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보험 건물구조급수 해설서 2005. 12 인 스 팩.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제 3 장 수출입 거래 외화획득용 원료 · 기재의 수입과 구매 등 ( 법 제 16 조 ~ 제 18 조 ) 대외무역법.
Advertisements

실외기 일체형 하향식 피난구 ㈜ 에스엠텍.
순환골재 품질인증 업무안내
중전기기 기술개발기금 사업계획서 발표자료 과제명 : ooo 기술개발 ooo㈜
사업추진경과 구 분 추 진 일 정 비 고 2009년 8월 24일 경기장 건립을 위한 양해각서체결(MOU)
동부교회 성전 신축공사 주간 공사 현황 보고 2013년 11월 16일.
설계도.
철골구조의 장점,단점 비내화적이다. 녹이 슨다. 고가이다 정밀한 가공 및 조립이 요구된다. 큰스팬의 구조물에 유리하다.
건축 구조의 이해.
제주신용보증재단 2014년 주요업무보고.
벽식 아파트 구조.
건설폐기물 정의 및 처리방안 고형폐기물 방지공학 6조 : 이회준, 김민영, 이자영 6조 건설폐기물.
실례로 본 구조 시스템
거 푸 집 ( F O R M ) 박진화 고유미.
Sandwich Panel &metal Panel 1조 나윤미 정지성
건설V.E의 사례 분석 1조 오성록 정기롱.
RENO Detector Design meeting
SK건설 기성실적 증명발급 Manual (협력업체용)
이프리 EPI Limited eFree 친환경 종이슬리브
라일건설주식회사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 28 라일 플로리스 신축공사.
한림대학교 현장실습 학생 매뉴얼 한림대학교 LINC 사업단 한림대학교 현장실습지원센터.
면책 동의서 보호자 동의서 (탑승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 본 페이지 출력하여 자필로 기입/서명 후 스캔본(JPG 또는 PDF파일)을
특정소방대상물 소방시설 기준강화에 따른 개정법령 교육.
간이탱크저장소 1. 정의 간이탱크에 위험물을 저장하는 장소 2. 특징
고경남 유용신.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실험실 안전교육시스템 사용설명서 [ 목차 ] 1. 실험실 안전교육
조립식 Cable Tray 화재 확산 방지 트레이 열발포성 방화 격벽 아인텍 주식회사 1.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 관중심 접합 접속하는 관거의 내면 중심부가 일치되도록 접속 시키는 방법. 수위접합과
                                                                                                      
보안컨텐츠 활성화 설정 호환성 설정 교육 수료 가이드
EPI Limited eFree 철골구조, 재사용 친환경 종이거푸집 이프리플러스
한국소방기술인협회 Fire Protection.
시대적인 발달 과정 기후 환경 문화 종교 정치.
목구조 분류 전주목조건축학원.
신고리원자력 1,2호기 건물 소개 품질보증부 유 재홍 대리.
사업(부동산)의 포괄양도 양수 계약서 부동산소재지 : 양도자(갑) 성명(상호명) : 주민등록번호 : 주소 : 양수자(을)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6 받이 각 가정, 공장 등의 하수를 각각 배수설비를 통하여 집수 하는 것으로, 배수설비와 연결
위험물 제조소 등의 종류 주식회사 한국소방엔지니어링.
Ⅴ. 지각의 물질과 변화 5.1 지각을 이루는 물질.
1. TOP-DOWN 공법이란? TOP-DOWN 공법은 단어의 사전적 의미와 같이 구조물 시공시 위에서 아래로 진행하는 공법
발전기 기초 T/G PEDESTAL COLUMN 시공 향상 방안
목구조 분류 전주목조건축학원.
Contents Ⅰ Ⅱ Ⅲ Ⅳ Ⅴ Ⅵ Ⅶ 전기자동차 란? 전기자동차 역사 자동차산업 변천 충전 콘덴서란?
4.7 보 설계 보 설계과정 (a) 재료강도 결정 (b) 보 단면 산정 (c) 철근량 산정 (d) 최소 및 최대 철근비 확인
건물형 이동식 샤워장 시방서 모델명 : BT80-S 제조사 : ㈜코리아 카라반.
자료관리 : 현 화면에서 인쇄할 자료를 입력하여 발행하는 화면 입니다.
Presentation 태양광자동차 Presenter - 에너자이조.
옥내저장소 (복합건물) 1. 대상 : 지정수량의 20배 이하의 위험물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철골공사 안전대부착설비의 문제점 & 네이버 “철골난간대” 검색.
잠실 파크리오 2008년 완공 66개 동, 6864세대 구성 18평, 25평, 32평, 33평, 45평, 46평, 51평
절판구조 박유정 최혜지.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건축구법의 역사 석재, 목재 등의 천연재료 철, 시멘트, 유리의 대량생산 건축재료 및 구법
3. 자동차의 관리 (2) 자동차의 구조 교144쪽.
주문자상표부착(OEM) 수입식품 위생점검 서비스
In-house Consultant Training
MAGNI 118 THE MAGNI GROUP,ING. 제품 설명: 외관: 성능 데이타: 주요 이점: 사양: 6가 크롬 프리
【한국보험금융】 2월 KB손해보험 대표시상 Ⅰ. A군 대표시상 구분 장기 A군 기준 기간
보건복지부 13기 대학생 금연서포터즈 활동 계획서 OOOO대학교, OOOO팀 팀장 이름 : 홍길동.
콘크리트(산업)기사 실기 작업형 시험 대비 동영상포함
소화용수설비 김 종 희
* 유의사항: 본 조사는 ‘ 이용자’와 ‘승용차’를 모집단으로 수행되었습니다.
Chapter 11. 문서 인쇄 및 파일 형식.
청주대학교 급수 ․ 급탕배관 교체공사 [현장설명]
Technology Description Competitive Advantage
<기 자 간 담 회 / 보도자료> 설비관통부 내화충전구조 화재안전성능 실태점검 결과 ( )
Presentation transcript:

화재보험 건물구조급수 해설서 2005. 12 인 스 팩

■ 작성 목적 국문화재보험 요율 및 이에 관한 조건 또는 규정은 주택화재보험 약관 및 화재보험약관에 따라 체결한 화재보험계약에 따라 적용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요율적용을 위하여 업종 적용과 더불어 건물의 구조급수에 대한 판정이 중요하나, 건물의 구조급수에 대한 명확한 기준에 대한 판정 근거가 부족하여 요율적용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건물 구조급수에 대한 판정근거를 제시하여 요율적용상의 문제점을 감소시키고자 본 자료를 작성하였습니다.

■ 목차 Ⅰ. 구조급수 판정기준 ------------------------- 4 Ⅰ. 구조급수 판정기준 ------------------------- 4 Ⅱ. 주요 구조부란? ------------------------- 7 Ⅲ. 내화구조와 불연재료 ------------------------- 8 Ⅳ. 각 구조급수 예시 ------------------------- 15 Ⅴ. 방화구획 ------------------------- 24 Ⅵ. 복합구조의 판정 ------------------------- 26

Ⅰ. 구조급수 판정기준 1. 일반형태의 건물 건물의 구조급별은 주요구조부 중 기둥, 보, 바닥, 지붕(틀), 외벽에 따라 아래의 기준에 의거 판정 주요구조부 급별 기둥/보/바닥 지붕(틀) 외 벽 1 급 내화구조 2 급 불연재료 3 급 4 급 상기 이외의 것

Ⅰ. 구조급수 판정기준 2. 무벽건물 외벽이 50%이상 결여된 건물 가.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인 것 ----------------------- 1급 나. 지붕을 제외한 주요구조부가 불연재료인 것 --------- 2급 다. 기타의 것 ---------------------------------------- 4급

Ⅰ. 구조급수 판정기준 3. 건축중(또는 철거중)인 건물 가. 신축중 또는 철거중인 건물 · 공사완성후(또는 공사착공전) 1급 또는 2급인 경우 ----- 2급 · 공사완성후(또는 공사착공전) 3급인 경우 -------------- 3급 · 공사완성후(또는 공사착공전) 4급인 경우 -------------- 4급 나. 수선중인 건물 : 수선전의 건물급수에 의함 다. 가설공작물, 설비 및 이들의 재료 · 불연재료의 것 ---------------------------------------- 2급 · 기타의 것 -------------------------------------------- 4급

Ⅱ. 주요구조부란? 지붕(틀) 기둥 보 외벽

Ⅲ. 내화구조와 불연재료 내화구조 가. 지붕 : 콘크리트조 나. 바닥 : 콘크리트조, 조적조 다. 보, 기둥 : 콘크리트조, 조적조, 내화피복된 철골보 및 철골기둥 라. 벽 : 콘크리트조, 조적조 ※ 동등이상의 내화성능을 가진 구조(방재시험연구원의 인증품 등 내화성능을 인정받은 것)를 포함 ※ 내화피복 – 조적조, 시멘트몰탈, 퍼얼라이트, 암면뿜칠,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 내화도료 및 이와 유사한 내화력을 가진 불연성의 물질로 철골을 피복한 것으로 방재시험연구원 인증품 등 내화성능을 인정받은것

Ⅲ. 내화구조와 불연재료 2. 불연재료 불연재료란 콘크리트, 석재, 벽돌, 기와, 석면판, 철강, 알루미늄, 유리, 모르타르, 회 및 기타 이와 유사한 불연성의 건축재료 ※ 이와 유사한 불연성의 건축재료 – 방재시험연구원 인증품 등 그 성능을 인정받은 것

Ⅲ. 내화구조와 불연재료 3. 불연재료의 내화구조인정 가. 요율서상 기준 – 방재시험연구원의 인증품 등 내화성능을 인정받은 것 나. 건설교통부 고시 기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내화성능을 확인하여 인정한 구조 다. 적용 – 방재시험연구원 또는 국가공인기관에서 인정받은 경우에는 내화구조로 볼 수 있음. 단, [별표1]내화구조의 성능기준에 부합하여야 함 “내화구조인정서 + 체크리스트” 또는 “내화구조인정서 + 감리보고서” 가 필히 첨부되어야 함.

Ⅲ. 내화구조와 불연재료 ▶ 도료 내화구조인정서 및 현장체크리스트

Ⅲ. 내화구조와 불연재료 ▶ 판넬 내화구조인정서 및 현장체크리스트

공장,창고시설,분뇨및쓰레기처리시설,자동차관련시설중 정비공장,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Ⅲ. 내화구조와 불연재료 [별표1]내화구조의 성능기준 - 산업시설 구성부재 용도 벽 보·기둥 바닥 지붕 용도구분 용도규모 층수/최고 높이 외벽 내벽 내력벽 연소우려가 있는부분 연소우려가없는부분 간막이벽 샤프트실구획벽 공장,창고시설,분뇨및쓰레기처리시설,자동차관련시설중 정비공장,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12/50 초과 2 1 1/2 1/2 3 1 12/50 이하 4/20 이하

Ⅲ. 내화구조와 불연재료 4. 커튼월 구조란? 가. 요율서상 기준 – 건물의 구조적인 하중을 기둥이나 보에 전달시키고 벽체 그 자체는 하중을 받지 않는 비내력벽 나. 한국건축용어 기준 – 비내력 칸막이벽 다. 적용 – 철골조 판넬구조 건물의 외벽이 비내력벽인 경우 커튼월 구조에 해당. 따라서 외벽의 재료가 불연재료인 경우 외벽을 제외하고 건물 구조급별을 판정할 수 있음.

Ⅳ. 각 구조급수 예시 1. 1급구조 기둥/보/바닥 - 철근콘크리트 지붕(틀) – 슬라브 외벽 – 시멘트벽돌위 페인트 기둥/보/바닥 - 철골철근콘크리트 지붕(틀) – 슬라브 외벽 – 유리창(커튼월구조)

Ⅳ. 각 구조급수 예시 기둥/보/바닥 - 철근콘크리트 지붕(틀) – 슬라브 외벽 – 시멘트벽돌위 페인트 지붕(틀) – 슬라브위 기와잇기 외벽 – 시멘트벽돌 및 적벽돌

Ⅳ. 각 구조급수 예시 2. 2급구조 기둥/보/바닥 - 철근콘크리트 지붕(틀) – 슬레이트 외벽 – 시멘트벽돌위 페인트 기둥/보/바닥 - 시멘트벽돌 지붕(틀) – 철판 외벽 – 시멘트벽돌위 페인트

Ⅳ. 각 구조급수 예시 기둥/보/바닥 - 시멘트벽돌 지붕(틀) – 철판 외벽 – 시멘트벽돌 기둥/보/바닥 - 철근콘크리트 외벽 – 시멘트벽돌위 페인트

Ⅳ. 각 구조급수 예시 3. 3급구조 기둥/보/바닥 - 나철골 지붕(틀) – 칼라철판 외벽 – 칼라철판 지붕(틀) – 판넬 외벽 – 판넬

Ⅳ. 각 구조급수 예시 기둥/보/바닥 - 나철골 지붕(틀) – 판넬 외벽 – 판넬 기둥/보/바닥 - 나철골 지붕(틀) – 판넬

Ⅳ. 각 구조급수 예시 4. 4급구조 기둥/보/바닥 - 나철골 지붕(틀) – 천막 외벽 – 천막 기둥/보/바닥 - 나철골

Ⅳ. 각 구조급수 예시 기둥/보/바닥 - 파이프 지붕(틀) – 천막 외벽 – 천막 기둥/보/바닥 - 파이프 지붕(틀) – 천막

Ⅳ. 각 구조급수 예시 5. 철골구조물의 내화구조예시 철골기둥위에 시멘트 벽돌을 쌓고 페인트칠을 한 경우 철골기둥위에 내화인증받은 내화도료를 피복한 경우

Ⅴ. 방화구획 벽 및 바닥 구조 : 내화구조 – 콘크리트조, 조적조 조건 : 배관 등의 관통부의 경우에는 틈을 시멘트몰탈 또는 내화충전재로 메워야 함 2. 갑종방화문 구조 : 골구를 철재로 하고 양면에 각각 두께 0.5mm이상의 철판을 붙인것 철재로서 철판의 두께가 1.5mm 이상인 것 성능을 인정받은 것으로 1시간이상 내화성능인 것

Ⅴ. 방화구획 3. 방화구획 예시 벽 - 시멘트벽돌위 페인트칠 문 - 갑종방화문

Ⅵ. 복합구조의 판정 복합구조란? 2종이상의 다른 구조로 된 하나의 건물 2. 적용 최열급에 해당하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30% 초과인 경우 → 최열급 요율을 전체면적에 적용 30% 이하인 경우 → 각각의 해당구조급별 요율을 적용한 평균요율에 열급바닥면적비에 따른 계수를 곱하여 산출 열급바닥면적비 10%이하 10%초과 20%이하 20%초과 30%이하 할증계수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