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보건 사회복지 사회복지학과 2000017038 은종숙.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돈과 빈곤. 가난은 장애다 “ 이발소 건물 주인 아저씨는 휠체어를 타고 다녔어. 장애인이었지. 하지만 아버지 앞에서 는 늘 당당했어. 아버지하고 얘기를 나눌 때 면 아버지는 늘 무릎을 꿇으셨지. 눈을 맞춰 야 하니까. 위에서 내려다볼 수는 없잖아, 건 물 주인을. 그.
Advertisements

조문수 최성현 정장일 최봉건 청소년 성착취.
사회보험과 산업복지 1. 국민연금 2. 국민건강보험 3. 산재보험 4. 고용보험. 1. 도입배경 목적 : 국민의 노령, 폐질 또는 사망 등과 같은 사회적 위험에 대비하여 가입자의 기여금 과 사용주 또는 국가의 부담금을 주된 재원 으로 장기적 소득을 보장함으로써 국민생.
입점제안서 ONLINE FAIR 권오룡 과장 드래프트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성도빌딩 14F Tel :
비어비워 사업 계획 서 팀원 : 김성민, 남지연, 전 진, 오 해숙 팀명 :VISION21.
이상행동의 이해Ⅰ 발제자: 양정화.
국어 문장 장르별 문체의 형성 조소현 조은지 진혜민.
한국경제론 가을 Chap 10 비정규직 문제 국회의원 이경재 (前 국회환경노동위원장)
2. 성장을 위한 돌봄전문조직 운영모델 (안) 제안
사회적 경제 조직 강의안 마을 공동체 종합지원센터 컨설턴트 변현철.
블로그 활용 현황 학과 : 영어영문학과 학번 : 이름 : 정경업
2012년도 부산문화재단 지원사업 2차 설명회 후원 주최 (수) 15:00 부산디자인센터 6층 이벤트홀.
Chapter 9 히키코모리(은둔형 외톨이)
But, 성공하려면 과정이 필요합니다. 목표달성을 위해 정해진 기간이 필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가요~?
정신보건 사회복지 조: 김형욱,정승현 1/25.
Amputation 절단 : 진행성 말초혈관 질환, 외상, 선천성 기형으로 인하여 신체의 일부를 제거
제2장 자기 이해 - 건강한 자아상 -.
PART 01 케어복지의 이론과 기초 CHAPTER 02 케어복지의 개념과 구조.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
간호관리학 장광심 동아인재대학교.
1 2 Solution [physical] 소수/다수 수업 중 선택 가능 장비 사용에 대해 사전 교육 이수
THE PRIVATIZATION OF HEALTH CARE
제11장 사회복지 실천 모델의 종류 아낌없이주는 사랑.
제6장 인지행동모델 기본전제 개념 적용.
4장 체육과 교육과정 모형.
건강과 생활개념 Wellbeing: Well-being is most commonly used in philosophy to describe what is non-instrumentally or ultimately good for a person.
응급의학과 설명회 국내 응급의학의 역사, 현황 및 전망
제9장 사회복지 실천 접근 방법 사회복지실천론(이종복외)
                                                                                                                                                                                                        
50 % 남성 여성 천체 남성 흡연율.
사회복지개론 직업으로서의 사회복지 13차시.
심리 치료.
MenFiTM – 12thday (Mental Fitness Program)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사회사업의 기초 과목으로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무엇이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가? 우리를 어떤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의 어떤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이.
제12강 사회복지와 인권문제.
정신보건사회복지론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의료사회사업론 Social Work in Health Care
제1부 의료사회복지실천 개관 1장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개념 2장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직무 3장 의료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이해.
인간발달과 정신건강 이영주교수.
예수회 정신과 사회 사도직 현장의 연결 박문수 2013년11월2일 사회 사도직 확대 모임.
정신보건사회복지론 Social Work in Mental Health 주 교재 : 정신보건사회복지론(임은희, 양서원, 2010) 부 교재 : 정신보건사회복지론(이영실 외2인, 창지사, 2010) 제1부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기초이해 제1장 정신건강의 개념과 기준 인하대학교.
사회복지정책론 총정리(2).
간호학과 보건교사 교직과정 OT 일시 : 오후 1시 장소 : 본관307호 스마트강의실
쇼핑몰 V1.9 Cafe24 굿스플로 택배연동 사용 매뉴얼 ⓒ2009 Cafe24 ECHOSTING.
3장 사회복지조직의 구조와 유형.
1강의 :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유형 2강의 : 사회행동의 전략과 기술
제15장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말기 환자 돌봄의 모형.
청소년프로그램개발 및 평가 수시테스트2(기말고사 자료).
인간행동, 발달, 사회환경과 사회복지 실천.
정신건강 치료의 형태 정신건강의 정의 정신건강의 의미 정신건강에 대한 학문적 견해 상담과 심리치료는 무엇인가
목차 I 프리젠테이션 개요 II 프리젠테이션 작성방법 III 프리젠테이션 스킬 노하우.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 기법 사회복지학부 엄태영.
제3장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개입이론.
자원봉사론 제 8 장.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이제는 말할 수 있다 한국대학생 IT 경영학회 이 성 은.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
노인복지실천.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8장 가족과 건강가족기본법 제정배경 주요내용 분석.
제3의 미디어, SNS의 힘! 경영학부 권예슬.
Chapter 11 장애인 문제 사회문제론 5/24.
건강의 개념.
건강증진 행위 개론 -건강증진의 개념
Chapter 1 인간행동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Presentation transcript:

정신보건 사회복지 사회복지학과 2000017038 은종숙

정신보건 사회사업의 정의

① 목적(purpose)- 정신적, 정서적 장애로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회복과 정신건강을 촉진하는 활동, 즉, 정신건강을 증진 ② 실시장소(place)- 주로 정신의료기관, 정신병원, 진료소 등에 정신과적 치료를 하는 기관 또는 환자의 회복을 돕는 지역사회전문기관을 중심으로

④ 문제(problem)- 대상자가 가지는 정신적, 정서적 장애의 고통문제는 물론 그 문제로 말미암아 파생되는 것도 ③ 주요대상(person)- 정신적, 정서적 장애로 고통을 있는 자 또는 그 가족 친척 등 ④ 문제(problem)- 대상자가 가지는 정신적, 정서적 장애의 고통문제는 물론 그 문제로 말미암아 파생되는 것도 ⑤ 사회사업적 실천과정(process)- 정신과 진료팀, 정신의학자, 심리학자, 정신과간호사 등과 함께 분담된 역할을 사회사업방범을 통하여 실천하는 사회사업의 한 영역분야

일반의료사회사업의 정의 병원이나 진료의 수준에 관계없이 환자의 진료과정에 있어서 파생되는 문제의 해결이나 효과적인 진료를 위한 협력적인 활동이며, 나아가서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여 사후지도를 주로 하는 활동 정신의학, 재활의료, 지역사회보건 등과 같이 보다 전문화된 영역이 아닌 보편적 환자의 심리적 반응문제, 가족의 반응, 사회적, 경제적 문제, 사회복귀상의 문제를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지원, 경제적 지원, 인적, 물적, 제도적, 법적, 제자원의 활용을 돕는 등의 활동

정신보건 전문요원 ① 정신의학자(psychiatrist) ②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정신보건 전문요원 ① 정신의학자(psychiatrist) ② 정신보건임상심리사 (mental health clinic psychologist) ③ 정신보건사회복지사 (mental health social worker) ④ 정신보건간호사 (mental health nurse)

정신보건기관에서 팀 협력의 필요성: 정신장애에 대한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 환경적 (Bio Psycho Social)요인의 복합적 영향 ― 총체적 환경 속에 포용되어 있는 하나의 전체로서의 인간 정신의학기관에서의 진단은 정신의학자의 임상진단과 심리학자의 심리검사결과상의 진단, 사회복지사의 환자 및 그 가족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환경을 파악 조사한 심리 사회적인 진단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하게된다. 여기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 개인 및 가족과 사회력에 관한 정확한 정보수집과 파악이 중요하다.

정신보건사회사업의 의의 1) 정신질환자에 대한 전인적 이해의 필요성 2) 정신질환자의 다양한 욕구 충족과 성공적인 사회복귀의 중요성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① 사회복귀시설의 운영 ②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생활훈련 및 작업훈련 ③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교육 및 지도 상담 ④ 정신질환으로 자신 또는 타인을 해할 위험이 있다고 의심되는 자를 발견할 경우 시 도지사에 진단 및 보호 신청

⑤ 정신질환 예방활동 및 정신보건에 관한 조사 연구 ⑥ 기타 정신질환자의 사회적응 및 직업재활을 위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활동 ⑦ 정신질환에 대한 개인력 조사 및 사회조사 ⑧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사회사업지도 및 방문지도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활동분야 ① 치료시설―정신병·의원 ② 보건소, 보건의료기관 ③ 정신요양원 ④ 사회복귀시설 ⑤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

정신보건 패러다임의 변천 정신보건 패러다임의 변천

1. 시설―의료접근 1) 1800년대 후반부터 시작, 대형정신병원 2) ‘환자’로서만 취급, 의사와 시설의 직원들이 치료에 모든 통제력―정신장애인은 수동적이고 자신들의 치료과정에 참여를 기대할 수 없음 3)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편견과 정신장애인 스스로가 부정적인 정체감을 형성 4) 시설―의료 접근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의 노출과 탈시설화의 확산으로 지역사회 치료―재활 접근이 등장하기 시작

2. 지역사회 치료―재활접근 1) 1960년대부터 시작 2) 지역사회 치료, 정신사회재활, 지지적 주거 서비스, 클럽하우스, 사례관리 등의 프로그램 전개―지역 사회 내에서 정신장애인들의 치료와 재활 강조 3) ‘클라이언트’로 인정 4) 정신장애인의 정신적 증상과 입원치료의 비율을 줄이고 정신장애인의 만족을 증가시키는 데 크게 공헌

3. 능력고취―지역사회통합접근 1) 정신장애인의 능력을 고취하여 자신의 무기력을 극복하고 자신과 자신의 상황에 대한 통제력을 회복하여 지역사회로의 진정한 통합을 도모 - 관계인 참여와 능력 고취 - 지역사회 지지와 통합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 없애기> ① 위험하고 사고를 일으킨다 ② 격리 수용해야 한다 ③ 낫지 않는 병이다 ④ 유전된다 ⑤ 특별한 사람이 걸리는 병이다

⑥ 이상한 행동만 한다 ⑦ 대인관계가 어렵다 ⑧ 직장생활을 못한다 ⑨ 운전 운동을 못한다 ⑩ 나보다 열등한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