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열처리(제4강) 강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담당교수 : 신순기.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STS3 조장 : 김민훈 조원 : 최윤미, 유광민, 황상철, 현재일. 목차 1. 합금 공구강이란 ? 2. STS3 의 장단점 3. STS3 에 포함되어 있는 화학조성 및 특징 4. 강에 영향을 미치는 합금원소의 효과 5. 표준 열처리시 방법 ( 조건 ) 및 경도 6.
Advertisements

LOGO 용접판형 열교환기 박성훈 ㆍ 여민희 ㆍ 이재혁 ㆍ 정수경 ㆍ 정영광 동아대학교 화학공학과 화공기초설계 11 조.
과공석강의 미세조직 변화 상온에서는 과공석강의 미세조직은 퍼얼라이트 조직이 초석 세멘타이트에 의해 둘러 쌓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초석 세멘타이트는 아공석강에서의 초석 페라이트와 마찬가지로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결정립계를 따라 핵생성 되었으므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Metallic Materials - Steel
CLM ALLOYs BY SLM CO.,LTD (AL-10-19Mg) 합금
구조용강 드릴 작업용 고성능 소결 고속도강 제조
금속 재료 및 열처리 교육자료.
인바합금 : Invar-36Alloy (for OLED Metal Mask Frame Tool)
바이오매스의 수분 및 회분함량 측정 목적(Object)
Chap. 9 structural steel 철 금속재료의 분류 일반 구조용 강 구조용 강 (보통 강) 기계 구조용 강 공구강
Topic: (1) 재결정과 풀림처리 (2) 온도에 따른 가공방법 분류 (3) 재료의 선택
외국인 사진.
재료의 기계적 성질 Metal Forming CAE Lab.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주조 및 용접 2차 과제물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첨단소재공학부.
DEPARTMENT OF DENTAL BIOMATERIALS & BIOENGINEERING
인장강도시험 시험편 인장시험기 굽힘강도시험.
제10장 폴리머 가공 (2) - 폴리머와 강화플라스틱의 종류 -.
열처리 기초 학습내용 학습목표 ▐ 이번 차시의 주요 학습내용과 학습목표입니다. 1. Fe-Fe3C 평형 상태도
Aluminum & Aluminum Based-Alloy 의 합금계열 비교 및 상태도 분석
3 .열처리의 기초 3.1. 열처리란 열처리란 한 마디로 말해서 “빨갛게 달구었다가” “차게 식히는”것이다.  일반적인 표현을 빌리면 “달구는” 것이 “가열”이고 “식히는” 것이 “냉각”이다. 달구었다가 식힘으로서 강의 체질을 개선시키는 기술이 열처리라는 말이 된다.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제조공학 담당 교수 : 추광식 산업시스템공학과.
1. 초음파 가공의 구성 1. 초음파 가공 ◆ 초음파 가공기의 장치 구성
RBS (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metry) 러더포드 후방산란분석법
소재제거 공정 (Material Removal Processes)
실험의 목적 산화-환원적정법의 원리 이해 산화-환원 반응식의 완결(산화수) 노르말 농도 및 당량 과망간산 용액의 제조법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TiO2이용 친환경 소변기 3조 조동현 김동수 김낙천
(Phase Transformation)
후열처리 (Post-Weld Heat Treatment)
Fe3C 평형 상태도.
내열금속재료 항공기 내열 재료 H조 전성표.
Fe-Fe3C 상태도.
제 11장 금속합금 강의 종류에 대한 이해 주철의 종류와 미세구조, 기계적성질 비철합금의 특성과 응용분야
Hydrogen Storage Alloys
형상기억합금 (Shape memory alloys)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 1. Al-Si합금 유동성, 형충진성, 내마모특성, 낮은 열팽창계수
피임이란?.
2018년 11월 21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이민호
Topic : (1) 재결정과 풀림처리 (2) 온도에 따른 가공방법 분류 (3) 재료의 선택
Terminology 평형상태도 : 합금이나 화합물의 물질계가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상태에 있을 때 이의 조성, 온도, 압력과 존재하는 상의 관계를 나타낸 것 상(相, phase) : 계 안에서 다른 부분과 명확한 경계로 구분되고 그 내부는 물리적, 화학적으로 균일하게 되어있는.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소재제거 공정 (Material Removal Processes)
물질의 자성 자성 – 물질이 자석에 반응하는 성질 자성의 원인 1. 운동하는 전자에 의한 자기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기계식철근이음 ㈜대도산업 영업부/차장 김 종 웅 hp:
절삭공구와 절삭가공.
재료의 기계적 성질 Metal Forming CAE Lab.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Ⅱ. 기계 공업 기술 3. 기계제작 2. 기계제작이란 무엇인가 [ 소 성 가 공 법 ]
Topic : (1) 재결정과 풀림처리 (2) 온도에 따른 가공방법 분류 (3) 재료의 선택
광촉매 응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광촉매의 정확한 사용법
나노 소재 ∙ 공정 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 2016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 특성화학과 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장 목 표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비열.
7장 전위이론 7.2 금속의 결정구조 7.4 인상전위와 나선전위 7.5 전위의 성질.
신소재열처리(제7강) 강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담당교수 : 신순기.
문제: 길이 1. 5m의 봉을 두 번 인장하여 길이 3. 0m로 만들려고 한다 아! 변형(deformation)
Topic : (1) 재결정과 풀림처리 (2) 온도에 따른 가공방법 분류 (3) 재료의 선택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생각열기)별의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 답 : 별의 표면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압출 개요 압출 작업 압출하중의 근사계산 압출 공정변수 하중 근사식 모델재료의 이용 전방압출의 해석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실험의 목적 저울 사용법의 익힘 무게법 분석의 기초 일정무게로 건조하기. BaCl2 • 2H2O 의 수분함량 측정Determination of water in Barium Chloride Dihydrate.
Ⅱ. 분자의 운동 1. 움직이는 분자.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표면경화 열처리 (surface hardening)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신소재열처리(제4강) 강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담당교수 : 신순기

제3장 : 강의 열처리 일반 열처리 분류 : 담금질(Quenching, 소입) : 수냉, 유냉 (급냉 노냉) (급냉 노냉) 풀림(Annealing, 소둔) : 노냉, 공냉 불림(Normaling, 소준) : 공냉, 노냉 뜨임(Tempering, 소려) : 급냉, 노냉

뜨임(소려, Tempering)이란 무엇인가? 정의 : 담금질로 인하여 낮아진 인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A1 변태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여 냉각시키는 열처리 작업 목적 저온뜨임 : 내부응력 제거, 치수경년변화방지, 연마균열방지, 내마모성 향상. 고온뜨임 : 인성 향상, 조직안정화

뜨임취성 담금질 후 뜨임 시에 오히려 경화되는 현상 고속도강, 고합금강에서 나타남. 저온 뜨임취성(300℃취성) : 250-300℃ 고온 뜨임취성(500℃취성) : 1차 450-525℃ 2차 525-600℃

현상학적 사실 담금질 조직 : 무확산 변태에 의한 martensite 뜨임과정 : martensite의 분해과정의 일종 뜨임조직의 형성 : {martensite+탄소의 과포화고용} → [ferrite+탄화물]

담금질 균열의 발생 원리

담금질 후의 마르텐사이트(검은색) 와 잔류 오스테나이트(흰색) 담금질 후의 마르텐사이트(검은색) 와 잔류 오스테나이트(흰색)

뜨임(Tempering) 온도범위 : 200-600℃ A3 0.8%C γ α+γ γ+Fe3C A1 α 가열온도 범위 인성 : 400-500℃(고온뜨임) 고탄소강 : 200℃(저온뜨임) 구조용강 : 500-600℃(고온뜨임) 0.025%C 0.008%C

Tempering된 마르텐사이트 Fe3C α

강의 뜨임온도와 기계적 성질의 변화

뜨임(Tempering) 종류 보통뜨임, 반복뜨임, 점성뜨임, 스프링뜨임(조질), 고속뜨임(경뜨임) 블루밍, 프레스템퍼(하이트세팅)

보통뜨임 강을 A1변태점 이하로 가열하여 냉각하는 열처리 작업. 담금질 후에 실시. 강철에 주로 실시함 : 인성, 연성 증가 (외부크랙 발생과 변형을 억제함)

보통뜨임의 가열온도 A1 400-600℃ Temperature Cooling Heating (수냉, 유냉) Time 그림 3-21

반복뜨임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뜨임. 고합금강, 고속도강에서 주로 실시함.

점성뜨임 저온 뜨임의 일종 : 100-200℃ 경도 감소 없이 점성과 내마모성 향상 이 목적

스프링뜨임 강인성, 탄성 향상이 목적 온도구역 : 400-500℃ 조질 이라고도 함.

경뜨임(고속뜨임) 강을 담금질 후 500-600℃에서 열처리하는 조작. 고속도강에서 주로 실시. (절삭성, 내마모성의 향상) 첨가원소인 W, Cr 등이 WC, Cr3C2와 같은 탄화물 형성이 경화의 주 원인. (Self-Hardening현상) 고온 뜨임이므로 공냉이 원칙

블루밍(Blueing) 상온 가공된 강을 시효처리 시 표면에 청색의 산화막이 형성되는 현상. 가열+하중부가=하중가열법 (인장강도, 항복점 증가)

프레스템퍼 탄소강을 담금질 시 가열과 동시에 프레스 하여 소성 변형 시키는 열처리. 경질재료에 유효.

뜨임 시에 나타나는 조직 300-400℃에서 뜨임 : Troostite의 형성 = ferrite + Fe3C (107페이지 그림5.56 참조) 600℃에서 뜨임 : Sorbite의 형성 (107페이지 그림5.57 참조)

뜨임 변태 Martensite중에 소량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 공석강의 담금질에서는 ferrite와 시멘타이트가 공존. 오스테나이트와 시멘타이트는 상온에서는 불안정하나 고온(뜨임온도)에서는 원자운동이 신속하게 일어나 안정한 조직이 됨. → 이를 뜨임 변태라고 칭함

뜨임 온도의 추정 화학성분에 기초한 강의 뜨임 온도 산정법 (교과서 109-112페이지 참조)

뜨임 시 주의사항 담금질 즉시 뜨임 하라. (경화조직 상태로는 사용불가) 다룰 수 있는 온도(60℃전후)가 되면 즉시 뜨임 하라. (상온까지 내려가면 담금 균열이 발생) 소정의 뜨임 온도를 반드시 지켜라. (뜨임취성이 일어날 우려)

참고자료: 실용강의 분류 탄소강 최대 C2%함유 탈탄강 0.005%이하의 C함유 초저탄소강 최대 0.03%의 C함유 합금강 1)1.65%Mn, 0.6%Si, 0.6%Cu의 한개이상을 초과하는 합금, 전체 탄소량 최대1%, 합금 원소량은 5%이하 2) Ni, Cr, Mo, Ti등의 일정량을 함유하는 경우 특수강 특별한 목적으로 개발된 강 주철 2-4%C를 함유하는 Fe-C합금

신교수의 한마디 1) 목표를 높게 정하고 이것의 달성을 위하여 한동안 다른 것을 보지 말자. 2) 자투리 시간을 잘 활용하라. 3) 기회는 어려움과 함께 찾아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