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analysis of SOFC+ST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7 장. 17 장. 전류와 전기 저항 전류 (Electric Current) 17.1 전류 (Electric Current) 전류 (current): 주어진 단면을 통과하는 전하량의 흐름률 ( 단위 : C/sec = A) 양전하의 이동 방향을 전류의 방향으로.
Advertisements

한국 에너지산업 위기인가 ? 기회인가 ? SK 에너지㈜ 대표이사부회장 신 헌 철신 헌 철.
준공 솔라플러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박순용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산남리 89-8 ( ) 솔라플러스 태양광발전소 소개서.
1 ‘ 우리나라의 주요공업 ’ - 정도웅, 주민혁, 안수진, 백경민, 엄다운, 박경찬 -.
1 N N N201/301 SERIES 시동 및 운전상의 점검. 2 N201/301 SERIES PC BOARD CONDENSE R SENSOR MAGNETIC SWITCH ICE THICKNESS SENSOR DISPLAY CONNECTO 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전기 기초 이론 Ⅰ.전기의 본질 Ⅱ.직류 회로의 성질 Ⅲ.전류의 열 작용과 화학작용 Ⅳ.자기의 성질과 전류에 의한 자장.
신재생 에너지 (Renewable Energy) 제7장 연료전지(Fuel Cell).
남동발전 R&D Roadmap (2/2) 제 어 R &
사례분석 경영학과 박현수 경영학과 김영녕.
천연가스(LNG) 보급촉진 제도 JULY 7, 2005 한국가스공사 영 업 처.
대외비.
Medical Instrument Team Project
Provide Pressure control Technology
소형열병합발전 보급 기본방향 에너지관리공단 에너지효율관리실.
공부할 내용 조상들이 살던 곳 자연과 잘 어울리는 한옥 지방에 따라 서로 다른 집의 모양 섬 지방의 집
사랑, 데이트와 성적 자율성 :데이트 성폭력!!! 성폭력예방교육 전문강사 / 여성학 전공 신 순 옥.
Lecture review 김대석 기계시스템공학부 Division of Mechanical System Engineering,
퇴계와 율곡의 사회사상 비교 남 일 재 동서대학교 교수/ 정치학 박사 1.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약전(略傳)
2) 단점 ⓐ 화석 연료 방식의 발전에 비해 초기 투자비가 높다. ⓑ 밧데리를 사용하지 않으면 저장할 수 없다.
ISFV12 Gottingen, Germany
  사 용  설 명 서    (항온항습기) Ver. 09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신▪재생 에너지공학개론 소 병 문 전기응용연구실.
대 체 에 너 지 (풍 력 발 전) 해양자원공학.
NGO 입장에서 바라본 지속가능한 중장기 에너지 전략
501. 군인들의 세상 502. 민정 이양과 한일회담 이선용.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옥상용 풍력 발전시스템을 이용한 발전사업 제안서
발전용 연료전지 PCS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전기공학과 이병준.
Energy Storage Technology I - Stationary Sodium/Sulfur(NAS) Battery -
Energy Storage Technology - Stationary Sodium/Sulfur(NAS) Battery -
마이크로그리드 전원장치 - 연료전지 경북대학교 김 흥 근.
스 팀 트 랩 사)한국 에너지관리인협회.
고체 고분자 연료전지 (PEMFC) - 지금까지 많은 기업들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기업의 재무제표 상의 수치로만 기업을 평가했음. 하지만, 실질적으로 기업의 가치는 이러한 눈에 보이는 자산 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자산들 (예를 들면, 경영진, 조직문화, 지배구조,
수도권지역 사업장 열병합발전소 대기오염물질 저감사례
A.E.L 대체에너지연구실 신&재생에너지 신에너지 연료전지 신에너지 연료전지 재생에너지 태양열 태양광 (소)수력 풍력 해양
네트워크상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 기술 또한 저장장치 기술 못지 않게 중요하다
연료전지 원리 및 개발 현황 <Status and Development of Fuel Cell Principles>
신재생에너지.
ISFV12 Gottingen, Germany
Linear Compressor 열 해석 (화) 학번 : 이름 : 김만석
Energy Grid 와 태양열 에너지 부산대학교 기계공학과 강율호.
폐 열 회 수 이 용 조원 : XXX XXX.
대체 에너지와 연료전지 자연과학부 이우람.
정치개혁의 가능성 논의 권력구조 개편을 통하여 본 -개헌을 통한 정부형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치론] 윤성이 교수님
경영 마인드의 이해 경영학 원론 제 1조 경영학과 오현기 이진희
Horizontal Axis,Gearless
광고 모델의 영향력.
신재생 에너지
ISFV12 Gottingen, Germany
ISFV12 Gottingen, Germany
노년기 발달 장안대 행정법률과 세류반 정 오 손
연 료 전 지 전 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소 병 문.
Fuel Cell FEM & Optimization
Fuel Cells Instructor: Prof. Yong-Tae Kim Based on WIKIPEDIA.
태국 문학 욜라다 왓짜니 싸란차나 팟차라와라이 끼따야펀 르앙다우 타니다.
그 미소가 아이가 사랑을 배우는 힘이 되게 하소서!
CNG버스 일상 점검 메뉴얼 (금) 한국가스안전공사.
평생 저축해도 강남 아파트 못산다 학 과 : 회계학과 1학년 B반 과 목 : 회계학원론 담당교수: 박성환 교수님
CH.5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New Flat Tube HEX 성능향상 일 시 : 과 목 명 : 에너지 변환공학
워밍업 실뭉치 전달게임.
지역복지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초 사회체계이론과 생태이론.
열역학 기본개념 Yongsik Lee.
음파성명학 최종욱.
에너지변환공학 냉장고 열교환기 고효율 및 소형화 기술개발 신상환.
II-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1. 행성의 대기와 에너지 보존
2014 Academy Water Prize 포스터세션 우수 관망도의 설계와 적용을 통한 대학 캠퍼스 내 용수 사용량 절감
Applied Laboratory for Mechanical Engineering 1
Presentation transcript:

Performance analysis of SOFC+ST Fuel cell 2016 Term project Performance analysis of SOFC+ST hybrid power system fuled by biogas 안녕하십니까?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기관시스템공학과 이경진입니다. 제가 발표할 내용은 선박용 SOFC/ST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대한 성능평가입니다. Sun-Hee Kim

Backgrounds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현재 에너지 고갈의 고유가 시대와 환경오염으로 친환경적인 에너지의 필요성이 당연시되고 있습니다. 또한 대기오염물질 배출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육상 뿐 아니라 해상에서도 적용되고 있으며 선박에서도 고려해야 하는 중대 과제 중의 하나가 되었습니다. 가능한 에너지원을 적게 사용하고 오염물질의 배출을 줄이고자 여러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그 중의 하나로 고효율 및 친환경성의 장점을 가진 연료전지시스템을 선박에 적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게 되었습니다.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 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 신 재생 에너지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여 재생가능 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 신 에너지 재생 신 재생 연료전지는 신 재생 에너지 중 하나 입니다.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석탄액화가스화, 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 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처리방법별 대표 공정도 ▶ 혐기성분해(바이오가스화) Ref.3 유기성 폐기물 처리 및 자원화

Basic Principles of Fuel Cell H2O O2 Fuel cell Electricity H2 Heat 연료전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즉,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물과 전기 그리고 일부의 열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Chemical Energy Electrical Energy Ref.2 선박동력용 SOFC/GT/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Basic Principles of Fuel Cell 수소와 산소의 화학적 반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 고효율 발전장치로 전기와 열을 동시에 이용 가능 물의 전기 분해의 역 반응의 원리 2H2+O2 → 2H2O 기본적인 원리는 물의 전기분해의 역 반응입니다. 전기분해는 물에 전기를 이용해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과정인데 역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반응입니다. Ref.2 선박동력용 SOFC/GT/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Type of Fuel Cell 고온형 저온형 종류 전 해 질 작동온도 사용분야 알칼리 연료전지 (AFC) 고분자형 연료전지 (PEMFC) 직접메탄올연료전지(DMFC) 인산형 연료전지 (PAFC) 용융탄산염연료전지 (MC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SOFC) 전 해 질 고분자 인산 용융탄산염 고체산화물 작동온도 80℃ 25-80℃ 200℃ 650℃ 600-1000℃ 사용분야 우주용 휴대용 발전기, 교통수단 휴대용 전원, 군사용 소규모 발전소 (200kW) 중~대규모 발전 (MW) 대규모 발전 (수MW) 연료전지의 종류는 전해질에 따라 대게 6가지로 나눠집니다. 또한 작동 온도에 따라 저온형과 고온형으로 구분되며 제가 성능평가를 한 것은 고온형 연료전지입니다. Ref.2 선박동력용 SOFC/GT/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Type of Fuel Cell PEMFC SOFC Ref.2 선박동력용 SOFC/GT/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전해질의 종류가 달라 이동하는 이온이 다르기에 물의 생성방향도 다릅니다. SOFC의 경우 연료극으로 수소가 공급되고 공기극으로 산소가 공급되어 연료극으로 물이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EMFC SOFC Ref.2 선박동력용 SOFC/GT/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System of Fuel Cell MBOP (Mechanical Balance of Plant) 연료전지 시스템의 개략도입니다. MBOP 부분으로 연료와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곳 입니다. MBOP (Mechanical Balance of Plant) : 기계적 장치를 통칭하며, 연료와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Gas desulfurizer, Gas heater, Water tank, Fuel humidifier, Air Blower 등으로 구성 Ref.2 선박동력용 SOFC/GT/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System of Fuel Cell Stack : 전극 및 전해질, 그리고 분리판으로 이루어진 Cell 이 적층되어 있고,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전기 생산 Ref.2 선박동력용 SOFC/GT/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System of Fuel Cell EBOP (Electrical Balance of Plant) : Stack에서 생산되는 직류를 교류로 변화시켜주는 인버터 및 컨버터 등과 컨트롤 판넬 등으로 구성 Ref.2 선박동력용 SOFC/GT/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Layout of SOFC+ST Hybrid Power System Fuled Biogas Fuel feeder1 Fuel feeder2 성능평가에 사용한 시스템의 개략도입니다. 여기서 보시면 전력을 생산해내는 연료전지와 스팀터빈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고온형 연료전지의 폐열을 이용하여 상압상태에서 최대한 전력화 하기 위함입니다. 스택으로 연료 공급을 위한 FF1과 연소기 출구온도 조절을 위한 FF2가 있습니다. 시스템으로 공급된 메탄은 수증기의 농도가 높은 연료극 재순환 가스와 혼합 예열되어 개질기로 보내어집니다. 수소는 개질기에서 메탄과 수증기가 반응하여 생성되며 개질된 가스에는 수소 이외에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수증기 및 개질되지 않은 소량의 메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고농도의 수소가스가 포함된 개질가스는 셀의 연료극으로 공급됩니다.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Layout of SOFC+ST Hybrid Power System Fuled Biogas Fuel feeder1 Fuel feeder2 공기는 연료전지의 전기화학반응용 산소의 공급과 셀의 냉각용으로 사용되며 송풍기와 예열기를 거쳐 공기극으로 보내어집니다. 공기 예열기의 설치는 연료전지 셀의 공기와의 과도한 온도차로 인한 열 응력의 발생을 억제시키기 위함입니다.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Layout of SOFC+ST Hybrid Power System Fuled Biogas Fuel feeder1 Fuel feeder2 스택으로 공급된 잉여 공기는 비가역과정에 의하여 발생된 열을 흡수하여 방출되며 이 폐열과 연료극 출구의 미반응 가스들이 연소됩니다. 연소기 출구의 고온 가스는 증기터빈의 보일러의 열원이 됩니다. 여기서 증기터빈은 LNG선박의 50bar 500도로 설정하였습니다.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Anode and Cathode Reactions for the SOFC Anode reactions Cell voltage ( V = E – Vact – Vohm - Vcon ) ▶ Electromotive force (EMF) at 1000℃ 이것은 스택에서의 공기극과 연료극의 반응식입니다.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 Activation overpotential ▶ Concentration overpotential System Modeling Cell voltage ( V = E – Vact – Vohm - Vcon ) ▶ Nernst potential ▶ Activation overpotential ▶ Ohmic overpotential 셀의 유기전압은 개회로 전압에서 여러 손실들을 뺀 것으로 개회로 전압의 경우 온도와 압력 따른 네른스트 식으로 구하였고 전기화학반응에의한 손실인 활성화손실은 아헨바흐식으로 부터 구하였습니다. 그리고 전자,이온의 이동에 의한 손실인 저항손실은 전기저항식과 저항률에 관한식으로 산출하였고 전해질과 전극사이의 반응물질이 소모됨에따라 손실되는 농도손실은 한계전류밀도 모델로부터 계산하였습니다. ▶ Concentration overpotential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System Modeling Reactions and Calculation of reaction rates ▶ Reactions : reforming reaction CH4 + H2O 3H2 + CO shifting reaction CO + H2O H2 + CO2 ▶ Reaction rates : 개질기에서 메탄은 주로 개질반응과 전이반응으로 이루어지며 출구조성의 경우 평형정수와 화학평형식으로 계산하였습니다.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System Modeling Electrical efficiency Steam turbine Electrical load ratio Electrical efficiency Cell energy balance 성능평가에 사용된 정의 식으로 부하분담률에 경우는 순 출력대비 연료전지 및 스팀터빈의 출력을 말하며 시스템의 전기적 효율의 경우엔 공급된 총 메탄의 저위 발열량 대비 순 출력을 말하며 SOFC의 효율의 경우 개질기로 공급되는 메탄기준으로, ST의 경우 연소기로 공급되는 메탄을 기준으로 정의하였습니다.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Parameter of SOFC+ORC Hybrid Power System 작동온도 전류밀도 연소기 출구온도 보일러 1073 ~ 1273K 0 ~ 9000 A/m2 Parameter 823 ~ 1173K 본 연구의 파라미터로는 작동온도, 전류밀도 그리고 연소기 및 보일러 출구가스 온도가 있습니다. 473 ~ 723 K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Setting parameters for the analysis Electrical output (kW) 3000 Anode thickness (μm) 200 Cathode thickness (μm) 2000 Electrolyte thickness (μm) 20 Limiting current density (A/m2) 9000 Inverter efficiency (%) 95 Reformer temperature effectiveness (%) 10 Steam turbine inlet pressure (kPa) Steam turbine inlet temperature (K) 423.15 Steam turbine outlet pressure (kPa) Steam turbine efficiency (%) 80 Pump efficiency (%) 85 Air blower adiabatic efficiency (%) 75 Air blower mechanical efficiency (%) 90 Air blower motor efficiency (%) Fuel feeder1 adiabatic efficiency (%) 70 Fuel feeder1 mechanical efficiency (%) Fuel feeder1 motor efficiency (%) Fuel feeder2 adiabatic efficiency (%) 70 Fuel feeder2 mechanical efficiency (%) 90 Fuel feeder2 motor efficiency (%) 95 Recuperator1 pressure drop(air side) (%) 2 Recuperator2 pressure drop(air side) (%) Stack pressure drop(air side) (%) 6 Reformer pressure drop(air side) (%) 4 Recuperator2 pressure drop(gas side) (%) Combustor pressure drop(gas side) (%) Superheater pressure drop(gas side) (%) Steam generator pressure(gas side) (%) Feed water heater pressure(gas side) (%) Mixer pressure drop(fuel side) (%) Reformer pressure drop(fuel side) (%) Stack pressure drop(fuel side) (%) Combustor pressure drop(fuel side) (%) 8 Ambient temperature (K) 298.15 Ambient pressure (kPa) 101 성능평가에 사용한 조건들입니다.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Comparison of Performances SOFC 단독 시스템 SOFC/ST 하이브리드 시스템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Comparison of Performances SOFC 단독 시스템 VS SOFC/ORC 하이브리드 시스템 X (K) – 3000 (A/m2 ) 1223.15 (K) - X (A/m2 )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Conclusions (1) 스택 작동온도에 대하여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전기적 효율은 연료전지시스템의 효율 보다 완만히 변화하며, 낮은 작동온도 영역에서 하이브리드시스템의 효율은 연료전지시스템의 효율보다 높게 나타난다. (2) 셀 전류밀도에 대하여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전기적 효율은 연료전지시스템의 효율 보다 완만히 변화하며, 높은 전류밀도 영역에서 하이브리드시스템의 효율은 연료전지시스템의 효율보다 높게 나타난다. (3) 연소기 또는 보일러 출구 가스온도의 변화로부터 스택의 폐열이 아닌 연소기의 추가적 연료공급에 의한 스팀터빈 출력의 증가는 하이브리드시스템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Ref.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

Reference (1) 선박동력용 SOFC/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에 관한 시뮬레이션(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1, 이경진) (2) 선박동력용 SOFC/GT/ST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성능평가에 관한 시뮬레이션(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2, 이경진) (3) 유기성 폐기물 처리 및 자원화 :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연료전지발전시스템 개발(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1, 이종규) (4) 바이오가스 성상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전기적 특성(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1, 정진도) (5) 바이오가스 활용 열병합 복합 연료전지 도입방안 연구 (한국지역난방공사, 2011, 이창준)

Thank you for your at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