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4. 27(월) 철스크랩 수급과 철강 축적량과의 관계 조사분석팀 서 승 교
목 차 Ⅰ. 개 요 Ⅱ. 철스크랩 수요/공급 Ⅲ. 철강 축적량과 철스크랩 수급 Ⅳ. 종 합
Ⅰ. 개 요 철Scrap은? 중요성 고조 철광석 원료탄 소결공장 COKE공장 고 로 전기로 주요 원료 중요성 고조 o 국내 발생되는 유일한 제철원료 o 국내외 환경규제 강화, 전기로 설비증가 수요증가 갈수록 귀하신 몸 석회석 철광석 원료탄 소결공장 COKE공장 고 로 철Scrap 전기로
철 Scrap 시황의 특징 o 최근 철스크랩 가격변화의 주요한 특징은 급격한 변동성과 국내외 가격의 연동성 - ‘90년대 중반 이후로 월평균 최고가격과 최저가격의 차이가 연간 30~50달러/톤 내외에서 변동 2005년에는 변동 폭이 104달러/톤까지 확대, 2008년에는 500달러/톤 이상까지 급변 o 국내 시황, 국제가격 변화와 직접적인 상관관계 < 주요국 철Scrap 가격 추이 > (U$)
목 차 Ⅰ. 개 요 Ⅱ. 철스크랩 수요/공급 Ⅲ. 철강 축적량과 철스크랩 수급 Ⅳ. 종 합
Ⅱ. 철스크랩 수요/공급 수 요 공급 구조 공 급 o 조강생산량, 특히 전기로 제강의 생산활동이 큰 영향 공급 구조 o 국내산과 수입산으로 구분 o 국내산 - 자가발생, 가공, 노폐 등으로 세분 공 급 o 경제활동 好-不好에 따라 공급량 변화 - 호황 시, 공급(발생) 증가 주) 국내공급에는 수출분 포함
철Scrap 수급실적 및 전망 ’09년 공급원별 발생 전망 o ’08년, 3분기까지 유례없는 철강경기 호조에도 불구, 4분기 이후 경기침체 심화로 국내수요는 전년비 1.0% 감소 o ’09년, 경기침체 지속에 따른 조강생산 감소로 전년비 6.1% 감소 전망 ’09년 공급원별 발생 전망 o 자가발생 : 조강생산 감소 o 가공스크랩 : 제조업 생산활동 부진 o 노폐스크랩 : 경기부진, 재개발/재건축 수요 ↓
목 차 Ⅰ. 개 요 Ⅱ. 철스크랩 수요/공급 Ⅲ. 철강 축적량과 철스크랩 수급 Ⅳ. 종 합
- Ⅲ. 철강 축적량과 철스크랩 수급 + 철강 축적량 o 현재 국내에 축적되어 있는 철강물량을 의미, 축적량 규모를 파악하여 철스크랩의 장∙단기 수요예측, 자급시기 추정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 철강원료 흐름도 > 철강재 생산 철강재 직접 소비 철강재 수출 철강재 수입 + - 수요산업 생산 수요산업 수출 수요산업 수입 철강재 최종소비 철스크랩 발생 철스크랩 수집 (수입+국내구입) 철스크랩 수출
철강 축적량 파악 < 연도별 철강 축적 추이 > : 철강재 총생산 – 순수출 (직∙간접수출–직∙간접수입) - 철스크랩 소비(국내구입) - 철스크랩 수출 < 연도별 철강 축적 추이 >
2008년말 누계 축적량 5억톤 규모 o 2008년 연간 신규로 국내에 축적된 철강재는 25백만톤 내외로 추정 누계 축적량 497~499백만톤
철스크랩 수급에서의 철강 축적량의 의미 o 철강 축적량 증가는 철스크랩의 국내공급 가능 물량, 특히 국내공급 물량의 50% 수준을 점유하는 시중발생(노폐) 스크랩 물량의 증가를 의미 자급률 향상으로 이어짐 ※ 2008년 국내 철스크랩 수요 29,088천톤, 수입은 7,315천톤 기록 - ’05년 (26.8%) ’06년 (21.7%) ’07년 (23.4%) ’08년 (25.1%) (천톤) 자급도(100.9%, 2022년) 국내 수요 국내공급 대한제강(70만톤, ‘08) 한국철강((70만톤, ‘08) 한국특수형강(80만톤, ‘09) 동부제철(300만톤, 09년) (%) 철스크랩 수급구조변화와 자급시기 추정
<참고> 연도별 철강 축적량 추이 주) 철강순수출(B)은 철강재 직접무역 순수출 + 간접무역 순수출
목 차 Ⅰ. 개 요 Ⅱ. 철스크랩 수요/공급 Ⅲ. 철강 축적량과 철스크랩 수급 Ⅳ. 종 합
Ⅳ. 종 합 ▣ 향후 당분간은 일정량 수입 불가피 ▣ 수입여건 악화 등 수급애로 우려되나, 점진적 개선 기대 ▣ 향후 당분간은 일정량 수입 불가피 - 현재 노폐 철스크랩 발생량은 누적 철강 축적량의 2.5~2.6% 수준으로 추정 - KIET, 2022년경 자급률 100% 전망(’07.5) ▣ 수입여건 악화 등 수급애로 우려되나, 점진적 개선 기대 - 단 기 : 경기침체 따른 철스크랩 발생감소 불구, 철스크랩 수요감소 영향이 커 수급구조 개선 기대 - 중장기 : 일본 등 주요국 고로 업계의 CO₂저감 위한 철스크랩 투입비중 증대, 러시아 등 국내수요 증가, 수출억제 → 국제 물동량 감소 및 가격강세 우려 ⇒ 가공기술 발달 및 수집체계 개선 등으로 발생량 증가, 당초 KIET 전망시기 보다 다소 앞당겨질 것으로 기대 * 70년대 후반~80년대에 세워진 건축물 대체에 따른 노폐스크랩 발생 증가 예상
▣ 향후 과제 1) 홍보 강화 통한 자원화 제고 ► “폐기물”이 아닌 “녹색성장 뒷받침하는 중요한 자원” * 정부, 폐기물관리법 일부 개정(안) 입법예고(’09.4.8) 주무부처와의 협의, 공청회 등에서의 적극적인 의견개진 2) 철스크랩 제반 환경 개선 지원 ► 철스크랩위원회의 종합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 정상화 지역별 동향 파악을 통한 애로사항 개선방안 도출 등 ► 철스크랩 비축, KS인증제 원활한 운영 지원 등…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