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2 네트워크 모델 (Network Models).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컴퓨터와 인터넷.
Advertisements

16장 X.25 패킷 교환망 16.1 X.25 계층 구조 16.2 패킷 계층 프로토콜 16.3 요약.
인터넷의활용.
3 장 OSI 기본 참조 모델 OSI : Open System Interconnection
20장 SONET/SDH 20.1 동기 전송 신호 20.2 물리적인 구성 20.3 SONET 계층 20.4 SONET 프레임
18장 SONET/SDH 18.1 동기 전송 신호 18.2 물리적 구성 18.3 SONET 계층 18.4 SONET 프레임
24 장 TCP/IP 24.1 개요 24.2 네트워크층 24.3 주소 지정 24.4 서브넷팅틍
23 장 TCP/IP 23.1 개요 23.2 네트워크층 23.3 전송층 23.4 응용층 24.5 요약.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9장 데이터 링크층 개요 (Introduction To Data-Link Layer)
네트워킹 CHAPTER 13 Section 1 네트워킹의 개요와 java.net 패키지 Section 2 인터넷 주소와 URL
제 15 장 점 대 점 프로토콜 15.1 천이상태 15.2 PPP 계층 15.3 링크 제어 프로토콜 15.4 인증
11 장 LAN 기본 개념과 Ethernet LAN
컴퓨터 네트워크 II - 기말고사 토폴로지 발표자료
15장 X.25 패킷 교환망 15.1 X.25 계층 15.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5.3 요약.
23 장 OSI 상위계층 23.1 세션(session)층 23.2 표현(presentation)층
Chapter 21 Network Layer: ARP, ICMP (IGMP).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3 장 광역 통신망(WAN) 13.1 점대점 WAN 13.2 교환형 WAN 13.3 ATM LAN 13.4 요약.
4. LAN의 배선체계 (3장. LAN: Local Area Network)
17장 X.25 패킷 교환망 17.1 X.25 계층 17.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7.3 요약.
Chapter 19 솔라리스 네트워크 관리 Solaris1 . TCP/IP 개요
컴퓨터 네트워크 Chapter 1-2.
U D P 전공 : 정보보호 학번 : 이름 : 배 지 태.
3장 OSI 기본 참조 모델과 TCP/IP 3.1 OSI 기본 참조 모델 3.2 계층별 기능 3.3 TCP/IP 프로토콜 그룹
제 11 장 UDP 11.1 프로세스-대-프로세스 통신 11.2 사용자 데이터그램 11.3 검사합 11.4 UDP 동작
2장. 인터넷의 개념과 주소.
22 장 전송층(Transport Layer)
Contents 통신 프로토콜의 필요성 OSI의 7계층 참조 모델 계층적 프로토콜의 동작 TCP/IP 프로토콜
Data Communications 제 4 장 OSI 참조 모델.
OSI Reference Model.
18 장 가상회선교환:프레임 중계와 ATM 18.1 가상회선교환 18.2 프레임 중계 18.3 비동기 전송 방식 18.4 요약.
21 장 전송층(Transport Layer)
OSI 7계층 네트워크 프로토콜 OSI 7계층 구조.
Chapter 2 네트워크 모델 (Network Models).
9 TCP의 이해 학습 목표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 제공하는 기능을 이해한다.
Chapter 01. OSI 계층 모델.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네트워크의 기본 Chapter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TCP/IP TCP/IP의 이해 TCP UDP IP 한빛미디어(주).
16 장 네트워크 보안 : 방화벽과 VPN 16.1 개요 16.2 기밀성 16.3 전자 서명 16.4 인터넷 보안
Network 네트워크 이론 및 실습 TCP / IP 4장.
20 장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0.1 리피터(Repeaters) 20.2 브리지(Bridges)
21 장 네트워킹과 인터네트워킹 장치 21.1 중계기(Repeaters) 21.2 브릿지(Bridges)
Data Communications 제 4 장 OSI 참조 모델 정보보호학과 양 계 탁.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2 네트워크 모델 학습 목표 모듈 개념을 알아보고 계층 구조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6.2.3 OSI 계층화의 개념 학습내용 (N) 접속(connection) 데이터단위(Data Unit)
10 기타 전송 계층 프로토콜.
3 네트워크 기술 학습 목표 회선 교환 시스템과 패킷 교환 시스템의 차이와 원리를 이해한다.
Chapter 26 IP over ATM.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LAN의 구성요소 학습내용 서버 클라이언트 NIC(Network Interface Card) 전송매체
통신프로토콜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통신프로토콜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7 IP 프로토콜의 이해 학습 목표 네트워크 계층의 필요성과 역할을 이해한다.
제 13 장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정보통신연구실.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네트워크의 기본 Chapter 김 형 진 전북대학교 IT응용시스템공학과.
9 장 오류 검출 및 오류 정정 9.1 오류 종류 9.2 검출 9.3 오류 정정 9.4 요약.
제 6 장 IP 패킷 전달과 라우팅 6.1 연결형 서비스와 비연결형 서비스 6.2 직접 전달과 간접 전달 6.3 라우팅 방법
학습내용 프로토콜 계층화 OSI 모델의 용어 및 기능 개체 서비스 접근점 (N) 프로토콜과 (N) 서비스 서비스 프리미티브
5.2.3 교환방식의 비교 학습내용 교환방식의 비교.
The OSI Model and TCP/IP Protocol Suite
Chapter 2 네트워크 모델 (Network Models).
4. IP 데이터그램과 라우팅 (6장. 인터넷과 IP) IP 데이터그램 : 특정 물리망에 종속되지 않은 가상의 패킷 형식.
통신프로토콜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빠른 인쇄하는 방법 등록정보를 클릭한다. 인쇄품질을 고속으로 한다.
네트워크란? Onescore 네트워크팀.
ARP.
Presentation transcript:

Chapter 2 네트워크 모델 (Network Models)

2장 네트워크 모델 2.1 프로토콜 계층화 2.2 TCP/IP 프로토콜 그룹 2.3 OSI 모델 2.4 요약

2.1 프로토콜 계층화 프로토콜 : 송신자, 수신자, 모든 중간 장치들이 효과적인 통신을 위해 지켜야 할 규칙 프로토콜 계층화 : 통신이 복잡할 때는 여러 계층을 두어 서로 다른 계층간에 임무를 나눌 수 있다 두 가지의 시나리오를 살펴보자

2.1.1 시나리오 첫 번째 시나리오: 공통적인 생각을 가진 이웃인 마리아와 앤 간의 통신(면-대-면으로 한 계층에서만 이루어짐) 규칙 첫째: 만날 때 서로 인사한다 둘째: 친구간에 사용하는 단어를 제한한다 셋째: 상대방이 말할 때 경청한다 넷째: 대화는 독백이 아니라 대화식이어야 한다 다섯째: 헤어질 때 기분 좋은 단어를 교환한다

2.1.1 시나리오 두 번째 시나리오 앤이 새로이 직장을 얻어 서로 먼 거리에 떨어지게 됐지만 새로운 사업을 구상하기 위해 서로 통신하기를 원한다 서로 통신 내용이 도용되지 않도록 암/복호화 기술을 사용하기를 원한다 이 통신은 3개의 계층에서 이루어진다 할 수 있다 각 계층은 작업 처리를 위한 기계(또는 로봇)를 가지고 있다

그림 2.2: 세 계층 프로토콜 1.#

2.1.2 프로토콜 계층화 원칙 첫 번째 원칙 양방향 통신을 원한다면 각 계층은 한 가지씩 상반되는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듣기/말하기, 암/복호화, 편지주고/받기) 두 번째 원칙 각 계층의 객체는 동일해야 한다(평문, 암호문, 편지)

2.1.3 논리적 연결 각 계층간 논리적인 연결은 계층-대-계층 통신을 갖는다는 의미

2.2 TCP/IP 프로토콜 그룹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모델 5개의 계층으로 구성된 계층 모델

2.2.1 계층적 구조 링크층 스위치를 가진 3개의 링크로 이루어진 인터넷 링크들은 하나의 라우터에 연결

2.2.1 계층적 구조 컴퓨터 A는 컴퓨터 B와 통신 5 개의 장비로 구성(발신지 호스트, 링크1 스위치, 라우터, 링크2 스위치, 목적지 호스트) 양 호스트는 5개의 계층(물리층, 데이터링크층, 네트워크층, 전송층, 응용층)과 관련 라우터는 3개의 계층(물리층, 데이터링크층, 네트워크층)과 관련 링크층 스위치는 2개의 계층(물리층, 데이터링크층)과 관련

2.2.2 TCP/IP 프로토콜 그룹의 계층 계층간 논리적 연결 Logical connections

2.2.2 TCP/IP 프로토콜 그룹의 계층 논리적 연결에서 각 계층의 의무 응용층, 전송층, 네트워크층 의무는 종단-대-종단 데이터링크층, 물리층 의무는 홉-대-홉 홉(hop)은 호스트 또는 라우터

2.2.2 TCP/IP 프로토콜 그룹의 계층 프로토콜 계층화에서 각 장치에 있는 각 계층은 동일한 객체를 가짐 Identical objects (messages) Identical objects (segment or user datagram) Identical objects (datagram) Identical objects (frame) Identical objects (bits)

2.2.3 각 계층에 대한 설명 물리층 프레임의 각 비트(bit)를 다음 링크로 전달 책임 전송매체 이용 전기 또는 광학 신호를 전송 데이터 링크층 유/무선 링크를 통하여 프레임(frame) 전달 책임 상위층으로부터 데이터그램(datagram)을 받아 프레임으로 캡슐화 다양한 링크층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다른 서비스 제공

2.2.3 각 계층에 대한 설명 네트워크층 발신지 컴퓨터와 목적지 컴퓨터간 연결 생성 책임 통신은 호스트-대-호스트 가능한 경로를 통해 패킷을 라우팅하기 위한 책임 담당 흐름제어, 오류제어, 혼잡제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비연결형 프로토콜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IGMP)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DHCP) 주소 변환 프로토콜(ARP)

2.2.3 각 계층에 대한 설명 전송층 논리적 연결은 종단-대-종단(end-to-end) 응용층으로부터 메시지를 받아 전송층 패킷으로 캡슐화(세그먼트 또는 데이터그램)하여 목적지 호스트의 전송층에 전달 책임 응용층에 서비스 제공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연결형 - 흐름제어, 오류제어, 혼잡제어 제공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비연결형 – 제어 서비스 제공하지 않음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CTP)

2.2.3 각 계층에 대한 설명 응용층 논리적 연결은 종단-대-종단 서로 응용층간에 메시지 교환 프로세스간 통신 제공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단순 우편 전달 프로토콜(SMTP)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텔넷(TELNET) 보안 쉘(SSH) 단순 망 관리 프로토콜(SNMP)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2.2.4 캡슐화와 역캡슐화 프로토콜 계층화에 매우 중요한 개념 그림 2.5에 대한 캡슐화 개념

2.2.4 캡슐화와 역캡슐화 발신지 호스트에서 캡술화 응용층에서 교환되는 메시지는 전송층에 전달 전송층에 반드시 전달해야 하는 페이로드로 받아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세그먼트 또는 데이터그램으로 만들어 네트워크층에 전달 네트워크층은 페이로드로 받아 헤더를 추가하여 데이터그램이라는 네트워크층 패킷으로 만들어 링크층에 전달 링크층은 페이로드로 받아 헤더를 추가하여 프레임으로 만들어 물리층에 전달

2.2.4 캡슐화와 역캡슐화 라우터에서 캡술화와 역캡슐화 데이터 링크층에 비트들이 전송되면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그램을 역캡슐화 네트워크층은 헤더를 조사하여 전송할 다음 홉을 찾기 위해 포워딩 테이블 조사, 다음 링크의 데이터 링크층으로 보냄 다음 링크의 데이터 링크층은 프레임에서 데이터그램을 캡슐화하고 물리층에 보냄 목적지에서 캡슐화 각 계층은 응용층까지 역캡슐화하고 페이로드를 상위층에 전달 오류 검사 필요

2.2.5 주소지정 프로토콜 계층화와 관련하여 발신지와 목적지간 통신을 위해 4쌍의 주소 사용

2.2.6 다중화와 역다중화 일부 계층에서 여러 개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신지에서 다중화, 목적지에서 역다중화 필요

2.3 OSI 모델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개방시스템 상호연결 모델 1970년 후반에 처음 소개 모든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간의 통신을 허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계층 구조를 갖는 모델 서로 연관된 7개의 계층으로 구성

2.3 OSI 모델

2.3.1 OSI 대 TCP/IP TCP/IP 프로토콜에는 전송층과 표현층이 없음

2.3.2 OSI 모델의 실패 TCP/IP 프로토콜이 많은 시간과 돈을 들여 완전히 자리잡은 후에 OSI가 완성

2.4 요약 Q & A

연습문제 풀이해서 Report로 다음 주까지(일주일 후) 제출해 주세요! 알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