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ess Seminar 2019.03.13 양승만.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3 학년 문제가 남느냐, 내가 남느냐 1. ( 아씨방 일곱 동무 ) 아씨의 방에는 바느질을 위한 친구가 몇 명이 있었나요 ? 정답은 ? 일곱.
Advertisements

Word2Vec Tutorial 박 영택 숭실대학교.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선석규.
웨이브렛 프레임과 공간 정보를 이용한 질감 영상 분할 Texture Segmentation Using Wavelet Frame and Spatial Information 지도교수: 조 석 제 예 병 길 제어계측공학과.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ogress Seminar 선석규.
A Practice Device for Frequency Response
Medical Instrumentation
Progress Seminar 선석규.
1. 세포의 구조와 기능 (1) 식물 세포 와 동물 세포 조영희
기업생존의 5S 실천과정.
각종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을 때 도움말을 클릭하세요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ogress Seminar 선석규.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어지럼증 기타
잔류전류감지기 광명소방서 광명119안전센터 정대성.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 안내.
인공신경망 실제 적용사례 및 가상사례 조사.
자이로센서와 GPS를 이용한 블랙박스 G.Cube DSP skc.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이준녕.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권순빈.
Progress Seminar 이준녕.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X-Project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이준녕.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이준녕.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ogress Seminar 선석규.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선석규.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노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EP 어지럼증 한양대
Progress Seminar 양승만.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 BEPatch DBS & 안면자극 약물 주입 펌프 2주전 계획 연구
Progress Seminar 이준녕.
Progress Seminar 이준녕.
Progress Seminar 권순빈.
Progress Seminar 손 장 재.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선석규.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ogress Seminar 이준녕.
Progress Seminar 이준녕.
아프타성 구내염- 환자 교육용.
Progress Seminar 권순빈.
Progress Seminar 권순빈.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esentation transcript:

Progress Seminar 2019.03.13 양승만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응급의학과-재난대응 혈압 연구 삼성 과제 소아마취통증의학과 신경외과 기타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전체연구진 회의 (3/7) SCG feature extraction using RNN Dataset 재점검 BEPATCH 분석 코드 (by 박종현) 공부 임상시험 결과 통계 분석 임상시험 진행 중 중환자 case 수집 문제점 및 대책 Validation loss가 큼 목표 및 계획 시제품 1대 추가제작 삼성 피쳐 통계 분석 ICG 장비에서 측정한 ECG, ear PPG, ICG 이용하여 PTT, PEP 등 추출하여 분석 임상시험 데이터 분석

SCG feature extraction using RNN CEBS Database (from PHYSIONET PhysioBank) 20 healthy volunteers ECG (leads I & II), Respiratory signal, SCG 측정 Very still in supine position on a single bed and awake Basal state during 5 minutes [records b001~b020] Listening classical music during 50 minutes [records m001~m020] After the music ended during 5 minutes [records p001~p020]

SCG feature extraction using RNN Training dataset 생성 (Feature point annotation 및 good segment 선별) CEBS Database b001~b020, m001~m020, p001~p020 데이터 사용 ECG Q wave 기준으로 SCG beat segmentation 10개 segment ensemble averaging Normalization 125개 sample로 resampling IM, AO, AC point 후보들 선정 SCG의 W-complex에서 첫 번째 valley/peak와 두 번째 valley/peak로 IM, AO point 후보를 두 개씩 선정 AC point의 경우, ECG T-wave 이후 시점에 SCG 파형에서 나타나는 첫 번째 peak를 후보 하나로, 20Hz high-pass filte를 통과한 SCG 파형에서 나타나는 첫 번째 peak를 또 하나의 후보로 선정 (SCG의 High frequency 성분이 심음 파형에 유사해 AC point가 더 잘 보인다는 기존 논문 참조) IM, AO, AC point 확정 및 good segment 선별 기존 문헌들을 기준으로 PEP & LVET & PEP/LVET의 normal range를 다음과 같이 정함 PEP: 60~165ms, LVET: 260~340ms, PEP/LVET: 0.18~0.64 앞서 선정한 AO, AC point 후보들로 계산한 PEP & LVET 조합 중, PEP, LVET, PEP/LVET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정도의 합이 가장 적은 경우를 IM, AO, AC point 정답으로 확정 인접한 10개의 segment에 대해 결정된 IM, AO, AC point location의 std가 모두 2 미만인 경우만 저장 최종적으로 저장한 segment들에 대해 visual inspection 진행 PEP2=204ms LVET2=226ms PEP1=98ms LVET1=332ms PEP2/LVET2=0.9 PEP1/LVET1=0.3 PEP1&LVET1 채택

SCG feature extraction using RNN Training dataset 생성 (Feature point annotation 및 good segment 선별) CEBS Database b001~b020, m001~m020, p001~p020 데이터 사용 ECG Q wave 기준으로 SCG beat segmentation 10개 segment ensemble averaging Normalization 125개 sample로 resampling IM, AO, AC point 후보들 선정 SCG의 W-complex에서 첫 번째 valley/peak와 두 번째 valley/peak로 IM, AO point 후보를 두 개씩 선정 AC point의 경우, ECG T-wave 이후 시점에 SCG 파형에서 나타나는 첫 번째 peak를 후보 하나로, 20Hz high-pass filte를 통과한 SCG 파형에서 나타나는 첫 번째 peak를 또 하나의 후보로 선정 (SCG의 High frequency 성분이 심음 파형에 유사해 AC point가 더 잘 보인다는 기존 논문 참조) IM, AO, AC point 확정 및 good segment 선별 기존 문헌들을 기준으로 PEP & LVET & PEP/LVET의 normal range를 다음과 같이 정함 PEP: 60~165ms, LVET: 260~340ms, PEP/LVET: 0.18~0.64 앞서 선정한 AO, AC point 후보들로 계산한 PEP & LVET 조합 중, PEP, LVET, PEP/LVET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난 정도의 합이 가장 적은 경우를 IM, AO, AC point 정답으로 확정 인접한 10개의 segment에 대해 결정된 IM, AO, AC point location의 std가 모두 2 미만인 경우만 저장 최종적으로 저장한 segment들에 대해 visual inspection 진행 PEP2=120ms LVET2=307ms PEP1=66ms LVET1=360ms PEP2/LVET2=0.39 PEP1/LVET1=0.18 PEP2&LVET2 채택

SCG feature extraction using RNN 최종 선별된 segment 및 feature point annotation 예시 S N PEP LVET PEP/LVET 1 2240 100.0±2.9 311.3±12.2 0.32±0.02 2 250 191.3±6.2 326.6±8.9 0.59±0.03 3 2540 154.9±5.1 311.3±8.3 0.50±0.02 4 530 63.0±3.1 306.8±7.9 0.21±0.01 5 950 135.8±3.9 320.2±9.2 0.42±0.02 6 400 78.5±2.9 315.2±12.6 0.25±0.01 7 2460 115.5±3.2 303.0±8.5 0.38±0.01 8 840 64.5±2.2 272.0±14.2 0.24±0.01 9 97.8±4.2 313.4±20.9 0.31±0.03 10 2900 98.0±3.3 301.2±7.7 0.33±0.01 11 630 83.4±5.1 310.7±10.7 0.27±0.02 12 910 65.3±2.4 290.0±6.1 0.23±0.01 13 2480 83.3±2.2 316.5±8.1 0.26±0.01 14 1400 86.7±2.7 297.9±11.5 0.29±0.02 15 ECG 이상 16 1110 120.2±2.9 293.1±7.8 0.41±0.01 17 270 88.3±3.9 245.3±8.8 0.36±0.02 18 190 117.4±5.3 290.8±14.3 0.40±0.03 19 80 73.3±3.8 321.1±9.4 20 1050 117.9±4.0 303.1±9.7 0.39±0.02

SCG feature extraction using RNN Training dataset 생성 (noise 합성) 선별한 segment에 3가지 noise (white noise, sloping noise, saturation noise)를 섞어서 10배로 augmentation 총 214800개의 training dataset 생성

SCG feature extraction using RNN LSTM cell (Long Short Term Memory) Feature point location Ex) [9, 13, 57] Output layer [1 X 3] Hidden layer [125 X 40] . . . . . . Input layer [125 X 1] Time steps (samples) t-124 t-123 t-1 t <Many to one>

SCG feature extraction using RNN Result 19명 중 16명 data로 training, 3명 data로 validation Training loss: 4.8344 / Validation loss: 18.3752

SCG feature extraction using RNN Result (noise 안 섞은 경우) 19명 중 16명 data로 training, 3명 data로 validation Training loss: 2.0098 / Validation loss: 11.0195

SCG feature extraction using 1d CNN [125X1X32] [63X1X64] [32X1X64 -> 1024] [125X1X1] [63X1X32] [32X1X64] [1024 -> 3] Result 19명 중 16명 data로 training, 3명 data로 validation Training loss: 5.7326 / Validation loss: 13.7208

SCG feature extraction using 1d CNN [125X1X32] [63X1X64] [32X1X64 -> 1024] [125X1X1] [63X1X32] [32X1X64] [1024 -> 3] Result (noise 안 섞은 경우) 19명 중 16명 data로 training, 3명 data로 validation Training loss: 2.5734 / Validation loss: 19.7105

SCG DAE using RNN . . . . . . . . . DAE로 선회하여 시도 t-124 t-123 t-1 t Output layer [125 X 1] . . . LSTM cell Hidden layer [125 X 40] . . . . . . Input layer [125 X 1] Time steps (samples) t-124 t-123 t-1 t <Many to many>

PPG DAE using RNN Result PPG data로 DAE를 진행 PPG dataset (from 이준녕) 사용 Training dataset (n=392448), Validation dataset (n=98112) Training loss (RMSE): 0.0075 / Validation loss (RMSE): 0.0071

SCG DAE using RNN Result 16명 data로 training (n=153900), 3명 data로 validation (n=60900) Training loss (RMSE): 0.0067 / Validation loss (RMSE): 0.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