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생물환경조절의 개요 원예과학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Korea University Student IT Management Society.
Big Data & Hadoop. 1. Data Type by Sectors Expected Value using Big Data.
대 기술혁신과제 2015 년 주요 연구 내용 2015 년도 예산 및 사업 현황 14.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개발 - 미세조류 이용 바이오 수송연료 · 소재 생산기술 개발 4,072 백만원 - 글로벌프론티어사업 (3,450 백만원 중 신규 700.
흙과 물에 따른 보리의 성장 초등과학 궁내초 4 학년 이주형, 김민재, 박지우 지도교사 궁내초 채현우, 이경자.
Real Time Systems Lab. rtlab.knu.ac.kr 무인 헬리콥터 자율비행 소프트웨어의 실시간 성능 개선을 위한 CAN 기반 센서 네트워크 경북대학교 실시간 시스템 연구실 이재신.
동국대학교 바이오 생명과학 Academy 제5회 교육일정 접수기간 신청방법 개최장소 모집인원 교육참가비 프로그램 세부내용
컴퓨터와 인터넷.
DNA ® mRNA ® Protein(효소) ® 생리현상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II. 감축량 산정.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네트워크 기술을 통한 현재와 미래 소개.
스팀트랩의 응축수 배출 온도 기계식, 써모다이나믹 온도조절식 끓는점 △T 응축수 정체 건도 온도 (℃) 에너지 절약 열량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Introduction to Computers
부산대학교 복합원격탐사 실험실 저고도 원격탐사를 이용한 해양 환경 관측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2012 R2
20장. Hyper-V 설치와 운영(64bit 전용)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Gene Cloning 2007/03/15 Genome Information Lab.
RedicoatTM System by Nordson
22장 통계적 품질관리(SQC) 1. 품질의 통계적 관리 2. 통계적 공정관리 3. 샘플링검사
디지털시스템설계 과목 담당교수 : 원 충 상 한국교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센서 11. 기체 압력 센서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컴퓨터과학 전공탐색 배상원.
6 시그마 실패기업, 무엇이 문제였나? 정택진 사장 ㈜네모파트너즈.
20장. Hyper-V 설치와 운영(64bit 전용)
이동식 다 관절 로봇팔 Removable Articulated robot arm
일시/ (WED) 장소/ KSA가산디지털센터
KSA 콜센터 교육과정 안내 2018년 4월 고객을 이기는 컴플레인 관리하기 전화모니터링 반나절 만에 따라잡기
건축설계사 임동진.
18F-FDG 생산 효율 증가 및 안정화 30 th May 2009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 *이지웅,장화연,신상민,김명준
Hydrogen Storage Alloys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Solar Tracking Parasol
Chap 6.Assembler 유건우.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Transmission & Analysis
2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 배경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정의
슬러지 감량형 Membrane Bioreactor 오수고도처리공정 개발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Mobile braille system for the blind
수 경 재 배 (Hydroponics).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3D 나노전자.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란? 홈페이지 │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과학 자유 탐구 모둠 이름 : 고구마 조 모둠 원 1번 김다영 11번 송은영 12번 안승연 13번 이다빈.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Boil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인공 지능 시대에 필요한 인재 행복한 미래를 만드는 기술자 김송호.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제6강, 선교커뮤니케이션 허정 교수.
1장 C 언어의 개요 C 언어의 역사와 기원 C 언어의 특징 프로그램 과정 C 프로그램 구조 C 프로그램 예제.
교량 구조물의 개념 설계 및 프로토타입 제작 과정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IT R&D Global Leader [첨부 제4호] 스마트온실용 복합환경제어 솔루션 기술 ETRI
Progress Seminar 양승만.
고효율 전구체 생산 모듈시스템 개발 및 플랫폼기술 개발 대량생산용 인공지능 전구체 합성세포공장 개발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제1장 생물환경조절의 개요 원예과학과

환경조절의 목적 및 필요성 목적: 작물의 생산성 향상 추구 및 고품질 유지, 작물이 갖고 있는 유전적 형질을 최대한 발휘시키는 것 필요성: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른 식물의 반응을 조사하고, 양자간의 관련성을 정량화하여 재현성이 높은 환경조절 방법의 적용이 필요함

환경조절의 중요성 농한기 작물생산 가능효율적인 노동력의 이용 동절기 재배를 통한 주년재배 가능 소규모 면적에서 집약적 생산 가능 특용작물의 재배 가능 # 노지 재배보다는 시설재배에서 환경조절기술이 적용됨

환경요소간의 관련성 생육공간 열 온도 광 상대습도 수분

생물환경조절의 수순 1. 시설을 경유한 외부 환경이 내부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2. 내부환경과 작물생육과의 관계 정량화 3. 정량화된 관계를 이용한 환경조절모델 개발 4. 환경조절모델을 이용한 환경조절시스템구성 5. 구성된 환경조절시스템에 의한 원예작물의 최적환경조절 실시

환경조절의 기본원칙 최적화 원리의 지배를 받음 - 이를 위해 컴퓨터를 이용한 복합환경 제어 개념이 도입됨 - 최종목적 달성을 위해 최소 비용의 이용에 근거하며 이를 위하여 투여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환경요인을 최대한 활용한 후 부족한 부분은 제어비용이 높은 환경요인으로부터 보충해 나가는 방법 - 이를 위해 컴퓨터를 이용한 복합환경 제어 개념이 도입됨

환경조절의 기본원칙 예

환경조절의 예 광합성속도 향상: 온도와 광처리를 통해 가능함 - 광합성속도 증가분에 대해 광이나 온도의 증가분이 필요하다면 이러한 환경요인의 증가분을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투입에너지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쪽을 선택

환경조절의 대상 1. 조직배양 (plant tissue culture)

환경조절의 대상 2. 생장상(growth chamber)

환경조절의 대상 3. 온실(greenhouse)

환경조절의 대상 4. 식물 공장(plant factory)/수직농장(vertical farm)

환경조절의 대상 5. 밀폐생태계(ecologically closed system)

환경조절의 역사 17세기: J. Evelyn, greenhouse라는 용어사용, 온실외벽의 스토브를 이용한 온풍 난방법 도입 18세기: 광환경 및 보온방법의 개선, 증기난방법 도입 19세기: 온실 설계 및 건축기술의 진보, 온도조절을 위한 서모스텟(thermostat) 개발되어 온실에 도입 20세기: 상업용 온실의 출연에 의한 컴퓨터의 이용 및 복합환경 제어개념의 도입 21세기: 컴퓨터의 소프트 및 하드웨어 기술의 획기적 발전과 함께 인공지능수준으로 향상, 생명공학과의 접목으로 새로운 개념의 환경조절내용으로 변화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