.0% 실업률 3.2%3.4%3.0% 물가상승률.
현장에서 본 카자흐스탄 경제 동향 및 전망 알마티 무역관. 카자흐스탄 경제 관전포인트 ( 내부 )  정부 - 금년 4.26 일 대통령 선거 조기실시 => 차기 선거 2020 년 - 향후 5 년간 안정적 경제정책 추진 가능  개인 - 13 년까지는.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Google, Apple, Amazon 의 2012 년 2 분기 실적 분석과 하반기 전망  지난 7 월 대표 인터넷 기업 Google, Apple, Amazon 의 2012 년 2 분 기 실적이 발표된 가운데, 3 社 모두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증가했지만 실제 사업.
세계 스마트폰 시장 현황 및 당사 매출 분석 보고서 전략기획팀 이상훈 팀장.
재정적자 규모. 주요국 CPI 중국 수출에 밀접한 연관 경제지표일정 중국 2 월 물가지수 및 소매판매, 산업생산 미국 2 월 소매판매.
제 26 강 : 국제 수지 1 한국경제교육협회 일반인 표준 경제 개념 10. 국제 거래와 환율.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국제 석유시장 동향과 유가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차 례 1. 국제유가 변동 추이 2. 최근 유가 급상승, 요인 진단 A. 석유실물시장 : 펀더멘털 B. 석유선물시장 : 투기수요 3. 결론 : 초고유가 지속의 배경 4. 하반기 유가전망.
사업 요약서 ㈜티엠바이오 ○ 패건전지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 패건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사업 등장 - 패건전지 활용 벽돌 생산 업체 등 ▶ 패건전지 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기술의 장벽으로 기존 사업의 경우 저수익의 사업 구조를 가짐 ○ ㈜티엠바이오.
2016 Weekly Stock Momentum Analysis Hanyang University Investment Club STOCKWARS 주간증시동향 ~ 3.17.
정부의 역할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POD&mid=tvh&oid=422&aid=
1 2. 시황 및 전망 ♦ 미국 금리인상 우려로 급락후 반등 과정  대형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수급이동이 KOSPI, KOSDAQ 의 극명한 수익률 차이를 보임.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세계 석유시장 동향과 유가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I. 수요 동향 II. 공급 동향 III. 재고 동향 IV. 원유가 동향과 전망 차 례 1.
2 차 전지 성장성과 수익성은 지속 2010 년 IT 용 2 차 전지 시장은 전년대비 15% 성장 예상 스마트폰 및 넷북 수요 확대로 소형 2 차전지 수익성 지속 모멘텀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확대 애플 아이폰 출시와 같은 스마트폰 수요증가 다음주 애플 테블릿 PC.
기획조정실 요청 정유선 연구원 제작 2015년 1월 경기도 경제동향 경기개발연구원 유영성 연구기획실장 경기개발연구원 유영성 연구기획실장.
부산경제미래포럼 년 우리경제 전망과 과제 한국은행 부산본부 박 이 락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베트남의 문화 & 경제 경영학과 김태성 경영학과 김시홍 벤쳐중소 전석곤 정통전공 송성식 전기공학 박주영 경제학과 서준영.
외환제도의 역사 과거에 국가간 무역거래와 금융거래의 형태는? 금본위제도(1821~1914) 금환본위제도( 중간기 )
세계시장 탐방 제 1 강 Introduction 세계속의 우리나라 무역 무역학과 고중현 교수.
세계시장 탐방 제 1 강 Introduction 우리나라 수출입동향 무역학과 고중현 교수.
주간 자산관리 전략( ) Wealthcare센터 서경덕 차장.
2007년 경제 및 경영환경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시장 진단 이 슈 추 세 - 미국 경기 부양 의지 확인 - 한국 증시 재평가 지속 - IT 업종 반짝 상승!
Ⅰ 수급 및 가격동향 Ⅱ 수급 및 가격변동 요인 Ⅲ 2008년 시장 전망.
2005년 경영 환경 전망 2004년 10월 19일 홍 순 영.
2005 1분기 경영설명회 ㈜ 세아베스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동향분석실장 노 성 호
제주신용보증재단 2014년 주요업무보고.
국제석유시장 동향과 유가전망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및 하반기 전망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수출 경쟁력
계량분석에 의한 중동부유럽 경제위기 진단과 시사점
환율에 대하여 예비 9기 조영완.
2012 PISA 한국 VS 핀란드.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년 10월호 영업현황1p 주가동향 3p 알림 4p.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토론> 미국 금리인상 및 중국 환율 평가절하 전망과 한국에 미치는 영향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FTA - 한미 FTA.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제4장 세계화 이슈 제1절 세계화와 빈곤 제2절 세계화와 환경 제3절 세계화와 노동 제4절 세계화와 지역화 논쟁.
2002 3/4분기 실적.
제8장 개방거시경제이론 제1절 주요개념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한국의 경제성장율 추이 저출산율 (25 ~ 29, 단위 %) 임금과 노동생산성의 변화율
폐업·도산 사유로 고용보험을 상실한 근로자 자료 : 한국고용정보원 제조업 23.8 % 기 타 36.8 % %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년 11월호 영업현황1p 요약 재무제표 4p 주가동향 6p.
Bizforms PowerPoint 표준 신년도 사업계획서(제조) 원본 PPT 바로가기 >
도움이 되었다 61.2 % 별도움이 되지 않었다 38.8% 한미 FTA 가 미국 수출에 한미 FTA 이행의 어려움 1 2 3
2002년 상반기 기업설명회 Investor Relations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2018년 2/4분기 성과평가보고서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
수출입 물가지수와 경상수지 수출물가지수 경상수지(10억불) 수출액(10억불)
Signal vs. Noise 차 영 주 와이즈경제연구소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2016 한국은행 국정감사 추경호 국 회 의 원 (대구광역시 달성군).
Presentation transcript:

2004년 무역환경 및 수출입 전망 2004. 2. 17 한국무역협회

CONTENTS Ⅰ 2003년 한국 경제와 무역 Ⅱ 2004년 무역 환경 Ⅲ 2004년 수출입 전망 Ⅳ 정책과제

Ⅰ. 한국경제와 무역 1. 한국경제의 현황 (1) 지난해 우리 경제는 내수침체로 경제성장률이 3%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기부진을 경험 내수 위축 심각 · 민간소비 : 2002년 6.8% 증가에서 1.1% 감소로 반전 · 설비투자 : 1.2% 감소 수출 호조가 경제성장의 버팀목 <주요 경제지표 추이> 2001년 2002년 2003년 상반기 하반기 연 간 경제성장률(%) (민간소비) (설비투자) 3.0 4.7 -9.6 6.3 6.8 2.8 -0.7 0.4 3.1 -1.5 -2.8 2.9 -1.1 -1.2 실업률(%) 3.8 3.4 취업자 증가율(%) 2.0 0.0 -0.3 -0.1 수출증가율(통관기준, %) -12.7 8.0 17.4 20.3 19.6 경상수지(억달러) 82 61 8 112 120 자료 : 한국은행 ; 한국무역협회

Ⅰ. 한국경제와 무역 1. 한국경제의 현황 (2) 수출의 경제성장 기여율은 100%를 훨씬 넘을 것으로 추정 Ⅰ. 한국경제와 무역 1. 한국경제의 현황 (2) 수출의 경제성장 기여율은 100%를 훨씬 넘을 것으로 추정 2000년 37.6%, 2001년 19.4%는 물론 2002년 54.0% 보다 크게 높음 <GDP 부문별 성장률 추이> <내외 수요별 경제성장 기여율> 100 훨씬 초과 (%) (%) 16.8 2.3 -1.9 -4.7 2001년 2002년 2003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추정) 주 : 1. 산업연관(Input-Output Analysis) 효과 2. 1998년 I/O표 이용(2000년 I/O표로 update 중임) 3. 2003년은 추정치

Ⅰ. 한국경제와 무역 2. 2004년 한국경제 전망 2004년중 국내 경제는 5% 내외 성장 전망 Ⅰ. 한국경제와 무역 2. 2004년 한국경제 전망 2004년중 국내 경제는 5% 내외 성장 전망 전망의 Downside-Risk · 내수회복 : 신용불량자, 고용시장 불안 · 노사관계 : 주5일제 시행, 비정규직 문제 · 금융불안 : 카드채 문제, 가계부채 · 정치불안정 및 북핵문제 <2004년 국내경제 전망> (%) 2003년 2004년 한국은행 KDI SERI LGeri 실질 GDP 민간소비 설비투자 2.9 -1.1 -1.2 5.2 3.2 6.5 5.3 4.5 9.8 4.3 4.2 5.1 4.8 실업률 3.4 - 3.0 3.3 소비자물가 3.6 2.8 수 출 19.6 11.6 15.0 14.8 15.7 주 : 2003년은 한국은행 추정치

Ⅰ. 한국경제와 무역 3. 2003년 무역동향 (1) 수출 19.6% 증가 무역흑자 155억달러 중국 및 아시아 수출확대 Ⅰ. 한국경제와 무역 3. 2003년 무역동향 (1) 수출 19.6% 증가 무역흑자 155억달러 중국 및 아시아 수출확대 IT, 비IT 제품 동시 호조 수출단가 상승세 반전 세계경제 회 복 (억달러) 2002년 2003년 상반기 하반기 연 간 수 출 759 (-3.3) 866 (20.3) 1,625 ( 8.0) 891 (17.4) 1,943 (19.6) 수 입 710 (-2.2) 811 (18.4) 1,521 ( 7.8) 859 (21.0) 1,788 (17.5) 수 지 49 ( -10) 54 ( 20) 103 ( 10) 32 (-17) 155 ( 52) 주 : ( )내는 증가율, 무역수지는 증감액

Ⅰ. 한국경제와 무역 3. 2003년 무역동향 (2) 수출 2천억달러에 근접 외환위기 이후 6년 연속 무역 흑자 달성 Ⅰ. 한국경제와 무역 3. 2003년 무역동향 (2) 수출 2천억달러에 근접 지난 `95년 1천억달러 수출달성 이후 8년만에 2천억달러에 근접 * 수출 1,943억달러 (19.6% 증가) * 수입 1,788억달러 (17.5% 증가) 외환위기 이후 6년 연속 무역 흑자 달성 `99년 이후 최대인 155억달러 무역 수지 흑자 기록 <무역수지 추이> (억달러) (억달러) 최대흑자연도 (390억달러) `97 `98 `99 `00 `01 `02 `03

Ⅰ. 한국경제와 무역 3. 2003년 무역동향 (3) 중국, 최대 수출시장 부상 IT · 비IT 제품의 동시 호조 Ⅰ. 한국경제와 무역 3. 2003년 무역동향 (3) 중국, 최대 수출시장 부상 총수출중 18.1%의 비중을 차지 ⇒ 아시아의 비중도 97년 이후 처음 으로 50% 상회 <지역별 수출비중> IT · 비IT 제품의 동시 호조 IT 제품 : 반도체 (16.7% 증가) 무선통신기기 (39.2% 증가) 컴퓨터 (14.8% 증가) 비IT 제품 : 자동차 (29.2% 증가) 조선 (10.7% 증가) <IT제품 수출증가율 추이> (%) 1∼11월 IT 제품 비IT 제품 (%) 19.9 17.1

<수출물량 증가율과 수출단가 상승률> Ⅰ. 한국경제와 무역 3. 2003년 무역동향 (4) 수출단가 상승세로 반전 화학, 철강제품 등의 가격회복 - 한편, 수출물량은 경공업 중심으로 증가세 둔화 <수출물량 증가율과 수출단가 상승률> 경쟁국 대비 높은 수출증가율 중국을 제외하면 증가율이 가장 높음 주요 경쟁국이 모두 수출 증가세 <경쟁국의 수출동향> (%) 2001년 2002년 2003년 수출물량 수출단가 (%) 4.1 11.5

원화 강세기조, 가격경쟁력 약화 ※엔화강세여부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달러약세 · 미국의 경상적자 누적 중국의 부상과 경쟁 심화 통상환경 불투명 · 미국의 보호주의 경향 · 개도국 수입규제 강화 수출증가· 불안요인공존 세계교역 확대 원화 강세기조, 가격경쟁력 약화 ※엔화강세여부 국제경쟁 심화 수입규제 강화 세계경제 회복세 불안요인 : 미국의 쌍둥이 적자 중국의 과열 우려 국내투자, 소비 회복 · 국내경기 회복 수입 증가 요인 우세 수입수요 증대 유가 불안,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수입가격 불안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1. 세계경제 회복 (1) 2004년 세계경제는 4% 성장으로 예년 수준 회복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1. 세계경제 회복 (1) 2004년 세계경제는 4% 성장으로 예년 수준 회복 미국의 경제회복 지속과 중국의 성장이 회복의 모멘텀으로 작용 세계교역은 7% 내외의 성장 유력 (`03년 4.6% 추정) 추가테러 위험, 보호무역주의 압력 증가가 불안요인 <세계경제 성장 전망> (%) 2002년 2003년 2004년 IMF 세계은행 EIU 세계실질 GDP 3.0 3.2 4.1 3.9 선진국 미 국 일 본 E U 개도국 아시아 1.8 2.2 0.2 0.9 4.6 6.4 2.6* 2.0 0.5 5.0 2.9 1.4 1.9 5.6 6.5 2.5 3.4 1.3 1.7 4.9 6.7 - 1.6 세계무역 7.9 주 : 2003년은 IMF 추정치 (단, 세계무역은 세계은행) * 美 BEA 발표 3.1% (2004.1.30)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1. 세계경제 회복 (2) 4% 내외의 높은 경제성장 기대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1. 세계경제 회복 (2) 4% 내외의 높은 경제성장 기대 - 기업수익과 생산성 향상으로 고용, 투자 확대 - 弱달러로 인한 수출 호조 기대 2003년 0.5%에서 금년 1% 후반으로 회복 - 미국 등 세계경제 회복으로 수출과 투자가 회복 - 유럽중앙은행의 저금리기조 유지 2003년 보다 낮은 1.5% 수준에 그칠 듯 - 세계수요 회복으로 수출증가세 지속 - 그러나 고용과 민간소비의 부진할 것으로 전망 8%대의 가파른 성장세 지속 - 내수와 수출의 지속적인 호조세 - 경기과열을 우려하는 정부의 조정 가능성 상존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1. 세계경제 회복 (4) 미국경제 전망 <미국경제 전망>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1. 세계경제 회복 (4) 미국경제 전망 2002년 경제 성장률 : 2.2% 2003년 하반기 이후 급속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 재정지출 확대, 금리인하 등 경기부양책의 효과 현실화 · 소비 및 투자심리 회복 2004년에는 잠재성장률을 상회하는 4%대 성장 전망 · 기업의 수익성 및 생산성 향상에 따른 설비투자 증대 · 달러 약세에 따른 수출호조 예상 <미국경제 전망> (%) 전망시기 2003e 2004 IMF OECD J. P. Morgan Goldman Sachs Lehman Brothers Deutsche Bank `03. 9 `03. 11 `03. 12 2.6 2.9 3.0 3.1 3.9 4.2 4.4 5.1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1. 세계경제 회복 (5) <EURO 경제 전망> EURO 경제 전망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1. 세계경제 회복 (5) EURO 경제 전망 해외 수요 호조에 따른 수출증대로 2004년 1.8% 내외 성장 달성 · 민간소비 : 물가안정, 고용증대로 회복 · 수 출 : 유로화 강세에도 불구하고 세계수요 증대로 회복 국별로는 독일, 프랑스도 1% 후반의 견실한 성장 예상 <EURO 경제 전망> (%) 2002 2003 2004 유로지역 EU 집행위 Deutsche Bank 0.9 0.4 0.5 1.8 독 일 0.2 0.0 0.1 1.6 1.7 프랑스 1.2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1. 세계경제 회복 (6) 일본 경제 전망 <일본 경제 전망>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1. 세계경제 회복 (6) 일본 경제 전망 소비 부진으로 2003년의 2%대에 비해 둔화된 1%대 후반의 성장에 그칠 전망 (2002년은 –0.4% 성장) · 민간소비는 고용불안 등으로 호전을 기대하기 곤란 · 수출과 설비투자는 증가세 지속 * 수출 증가율 : 2003년 15.2% 추정 → 2004년 9.2% (EIU) * 설비투자 증가율 : 2003년 12.8% 추정 → 2004년 4.4% (EIU) <일본 경제 전망> (%) 전망시기 2003 2004 일본 경제연구센터 노무라증권 Goldman Sachs Deutsche Bank `03. 11 `03. 12 2.6 2.0 2.2 1.5 1.3 1.6 2.3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1. 세계경제 회복 (7) 중국 경제 전망 <중국 경제 전망> (%)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1. 세계경제 회복 (7) 중국 경제 전망 경제성장 : 소비가 주도하는 가운데 8% 이상 성장 가능 · 국내소비 (실질) 9.5% 이상 성장세 유지 (사회과학원) · 불안요소 : 위안화 평가절상 가능성, 경기과열 우려 <중국 경제 전망> (%) 中사회과학원 국가통계국 EIU J.P. Morgan Goldman Sachs GDP성장률 8.0 8.5 8.4 대외거래 : 2003년 세계 3대 무역국으로 부상 · 2003년 교역액 8,500억달러 → 2004년 1조달러 (미국, 독일, 중국) - FDI : 700억달러 유입(inflow)으로 성장 원천 · 2003년 FDI 실행액 535억달러 (1.4% 증가) → 700억달러 (30% 증가)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2. 환율 및 유가 (1) 2004년중 달러화는 약세를 지속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2. 환율 및 유가 (1) 2004년중 달러화는 약세를 지속 미국의 경상수지 및 재정수지 적자 확대, 저금리기조 유지, 테러위험 상존 등으로 약세 예상 · 2월 6일∼7일 G7 재무장관 회담 결과가 주목됨 정치적 측면으로는 美대선으로 인한 弱달러 유지 가능성 농후 연말 엔화 100엔/달러 내외, 유로화는 1.30달러/유로 내외 전망 <국제 환율 전망> 엔/달러 달러/유로 6개월 12개월 J.P. Morgan (1월7일) 102.00 95.00 1.3000 1.3700 Goldman Sachs (1월12일) 1.2600 Morgan Stanley (1월22일) 105.00 106.00 1.2800 1.2300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2. 환율 및 유가 (2) 원/달러 환율은 1,100∼1,140원대의 완만한 하락세 지속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2. 환율 및 유가 (2) 원/달러 환율은 1,100∼1,140원대의 완만한 하락세 지속 수출 호조 지속 국내경제 성장 - 달러약세, 엔화강세 중국의 페그제 고수 북핵문제 악화 내수부진 가능성 원화 강세 제약요인 원화 강세 요인 - 그러나 1,050원대까지 하락도 배제하기 어려움 <원화 환율 전망> 전망시점 전망시 환율 `04. 3월말 `04. 6월말 `04.12월말 Morgan Stanley J.P. Morgan Goldman Sachs `03.12.18 `03.12.10 `03.12.15 1,189 1,182 1,160 1,125 1,110 1,170 1,100 1,025 1,120 1,050 국내은행(13개 은행) 국내기업(15개社) `03.12 1,183∼1,190 1,178 1,173 1,155 1,139 1,135 자료 : 한국은행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2. 환율 및 유가 (3) 최근 국제유가는 작년 이라크전 이후 최고치를 기록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2. 환율 및 유가 (3) 최근 국제유가는 작년 이라크전 이후 최고치를 기록 `03.1/30 `03.5/30 `03.9/30 `04/1/13 `04/1/30 (Dubai 기준, $/bbl) 29.56 25.30 25.63 29.82 27.88 주요 예측기관은 안정세를 예상하고 있으나 유동적임 · 2003년에 비해 약2달러 하락한 배럴당 평균 25달러(두바이油) 안팎 · 석유수요 증대, 이라크 석유수출 회복, OPEC의 시장대응 등이 주요변수 * 세계경제 회복으로 수요의 증가가 예상되지만 이라크와 OPEC 비회원국의 공급 확대가 수요 증가분 상쇄 <국제유가 전망> (Dubai, $/bbl) 2003 2004 전망 시나리오 1/4 2/4 3/4 4/4 연간 ESAI 26.4 21.6 23.6 24.2 23.7 23.28 Baseline CERA 26.7 25.5 24.0 24.5 25.17 24.8 21.0 19.0 21.44 OPEC 시장통제 실패 28.0 29.0 28.5 28.38 공급부족 ESAI : 美 에너지 안보분석社(Energy Security Analysis, Inc., 2003년 11월) CERA : 캠브리지 에너지 연구소(Cambridge Energy Research Associate, 2003년 12월)

< 2004년도 전세계 FTA 추진 예상 건수 >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3. 통상환경 (1) FTA 체결 확산 작년 한해에만 11건의 FTA가 체결, 현재 33개의 FTA협상중 · WTO에 통보되고 발효중인 FTA가 195개(2004년 1월 현재) 2004.1월 기점으로 미-싱, 미-칠 등 5건의 신규 FTA 발효로 우리 수출에 적지 않은 영향 예상 (올해 적어도 7건의 신규 FTA 발효 예상) 경쟁국 FTA 체결 현황 일 본 : 멕시코, 한국과 협상중, ASEAN · 태국 · 필리핀 등과 체결 검토 중 국 : 홍콩, 마카오와 FTA 체결. ASEAN과 FTA 기본합의 체결 싱가폴 : 일본, 미국, 호주 등과 FTA 체결, 멕시코, 캐나다, 인도, 한국과 협상중 < 2004년도 전세계 FTA 추진 예상 건수 > 발 효 협상 타결 협상 개시 7건 이상 15건 이상 11건 이상 ㆍ 미국 – 싱가포르 ㆍ 미국 - 칠레 ㆍ 대만 - 파나마 ㆍ 중국 - 홍콩 ㆍ 중국 - 마카오 등 ㆍ 일본 - 멕시코 ㆍ 호주 - 미국 ㆍ 호주 - 태국 ㆍ 한국 - 싱가포르 ㆍ 미국 - 모로코 등 ㆍ 미국 – 도미니카 공화국 ㆍ 일본 - 태국 ㆍ 일본 - 말레이시아 ㆍ 일본 – 필리핀 등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3. 통상환경 (3)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경향 우려와 수입규제 확대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3. 통상환경 (3)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경향 우려와 수입규제 확대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폭 확대(2003년 5,500억$, GDP의 5%)와 함께 무역규제가 확산 `96∼`98 `99∼`00 `01∼`03 · 미국의 반덤핑 건수(평균) 24.3 47.0 42 (`03년 上 16건) · 중국(섬유류, TV 등), 유럽(철강)과의 무역마찰 2003년 9월 멕시코 칸쿤 WTO 각료회의 결과로 통상마찰 증대 예상 · 이미 한국은 중국에 이어 두번째의 수입규제 대상국가 (`03년말 현재 20개국으로부터 139건(조사 31건 포함)의 수입규제) <연도별 신규 제소 건수>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제소 건수 (선진국) (개도국) 18 8 10 21 6 15 43 20 23 32 12 27 19 25 14

<한국의 수출입에서 중국의 비중> <중국의 수출입에서의 한국의 비중>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3. 통상환경 (4) 중국의 부상과 경쟁 중국은 2003년중 미국을 제치고 우리의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 · 수입 : 우리나라의 세번째 수입대상국 한편 우리나라는 중국의 수입대상국중 3위 (점유율 10.4%) · 수출대상국중 4위 (비중 4.5%) <한국의 수출입에서 중국의 비중> <중국의 수출입에서의 한국의 비중> (%) (%) 1∼11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3. 통상환경 (5) 미국, 일본시장에서 한 · 중간 점유율 격차 확대 Ⅱ. 2004년 경제 · 무역 환경 3. 통상환경 (5) 미국, 일본시장에서 한 · 중간 점유율 격차 확대 미국시장 : 중국 12.0% (2위), 한국 2.9% (7위) 일본시장 : 중국 19.6% (1위), 한국 4.7% (3위) 〈 미국시장 점유율 〉 중국 한국 (%) 1∼10 〈 일본시장 점유율 〉 중국 한국 (%) 1∼11 한 · 중간 주력수출품의 중복 → 경합 심화 한 · 중간 10대 수출품 중복 : 0 (’96) → 4 (’02) 한 · 중간 100대 수출품 중복 : 15 (’96) → 30 (’02)

Ⅲ. 2004년 수출입 전망 전망의 주요 전제 수출은 13% 내외 증가한 2,200억달러 세계교역 : 7% 성장(세계경제 4%대) 원화환율 : 1,150원/달러 국제유가 : Dubai 기준 25$/bbl 내외 국내경제 : 투자, 소비 회복 5%대 성장 불안요인 세계경기 회복 지연 국제환율 불안과 원화의 급격한 절상 (美 달러화의 급격한 약세) 세계 IT경기의 하반기 이후 급냉 가능성 수출은 13% 내외 증가한 2,200억달러 세계경제 회복으로 IT제품 등의 수요 증가 수입은 15% 내외 증가한 2,060억달러 무역수지 흑자는 140억달러 예상 <2004년 수출입 전망> (단위 : 억달러, %) 수 출 수 입 수 지 2,200 ( 13.2) 2,060 ( 15.2) 140 ( -15) 주 : ( )내는 증가율. 단, 무역수지는 증감액

<BRICs의 인구ㆍ경제 규모 (2002년)> Ⅳ. 정책과제 정책과제 해외경기 회복에 적절하게 대응 품질 경쟁력, 마케팅 능력 강화 미, 일, EU 시장에 대한 경쟁력에 기반을 둔 적극적인 공략 BRICs 등 신규유망시장 진출 및 현지 적응전략 구사 <BRICs의 인구ㆍ경제 규모 (2002년)> 인구 (억명) GDP (억$) 교역액 (억$) Brazil 1.7 ( 2.8) 5,620 ( 1.7) 1,099 ( 0.8) Russia 1.4 ( 2.3) 3,465 ( 1.1) 1,734 ( 1.3) India 10.2 ( 16.6) 5,024 ( 1.6) 1,058 ( 0.8) China 12.8 ( 20.9) 12,370 ( 3.8) 6,208 ( 4.8) 합 계 26.1 ( 42.6) 26,479 ( 8.2) 10,099 ( 7.8) 전세계 61.3 (100.0) 322,525 (100.0) 129,691 (100.0) 주 : ( ) 내는 전세계에 대한 비중 자료 : 한국무역협회, 지역경제연구 ; 지표로 본 대한민국 ; IMF, IFS

Ⅳ. 정책과제 정책과제 노동정책의 일관성 유지로 노사불안 해소 최근 1~2년간 노사분규 급증 최근 1~2년간 노사분규 급증 * 2003.1~11 : 305건 (전년동기비 6.6% 증가) 특히, 극한대결 양상과 노사ㆍ노정간 대립으로 확대 금년에도 4월 총선, 개정 ‘근로 기준법’ 시험 임단협으로 격화 예상 → 정책 일관성 유지로 노사갈등, 분규 최소화 또한 노동의 유연성 제고를 위한 정책 노력 강화 생산성 범위 내에서 임금 상승폭이 결정되는 풍토 조성 필요 < 노사분규 건수 > (건) 1∼11

<손익분기점 환율 (응답구성비)> Ⅳ. 정책과제 정책과제 환율안정 및 환 Risk 관리기법 홍보 강화 금년에는 원화환율의 완만하락세(1,100~1,140원대)가 예상되어 환율 안정이 수출호조세 지속의 가장 중요한 관건임 (엔화 환율과 Decoupling 필요) 수출기업의 적정 환율은 중소기업 평균 1,202원, 대기업 평균 1,174원(2003.10월 조사) * 적정환율 : 적정 이윤을 보장하면서 경쟁국과의 경쟁 유지가 가능한 환율 손익분기점 환율은 중소기업 평균 1,152원, 대기업 평균 1,126원 환 Risk 관리기법 홍보 강화도 필요 (%) <손익분기점 환율 (응답구성비)>

<중국 성별 1인당 GDP (`02)> Ⅳ. 정책과제 정책과제 중국의 부상에 대응 중국과의 산업ㆍ공정간 분업에 기초한 수출상품의 고부가가치화 추구 한국 : 특허, R&D, 혁신, Design 중국 : 생산, 조립, Outsourcing <중국 성별 1인당 GDP (`02)> 중국 내수시장 진출 성ㆍ권역별 수출차별화 전략 북경 올림픽(2008년), 상해EXPO(2010년) 관련 수요를 수출증대로 연결 한류, 서부대개발 등 활용 (달러)

Ⅳ. 정책과제 정책과제 FTA의 적극적인 추진 한 · 칠레 FTA의 비준, 발효는 물론 한 · 일 FTA, 한 · 싱가폴 FTA 등에 대비한 착실한 준비 필요 한 · 일 FTA는 `03년 12월에 정부간 협상 개시 · 2005년까지 정부간 협상완료 및 FTA 체결 목표 · 단기적으로는 무역적자 확대 등의 피해가 우려 · 장기적으로 국내 산업 구조조정과 생산성 제고 기대 한 · 싱가폴 FTA는 금년 1월 27∼29일 정부간 협상 개시 · 단기적으로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음 · 서비스 부문 경쟁력 제고, 아세안 지역 교두보 확보, 투자유치 계기로 활용 이외에도 멕시코, 아세안, 미국 등과 FTA 체결을 적극 검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