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지 혈 * 지혈이란? - 출혈로 인한 혈액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혈관을 막는 것 인위적인 지혈(동맥, 큰 혈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CHAPTER 림프계, 면역 계. 상피증 (elephantiasis) 1. 림프  림프계통 (lymphatic system) 의 구성과 기능  구성 림프 : 혈액성분이 모세혈관벽을 통하여 조직으로 나와 형성 림프관 ; 림프를 수송 림프절 : 이물질.
Advertisements

16. 혈액응고 * 혈액응고란 -- 혈장내의 응고인자 ( 비활성형 ) 가 효소적으로 활성화 되어 fibrinogen 을 fibrin 으로 바꾸는 현상 * 응고인자의 분류 ① contact proteins ② prothrombin proteins ③ fibrinogen(thrombin.
지혈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Drugs that affect hemostasis) 지혈 (hemostasis) 은 조직 손상시 자발적으로 일어나 는 과정으로 혈소판응집, 혈액응고, 섬유소용해라는 단계적 반응으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반응들은 세포표면 및 혈액의 액체상 (fluid.
영화 감독 열전: 세계편 강 사 : 유 운 성 8 강 오즈 야스지로 ( 小律安二郞 ). 오즈 야스지로의 필모그래피  1 꽁치의 맛 ( 秋刀魚の味 ), 어느 가을날의 오후 (1962)  2 그 해 여름의 끝 ( 小早川家の秋 ) (1961)  3 가을 햇살 ( 秋日和.
Ⅳ. 소화, 순환, 호흡, 배설 3. 혈액이 빙글빙글 돌아요 !. 학습 목표 온몸 순환과 폐순환의 경로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혈액 순환 과정에서 물질의 이동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Page_2.
분화단계세포막단백질 pre-B cell 이전단계 CD19 pre-B cellCD20 mature B-cellCD21 plasma cell 소실됨 3. B 림프구의 분화단계에 따른 세포막 단백질 ∎ CD(cluster of differentiation) ※ CD19 : 성숙.
행정소송 실무교육 공익법무관 문 유 식 인사 공익법무관 소개 서울고검 소개.
3. 결합조직 1) 결합조직의 특징 - 기능 : 지지, 영양, 방어 - 인체의 기본 조직 중 가장 많은 무게를 차지
조선왕조의 유교정치.
2014년 7월 유라시아 셰익스피어 극단 연극햄릿 레어티스역활
Von Willebrand disease
혈우병 발표자 : 조은아.
M.G. Macey et al., Cytometry, 1999
Hematology 학습목표 혈액의 기초적 개념 조혈.
14. 거대핵세포계 및 혈소판 I. 거대핵세포계의 성숙 1. 거대핵모세포(megakaryoblast)
2013년 5월 23일 이수경(환경과 공해연구회 사무국장)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혈우병 및 기타 소아 혈액 응고장애.
심장의 위치와 일반적 구조 심장 : 인체의 혈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혈액을 순환시 키는 운반계 펌프 역할.
순환&면역 6조 박아름 이명동 최제춘.
ARD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Nitric Oxide(NO) Inhalation Therapy
국소 순환 장애.
14. 거대핵세포계 및 혈소판 I. 거대핵세포계의 성숙 1. 거대핵모세포(megakaryoblast)
피부의 구조 및 기능 피부는 표층으로부터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부밑조직subcutaneous tissue) 피부부속기로는 털, 기름샘, 땀샘 등이 있다. 발생학적으로 피부는 외배엽과 중간엽에서 유래한다. 표피는 중층편평상피이고, 표층으로부터.
근육계통 (muscular system)
M4 ; Acute myelomonocytic
콜린효능차단약(Cholinergic blocking agents)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제 3 장 염 증 1. 염증의 정의 2. 염증의 원인 3. 염증의 임상증상 4. 염증에 관여하는 세포 5. 염증의 분류
세브란스 병원에서의 최근 3년간 성분채집술의 경향( )
22장 출혈성 경향과 질환 1. 혈관기능장애에 의한 출혈성 질환
구체 방수 혼화제 - 베스톤 유주현.
ACL TOP 을 이용한 D-dimer 정량 검사법 소개
신생물 접미사 –oma(종)은 종양을 의미한다 반드시 신생증식과 비신생증식을 구분하는 말은 아니다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Chapter 3 Cells and their function -2
Clinical Laboratory Science
(생각열기) 혈액의 순환 경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노년이 되어서도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음
Recombinant DNA Technology
계약서 관련 실무 계약 위반과 판례 김래균.
동맥경화증과 영양 역학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식품영양정보학과 김 종 대
생활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호르몬이란? 동물의 내분비 샘에서 분비되어, 몸 안을 순환하며 화학적으로 여러 가지 중요한 작용을 하는 물질의 총칭.
예산안 원가 구분 금액 총 제작비 대비 원가세부항목 기획개발비 270,000, % 기획비 120,000,000
수직선 위의 점의 좌표와 순서쌍 점의 좌표 원점 수직선 위의 한 점에 대응하는 수 A 수직선 위의 좌표가 0인 점
학습 주제 p 크기가 달라지면 성질이 달라질까?.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소화와 순환 > 순환 [ 8 / 12 ] 혈액은 어떤일을 할까?
혈액 생리 Chapter 4 발표 일자 10 / 10 / 05 과목 인체 생리학 교수명 노효련 교수님 학과 작업치료학과
사회생활과 준법의식 사회(일반사회) 중학교 2학년 2학기 Ⅶ. 사회생활과 법규범
03. 염증 1. 염증의 정의 2. 급성염증 염증 유발성 자극에 의해 발생한 손상에 대한 생체의 반응(혈관성 방어 반응)
2016 하계 현장실습 매뉴얼 ≫≫ 학생용.
03. 염증 1. 염증의 정의 2. 급성염증 염증 유발성 자극에 의해 발생한 손상에 대한 생체의 반응(혈관성 방어 반응)
17. 응고억제 * 정의– 혈장내에서 응고인자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인자
Automatic nerve system
교수학습과정안 우리 돼지고기 ‘한돈’ 알아보기 영양교육 이시원.
운 동 과 고 혈 압 Exercise and Hypertension
IX. 호흡과 배설 1. 신장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2. 오줌의 생성 과정과 배설 경로를 말할 수 있다.
39장 순환.
Lecture 5 Platelet Production , Structure and Function Keohane EM et al. Rodak Hematology 5th Ed, 2016 Elaine M. Keohane, PhD, MLS(ASCP),SH
아스피린 전자공학부 이호준.
p 감수 분열로 자손 남기기 학습 주제 [개구리 동영상] [매미 동영상]
생물막 (Biofilm).
05. 순환장애 1. 체액의 순환장애 1) 부종(Edema) * 정의: 세포사이 혹은 체강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
Lecture 14: Laboratory Evaluation of Hemostasis(Coagulation)
생약 혼합 추출물을 사용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치료기술 Tech Biz Material 기술소개자료
Lecture 13 Hemostasis and Coagulation Keohane EM et al, 2016, Chapter 37 Elaine M. Keohane, PhD, MLS(ASCP),SH Rutgers-The.
제 12장 동물세포 배양시의 생물공정에 대한 고찰 - 광범위한 종류의 치료용 단백질 생산 숙주
Presentation transcript:

15. 지 혈 * 지혈이란? - 출혈로 인한 혈액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혈관을 막는 것 인위적인 지혈(동맥, 큰 혈관) 15. 지 혈 * 지혈이란? - 출혈로 인한 혈액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혈관을 막는 것          인위적인 지혈(동맥, 큰 혈관) 자연지혈(모세혈관출혈) - 지혈 → 혈관수복 → 섬유소용해 * Bleeding-- 혈관벽의 파손으로 순환하고 있던 유동성의 혈액이 혈관 밖으로 나오는 것    *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 ? ① 혈전생성 억제        ② NO, PGI2 분비→ 혈소판 활성화 억제 (혈소판 점착과 혈액의 응고방지)       ③ collagen, fibronectin, laminin, vitronectin, vWF - 혈관내피세포 밑 바닥막, 세포 외 바탕질 (점착방지) cf. 평활근, 섬유모세포, 대식세포 (혈소판 부착증가, 응고촉진)

* 지혈과정 1) 응괴형성 ① 교원섬유 노출→ vWF + 교원섬유의 microfibril(결합)→ vWF+ GPIIb/ IIIa 결합→ 혈소판 점착→ ADP, PF-3, thromboxane A2(혈소판 활성화)→ 혈소판 응집(1차 지혈) ② 외인계 응고인자 활성화→ 2차 지혈(적색혈전) 2) 응괴유지--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PAI-1)→ t-PA 활성화 중화 3) 섬유소 용해 억제-- TAFI 활성화 4) 혈관수복 5) 응괴퇴축 6) 조직화 7) 혈관내피세포 재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