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숙아의 생존한계 Won Soon Park Department of Pediatrics, Samsung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목차 왜 초미숙아의 치료가 중요한가? 초미숙아의 생존한계는? 초미숙아의 생존한계 향상 방안은?
왜 초미숙아의 치료가 중요한가?
일본의 경우 : 출산율의 감소 미숙아 출산의 증가 추세 연도 연간 출생수 1000~ 1500gm <1000 gm 1950 234만 4221 114 1960 161만 4767 466 1970 193만 5878 1466 1980 158만 4482 1490 1990 122만 4227 2327 1997 119만 4453 2656 Horiuchi T, 2005
미숙아 출산 증가 이유 고령산모의 증가 불임의 증가 산과 및 신생아 치료기술의 발달 미숙아에 대한 인식 변화
초미숙아의 생존한계는?
초미숙아의 생존한계는? 생존율 50%를 기준 Birth weight < Gestational age 생존율 50%를 기준 Birth weight < Gestational age 분만장에서 소생술의 시행과 신생아 집중치료 여부 결정의 중요기준 생존의 threshol에 근접해 있는 초미숙아, micropremies에 대해서 는 분만시에 Decision making과 resuscitation여부에 대해 딜레마가 있어왔다. 생존한계는 분만장에서의 소생술 시행과 집중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기준으로서 생존율이 50%가 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합니다. 초미숙아에 있어서 출생체중보다는 제테주수가 더 큰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Survival rate according to GA in extremely premature infants ≤ 24 wk 34/71(48%) 45/62(73%) 0/4(0%) 4/9(44%) 6/16(38%) 17/23(74%) 28/51(55%) 24/30(80%) * * * Period 1 2001-2005, Period 2 2006-2008 15
초미숙아의 생존한계 향상 방안은?
Differences between Period Ⅰ & Ⅱ Improved Delivery Room Management Improved Admission Care Fluid & Electrolyte Management Minimal Handling and Less Invasive Care Improved Respiratory Care Aggressive Nutritional Support Aseptic Technique
DR resuscitation of microprimie (GA 22+5 Bwt 480 g)
HUR, AY(22+3wks, 440g)
HUR, AY(22+3wks, 440g)
KIM, MB(22+5wks, 570g)
KIM, MB(22+5wks, 570g)
Kameron(22+6wks, 483g)
Kameron(22+6wks, 483g)
With family
Now, 3 Y of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