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생태계 Ecological Restoration 1. 생태계의 군집 특성과 구성원 1.1 군집의 구성과 동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주기율표 제 8장제 8장 Copyright ©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Permission required for reproduction or display.
Advertisements

1.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1. 생태계의 구성과 기능 … 01 생물과 환경의 상호 관계 … 01 생물과 환경의 상호 관계 02 개체군과 군집의 특성 02 개체군과 군집의 특성 03 물질의 순환과 에너지의 흐름 03 물질의 순환과 에너지의 흐름.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한국지리 Ⅱ. 국토의 자연환경. `1. 기후와 생활 기후요소 기후인자 기후구분 국지기후 식생과 토양의 분포.
해양 오염과 대책 난 깨끗한 것이 좋아.. 학습 목표 해양 오염의 원인과 그 대책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생태학개론 제 2 주제 : 조직의 계층구조. 1. 계층구조 계층구조 (hierarchy) - 구분된 요소들이 정돈되어 있는 일련의 계열 - 인간사회와 마찬가지로 생태계도 계층구조가 존재 - 생태계의 계층구조를 이해 → 유기체적 작용 ( 움직임 ) 을 이해.
1.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Ⅱ. 태양계와 지구 Ⅱ-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2. 지구의 진화.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세계의 날씨 Weather of the world.
II. 지구계와 지권의 변화 1. 지구계 2. 지구계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Ch.2. 토양(Soil): 여러 권역이 공존 상호 작용하는 곳 (다른 권역 간 계면의 존재)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동의대학교 생명공학과 생물정화공학 폐 수 처 리 공 학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and Reuse 9장 생물학적 단위공정 – (2) 변 임 규
Ch.4. 화석 연료와 환경 문제 화석 연료(Fossil Fuel)? 환경 문제 석유 천연가스 석탄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2)
미생물학 길라잡이 8판: 라이프사이언스.
먹이사슬 제작 6-2한인희,김도윤 부족해도 잘봐주세요..
Chapter 22 경구용 고형제.
*계절의 변화.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식물은 어떻게 자손을 남길까(1) <생각 열기> 사과, 배, 복숭아 등의 과수나무를 재배하거나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6-7. 전해질, 화학식으로 표현하기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수 경 재 배 (Hydroponics).
생명 기술과 미래의 기술 VI 1 생명 기술의 세계 2 미래 기술과 통합 체험 활동 금성출판사.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산불예방.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Chapter 18 방사능과 핵에너지.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외래종 확산과 과제: 다 없애는 것이 좋은가?
식물의 生老病死와 생존전략.
자원과 환경: 지구의 선물, 그 빛과 그림자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유재영.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수력에너지.
광촉매 응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광촉매의 정확한 사용법
1-5 용해도.
산성비가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화학과 4학년 김민기.
사회 1학년 2학기 4. 북부 지방의 생활>1. 대륙의 관문(3/9) 춥고 비가 적은 기후.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생물 농축은 어떻게 일어날까? 과학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토양의 화학적 성질 토양미생물학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3장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2. 세계의 종교 분포와 경관 ① 세계 주요 종교의 분포와 확산.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② 문화 행사와 관광 산업의 효과.
제 1 막 오염자들의 등장. 제 1 막 오염자들의 등장 대기오염자 대기오염의 원인: 공장의 가동, 운수교통의 활동, 일반 가정의 연료소비 등 사람들의 생활이나 활동에 따라 생기는 인위적인 것이다. 대기오염의 영향 대기오염 농도가 증가하면서 기관지 및 호흡기에 악영향을.
생물막 (Biofilm).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한지우.
해양수산부 주관 <HEBEI SPIRIT호 유류오염 생물정화기법 적용관련 토론회> 발표 자료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5-3. 화석 연료의 형성과 개발 화석 연료: 과거 생물의 유체가 지층 중에 묻혀 연료 화 된 것 석유 석탄 천연가스.
고효율 전구체 생산 모듈시스템 개발 및 플랫폼기술 개발 대량생산용 인공지능 전구체 합성세포공장 개발
Ⅳ. 광합성 4. 식물도 동물처럼 호흡할까?.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육상생태계 Ecological Restoration 1. 생태계의 군집 특성과 구성원 1.1 군집의 구성과 동태 1) 정의 및 분류 ① 군집(community)의 정의 • 생물계 안에서 물리적 환경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개체군의 모임 ② 군집의 종류 ▣ 개방군집(open community) • 일부 군집이 다른 군집과 점차적으로 혼합되는 군집 • 예: 산림군집 ▣ 폐쇄군집(closed community) • 경계가 뚜렷한 군집으로 에너지의 상호작용이 없음 • 예: 동굴, 푸겟 사운드의 가문비나무 군집

Ecological Restoration 2) 군집구조에서 경쟁의 역할 ① 한정된 자원에 대한 경쟁의 형태 ▣ 이용경쟁(exploitative competition) • 한 쪽이 이익을 얻으면 다른 쪽은 경쟁에서 져 피해를 입음 • 경쟁자 사이의 서식능력의 차이가 경쟁의 결과를 좌우함 ▣ 간섭경쟁(interference competition) • 다른 생물이 필요한 자원에 접근을 제한 → 경쟁자의 멸종 • 식물이 만드는 독성물질 → 다른 개체의 생장이나 생존을 방해 ▣ 경쟁의 수준 • 종내 경쟁: 먹이, 교미, 둥지 장소 등이 원인 • 종간 경쟁: 군집의 종 구성에 영향을 미침

Ecological Restoration ②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 ▣ 정의 • 자연환경에서 생물학적, 생리학적, 행동학적 상호작용의 모든 면을 포함하는 생물들의 역할 ▣ 생태적 지위를 표현하는 기준 • 사용된 자원의 종류 • 이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원의 특징 • 종에 의해 다른 방법으로 그 자원의 이용이 가능할 때의 생존율 ▣ 생태적 지위의 종류 • 기본지위(fundamental niche): 생물이 주위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경쟁과 같은 요인을 통해 억압되지 않을 때 일어나는 상호작용 • 실현지위(realized niche): 실제적으로 차지하게 되는 기존지위의 한 부분

Ecological Restoration ▣ 생태적 지위의 범위 • 넓은 것: 까마귀 • 좁은 것: 소택지의 솔개, 박테리아 ③ 경쟁배타의 법칙(가우스의 법칙) • 생태적 지위가 일치되었을 때, 다른 종들과 상호작용에 관한 것이며, 가우스가 발견 • 두 개의 종이 자원이 제한된 조건 아래서 무기한 같이 살지 못하고, 또 같은 방식으로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없다. ④ 맥아더의 가설 • 경쟁은 서식처의 분할을 촉진시키고, 각 종은 최적의 서식처에 살게 된다.

Ecological Restoration 3) 군집구조에서 텃세권의 역할과 우점계급 ① 종간경쟁의 특징 • 강하고 서로 파괴적이며 특별한 형태의 구조를 통해 제어된다. • 종간경쟁의 구조는 해당 개체의 생존과 생식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 종간경쟁 구조의 종류: 텃세권, 개체 인식에 근거한 상호작용 ② 텃세권 ▣ 텃세권(territory)의 형성 • 하나의 방어된 지역으로서 일부 자원(식량, 둥지자리, 짝 등)을 소유하며 이것들을 경쟁자로부터 보호한다. • 서식지가 광범위하고 다양하면 특정 동물들은 다른 동물들에 비해 보다 나은 지역을 소유할 수 있다. ▣ 텃세권의 크기 • 영토 ↑, 에너지와 시간 소비 ↑ • 작은 영토 → 자손을 키우기 위한 충분한 먹이 공급이 불가능

Ecological Restoration ③ 개체 인식에 근거한 상호작용 •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초기에 종들의 세력에 따라 관계되는 개체의 순위를 형성 • 상위 순위의 동물이 다른 것들보다 먹이를 훨씬 수월하게 얻을 수 있음 • 하위 순위동물의 상위 순위동물과의 경쟁 포기 4) 군집구조에서 질병과 기생의 역할 • 질병: 포식과 함께 상호작용하여 결과적으로 개체군을 축소시킴 • 기생충: 기생충-숙주 결합의 기간, 강도에 의존 5) 군집구조에서 포식의 역할 ▣ 포식(predation): 군집구조를 결정하는 요인 ▣ 포식자는 피식자 개체군을 멸절시키지는 않음

Ecological Restoration ▣ 포식자-피식자 개체군 동태

Ecological Restoration 1.2 군집의 발달 – 생태적 천이 1) 군집발달의 요인 • 기후적ㆍ지질학적 요인, 군집 내 생물들의 활동 등 • 천이: 자생적ㆍ타생적 요인의 합쳐진 결과로 발생 2) 군집발달의 종류 ▣ 생태적 천이(ecological succession) • 시간에 따른 군집의 변화 ▣ 자생천이(autogenic succession) • 생물 자체 결과에 의한 천이 ▣ 타생천이(allogenic succession) • 산불, 홍수 등 물리적 힘에 의해 일어난 천이 ▣ 천이계열(sere) • 식물 군락이 천이를 시작해서 안정된 군락으로 되기까지의 변천 과정

Ecological Restoration 3) 생태천이의 분류 ① 1차 천이(primary sucession) • 암반노두, 새로 생긴 화산섬 등에 새로운 군집이 생기는 것 • 개척자: 지의류, 이끼류 • 천이과정: 암반 나지 → 지의류와 이끼류 → 초본과 관목 → 밀집된 관목림 → 소나무, 가문비 나무 → 전마무, 자작나무 → 가문비나무 군집

Ecological Restoration ② 2차 천이(secondary succession) • 이전 군집이 파괴된 곳에서 새로 생기는 군집, 1차 천이보다 빠름 • 개척자: 잡초, 풀, 관목, 묘목 등 • 특징: 주위 군집과 혼합된 상태로 존재

Ecological Restoration ③ 수생군집 천이(primary sucession) • 호수와 연못의 천이: 자연적인 부영양화의 결과 • 빈영양호, 부영양호, 습지 • 발달과정: 군집생장에 따른 퇴적물 증가, 깊이 감소 → 습지 → 육상식물 침입 → 호수의 흔적 사라짐 • 문화적 부영양화: 인간에 의한 부영양화로 연못의 천이를 촉진

Ecological Restoration ④ 천이를 추진하는 힘 • 촉진조절모형(facilitation model) • 억제조절모형(inhibition model) • 내성조절모형(tolerance model) ⑤ 극상군집(climax community) • 순생산 = 이용 • 생물의 다양성 증대 • 외부 영향에 덜 민감 • 먹이관계: food chain → food web ⑥ 종 다양성의 영향 인자 • 서식처의 복잡도 ↑, 다양성 ↑ • 지역 규모 ↑, 다양성 ↑ • 종의 지리적 근원지에 가까을수록 다양성 증가 • 저위도 > 고위도

Ecological Restoration 2. 주요 육상생태계의 특성 • 생물군계(biome): 생물의 군총 • 군집(community) • 전이대(transition zone) 2.1 사막(desert) ▣ 기후 • 연간 강우량 250 mm 미만, 밤과 낮의 온도차 30 ℃ 이상 ▣ 생태계 특징 • 소수의 종만 생존, 종의 교란이 쉬움 ▣ 식물 • 건생식물 • 다년생 식물: 적은 수의 기공, 넓게 산재, 밤에 가스교환 • 일년생 식물: 비가 온 후 활발한 생장과 생식 ▣ 동물: 밤에 활동

Ecological Restoration 2.2 초원(grassland) ▣ 특징: 초본식물이 우점, 강수량은 대략 250~750 mm이고 계절주기 ▣ 지역 • 북반구 초원: steppe, prairie • 남반구 초원: pampas, veldt, savanna 등 ▣ 생물군계 • 불이나 초식동물의 활동으로 유지 • 식물: 태양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빠르게 전환 • 동물: 다수의 동물 개체군, 초식동물의 서식처 2.3 열대사바나(tropical savanna) • 식물: 태양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빠르게 전환 • 동물: 다수의 동물 개체군, 초식동물의 서식처 pampas

Ecological Restoration 2.4 열대우림(tropical rain forest) • 연평균 강우량 2500~4500 mm • 지역: 아마존 강 유역, 인도네시아 군도 지역, 콩고 유역 등 • 식물: 무성한 숲, 큰 키의 나무, 넝쿨 식물 • 동물:

Ecological Restoration 2.5 지중해성 관목지대(chaparral) • 연평균 강우량 250~750 mm, 겨울철 짧은 우기 • 지역: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 지중해, 아프리카 최남단, 호주 남부 • 삼림: 활엽상록수림 • 식물: 작은 상록관목 밀집, 난쟁이덩굴, 다액질 줄기 • 동물: 곤충이 풍부, 사슴 등의 척추동물, 철새

Ecological Restoration 2.6 온대낙엽수림(temperate deciduous forest) • 연평균 강우량 1000 mm 연중 고른 분포, 계절 변화 • 지역: 캐나다 남동부, 중부 유럽과 북부 유럽, 동부아시아, 남반구(브라질, 동아프리카, 호주 동해안, 뉴질랜드) • 식물: 떡갈나무, 단풍나무 등 큰 나무 • 동물: 설치류(토끼, 다람쥐 등), 육식동물(올빼미, 스라소니, 곰 등)

Ecological Restoration 2.7 타이가(taiga)와 침엽수림(coniferous forest) • 긴 겨울, 짧은 여름, 적은 강수량, 광대한 습지와 많은 소택지 • 지역: 북아메리카, 유럽의 습한 한대지방 겨울 일조시간: 6~8시간, 여름 일조시간: 19시간 • 식물: 가문비나무, 전나무 침엽수림에는 작은 관목은 거의 없음 • 습지의 식생: 가문비나무, 관목, 이끼, 초본식물 • 동물: 큰 사슴, 사슴 등의 초식동물

Ecological Restoration 2.8 툰드라(tundra) • 연강수량 150 mm 이하, 겨울 건조기후, 봄여름에 거대한 소택지로 변함 • 지역: 알래스카반도~배링해 • 식물: 일조량과 바람 때문에 키 작은 나무가 주, 지의류, 이끼류 • 동물: 순록, 사향소 등의 대형 초식동물, 파리와 모기 多

Ecological Restoration 3. 생물다양성과 중요성 및 유지방안 3.1 생물다양성 • 생물다양성이 훼손되면 회복이 어렵다. • E. O. Wilson: 자연보호의 상징으로 생물다양성 보존 강조 3.2 생물자원의 중요성 1) 실용적 이용 ▣ 식량자원 ▣ 생활 및 산업자원 • 식물: 천연고무, 왁스, 기름, 송진 등을 제공 • 동물: 기름, 비단, 가죽 등을 제공 ▣ 의약품과 천연물질 제공 ▣ 유전자 자원의 제공 ▣ 관광자원

Ecological Restoration 2) 생물적 가치 ▣ 생태계 유지와 정화서비스 • 생물다양성: 대기조정과 순환을 조절 • 야생동물과 곤충: 식물의 수분, 종자와 영양체 전파 및 발아에 역할 • 식물 뿌리: 암석의 풍화를 촉진 • 미생물: 무기양분의 순환 ▣ 오염의 정화 • 생물다양성: 오염물질을 분해ㆍ정화 • 식물, 박테리아: 대기, 물, 토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 제거 ▣ 심미적ㆍ문화적 가치 • 인간에게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

Ecological Restoration 4. 토지이용과 생태계 보전 4.1 토양오염의 개요 ▣ 토양오염의 정의 • 토양이 산업활동과 그 밖의 인간활동으로 오염되어 사람과 가축의 건강이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 ▣ 토양오염의 특징 • 유동성이 거의 없음 • 직접 피해; 식물생육, 토양생물, 간접피해; 매체를 통해 피해 • 토양 중 유해물질 축적과 환경영향 간의 양적 인과관계 규명이 어려움 • 토양오염의 관리와 처리의 어려움

Ecological Restoration 4.2 토양오염의 발생원인 ▣ 비료 및 영양물질에 의한 오염 • 토양 속 질소와 인의 과다 축적 → 관개수나 지하수 오염 ▣ 중금속 오염 ▣ 농약오염 ▣ 유류오염 ▣ 중성세제 등 기타 물질에 의한 오염 ▣ 방사능 오염 4.3 토양오염의 영향 1) 토양의 산성화 ▣ 발생원인 • 화학비료 과다사용, 분뇨의 비료 사용 → 혐기성 반응에 의한 산성화, 호기성 반응에 의한 질산화

Ecological Restoration ▣ 영향 • 식물체 내 단백질의 응고 또는 용해 • 토양 내 Al3+, Mn3+ 의 용해 → 인산과 결합하여 농작물의 인 결핍 초래 • 토양의 단립구조 형성 저해, 질소고정세균 활동 저하 등 2) 토양의 염분량 증가의 영향 • 농업용수의 삼투압 증가로 의한 식물 성장 저해 3) 토양의 중금속 오염의 영향 ▣ 발생원인 • 지각에 있는 중금속의 용출 • 공장폐수나 폐기물 침출수에 의한 오염 ▣ 결과 • Cd3+, Hg2+의 생물농축에 의한 인체 피해 • Cu2+, Zn2+ : 원형질내 단백질과 결합하여 대사를 저해

Ecological Restoration 4) 토양의 물리적 성질 변화와 영향 ▣ 탄광페수 및 요업폐수 등에서 발생하는 미립자 • 토양 내 공기의 유통을 막아 배수를 저해 ▣ 무기성 부유물질 • 토양의 배수 저해, 토양의 양이온과 결합하여 경질화 ▣ 유기물의 상태에 따른 영향 • 용존상태: 미생물의 증식에 의한 배수 불량, 혐기상태에서 H2S 발생 5) 토양 내 나트륨이온의 영향 • Na+ 가 Ca2+와 치환되어 배수가 불량한 토양으로 변화 • pH 변화: 일시적 알카리 → 산성화

Ecological Restoration 4.4 토양오염대책 1) 예방대책 • 농업용수의 기준 설정 • 제품 생산에 청정기술 도입 • 폐수 및 폐기물 관리 • 오염물질(농약 등)의 안전사용기준 준수 • 토양오염 측정망 설치 • 토양오염방지를 위한 국민홍보 2) 사후대책 ▣ 토양조건을 고려한 재배식물 선정 ▣ 토양개량 • 일시전환: 밭 → 논 • 토양정화사업 • 흙갈이 • 토지용도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