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건제도 Feudalism.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Advertisements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정보화로 인한 장단점 생활의 변화 번 이성재.
경제생활 속의 자유와 경쟁 6학년 3반 4번, 7번 성 주은, 양 민서.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고은선.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제주신용보증재단 2014년 주요업무보고.
제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3학년 교육공학 방송통신대학교 출석수업 3.1 학습이론 3.2 커뮤니케이션 이론 3.3 체제이론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3강 한글 맞춤법 총칙.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중세교회.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Moral & Ethical Theory of Trade Unionism
사회[역사] 1학년 1학기 1.유럽세계의 형성>2.유럽 세계의 성립과 발전(4/11) 유럽 세계의 성립 수업계획 수업활동.
수업명 또는 그 외 PPT 주제를 넣으세요 PPT주제를 영어로.
1. 고려의 성립과 정치 발전 원의 간섭과 공민왕의 반원 개혁 정치 6.
2011년도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BMC 한국경영인력연구원 Tel: (02) , HP:
신라중대의 전제왕권과 사회문화.
제 8장 재가복지봉사센터 1970년대 초 탈시설화, 정상화 이념 시설보호중심에서의 인식전환(노인, 장애인)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중세교회.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적십자 이야기.
중세의 형성과 발전.
중세의 형성과 발전.
중세시대의 형성.
사회 1학년 2학기 10. 아시아 사회의 발전과 변화 >1.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과 전통 사회의 발전 (2/14)
영국의 봉건제도 PRESENTATION ㅂㅜ 나노 2007 김민성 영어영문학부 하 늘.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봉건제도 Feudalism.
봉건제도 Feudalism.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국제관계론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안토니오 그람시 - 헤게모니를 중심으로 사회학과 홍.
수력에너지.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01 문벌 귀족 사회가 흔들리다.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03 농민과 천민이 봉기하다.
Ⅲ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2. 남북국의 성립과 발전 01 통일 이후 신라는 어떻게 변화하였을까?
사회 사상의 전개 “진보한다는 것은 변하는 것을 뜻한다. 완전하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몇 번인가 변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처칠- 모든 사회는 끊임없는 자기 수정과 변화 속에서 진보를 계속해 왔다. TEXT PP.145~149.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제1장 기업환경변화와 품질경영의 필요성 1.1 기업환경의 변화 1.2 품질경영도입의 필요성.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체육사 상지대학교 담당교수 이 문 성.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K. Marx 역사론.
Historical Materialism
미래에 부자가 되는 길 행복한 미래를 만드는 기술자 김송호.
사료.
중세교회.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Anyang Volunteer Center
제1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Charlemagne, 742~814 Liege, in Belgium.
Charlemagne, c.742~814 “Father of Europe”? Liege, in Belgium.
사회 2학년 1학기 1.고대 지중해 세계>1) 고대 그리스 사회와 문화> 10/12 도시의 성장과 장원 해체.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제1차 세계대전.
제4편 북한경제와 남북한 경제교류 제11장 북한의 경제체제와 발전.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팀명 : 도~마ㄹ미 작품명 : 도~마 도 팀원 : 정형수, 박인권, 유 빈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노동법 김상현 교수.
중세봉건제도 Feudalism.
뮨화의 기능 환경에의 적응 사회와 집단의 유지 지식의 제공과 축적 뮨화의 구성요소 물질문화 비물질문화 제도, 규범문화 관념문화.
Presentation transcript:

봉건제도 Feudalism

개념 18세기 프랑스혁명기 19,20세기 처음 형성 귀족의 세습적 특권을 보장하는 구제도Ancien Regime 본질은 귀족과 교회 영주와 예속농민의 관계 19,20세기 제도역사가들이 기술적, 법제적 의미로 사용 자유인[귀족] 사이의 독특한 보호와 의존의 상호관 계 신탁commendation, 신종서약homage 주군lord=가신vassal; 군사적 인신적 보호=봉사(군역)

1930-40년대 Marc Bloc의 하나의 ‘사회유형’: 마르크스주의 역사학 농업경제에 기반을 둔, 특히 소농민의 생산잉여를 귀 족영주가 취하는 경제적 사회구성체 –인류역사의 보편적 단계 소유자 귀족[영주]은 생산수단의 소유와 경제외적 강제를 수단으로 생산자[농민]을 부자유신분[농노] 으로 묶어놓고 수탈하는 제도 1930-40년대 Marc Bloc의 하나의 ‘사회유형’: 사회생활과 인간의 존재양식, 사고방식, 문명의 양상 등

기본구성요소 봉건제: ‘인간과 인간의 결합과 제휴’의 하나의 양태 사회 질서의 보장이 이루어 지지 않는 상황에서 형성 봉건제: ‘인간과 인간의 결합과 제휴’의 하나의 양태 사회 질서의 보장이 이루어 지지 않는 상황에서 형성 쌍무적 계약관계: 주군과 가신의 상호의존과 보 호관계, 카롤링왕조의 왕과 귀족[지방관 count]의 기본관계(실제로는 지방세력의 지배권을 강화하 고, 명목적으로 추인한 것) 봉건적 계서제 hierachy(이념형); 재분봉 subinfeudation 과 중층적 결합 불입권Immunity: 재판권, 과세권->지방분권적

신종서약

봉건적 계서제와 주종관계

<봉건귀족> 봉건귀족의 존재양태, 경제적 기반, 생활양식, 취 미와 기호, 사회적 통념 및 법률적 규정 등은 변 화하고 유동적 당대의 라틴어 사전: nobiles(고귀한 사람), proceres(유력자) 중세초기 게르만 귀족가문+로마화된 갈리아 귀족가문이 주류+왕족 장자상속, 남계 후사의 지위가 정해지지 않음(귀 족의 지위는 여계를 통해서도 계승)

중세중기 family name이 없음(11/12 이후 경향) 대토지, 예속인, 종사단, 친족적 유대 카롤링왕조 때 제국 귀족층의 형성, 지방의 유력 자 가문이 귀족으로 등장-부족공(Stammesherzog) 중세중기 10세기부터 이민족의 침입으로 폭력난무, 사회 질서 혼란, 도시경제발전과 화폐경제 침투 ‘국가’가 질서와 체제를 서서히 정비

11세기경부터 가문의식은 남계친족 중심으로 형성 – 혈통lineage, 가문이름family name 호화로운 석조 성곽(초기는 흙으로 축조)에 거주 중갑기사군이 ‘직능집단’으로서 기사층knight을 형성-무 장능력과 전투기술, 직업의식과 신분의식, 기사=귀족 출신보다는 기사의 역할을 중시-국왕이나 대귀족의 예 속인이 기사로 성장

중세의 기사

중세후기 12세기경부터 봉건관계의 형식화, 내적으로 분화, 서열과 계서제의 수립 12세기경부터 봉건관계의 형식화, 내적으로 분화, 서열과 계서제의 수립 국왕과 주종관계이나 자립적인 제후, 제후와 주종관 계의 하급귀족의 층-제후집단은 폐쇄적 14세기, 직능적 기사층(하급기사 포함)이 혈통에 의 해 구분-폐쇄적 집단의 형성 기사집단의 편입이 까다로워짐-국왕의 동의, 특허문 서(도시민 중 부를 축적하여 귀족으로 편입되기도) 기사신분만이 무장권을 누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