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디젤링(Dieseling)의 이해 1. 디젤링(Dieseling)의 정의 2. 추정 발생 메커니즘 디젤 엔진)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96 Cavity 열 해석 평가 96Cavity 에 적용된 HRS 온도 분포 상태 검토 Thermal Analysis Objective Analysis Type Temp. ( ℃)
Advertisements

유공압 설계 Term Project # 조 : 6 조 조 원 : 이용희 이은수 임희규.
【 냉각용 air 사용 방법개선으로 Utility 비용 절감 ] 【 냉각용 air 사용 방법개선으로 Utility 비용 절감 ] 추진일자 : ‘ ~ ‘ 부산 UEG 원가 TF.
Volumetric efficiency, ηv (체적효율)
The Value Chain of Telecommunications Service
Model : CHEVI-SPARK PAPER VERSION 1.0
Air Suspension 차고 높이 시스템
증발가스 누설 진단법 안녕하십니까? 국내서비스 기술교육팀 장정한 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증발가스 누설진단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CNG 내압용기 자동차 내압용기 지도·점검 설명회 실시 현대자동차.
03 전자 접촉기 제어 학습목표 ▶ 전자 접촉기의 동작 원리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스팀트랩의 응축수 배출 온도 기계식, 써모다이나믹 온도조절식 끓는점 △T 응축수 정체 건도 온도 (℃) 에너지 절약 열량
인공지능실험실 석사 2학기 이희재 TCP/IP Socket Programming… 제 11장 프로세스간 통신 인공지능실험실 석사 2학기 이희재
CPF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CPF DOC 메인 머플러 온도 센서 차압 센서.
알터네이터 주요 기능 구성 부품. 알터네이터 주요 기능 구성 부품 알터네이터 점검 판정 기준표 구분 점검 항목 소요 장비 조건 판정 기준 판정 비교 엔진 2,500rpm 유지 충전불량 전류(A) 전류계 전압계 엔진 2,500rpm 유지 상태에서 하기와 같이 FULL.
(CVVT : 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Metering Pump Reciprocating Diaphragm Metering Pump Stroke Cycle
제5장 공기유도계통과 과급기, 냉각, 배기계통 (Induction Systems, Superchargers, Turbochargers, and Cooling and Exhaust Systems)
냉동 및 공기조화 Chapter 4. 냉동장치의 구성 기기
압축기 압축방법에 의한 분류 압축기의 개요 증기압축식 냉동기의 4대 요소 :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제4장 윤활유와 윤활계통 (Lubricants and Lubricating Systems)
차량용 교류발전기 alternator Byeong June MIN에 의해 창작된 Physics Lectures 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공학 및 실습 자동차 엔진-3 (흡배기장치, 연료장치)
▣ 엔진 일반(현대 엔진 라인-업) ε-eng’ α-eng’ β-eng’ Sirius-Ⅰ Sirius-Ⅱ Sirius-V6
전차종 FLUID 공급품목 현황 2010 년 10 월 1 일 서비스담당 / 부품기술팀 5.
2 세대 LEAN -BURN ENG’ (희박연소엔진)
자동차 에어컨의 원리 2009년 2월 13일 ㈜그린공조 품질관리팀.
센서 11. 기체 압력 센서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자동차공학 및 실습 자동차 구동장치-1 전남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부 교수 임 명 택.
선박보조기계의 개요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 - 주기관(main engine) : 직접 선체를 추진하는 기계
(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Super MMS 냉매배관 관리.
Diesel Engine 국제대학교 자동차기계과 조 성 철.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디젤 고압연료 분사 시스템 - 커먼레일 1. 개요    휘발유보다 힘 좋고 유해 배출가스도 내뿜지 않는 디젤엔진은 없을까? 환경문제가 21세기 자동차기술의 핵심과제로 떠오르면서 값싼 디젤연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젤 승용차가.
제5절. 통풍장치 ■ 풍도와 연도 ■ 통풍방식의 분류 및 특징 ■ 송풍기의 분류 및 특징 ■ 송풍기의 윤활계통
Solar Tracking Parasol
자가 호기말 양압(auto PEEP) 측정.
안전규정 협력업체 및 방문자용 안전환경팀 2014.
나노필터(nano filter) 나노바이오화학과 강인용.
경유 연료 사용의 문제점 출력 저하 소음 발생 엔진 수명 단축 매연 발생 연비 불량 연소 퇴적물 윤활성 불량 노킹 현상 불완전
P707 Series DUSTPROOF PC RACK.
전지 안정성 평가를 위한 과충전 비교시험 ENERGREEN R&D Center
2 세대 스월 (SWIRL) 밸브 닫힘 조건(수정)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엔진 제 3 장 파워텍 엔진 사내교수 손 재 호.
작 품 명 설계목적 설계과정 제작과정 메커니즘 완성품 지도교수: 000 고00, 김00, 김00, 이00, 최00, 최00
2 자동화와 로봇 2 기계 운동의 원리 기계의 이해 기계요소 기계의 동력 전달 과정 금성출판사.
비행기의 원리 신천발명영재단.
대기압력센서(BPS) 10 역할 및 개요 불량시 문제점 불량시 조치
WORLD LEADER IN COMMERCIALIZING HYDROGEN ENERGY
제20강 유도전압과 인덕턴스 20.1 유도 기전력과 자기 선속 • 유도 기전력
가압경수로 계통.
디젤기관의 개요·연소·노크와 세탄가 디젤기관의 개요 디젤기관의 작동원리 2행정 사이클 디젤 기관의 작동
기관의 개요 및 기초공학 동력발생 개요 실린더 내에 혼합기를 흡입,압축하여 전기점화로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얻어 이 열에너지 로 피스톤을 움직여 기계적 에너지를 얻는다. 열효율은 30% 가량 열에너지 → 기계적 에너지로 변화시켜 이용.
스털링엔진/발전기 기술 동향 Technical Trend of Stirling Engine/Alternator
공정표준 준수를 위한 설비 개선 항목 주물생산부 공정 구분 라인명 문제점 개선 방안 비고 사처리 1, 3, 5라인
학 습 목 표 기관 본체의 구성 부품을 설명할 수 있다..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신소재 장비개발 [공기충전기] 하안119안전센터.
탈취배관 응축수 드레인밸브.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3. 자동차의 관리 (2) 자동차의 구조 교144쪽.
가솔린 기관의 작동원리 4행정 사이클(4stroke 1cycle engine)가솔린 기관의 작동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유 압 공 학 유압회로 설계 창원대학교 로보틱스실험실 정원지 교수님.
자동차 브레이크 구조
자동차 브레이크 구조.
차량의 배기가스에 의한 공해로 엔진의 소음과 출력 저하로 신경이 쓰이십니까? 자!! Bio-Power Long으로
제동 장치 주행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거나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장치.
커먼레일 연료분사 시스템 점검 및 정비 부산정보대학 김   종  규.
Presentation transcript:

Ⅰ.디젤링(Dieseling)의 이해 1. 디젤링(Dieseling)의 정의 2. 추정 발생 메커니즘 (@ 디젤 엔진) 가솔린 엔진(SI, Spark Ignition)에서 점화 중단 후에도 연소가 계속되어 엔진이 회전하는 현상으로, 디젤 엔진(CI, Compression Ignition)처럼 점화가 없어도 스스로 작동(자연 발화)이 된다 하여 붙여진 이름임. 오히려, 디젤 엔진에서는 흡기관을 통해 가연성 혼합 기체 (combustible gaseous mixtures)가 들어오는 조건 이외에는 디젤링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추정 발생 메커니즘 (@ 디젤 엔진) 흡기관을 통해 가연성 혼합 기체 (combustible gaseous mixtures)가 들어오는 조건이 성립 할 경우 크랭크 샤프트 오일 처닝(Churning) = 블로바이 가스에 오일이 섞이는 양 증대 오일 주입량 과다  블로바이(Blow-by) 가스 내 오일 유량 증대 고압 펌프 씰부 누유 (단품 불량, 과도한 연료 리턴 압력 등) 연소실 내 오일 유입 오일 팬 내 연료 혼입  오일팬내 연료 혼입으로 오일 주입량 증대 효과  크랭크 샤프트 오일 처닝(Churning) 1) 블로바이(Blow-by) 유량 증대 2) 크랭크 케이스(Crank case) 압력 증대  터보 윤활 오일의 터보 입구(Compressor) 측으로 유입 피스톤 스커핑 및 손상

Ⅱ.디젤링(Dieseling) 발생 사례 1. 디젤링 발생 차량의 공통점 Full 선 약 30mm Over 피스톤 상단부 녹음 인젝터 끝단부 녹음 배기밸브 녹음 인터쿨러 드레인시 오일양 과다 재순환 장치에 오일 과다 유입 흔적 엔진오일 게이지 확인시 FULL선에서 OVER : 평균 약 10MM 오버됨 피스톤 상단부, 인젝터 끝단부녹음 : 이상연소에 의한 연소실內 온도 상승으로 인한 관련부문 손상 배기밸브 녹음 : 육안상으로는 파손과 같이 보이나 탈거 확인시 녹음에 의한 용접부 뜯김 현상 발생 : 정도에 따라 배기밸브 녹음 현상 없는 경우도 있음 재순환 장치에 과다한 유입 흔적 확인됨 고장코드 : 엔진오버런 고장코드 확인 가능 ※터보 단품 문제의 경우 : 육안 및 엔진오일양은 정상임, 단품문제는 축방향 유격,휠 파손등 확인 가능

리턴라인 막힘에 의한 연료 펌프에 부하 발생으로 펌프 씰링 손상되어 엔진으로 경유 유입 Ⅱ.디젤링(Dieseling) 발생 사례 2.디젤링 발생 원인별 – 엔진오일에 경유 희석 리턴라인 막힘에 의한 연료 펌프에 부하 발생으로 펌프 씰링 손상되어 엔진으로 경유 유입 리턴 라인 공급 라인 펌프씰이 IN => OUT 방향으로 손상 연료탱크에 얼음 확인 리턴파이스에 얼음 확인 ▣인젝터 단품 문제시 디젤링 발생가능성은 없음 ▷인젝터 후적 발생 사례 : G엔진차량의 엔진 시동불량 초기 시동시 6번인젝터 개방에 의한 연료누설로 연료압 미생성 시동불가 재시동시 시동 불량 인젝터 후적 발생 운행중에는 커먼레일 內 플로워댐퍼 작동 (6번기통 연료차단) ※플로워댐퍼 : 레일내 압력 완화작용과 연료 LEAKING을 방지.,초기 시동압력시(저압)는 미작동 - 레일내 압력 완충작용(스프링 저항+오리피스 통과 저항) - 연료 LEAKING 방지 - 고압 PIPE, INJECTOR의 연료 누유시, PISTON이 연료 압송구를 차단(연료 유출방지)

첨부 1. 블로바이 재순환 및 오일 유입 경로 정상적인 블로바이 재순환 오일 유입시 경로 블로바이 재순환 장치 - 연소실에서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블로바이 가스를 필터링 한 후 흡기계를 통하여 엔진 내부로 재순환시키는 장치 - 블로바이 가스를 재순환 시킴으로 매연 배출이 없는 장점이 있음 매연 여과장치 매연 여과장치 배기가스 배기가스 흡입공기 흡입공기 공기 + 오일 에어크리너 터보 차저 에어크리너 터보 차저 연소가스 가스 + 오일 공기 + 오일 연소 가스 필터링된 가스 공기 CCV 필터 디젤 엔진 CCV 필터 디젤 엔진 오일 블로바이 가스 블로바이 가스 + 오일량 증가 오일+가스 오일+가스 정상적인 블로바이 재순환 오일 유입시 경로

첨부 2. 오일세퍼레이터 구조 및 작동원리 1. F엔진 Oil Separator 레이 아웃 터보 컴프 출구 ENG 오일 세퍼레이터 1. F엔진 Oil Separator 레이 아웃 터보 컴프 출구 AIR Blow by Gas Blow by Gas 순환도 ENG 오일 드레인 파이프 가스 아웃렛 파이프 터보 컴프 출구 블로바이가스 오일 공기

첨부 2. 오일세퍼레이터 구조 및 작동원리 2. 원심식 Oil Separator의 구조 Diaphragm < 가스 압력 조절부 > 1. 기능 : 크랭크 케이스 내압과 흡입 부압 차를 기준으로 스프링 장력에 의한 Gas 흐름 조절로 크랭크 케이스 내압 제어 2. 구성 부품 : 다이아프램, 스프링 Spring Intake Blow-by Gas 입구 < 오일 분리부 > 1. 기능 : 흡입된 가스를 공간내에서 회전시켜 속도 감소 및 원심 원리를 이용하여 가스내의 오일을 벽면에 붙게하여 가스내의 오일을 분리 2. 기본 원리 : 오리피스 및 원심력 이용 < 오일 드레인부 > 1. 기능 : 분리된 오일을 모아 오일팬으로 유도 2. 주의 사항 : 오일 역류 방지위해 항상 오일에 잠기게 설계 필요 블로바이가스 오일 Oil Pan

첨부 2. 오일세퍼레이터 구조 및 작동원리 3. 상황별 가스 순환 비교 검토 ■ 정상적 순환시 - In : 배플룸에서 1차적으로 필터링된 가스 도입 - Out : 1) 규정 압력에서 정제된 가스만 배출 2) 상시 바이패스 홀로 일부 가스 배출 ■ 비정상적 순환시 (오일 드레인부 노출) - In : 1) 배플룸에서 1차적으로 필터링된 가스 도입 2) 오일 드레인 루트를 통해 오일팬내 미정제된 가스 도입 - Out : 1) 규정 압력에서 미정제된 가스 배출 2) 상시 바이패스 홀로 일부 미정제 가스 배출 ▶ 오일 드레인부 노출시 PCV V/V에 의해 급격한 블로오버 현상은 미발생 예상되나 미정제 가스 배출로 인한 블로 아웃 오일량 증대로 장기간 연소실 유입시 디젤링 가능성 및 이에 따른 EM 악화와 LOC 증대가 예상 됨. Gas 출구 Ø3 Bypass Hole Blow-by Gas 입구 Oil Drain H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