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과 척도 경영학과 최동훈 소프트웨어학부 유제민 경영학과 정지송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일자지역시 간일 정비 고 1 일차 남도 08:00 09:00 12:00 13:00 17:30 18:00 20:00 21:00 대구 출발 휴게소 중식 ( 도시락 ) 개인준비 108 개국관람밎기타 엑스포관람 (7 시간관람 ) 도시락 엑스포분수쇼밎 관람 숙소도착점호.
Advertisements

신진영 현지 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제 10 강 - 측정 및 척도 - - 통계적 추론 원리 -
삼성전자 ZIPEL 의 인간공학적 분석 과 목 명 : 인간공학과 디자인 담당교수 : 최윤정 교수님 발 표 일 : 2001 년 6 월 11 일 발 표 자 : 9 조 김아름 박태민 오래미 이지영.
한국건축사 기초지식 (2) 발굴, 실측, 보수. 발굴의 조사과정 예비조사 발굴도구의 준비 조사 전 상태의 기록과 기준점 설정 조사갱 설치 유구조사 기록 유물수습 및 정리 유구 및 유적에 대한 고찰, 종합 보고서 작성, 발간.
제 7 장 실험조사설계. 목 차 1. 실험조사설계의 기본 요소 2. 실험조사설계의 타당도 3. 실험조사설계의 유형 6 장 실험조사설계 1 1.
`1. 비용편익 (B/C) 분석 개요 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사회적 비용과 사회적 편익을 따져 최적대안을 선정하는 기법  공공사업의 비용편익분석은 공동투자행위가 사회 총 후생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각각 평가, 측정하여 대 안의 비교를 수행하는 분석활동임.
1 통계를 왜 공부해야 하나 ?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정보 사회의 역기 능과 대처 01 인터넷 중독, 어떻게 예방할까
주제 : 독거여성노인의 현황과 대책 학 과 학 번 성 명 사회복지학과 김 진 석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 개념적 정의(conceptualization)
해외서, 국내서 요약 ‘북집’ 모바일 서비스 이용방법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Quality-of-Life Questionnaires for Intermittent Exotropia Ophthalmology 2010;117:163–168 Pf. 임혜빈 / R2 정병주.
인적자원관리론 5장 종업원 선발 하성욱 사회과학대학 경영학부.
5.1 모수 (parameter) vs 통계량 (statistics)
주택실물화재실험 위탁사업 소방방재청.
측정(2) 측정도구 - 지표와 합성 측정 - 척도 구성 - 표준화된 측정도구.
Premier Test 초급 이름 : • 속진 레이아웃(버전3)
사회복지현장실습보고서 사회복지학과 4학년 이 자 형.
의료의 질 평가 분석 기법 김 민 경.
인적자원의 선발.
제1장 과학과 사회조사방법 과학적 지식(scientific knowledge): 과학적 방법에 의해 얻어진 지식, 즉 논리적, 체계적, 경험적, 객관적 절차를 통해 얻어진 지식 과학적 지식의 특성 1) 재생가능성(reproducibility) 2) 경험가능성(empiricism)
제5장 인력예측과 확보 인력 예측은 어떻게 하나? 인력의 과부족을 해결하는 방법은?
제4장 측정과 척도 (Measurement and scale)
인간행동과 심리학 13. 심리측정과 평가.
CHAPTER 21 UNIVARIATE STATISTICS
6장 경영프로젝트의 경제성 평가 6.1 경제성 평가의 기본개념 6.2 평가기법의 내용
8차시: 측정시스템 분석(MSA) 학 습 목 표 학 습 내 용 1. 측정시스템 분석(MSA) 개념 이해
Cluster Analysis (군집 분석)
마케팅 환경분석 기술 환경 거시 환경 전 략 기회와 위협 적 마케팅 조 활 동 미시 환경 화 강점과 약점 업체 기타
10.1 품질 개념 10.2 품질 보증 활동 10.3 프로세스 품질 10.4 프로덕트 품질 측정 10.5 인스펙션
10장: 품질 보증 - Software Engineering -.
Marketing Research 제 8 장 측정의 기초
반도체 신입 Operator 채용 안내 ㈜ 하이닉스반도체에서는 2011년도 신입 Operator 사원을 모집합니다.
제 7절 학교조직의 특성 남민경 박소라 한상미.
학 교 폭 력 사회복지학과 이자형 생활체육학과 이병철.
2015년도 2학기 제 7 장 척도의 평가 마케팅조사.
Keller: Stats for Mgmt & Econ, 7th Ed 그래프와 표를 이용한 기술통계학 기법
알기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제6장 실험조사설계 경북대학교 황성동 C.
Data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numbers
Inferences concerning two populations and paired comparisons
발표자 : 이건준 박사 인도 국립 델리대 박사, 델리대 로스쿨(재), 인도사회전문가, 수준회계법률사무소 소장
Association between two measurement variables Correlation
비, 비율, 퍼센트 실과교육과 김 화 민.
Statistical inference I (통계적 추론)
입 사 지 원 서 지원형태* □ 신입, □ 경력 희망근무지* 지원부문* 희망 연봉* 만원 인 적 사 항 성 명 (한글)
The normal distribution (정규분포)
사용자 경험 측정 (Measuring User Experience)
삼성 인재양성 체계 및 평가시스템.
선택형 및 실험평가 문항 제작 2007 중등 심화 연수 By K.Y Lee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 for Social Welfare
제4장 측정 및 척도 측정(measurement)의 개념 1) 정의 : 일정한 법칙에 따라 어떤 事象에 숫자를 부여하는 것
Chapter Ⅱ. 연구 설계.
5장 사진 바꾸기, 2011년 제작 및 운영제안서 측정 및 척도구성.
■ 척도의 종류 : 변도(variance)를 나타내는 수치들이 가지는 특성에 따라 측정수준에 따른 분류 → 척도분류
2015년도 2학기 제 5 장 자료의 수집 : 실험 마케팅조사.
기 초 공 학 1장 서 론 2011년 1학기.
사회복지현장실습보고서 사회복지학과 4학년 이 자 형.
삼성 인재양성 체계 및 평가시스템.
신상품 개발 및 신시장 개척에 따른 웅진식품㈜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사례
제 6 장 신뢰성과 타당성.
천국 가는 길 천국 가는 길 ♧ 천국 가는 길 ♧ 1. 죄와 사망(지옥) 1) 사람의 3가지 공통점 - 죄인, 죽음, 심판
제3장 사회조사방법의 기본개념 변수(variable): 사람, 물건, 사건 등의 특성이나 속성이 두 가지 이상의 가치(value)를 가질 때 변수라고 함. 즉 상호배타적인 속성들의 집합 1) 속성에 따른 분류 -. 명목변수(Nominal Variable): 분류에 기초를.
공공인력관리론 제7주차 근무성적 평정 경력평정 및 가점평정 Public Personnel
기 초 공 학 1장 서 론.
㈜홍길동 웹사이트 구축 진행 계획서 견적서 포함 일레븐 제공.
검사도구의 조건 및 유형 2010/11/17.
품사 분류의 기준과 실제.
실 용 수 학 자연과 생활 속의 수학.
■ 한국 □ 외국 (국적명: ) (해외국적 취득일 : 년 월)
학년도 입학자용 졸업소요학점 구성표 기계공학부 기계공학전공 / 자동차공학전공
Presentation transcript:

측정과 척도 경영학과 9814146 최동훈 소프트웨어학부 9830174 유제민 경영학과 200013137 정지송 경영학과 200113119 이지선

순서 측정 척도법의 분류 및 종류 비비교항목화 등급척도의 결정요인 다중항목척도 척도의 평가, 검증 비교척도법 – 고정총합법 비비교척도법 – 리커트척도법, 어의차이척도법 비비교항목화 등급척도의 결정요인 다중항목척도 척도의 평가, 검증

측정 측정 (measurement) 특정하게 명시된 규정에 의하여 수치나 혹은 다른 기호(symbol) 등을 통해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특성을 기록하는 것 명목척도(nominal scale) 서열척도(ordinal scale) 척 도 등간척도(interval scale) 비율척도(ratio scale)

척도법의 분류

고정총합법 |비교척도법| Q. A자동차완성업체와의 거래를 위해서만 특별히 투자한 자산(거래특정적 자산)은 귀사 전체 자산가치의 몇 % 입니까? 제조장비 % 수송장비 % IT 기반시설 % 기타자산 : (기입해주세요) %

고정총합법 |비교척도법| Q. B부품에 대한 프로토타입의 비율은 각각 어느 정도 입니까? 물리적(전통적) 프로토타입(Mockups) ______% 빠른 프로토타입 기술/도구를 활용한 Mockup모형 ______% CAD를 활용한 디지털 Mockup모형 ______% 기타(상세히) ______% Total 100%

←⑤----④----③----②----①→ 리커트 척도법 |비비교척도법| Q. 귀사는 A자동차완성업체와 어느 정도 자주 정보교환을 하고 계신지요? 계속 매일 매주 매달 안한다 a) 부품개발단계 ←⑤----④----③----②----①→ b) 상세설계 및 엔지니어링 디자인단계 c) 생산과 제조 공정에서 d) 판매 및 결제 단계에서

<--①----------②----------③---------④---------⑤-- 리커트 척도법 |비비교척도법| Q. 귀사의 주요 생산제품의 지식(기술)대해 자동차완성업체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수준에 있는지를 비교해 주십시요. 매우 낮다    비슷한 수준이다     매우 높다 <--①----------②----------③---------④---------⑤-- 설문 평가점 a) 재료기술 b) 기능설계 c) 구조설계 d) 내구성 설계 e) 부품의 핵심기술 f) 제조공정 설계 g) 제조 공정 h) 생산관리 i) 품질관리 j) 최종고객의 니즈나 선호도파악 k) 제품구성부품의 원가 l) 노동 및 제조비용 m) 부품의 재료비 n) 자동차완성업체에서의 제조공정설계 o) 다른 부품과의 구조적 조정 p) 다른 부품과의 기능적 조정

←①--②--③--④--⑤--⑥--⑦→ 어의차이 척도법 |비비교척도법| Q. 귀사는 A자동차완성업체와 다음과 같이 거래를 하는데 있어 전사정 정보 네트워크 (EIN)를 얼마나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까? a) 주문 처리의 리얼타임(실시간) 관리 ←①--②--③--④--⑤--⑥--⑦→ b) 출고 배송 납품정보의 리얼타임 관리 c) 대금처리의 리얼타임 관리 d) 입찰 관리의 확대 e) 부품 개발 및 설계활동 전혀 사용 하지 않는다 보통이다 많이 사용한다

어의차이 척도법 |비비교척도법| Q. 귀사의 B부품은 다른 관련 부품과 단순조립적(mix and match)으로도 충분히 기능발휘가 가능한 편이다. 전혀아니다(Integral) (고도의 상호의존적인 인터페이스설계가 필요) 보통이다 그렇다(Modular) 단순조립적(mix and match)으로도 충분히 기능발휘가 가능한 편이다 ←----①-------②-------③-------④-------⑤-------⑥------⑦----

비(非)비교 항목화 등급척도의 결정요인 척도점의 수(Number of Scales Category) 결정 척도의 균형성 - 척도점의 수가 많으면? 차이점들을 상세히 알수있다/ 유효한 응답 얻기가 어렵다 척도의 균형성 - 균형잡힌 척도와 불균형의 척도 척도점의 짝·홀수 결정 - 응답자들의 중립성 성향에 따라 결정 강제적 응답의 유도 의미 표현의 본질과 정도 척도의 물리적인 형태

표본이 큰 사전조사 집단으로부터 데이터의 수집 다중항목 척도 척도개발의 이론이나 논리의 정의 척도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절적 판단을 통한 기본적인 척도의 수를 결정 표본이 큰 사전조사 집단으로부터 데이터의 수집 통계적인 분석 보다 정제된 척도의 개발 다른표본집단으로부터 데이터 수집 신뢰성과 타당성 척도의 평가를 통한 일반화 최종척도의 결정 및 개발

척도의 검증

척도의 평가(1) 신뢰성(Reliability) 검증 (1) 검증-재검증 신뢰성(Test-Retest Reliability)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이 신뢰성 있게 측정되었는가를 검증하는 것. 동일한 대상에 동일한 측정도구로 측정하였을 때 동일한 응답이 나올 확률을 검증. (1) 검증-재검증 신뢰성(Test-Retest Reliability) (2) 대안적 형태(Alternative Form)의 측정도구를 이용한 검증 (3) 내적 일관성(Internal Consistency)에 의한 신뢰성 검증 (4) 신뢰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법

척도의 평가(2) 2. 타당성(Validity) 검증 3. 신뢰성과 타당성, 일반화와의 관계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정확하게 측정하였는가를 검증하는 것. (1) 내용타당성(Content Validity) (2) 기준타당성(Criterion Validity) (3) 구성개념타당성(Construct Validity) (4) 타당성 분석을 위한 방법 3. 신뢰성과 타당성, 일반화와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