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생 세미나 화공신소재고분자공학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012 학년도 편입생 오리엔테이션 학사 및 학점 취득 설명. 1. 학점인정 가. 일반 / 학사 편입 (1) 전적대학 학점인정 학과별 최소졸업학점의 1/2 (2) 교양과목 전적대학 최대 48~39 학점 인정 ( 표 참조 ) 단, 성경개론 (2 학점 ), 채플 (1 회.
Advertisements

수강신청절차 ( ~1.30) 자동차선박기술대학원 교학행정실. 수강신청 일정 구 분구 분기 간기 간비고 전공별 개설 예정과목 접수 ( 목 ) ~ ( 금 ) 전공주임교수 → 행정실 운영위원회 ( 교과목확정 ) (
KWU CEIE 광운대학교 전자정보공과대학 KWU College of Electronics & Information Engineering 2014 학년도 “SW 인력양성을 위한 LG 전자 - 광운대 고용계약형 프로그램 ” 1.
재료금속공학 과 Materials & Metallurgical Engineering.
2014 하반기 대졸 신입 / 인턴 / 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분류세부직무신입인턴장학생관련전공 R&D 설계 전기, 전자, 전파, 반도체, 정보통신, 컴퓨터, 물리 CAE 전기, 전자, 전파, 반도체, 정보통신, 컴퓨터, 물리 소자 반도체,
취업을 위한 STP 전략 나노공학부 발표일 : B 조 조원 : 전문수 김민겸 김희삼 송원주 안태경.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국립한경대학교 전기전자제어공학과 스크린정보시스템 심화트랙 (Screen Information System) 2012 년 10 월 8 일 트랙장 : 김한정교수.
LG 스마트융합공학과 산학장학생 지원서 m 인적사항 m 석사 연구실 ( 예정 ) m 학력사항 m 병역사항 m 어학 · 자격사항 및 해외여행 경험 m 경력사항 성명 ( 한글 ) ( 한자 ) ( 영문 ) 자택전화 휴대전화 생년월일 주소 재학구분혼인여부보훈여부 분야.
서강대-하이닉스『SoHy II』프로그램
2013학년도 여름 계절학기 수강신청 안내 UST 교무팀
2015학년도 학교현장실습 신청 안내 실습기간 : 2015년 5월 4일(월) ~ 2015년 5월 30일(토), 4주간 ※ 실습학교 사정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 : (목) ~ (금) 18:00까지 신청방법 : UWINS(학생포탈)
2015 전공배정 설명회 전기전자통신공학부 목, 인문관 401 학부장 임 재 열.
“Challenge LG Chem, Challenge the World”
2012년도 1학기 인하대학교 IT공과대학 전자공학부/정보통신학부 공동 세미나 (협찬: 차세대 DTV 인력양성사업)
2015 하반기 장애학생 수시채용 recruit.skhynix.com 분류 세부직무 신입 장학생 관련전공 R&D 공정 O
2015년 ★ 연수대상자 ★ 연수기간 (1일 4시간 이상 8시간 이하/1주 총 20시간 초과불가)
2011학년도 영어능력 향상 프로그램 인하공업전문대학 as of April 2011 월 대상 비용 담당 월 4월
동국대학교 바이오 생명과학 Academy 제5회 교육일정 접수기간 신청방법 개최장소 모집인원 교육참가비 프로그램 세부내용
지속가능형 화공기술 인재양성 사업단 화학공학 사업단장 설용건 BK 산학연사업 우수사례 연세대 화공사업단
연구실 안전교육센터 교육안내.
LG Hausys R&D Global Recruiting
LG 전자 L G 전자 주식회사 대표이사 부 회 장 남 용 문서번호 : 수 신 :
서강대학교 – LG이노텍 산학 Track 모집 안내.
국민대학교 – LG전자 산학협력프로그램 2014 산학장학생 모집안내
컴퓨터응용기계계열 졸업인증제 시행공고 컴퓨터응용기계계열
LG Display 입사지원서 지원일자: 년 월 일 직무 : 근무지 : 직무 : 근무지 : 년 월 - 고등학교 - 전문대학 -
연수프로그램 실시계획서 1. 신청부서 CTO 미래 IT 융합 연구소 기획팀 2. 연수프로그램 실시 목표 / 내용
Project Management(인력관리)
삼육대학교 대학원 오리엔테이션 주요 학사 안내 Primary Academic affairs Guide 대학원
의료경영학과 졸업 요건 Glocal 사회인이 되기 위한 자격.
2014 상반기 대졸 신입/인턴 모집 모집 분야 지원접수 전형방법 지원자격
2014 하반기 대졸 신입/인턴/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 분류 세부직무 신입 인턴 장학생
2013 상반기 대졸 신입/인턴/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 지원접수 전형방법 지원자격
화학공학프로그램의 공학교육인증용 로드맵 전공인증필수(전필)
2017학년도 기계공학부 하계방학 프로그램 안내 (월) 18:30~19:00 / 소강당.
LG Display 석박사 LGenius Members(산학장학생) 모집 공고
LG Display 입사지원서 지원일자: 년 월 일 직무 : 근무지 : 직무 : 근무지 : 년 월 - 고등학교 - 전문대학 -
2014 상반기 대졸 신입/인턴/장학생 모집 모집 분야 지원접수 전형방법 지원자격
▣ SK하이닉스-한양대 산학 장학생 선발 구 분 세 부 내 용 비고 대 상
②하단에 장안포털(Portal) 로 접속한다
명지대학교 화학공학심화 프로그램 이수체계도 [2018년 변경]
KAI 장학생 모집 요강 선발개요 선발일정 지원내역 문 의 처
2016 동계 실습 프로그램.
경제학과 2017학년도 신입생 수강신청 안내.
외국인 유학생 졸업예정자 교육자료 청주대학교 국제교류팀
졸업 요건 충족을 위한 추가 이수 학점에 대해서는 ‘졸업요건‘ 규정 확인 바람
기업 입장에서 바라본 공학 교육 혁신 방향 행복한 미래를 만드는 기술자 김송호.
메카트로닉스공학과 메카트로닉스공학과란? 홈페이지 │
환영합니다 AJOU UNIVERSITY.
대 남 학 영 교 Y E T U S N R G V I A M 신소재가 변화시키는 미래사회 (복합 재료)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2018-동계 해외전공연수프로그램 신청 안내 전자정보대학 / 소프트웨어융합대학장
신입생 ot 유통물류학부 유통경영과.
2018학년도 2학기 상담심리대학원 학위청구논문 진행 절차
나노 소재 ∙ 공정 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 2016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 특성화학과 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장 목 표
[자세한 사항은 전자정보대학 홈페이지( 열린광장/공지사항 참조]
글로컬 특화관광 인재 양성의 허브 ◉ 관광경영학과 체계도 관광경영학 글로벌 특화인력 양성 관광혁신 인력 양성 특화인력 양성
금속재료공학전문전공 교과목 이수체계 (KEC2005)
전문교양 MSC 전공 2015년도 기계설계공학전문프로그램 선이수체계도
안전공학 연계전공/연계부전공 정기효 교수 울산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
2017학년도 자율전공학부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Jangan university 2019학년도 물류경영과 신입생 oT ALL RIGHT RESERVED ⓒ EZ WORLD.
15년 KAI 장학생 모집 선발개요 선발일정 지원내역 문 의 처
모바일 마이스누앱으로 다전공 신청하는 방법 다전공 신청은 종이신청서 제출 필요 없이 모바일/온라인만으로 신청 가능
교직이수 2학년 학기 초(3월) 선발 선발 기준 교직적성, 인성 및 학업성적 선발 인원 당해 입학정원의 10% 이내
Mincheol Shin Project Overview Mincheol Shin
2015년 대림산업 석유화학사업부 해외 우수 인재 모집
[인증과정-기계공학전공] 2011~2014학년도 입학자 기준 기계공학부 교과과정 이수체계도
(Global Expert Education for Korea-Belgium Future Innovation)
Presentation transcript:

신입생 세미나 화공신소재고분자공학부

목 차 학부소개 화공생물공학전공 신소재공학전공 나노고분자공학전공 전공배정

1. 학 부 소 개

1. 학부소개 [화공신소재고분자공학부란?] 화공생물공학전공, 신소재공학전공, 나노고분자공학전공 이 모여 하나의 학부제로 운영. 각 학과의 공통적인 요소인 유·무기소재를 포함하는 화학 및 신소재 분야에 대한 공정, 구조, 물성, 기능을 공부하며 이를 기초로 각 학과의 특성을 살려 세부 전공을 교육한다. 화공, 신소재, 고분자에 기초한 전공과목 및 현장실습을 이수하여 실무에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고,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적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1. 학부소개 캠퍼스 안내도 나노고분자공학전공 화공생물공학전공 신소재공학전공

1. 학부소개 행정조직안내

1. 학부소개 졸 업 학 점 전공별 졸업소요학점 구성표 1) 최소전공 인정학점 : 부/복수전공 등을 이수하는 경우 주전공에서 졸업을 위해 이수해야 할 전공학점을 줄여주는 대학이 많은데, 이때 주전공에서 이수해야 할 전공학점 2) 다전공시 전공학점 : 최소전공인정학점 시행 시 학생이 부․복수․연계․융합․학생설계전공 등 다전공을 이수하는 경우에 소속 전공에서 이수해야 할 최소 전공졸업학점 3) 전공심화시 전공학점 : 최소전공인정학점 시행 시 학생이 부․복수․연계․융합․학생설계전공 등 다전공을 이수하지 않는 경우 소속 전공에서 이수해야 할 최소 전공졸업학점     (2017학년도 이후 입학자)  전공 최소전공 인정학점제 시행여부 졸업 학점 교양학점 전공학점 부전공 불가전공명 복수전공 불가전공명 대학 필수 영역필수 지정필수 최소 졸업최대 전공 필수 전공시 전공 심화시 화공생물공학전공 ○ 140 6 6~9 24 36 49 19 1), 2) 69 3) 90 신소재공학전공 X 33 2) 80 나노고분자공학전공

2. 화공생물공학전공

2. 화공생물공학전공 학부교수소개

2. 화공생물공학전공 전 공 소 개 전기/전자 분야, 석유/화학 분야, 신소재/재료 분야, 환경/에너지 분야, 바이오/제약 제제 분야 등의 산업 현장 및 기업체 연구소, 국가연구소, 기술 공무원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2. 화공생물공학전공 분 야 소 개

2. 화공생물공학전공 진 로 소 개

2. 화공생물공학전공 관련 자격증 1. 가스직종 2. 위험물 분야 직종 3. 화공직종 4. 환경직종 5. 에너지 분야   - 가스기사 / 가스산업기사 / 가스기능사 2. 위험물 분야 직종   - 위험물 산업기사 / 위험물기능사   3. 화공직종   - 화공기사 4. 환경직종   - 대기환경기사/산업기사, 수질환경기사/산업기사 5. 에너지 분야 - 에너지관리기사/산업기사, 보일러 산업기사

2. 화공생물공학전공 졸 업 학 점 140 총 취득학점 화공생물공학전공 【 전공 】 - 다 전공 시 : 69학점 - 다 전공 시 : 69학점 - 전공심화 시 : 90학점 총 취득학점 140 교양 36학점 49학점까지만 졸업학점으로 인정 전공필수교과목은 반드시 이수 자유선택과목 산학협동과정

2. 화공생물공학전공 교 육 과 정

2. 화공생물공학전공 이수 체계도 전공필수 대학 필수 교양 학과 영역 필수 교양 전공 선택 학과 지정 필수 교양 자유 선택

3. 신소재공학전공

3. 신소재공학전공 학부교수소개

3. 신소재공학전공 전 공 소 개 소재의 구조, 물성, 공정, 기능을 연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적 기초를 제공 21세기 첨단산업의 초석을 다지는 학문 소재의 구조, 물성, 공정, 기능을 연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적 기초를 제공 21세기 과학기술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6T(NT, BT, IT, ST, ET, CT)의 기반 모든 산업의 기반이 되는 학문

3. 신소재공학전공 분 야 소 개 (NT) (BT) (ET) (ST) (IT/CT) 나노기술 바이오기술 환경기술 정보통신기술 우주항공.자동차기술 (ST) 환경기술 (ET) 바이오기술 (BT) 발광소재, 나노블록, 나노로봇 청정에너지, 초전도, 센서 우주탐사 , 철강산업, 교통소재, 형상기억합금 무선통신, 메모리, 디스플레이 무기 생체재료, 유기 생체재료, 바이오칩

3. 신소재공학전공 진 로 소 개 졸업 후 진로 소재산업관련업체 첨단산업 국가산업 관련업체 연구직 대학원 공무원 진학 반도체, 전자부품소재 등 금속,세라믹 전자재료 등 철강,자동차,조선 항공기 등 국공립연구소 기술.연구직 공무원 등 대학원 진학 졸업 후 진로

3. 신소재공학전공 관련 자격증 1. 기사 -비파괴검사 기사, 비파괴검사 산업기사(방사선,초음파,자기 등) -금속 기사(재료분야,제련분야,가공분야), 금속재료 산업기사 -용접 기사, 용접 산업기사 -표면처리 산업기사 -주조 산업기사 -금속제련 산업기사 -세라믹 기사 2. 기술사 -금속재료 기술사 -표면처리 기술사 -금속가공 기술사 -철야금 기술사 -비철야금 기술사 -비파괴검사 기술사 -세라믹 기술사

3. 신소재공학전공 졸 업 학 점 140 총 취득학점 신소재공학전공 【 전공 】 - 다 전공 시 : 80학점 - 다 전공 시 : 80학점 - 전공심화 시 : 80학점 총 취득학점 140 교양 33학점 49학점까지만 졸업학점으로 인정 전공필수교과목은 반드시 이수 자유선택과목 산학협동과정

3. 신소재공학전공 교 육 과 정

3. 신소재공학전공 이수 체계도 대학 필수 교양 자유 선택 교양 전공 필수 학과 지정 필수 교양 학과영역 필수교양 전공 선택

4. 나노고분자공학전공

4. 나노고분자공학전공 학부교수소개

4. 나노고분자공학전공 학부교수소개

4. 나노고분자공학전공 전 공 소 개 대한민국 21세기 미래 경쟁력을 선도할‘나노기술’ 및 국내에서 화학관련 산업에서 가장 큰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고분자기술’분야의 핵심 인력 배출 기술 융복합화가 가속됨에 따라‘나노기술’ 은 에너지, 환경, 바이오, 정보통신, 전기/전자산업, 항공우주산업, 스마트 자동차 등의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선도적 역할 수행 ‘고분자기술’은 금속, 세라믹과 더불어 “세계 3대 차세대 소재”로 손꼽히는 핵심 소재로서 국내 화학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Genesis (미켈란젤로, 로마 시스티나성당) 신물질의 창조자! 물질에 대한 연구

4. 나노고분자공학전공 분 야 소 개

4. 나노고분자공학전공 _ 진 로 소 개

4. 나노고분자공학전공 졸 업 학 점 140 총 취득학점 나노고분자공학전공 【 전공 】 - 다 전공 시 : 80학점 - 다 전공 시 : 80학점 - 전공심화 시 : 80학점 총 취득학점 140 교양 33학점 49학점까지만 졸업학점으로 인정 전공필수교과목은 반드시 이수 자유선택과목 산학협동과정

4. 나노고분자공학전공 교 육 과 정

4. 나노고분자공학전공 이수 체계도 대학 필수 교양 학과영역 필수교양 학과 지정 필수 교양 전공 선택 전공 필수 자유 선택

5. 전공배정(2019배정)

5. 전공배정(2019년 배정) 1. 전공별 최대 배정 인원 ① 학부 입학정원 대비 배정 대상 학생 비율 + 0% - 기준 : 학칙 제34조에 의한 모집단위 별 입학정원의 130% 범위 내 (규정 제7조) ① 학부 입학정원 대비 배정 대상 학생 비율 + 0% (예: 학부 입학정원이 62명, 배정 대상 현원이 65(정원외 포함) 명일 때, 65/62=104.84%, 105% 적용) ② 학칙 별표4의 전공별 입학정원×①의 비율을 전공별 최대 배정인원으로 함 (예: 전공별 입학정원이 28명이고 비율이 105%일 때, 28×105%=29.4, 29명)

5. 전공배정(2019년 배정) 2. 학생신청 3. 정원 외 외국인 배정 방법 (규정 제9조 제1호) ① 종합정보시스템 – 학부학생정보관리 – 학적관리 – 전공배정 신청 (규정 제 10조 제1항) ② 학부 내 전공 숫자만큼 지망 (규정 제10조 제2항, 예: 3개 전공으로 구성된 경우, 3지망까지) 3. 정원 외 외국인 배정 방법 (규정 제9조 제1호) - 1지망 전공 배정 (1의 전공별 배정 인원에 포함시키지 않음)

5. 전공배정(2019년 배정) 4. 정원 외 외국인을 제외한 학생 배정 방법 (규정 제 9조) ① 1지망 전공을 배정하되, 해당 전공에 1지망한 자가 전공별 최대 배정 인원보다 많은 경우 ⑴. 성적 높은 순(이수학기 전체 평점 평균)으로 배정 ⑵. 성적이 같은 경우에는 취득학점 많은 순으로 배정 ⑶. (1)과 (2)가 동일한 경우 학부에서 미리 정한 공업수학, 일반화학1, 일반물리1 과목의 성적 순으로 배정 ⇒ 미 취득 시 0점 부여

5. 전공배정(2019년 배정) 4. 정원 외 외국인을 제외한 학생 배정 방법 (규정 제 9조) ① 1지망 전공을 배정하되, 해당 전공에 1지망한 자가 전공별 최대 배정 인원보다 많은 경우 (4). (1)~(3)이 동일한 경우 최근 2년 이내의 공인토익성적을 기준 (최근 1년 이내의 교내 모의토익 인정, 미 취득 시 0점 부여)으로 배정

5. 전공배정(2019년 배정) 4. 정원 외 외국인을 제외한 학생 배정 방법 (규정 제 9조) ② 해당 전공에 지망한 자가 배정해야 할 인원보다 적은 경우 지원자 전원을 해당 전공에 배정 ③ 1지망 전공으로 배정하지 못한 나머지 인원은 2지망 지망자로 ① 및 ②를 준용한 방법으로 배정 ④ 2지망 전공으로 배정하지 못한 나머지 인원은 3지망 지망자로

5. 전공배정(2019년 배정) 5. 미신청자 배정 방법 ① ⑴. 성적 낮은 순 ⑵. 동점자의 경우에는 취득학점 적은 순, ⑶. ⑴ 및 ⑵가 동일한 경우에는 미신청자 학번 순으로 배정 ② 미신청자에 대해 ⑴. 1의 최대 배정 인원 대비 4에 의해 배정된 인원 비율이 가장 낮은 전공에 배정 ⑵. 비율이 동일한 경우 전공 설치 연도가 빠른 전공에 배정 ③ 모든 미신청자에 대해 ②를 반복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