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이론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네트워크 통신 방식의 이해 네트워크 연결 방식의 이해 한빛미디어(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Copyright © 2006 b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All rights reserved. McGraw-Hill Technology Education Copyright © 2006 by The McGraw-Hill Companies,
Advertisements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2010 년 06 월 01 일.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1. PC 무선랜 카드 활성화 및 체크 1 단계 : 시작 -> 설정 -> 네트워크 설정 2 단계 : 무선 네트워크 설정 선택 -> 마우스 버튼 오른쪽 클릭 -> 사용.
1)RACK 2)UPS 3)P D U 장치 4)Server Group 5)KVM Switch 7)UPS 를 위한 HUB 6) RACK Monitor.
4 장. 인터넷 접속 환경 Section 03 TCP/IP 인터넷 프로토콜 학습목표 인터넷 접속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ADSL 과 VDSL 의 장단점을 알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Using Telephone and Cable Networks
목차 Contents 무선인터넷용 비밀번호 설정방법 Windows 7 Windows 8 Windows XP MAC OS.
▶ ▶ ▶ 5-1. 데이터링크 제어 BSC프로토콜(베이직 절차) 문자 방식의 프로토콜 비트 방식의 프로토콜
LAN의 구성요소 컴퓨터 네트워크과 오세원.
16장 X.25 패킷 교환망 16.1 X.25 계층 구조 16.2 패킷 계층 프로토콜 16.3 요약.
CHAP 22. 블루투스.
인터넷의활용.
인공지능실험실 석사 2학기 이희재 TCP/IP Socket Programming… 제 11장 프로세스간 통신 인공지능실험실 석사 2학기 이희재
Data Communications 제 7 장 기기간의 접속규격.
Ch.07-5 xml-rpc 사용하기 김상엽.
AOE-212 설치방법 MANUAL & FAQ 작성일자:2012년02월20일 INTER-M C/S팀
Data Communications 제 7 장 기기간의 접속규격 정보보호학과 양 계 탁.
Chapter 7 Transmission Media.
메카 세미나 무선통신
20장 SONET/SDH 20.1 동기 전송 신호 20.2 물리적인 구성 20.3 SONET 계층 20.4 SONET 프레임
18장 SONET/SDH 18.1 동기 전송 신호 18.2 물리적 구성 18.3 SONET 계층 18.4 SONET 프레임
이 장에서는 정보통신의 개요, 네트워크, 네트워크 구성요소 및 통신망에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제 1 장 정보통신의 개념 1. 1 통신모형과 기능 - P9 그림 1-1 샤논의 통신 모형 전송로 송신기 정보원 수신기 수신자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11 장 LAN 기본 개념과 Ethernet LAN
15장 X.25 패킷 교환망 15.1 X.25 계층 15.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5.3 요약.
8장: 통신 기술 하드웨어, 채널 및 네트워크.
HomeNetWork의 개념과 실생활의 예
Chapter 06. UDP 서버/클라이언트.
NJM Messenger 박상원 박연호.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S-Link 사용자 매뉴얼.
13 장 광역 통신망(WAN) 13.1 점대점 WAN 13.2 교환형 WAN 13.3 ATM LAN 13.4 요약.
4. LAN의 배선체계 (3장. LAN: Local Area Network)
FTP 프로그램의 활용 FTP 프로그램의 용도 인터넷 공간에 홈페이지 파일을 업로드할 때 필요
제 1장. 멀티미디어 시스템 개요.
17장 X.25 패킷 교환망 17.1 X.25 계층 17.2 X.25와 관련된 기타 프로토콜 17.3 요약.
P2P시스템에 대해서 (peer to peer)
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Lab.
2.2.2 다중화 방식(Multiplexing) N : 1 다중 접속 통신 제어 장치 변복조 장치 변복조 장치 변복조 장치
2장. 인터넷의 개념과 주소.
RMI Messenger 지도 : 김정배 교수님 조봉진.
HTTP 프로토콜의 요청과 응답 동작을 이해한다. 서블릿 및 JSP 를 알아보고 역할을 이해한다.
Contents 통신 프로토콜의 필요성 OSI의 7계층 참조 모델 계층적 프로토콜의 동작 TCP/IP 프로토콜
2 장 데이터 통신 기본 개념 2.1 회선 구성 2.2 접속형태 2.3 전송 방식 2.4 네트워크 분류 2.5 네트워크간 연결
Adobe 제품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 안내 Adobe Creative Cloud Adobe License 권한을 받으신 분
PC에 설치된 엔드포인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클릭하여 프로그램 상자를 엽니다
McGraw-Hill Technology Education
Chapter 01. OSI 계층 모델.
2장. 직접 연결에 의한 컴퓨터 통신.
MAIL CLIENT 김창우 윤성훈 이경재.
Data Communications 제 4 장 OSI 참조 모델 정보보호학과 양 계 탁.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01. 개요 Windows Server 2003은 네트워크에서 인쇄 서버의 역할
2 네트워크 모델 학습 목표 모듈 개념을 알아보고 계층 구조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DK-128 직렬통신 기초 아이티즌 기술연구소
네트워크 환경 구축과 이미지 전송 호스트/타겟 통신 직렬 통신을 이용한 이미지 전송 수퍼 데몬 BOOTP 환경 구축
배치 다이어그램 배치 다이어그램의 UML 표기법 결합된 다이어그램의 모델링 예 배치 다이어그램의 간단한 예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LAN의 구성요소 학습내용 서버 클라이언트 NIC(Network Interface Card) 전송매체
DK-128 직렬통신 실습 아이티즌 기술연구소
모바일인터넷기초 전산정보학부 모바일인터넷과 권 춘 우
UNIT 25 SPI 로봇 SW 교육원 조용수.
모바일(폰)메일 서비스 정흠수 최동훈.
시리얼 UART 정리 정보통신•컴퓨터 공학부 송명규
5.2.3 교환방식의 비교 학습내용 교환방식의 비교.
네트워크 제어 정보제어공학과 이준
Network Lab. Young-Chul Hwang
빠른 인쇄하는 방법 등록정보를 클릭한다. 인쇄품질을 고속으로 한다.
ARP.
Presentation transcript:

네트워크 이론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네트워크 통신 방식의 이해 네트워크 연결 방식의 이해 한빛미디어(주)

네트워크 개념 모뎀이나 랜, 케이블 또는 무선 매체 등의 통신 설비를 갖춘 컴퓨터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켜 주는 통신망을 의미 단 두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것이든, 그 이상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것이든지 상관없이 필요에 의한 컴퓨터들의 연결이 네트워크임 네트워크의 이점 데이터 동시 접근 주변장치 공유 [그림 1-1] 데이터의 동시 접근 [그림 1-2] 프린터 공유

능률적인 통신 손쉬운 백업 [그림 1-3] 이메일 송수신 절차 [그림 1-4] 중요한 데이터 전체를 백업하는 전체 백업

네트워크의 구조화 방법 캠퍼스 네트워크 근거리 네트워크 [그림 1-5] 근거리 네트워크 구성 예 [그림 1-6] 캠퍼스 네트워크 구성 예

네트워크의 구조화 방법 광역 네트워크 [그림 1-7] 광역 네트워크 구성 예

인트라넷 [그림 1-8] 인트라넷 예-한양대(서울캡퍼스, 안산캠퍼스)

통신 기술 전송 기술 교환 기술 통신망 기술 단말 기술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 송신측, 수신측, 전송매체 전송매체: 구리선, 동축케이블, 무선, 광섬유 다중화 기술, 광 전송 기술 교환 기술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때 원하는 통신 상대방을 선택하는 기술 통신망 기술 지역적으로 분산된 다수의 통신 참여자들 사이에 정보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전달 기술 노드, 링크 근거리통신망, 부가가치망, 지능망, 종합정보통신망(ISDN), 광대역통합망(BCN) 단말 기술 통신 시스템과 사람과의 인터페이스 담당 컴퓨터, 휴대폰, 전화기 등

통신 방식 단방향(simplex) 통신 양방향(duplex) 통신 반이중(half-duplex) 전이중(full-duplex)

단방향 통신 송수신 측이 미리 고정되어 있는 통신 방식 통신 채널로 접속된 두 대의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가 한쪽 방향으로만 전달되는 통신 방식 무선 호출기, 라디오, 모니터, 키보드 등 [그림 1-10] 단방향 통신

양방향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접속된 두 대의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모두 가능한 방식 반이중 통신 전이중 통신 어느 한쪽이 데이터를 송신하면 상대편은 수신만 가능한 통신방식 하나의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교대로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 휴대용 무전기와 모뎀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전이중 통신 두 대의 단말기들 간에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방식 두 개의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동시에 송수신 가능 [그림 1-11] 반이중 통신 [그림 1-12] 전이중 통신

직렬 전송 하나의 전송로를 통해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방식 동기식 전송과 비동기식 전송으로 나뉨 동기식 : 송수신측이 데이터의 송수신 타이밍을 일치시킴 비동기식 : 송수신 간에 동기를 맞추지 않고 문자 단위로 구분하여 전송 하나의 회선을 사용하므로 병렬 전송에 비해서 전송 비용이 적음 직렬 포트(serial port) [그림 1-13] 직렬 전송

병렬 전송 여러 개의 전송로를 통하여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 n개의 비트를 전송하기 위해 n개의 회선을 사용 거리에 비해 선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빠른 전송속도가 필요한 짧은 거리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 (예: 컴퓨터 내부) 병렬 포트 (parallel port) [그림 1-14] 병렬 전송

동기화 동기식 전송 비동기식 전송 송수신기가 동일한 클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문자열을 한 묶음으로 만들어서 일시에 전송하는 방법 비트(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와 데이터 간에 간격 없이 차례대로 비트를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는 끊어지지 않는 0과 1의 문자열로 전송됨 수신측은 차례대로 문자열을 수신한 후 문자나 바이트로 분리해서 의미 있는 데이터로 재구성함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보 전송이 발생되는 파일 업로드와 파일 다운로드 비동기식 전송 긴 데이터 비트열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대신 한 번에 한 문자씩 전송함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가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 메신저에서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프린터 공유 네트워크 연결 [1] 네트워크 연결 메뉴 선택 [2] 로컬 영역 연결 속성 확인 [그림 1-19] 네트워크 연결 과정 1 [그림 1-20] 네트워크 연결 과정 2

[3] Microsoft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선택 [4] 프로토콜 선택/추가 [그림 1-22] 네트워크 연결 과정 4 [5] 로컬 영역 연결 속성 확인 [5] NWLink IPX/NetBios 호환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선택 [그림 1-21] 네트워크 연결 과정 3 [그림 1-23] 네트워크 연결 과정 5

프린터 공유 [6] 프린터 공유 과정 1~2 [그림 1-24] 프린터 공유 과정 1 [그림 1-25] 프린터 공유 과정 2

[7] 프린터 공유 과정 3~4 [그림 1-26] 프린터 공유 과정 3 [그림 1-27] 프린터 공유 과정 4

네트워크 프린터 설치 [1] 네트워크 프린터 설치 1~2 [그림 1-28] 프린터 프린터 설치 과정 1 [그림 1-29] 프린터 프린터 설치 과정 2

[2] 네트워크 프린터 설치 3~4 [그림 1-30] 프린터 프린터 설치 과정 3 [그림 1-31] 프린터 프린터 설치 과정 4

[3] 네트워크 프린터 설치 5~6 [그림 1-32] 프린터 프린터 설치 과정 5 [그림 1-33] 프린터 프린터 설치 과정 6

[4] 네트워크 프린터 설치 7~8 [그림 1-34] 프린터 프린터 설치 과정 7 [그림 1-35] 프린터 프린터 설치 과정 8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인터넷 연결 공유 서버가 되는 컴퓨터가 XP일 경우 [1] 인터넷 연결 공유 과정 1~2 [그림 1-37] 인터넷 연결 공유 과정 1 [그림 1-38] 인터넷 연결 공유 과정 2

[2] 인터넷 연결 공유 과정 3~5 [그림 1-39] 인터넷 연결 공유 과정 3 [그림 1-40] 인터넷 연결 공유 과정 4 [그림 1-41] 인터넷 연결 공유 과정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