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신재생에너지보급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용역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Fly Incheon Airport. 연혁 / 부지조성공사 착공 / 인천국제공항 개항 / 2 단계 건설 완료 및 운영 개시 / 해외사업.
Advertisement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광화문우체국 현장개선 컨설팅 추진 보고서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circulated, quoted, or reproduced for distribution outside the client organization.
SNS ! 건대 ▶ 오리 정보 제공 : 해당 지역에서 이슈화 되고 있는 서비스, 제품의 기업에게 정보 제공.
대 기술혁신과제 2015 년 주요 연구 내용 2015 년도 예산 및 사업 현황 14.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개발 - 미세조류 이용 바이오 수송연료 · 소재 생산기술 개발 4,072 백만원 - 글로벌프론티어사업 (3,450 백만원 중 신규 700.
2004 년 3/4 분기 경영실적 설명회 ( 금 ) 동부제강㈜. 본 자료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일부 내용은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1 태경농산 안성공장 공장 자발적 ‘ 하계 전력부하관리계획 수립 / 이행 ’ ☞ 최대 지원금 수혜 ☞ 에너지비용 절감 2007 년 하절기 전력수요 상승에 따른 Utility 비용 증가예상 ( 한전 주관 ) 2007 년 하계 전력부하관리 지원제도 참여 [ 휴가 / 보수기간.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ICT 기반 베이비붐 세대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목차 1. 창업 동기 2. 지원 동기 3. 자체역량 분석 4. 시장 전망 5. 재무 분석 6. 창업자 및 경영진 준비하시는 사업 특성에 따라 목차 및 세부내용의 일부 변경 ( 추가 및 Skip) 은 가능합니다.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박 화용. 전기자동차 배터리 리스 1. 도입의 필요성 2. 배터리 리스 사업도 3. 리스회사의 개념 4. 가솔린차량과 전기자동차 연료비 비교 5. 새로운 시장, 새로운 일자리 창출 ! >> 목 차.
2011 년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고객만족도 조사결과. 1 Ⅰ. 조사 설계 제 1 장. 조사 개요 구분 업무별 조사설계 환경산업분야해외진출 ( 수출 ) 지원분야 환경 R&D 분야 환경인증평가 녹색경영 분야 환경정보 분야 환경벤처 기업육성 환경 전문인력 양성 환경산업 육성자금.
III. 순수관광 목적 방문지역별 여행 실태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비유와 상징’ 학습조 현장답사 -답사일: 인원: 지나라, 정지온, 한민수
2. 일반 현황 □ 코스피 □ 코스닥 □ 비상장 업체명 주 소 상장여부 업 종 주요품목 대표자 성함 :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접수번호 : 스마트콘텐츠 중화권 전략 비즈니스 지원사업 참가 업체 사업계획서 - 프로젝트명(앱) : 업 체 명 :
중국 현지 연수 프로그램(5박6일) - 체계적인 벤치마킹 및 인프라 체험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2015년도 신기술 공공서비스 사업 통합 설명회 개최 안내 설명회개요 세부 일정 오시는 길
<부산대학교 건설관 오시는 길>
’15 방위산업이차보전 설명회.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SH서울주택도시공사 임대아파트옥상 및 유휴부지를 활용한
양평동 동아 프라임 밸리 분양 안내자료 건축 개요 조 상 오 과장
제주신용보증재단 2014년 주요업무보고.
보 고 순 서 I 목 적 II 추진배경 III 현 황 IV 중점 추진 방향 V 기대효과.
전력전자연구실 (정승기, 최주엽, 송승호 교수님)
- 사업의 수익증대와 마케팅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 Ⅱ. 환경분석 - 거시환경분석
신재생 에너지의 정의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사용하거나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서 이용하는 11개 에너지 분야”
<초소형 계통연계 인버터 보드>
25W급 RF에너지 전송 설계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종이팩 재활용 실태조사 홍수열/자원순환사회연대 정책팀장.
분석 기획 발굴 워크북 (템플릿)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사업내역서 작성 매뉴얼 2018년 10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RPS사업실.
라일건설주식회사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 28 라일 플로리스 신축공사.
광주시 신재생 에너지 정책 제언 In Su. Cha
0. 코스트의 이해 단가 × 양 = 원가 원가는 생산/ 판매활동에 직접 관련된 비용이다 단 가 양
국가균형발전과 환경정책 - 기업경영 관점에서의 고찰 한국 환경 경영 학회 부회장 차 근 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년도별 거래량 추이 50 만 35 만 25 만 (상) 년도별 가격 추이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UNISDR ONEA-GETI 안내.
기상 레이더 정보를 이용한 획기적인 LID시설 제어 방법 GIST대학 물리학부 정희원 GIST대학 기초교육학부 박연준, 기태윤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발표평가 자료 작성 유의사항 각 페이지의 작성 TIP을 참고하여 내용 기재 (총 20페이지 이내, 발표시간 약 10~15분)
회사소개 리사.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기술보증기금.
Electric Vehicle.
수력에너지.
네이버 CCL 도입 현황 및 계획 서비스정책센터 최인혁.
2002 3/4분기 실적.
잠실 파크리오 2008년 완공 66개 동, 6864세대 구성 18평, 25평, 32평, 33평, 45평, 46평, 51평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국민 의식의 변화 사회 환경의 변화 업무 효율성 제고 행정수요의 증가 다양한 정보 요구 신속한 정보 요구 국민 의식의 변화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정부 구현 정보화사회 도래 도면관리의 비효율 수작업 도면관리.
핵심 교양 신,재생에너지와 자원재활용 화공생명공학과 이관영 교수.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년 11월호 영업현황1p 요약 재무제표 4p 주가동향 6p.
TPM 추진 목표설정 * 구체적인 목표는 지도 개시후 간부 워크샵을 통해 확정함
“국내 발명특허 설계 제작된 BL 전자테크” 태양광 안전 경고등
지방자치제도.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부산지역 해상풍력 도입여건과 정책방향 최 윤 찬.
Presentation transcript:

인천광역시 신재생에너지보급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용역 Always Together, Innovation World 인천광역시 신재생에너지보급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 2017. 08. 03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circulated, quoted, or reproduced for distribution outside the client organization without prior written approval from KMAC. This document provides an outline of a presentation and is incomplete without the accompanying oral commentary and discussion.

Contents 프로젝트 개요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향후 계획

중장기 신재생에너지 마스터플랜 및 보급 로드맵 수립 Ⅰ. 프로젝트 개요 1. 프로젝트 추진 배경 및 목적 본 프로젝트는 인천광역시의 환경친화적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를 수립하고, 이의 달성을 위한 부문별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기후변화 대응의 선도적 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음 프로젝트 배경 기존 비전-전략체계 프로젝트 목적 정부 정책기조와 최근 환경변화 반영한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전략체계의 개선 필요 높은 전력 자립률 대비 낮은 신재생에너지 보급 지방자치정부의 환경적/정책적 이슈에 대한 대응 요구 신재생에너지 중점 전략 사업 도출 필요 인천광역시 에너지 정책 비전 및 방향 재정립 부문별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확대 방안 수립 중장기 신재생에너지 마스터플랜 및 보급 로드맵 수립 비전과 전략의 롤링을 통한 실현 가능 전략과제 도출

Ⅰ. 프로젝트 개요 2. 추진 프로세스 본 프로젝트는 대내외 환경분석, 정책 비전 및 목표 재정립의 ‘기본용역’과, 부문별 신재생에너지 보급 추진 방안 마련, 마스터플랜 수립과 추진 로드맵 제시까지의 ‘실시용역’으로 구분되어 추진중임 수행 프로세스 (기본용역) (실시용역) 대내외 환경분석 비전 및 정책목표 재정립 부문별 신재생에너지 수립 중장기 로드맵 Phase 1. 정부정책 및 잠재량 분석 Phase 2. 인천광역시 신재생에너지 비전 및 정책 목표 재정립 Phase 3. 부문별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확대 방안 수립 Phase 4. 인천광역시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로드맵 수립 Step 1.1 Step 1.3 담당자 인터뷰 진행 부문별 전략 수립 Step 2.2 사업화 방안 도출 Step 3.3 외부환경 분석 Step 1.4 부문별 잠재량 조사 Step 1.2 부문별 추진방안 도출 Step 3.1 실시용역 경제성 분석 Step 3.2 Step 4.1 로드맵 수립 내부환경 분석 비전 및 정책 목표 수립 Step 2.1 17년 12월 18년 12월 We are here

Ⅰ. 프로젝트 개요 3. 추진 일정 프로젝트 Phase 1~4 단계별 추진되며, 기본용역에서는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현황 및 추진 여건 분석 중심으로 방향성을 확정하고, 2차 연도는 세부 실행전략 수립을 통한 로드맵을 제시함 주요 수행 과업 기본용역 (1차 이행연도) 실시용역 (2차 이행연도) 4~5 6~7 8~9 10~11 12 1~2 3~4 5~6 7~8 9~10 11~12 Phase 1. 대내외 현황 및 계획 여건 조사/분석 1.1. 인천광역시 현황 분석 1.2. 대내외 신재생에너지 정책 분석/사례 조사 1.3. 담당자 인터뷰 및 잠재량 조사(설문) 1.4. 신재생에너지 수요 전망 Phase 2. 신재생에너지 정책 비전 및 목표 재정립 2.1. 신재생에너지 비전 검토 및 제시 2.2. 신재생에너지 정책 목표/방향 설정 Phase 3.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확대방안 수립 조사 분석 3.1. 신재생에너지 실행과제 도출 3.3. 신재생에너지 원별 경제성/타당성 분석 3.4.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대 및 연계 방안 마련 Phase 4. 신재생에너지 보급 시행 계획 및 중장기 마스터플랜/로드맵 수립 4.1. 신재생에너지 보급 예산 및 재원확보 방안 4.2. 신재생에너지 인천시 시책 연계 방안 4.3. 단기/중기/장기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 4.4. 단기/중기/장기 중장기 로드맵 수립 보 고 회 착수보고 중간보고 최종보고

4. 착수보고 이슈 주요 의견 추진 현황 및 계획 환경, 에너지, 도시 관련 상위계획과 정합성 확보 필요 최신 정보 Ⅰ. 프로젝트 개요 주요 의견 추진 현황 및 계획 환경, 에너지, 도시 관련 상위계획과 정합성 확보 필요 최신 정보 지속 모니터링 중 (’18년 상반기 )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17년 8월 말) ’30년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 비율 20% 이행계획: 실행가능한 과제 도출 필요 (인천 의회의 관심도 높음) 실질성 기반 조사ㆍ계획 설문, 인터뷰, 워크숍 등 적극 활용 단지개발사업계획, 주택건설사업, 도시재생사업 등 분석 및 반영 지역 특성 반영, 실질적인 계획 도출 인천광역시 내 에너지 전담 조직 구성에 대한 검토 요망 벤치마킹 추진 타 지자체 등 벤치마킹 시 관련 조직 존재 여부 및 역할, 조직구조 등 검토 예정 에너지자립섬 추진 시 사업성 고려 외에 투자유도를 위한 제도 보완 검토 사업자 방문 인터뷰 추진 기 추진중인 죽도, 가사도 등 방문 조사 울릉에너피아 등 사업자 인터뷰 진행 사업 이익의 지역 환원이 가능한 사업 모델 포함 주민참여형 사업 등 고려 시/군/구 담당자들과 추진예정인 워크숍 활용 에너지자립섬 대상 도서 방문 시 가능성 확인 국내외 사례 검토 등

5. 주요 추진사항 Ⅰ.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 추진 방향에 대하여 관련 기관 담당자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향후 프로젝트 추진 시 명확한 방향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의견수렴을 진행하고자 함 주요 인터뷰 결과 부문 담당자 인터뷰 이슈 인터뷰 기관 이슈 사항 공공 (市)에너지정책팀, 인천시설관리공단,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인천환경공단, 인천시 교육청 → 市 산하 공단에서 위탁 운영되는 시설은 市 소유로 공단 자체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 수행 어려움 → 인천시 내 신재생에너지 추진 현황을 파악할 총괄적인 자료 부재 → 공공부문은 예산의 한계로 소규모 사업 중심으로 추진 → 市 소유 부지에 외부 사업자의 유치를 위한 위한 유인 부족(높은 임대비용으로 사업성 저하 등) → 신재생에너지 시설의 기부채납 이후 관리 어려움(인력 및 예산 부족 등) 산업 (市)환경정책과, (市)에너지신사업팀, 인천항만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市)에너지자원팀 → 인천 소재 공사의 경우 내부사업에 주력하고 있으며, 발전자회사는 정부 신재생에너지 보급 의무 상향에 따른 내부 전략 수립 중 → 생태산업단지사업(EIP) 제도 일몰로 관련사업 종료 → 인천 소재 국가/일반산업단지 내 신재생에너지 사업 가능한 부지 현황자료 부재 가정/ 상업 (市)신재생에너지팀 등 → 정부 또는 지자체 지원사업 중심으로 개별 가정의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지 파악하기 어려움 → 타 지자체 보급사업에 대한 벤치마킹 필요 수송 (市)전기에너지팀 등 → 市 관련부서(교통정책과, 버스정책과 등)와 정책적 협조 필요 → 전기버스 시범사업 추진 필요 자립섬 (市)에너지신사업팀 등 → 저유가 등의 문제로 외부사업자 투자 유인 낮아짐 → 고도화된 에너지자립섬 운영시스템 도입 필요(타 에너지자립섬 벤치마킹) ☞ 향후 구/군청 및 시 산하부서 등 관련 담당자 인터뷰 추가적으로 진행 예정이며, 벤치마킹을 위한 현장 방문 조율중임

Contents 프로젝트 개요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향후 일정

1. 에너지산업 환경 1.1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변화와 전망 1. 에너지산업 환경 1.1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변화와 전망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1990년대 초반 이후 유럽에서 성장해 왔으나, 유럽 재정위기 이후 구조재편기를 통과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도약기, 2035년 이후 본격적인 성장기 돌입이 예상됨. 향후 민간시장 활성화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오픈플랫폼 구축, 공유경제 활성화 등 공공의 새로운 역할이 필요함 세계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변화와 전망 태동기 구조재편 도약기 성장기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주요시장 - 유럽 -일본, 중국 등 아시아 -북미 -아시아, 북미, 유럽 -신흥국(인도, 브라질) 확산 기술 - 개별 에너지원의 단가 인하 및 효율 개선 -융·복합화/ Smartgrid 부상 -획기적인 단가 인하 및 효율 개선 단가인하 및 효율개선 지속 융·복합화 확산 분산형 전력시스템 정착 정책 - 정부 보조금 중심 정부 보조금 비중 감소 시장 주도 성장 촉진 시장주도 성장(시장제도 확립) 업계구조 기술력이 뛰어난 선진업체 중심 기술력 우위 선진업체 중심 대규모 내수시장 보유 신흥업체 부상 대규모 내수시장 보유 신흥 업체 중심 대체 - 원전, 석탄발전 중심 원전, 석탄발전 정체 신·재생, 가스발전 부상 신·재생, 가스발전 중심 다양한 청정에너지 공존(IGCC, CCT 등) 8~10% 3% 1990 ’10 ’15 ’35 *출처: 신·재생에너지 산업변화와 전망, 월간 미래산업, 2013년

1. 에너지산업환경 1.2 Global 신재생에너지 전망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 에너지 수요 전망 ] ’40년 1차 에너지 소비 기준 신재생에너지 소비량은 ’14년 대비 1.8배 성장 > ‘40년 에너지 수요의 20%는 신재생에너지 충당 예상 > 전력에너지 비중이 ’40년 37%(’14년 23%)로 가장 높음 >세계 발전설비의 46%는 신재생발전으로 예상되며, 태양광:풍력 비중은 각 13% 전망 ’40년 유틸리티급 태양광과 육상풍력 발전비용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100$/MWh 이하로 하락 > 신재생 발전소 설치시 투자비 감소로 신재생발전 LCOE 감소( ’15년 대비 풍력발전은 10~60%, 태양광 발전은 20~70% 하락) > 연료비 상승에 따라 화력발전 LCOE는 100$/MWh 이상으로 증가 [ ’40년 국가별 태양광 및 풍력 LCOE 전망 ] ’40년 신재생에너지의 60%는 보조금 없이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전망 > 수력과 지열은 현 시장 상황에서도 경쟁력 보유 > ’30년 경에는 중국, 호주, 남아프리카 등 국가의 대형 태양광과 육상풍력이 경쟁력 확보될 것으로 예상 > 유럽은 신재생 비중 증가, 미국은 천연가스 생산국으로 지위를 확보하면서 전력시장 가격 하락 전망 [ 경쟁력을 확보하는 신재생에너지 전망] 출처: World Energy Outlook 2016, EIA

<신재생에너지원별 기술 수준> 1. 에너지산업 환경 1.3 신재생에너지 기술수준 및 비용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수준은 최고수준 대비 약 86% 정도로 평가되고 있으며, 비용의 지속감소가 예상됨. 기술 측면에서는 태양광, 수력 등이 세계 수준에 근접하며, 비용 측면에서는 태양광 및 연료전지가 사업 추진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됨 신재생에너지원별 기술 수준 <신재생에너지원별 기술 수준> <신재생에너지 비용> 단위: 백만$/GW 2010 2015 2020 2025 2030 태양광 투자비 5,235 2,272 1,958 1,782 1,661 고정비 52 23 20 18 17 육상풍력 2,393 2,309 2,220 2,168 2,131 48 46 44 43 수력 1,670 1,658 1,646 1,640 1,634 50 49 소수력 2,221 2,218 2,215 2,212 2,209 67 66 바이오 2,595 2,550 2,490 2,448 2,412 78 76 75 73 72 폐기물 8,861 8,661 8,458 8,315 8,192 연료전지 7,872 3,037 1,923 1,492 1,158 787 304 192 149 116 * 고정비는 1년간 소요되는 비용임 *출처: TIMES 모형을 이용한 에너지 기술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출처: TIMES 모형을 이용한 에너지 기술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우리나라는 태양광, 수력, 바이오 기술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열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태양광과 연료전지의 경우 2030년까지 투자비 및 고정비의 감소세가 타 에너지원에 비해 두드러짐

1. 에너지산업 환경 1.3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주요 추진 방식 1. 에너지산업 환경 1.3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주요 추진 방식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 추진현황에 대한 분석 결과 크게 다음의 4가지 방식으로 추진되는 것으로 파악되며 향후 사업화 방안 도출 시 유형별 특성에 맞는 실질적인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구분 정부/기관 주도형 사업자 주도형 소비자주도형 융합형(소비자 참여형) 대상 공공 및 정부지원 시설 교육시설 군사시설 원격지(도서, 오지 등) 산업단지 관광단지 대규모 상업지역 대규모 생산시설 대형빌딩/시설 대형 쇼핑몰 에너지자립화 마을 효과 정책/제도/산업 활성화 정전 대응 에너지/비용 절감 수요관리 REC/탄소배출권 등 전력품질/신뢰성 일자리/수입 확대 이해관계자 편익 추진주체 정부 지원 및 투자 정책 효과 > 수익 사업자, 시설소유자, 투자자 정책 효과 < 수익 소비자 이해관계짜 공동 투자 정책 =< 수익 운영 해당 기관 운영/기존 운영사 운영 민간위탁 or SPC 자체 or 위탁운영 사업유형 실증/시범사업 중심 사업자 Incentive 중심 소비자 incentive or 시장 중심 정책/제도/시장 모두 유인성 보유

2. 공공부문 2.1 보급현황 인천광역시의 공공부문 신재생에너지는 주로 태양광, 태양열, 지열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음 2. 공공부문 2.1 보급현황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인천광역시의 공공부문 신재생에너지는 주로 태양광, 태양열, 지열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음 시도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현황 인천 공공부문 신재생에너지 도입현황 인천의 공공기타부문의 최종에너지사용량은 충북, 전북과 유사한 수치/서울, 경기의 경우 공공기타부문 사용량이 많아 절감가능성이 높음 공공부문의 다양한 보급지원제도 벤치마킹을 위해 최종에너지 소비가 많은 서울과 경기지역의 공공부문 보급제도를 검토하고, 인천과 유사한 수치인 충북, 전북의 공공부문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 및 절감량에 대해서 비교분석 필요 인천 시 내 공공부문 신재생E는 초기 태양열과 태양광 중심으로 보급하였으나 점차 태양광과 지열 중심으로 보급 확대 ’13년도 이후 태양열 보급이 거의 중단되고 태양광과 지열의 보급이 증가함 공공시설 : 연도별 태양광의 설치량은 유사하나 지열의 보급량이 증가함 - 설치의무화 비율은 ‘12년까지 10%로 였으나, ’13이후 비율 증가에 따라 보급률 증가 예상 교육시설 : 학교 내 설치에 대한 적극적인 추진진행 (신재생에너지 TF팀 구성) 학교 내 설치 가능성 적극 검토 필요

2. 공공부문 2.1 보급현황(계속)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공공시설물에 설치되는 자가용 설비는 주로 정부보급사업을 통해 설치되며, 사업용 설치는 사업비 조달방식에 따라 市 직접 투자 (국비 및 도비 일부 지원), 시설 임대(ESCO형태 포함), 부지 임대 발전 사업자 유치 방식이 있음 * 인천시 자가용보급현황은 사업용의 약 7%수준임, 전국기준 30% 인천시 공공부문 자가용 보급사업 종류 구분 지역지원사업 융복합지원사업 환경기초시설 탄소중림프로그램 시범사업/ R&D사업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조례) 설치의무화 지원 자격 지자체 소유/관리건물/복지시설 소요자금의 50% 이내 2종 이상의 신재생, 건물간 복합 환경기초시설 내 신재생에너지 도입시 에너지자립시범사업 연료전지 등 신기술 R&D를 위한 설치사례 1,000㎡ 미만 300㎡ 이상 표준건축비의 5%이상 (공동주택1%이상) 연면적 1,000㎡ 이상 공공기관 신측, 증축 개축 지원제도 의무제도 인천시 공공부문 사업용 설치사업 유형

[참고] 공공부문 설치 사례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공원, 주차장, 하수처리장, 정수장, 상수도, 차량기지, 농수산물시장 등 공공기관설비 유형에 따라서 설치사례를 분석하여, 설치위치와 사업추진유형에 대해서 벤치마킹 실행, 결과에 대해서 잠재량 분석 설문조사 시 참고자료로 배포 가능 공원 주차장 등 태양광 설치 사례 대규모 건물 옥상 태양광 설치 사례

2. 공공부문 2.2 잠재량 분석 방법론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대표 공공기관의 인터뷰 진행 결과를 반영해 기존제도 내에서 보급잠재량을 도출, 민간투자형식의 사업대상지 발굴을 위한 설문조사 실시, 이후 벤치마킹을 통해 추가적인 신규제도 도입을 제안할 계획임 잠재량 분석 Logic 체계 Step1 Step2 Step3 Step4 1 2 3 4 8개 1) 대표 공공기관 인터뷰 진행 기존제도 2) 내 보급잠재량 조사 (설문조사+추정) 3) 기존제도 이외 보급잠재량 조사 (설문조사) 3) 신규제도도입 (지원/의무) 4) 공공부문 보급률 산정 대표 공공기관별 보급현황조사 (설치탈락) 사업계획 수립 후 설치 포기 → 문제점 해결 시 설치가능 잠재량 포함 사업계획 수립 후 설치 포기 사례 → 문제점 해결 시 설치 가능 잠재량 포함 민간투자/설치 방식 유치 (BOT/BTL/도민펀드) 장애요인 및 제언 (설치확정) 기존제도 내 향후 보급계획 조사 민간사업자 유치 가능 부지/건물 조사 1) 시청, 경제청, 시설공단, 환경공단, 상수도사업본부, 소방본부, 교육청, 남동구 2) 인천시 공공부문 자가용 보급사업 종류 참조 3) 관련기관 담당자 워크샵 후 조사표 작성방법 안내 4) 타지자체 벤치마킹, 정부의 추진계획 반영 설치가능부지 조사방법 논의 (설치예정) 신축/증축/개축확인 (토지과, 건축과, 도시계획과) <잠재량 산정 기준> 기존제도 내 보급량 : 현재 수준과 유사할 것으로 예측 (단, 설치포기사례건에 대해 별도로 조사하여 문제점 해결가능여부 검토 후 잠재량 포함) 기존제도 이외 보급잠재량 : 설치가능성이 있는 부지/건물에 대한 조사 후 신규지원/의무제도와 민간투자사업을 통해 설치방법에 대해 매칭 <잠재량 분석 이슈 및 한계> 현재 제도 하에서 설치률을 증가는 한계가 있음(타사례결과 확인), 신규제도도입 후 설치예상량 도출방식 적용

2. 공공부문 2.3 인터뷰 결과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인천시 내 8개의 대표 공공기관의 신재생에너지 설치 및 에너지절약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장애요인 및 제언과 잠재량 도출 방향에 대해 논의함 설치시 장애요인 제언 잠재량 도출 이슈 공통 1. 공원 등 주민편의시설에 설치 시 민원문제가 가장 큰 장애요인(ex, 해돋이공원태양광) 2. 원별 설치 시 - 연료전지 : 백연, 소음문제, 안전관리자선임비용추가 - 풍력 : 송도지역(소음으로 인해 저어새 생태계교란문제, 군사지역 설치 어려움), 기타지역(낮은 풍속잠재량) - 태양광 : 주변경관 및 민원방지를 위해 지역지원사업의 설치단가를 설치유형 및 디자인요소를 고려해 책정 필요 (지원사업 설치단가 매년 하락추세) - 소수력 : 낙차가 부족, 횡류형의 경우 유량이 부족해 사업성 떨어짐 3. 지역지원사업 심사 시 월간전력사용량 중 최소사용량의 70% 초과시 심사에서 감점요인발생 : 최소 규모로 설치 4. 공원의 산책로 및 주자장에 여유공간이 있으나, 공원법의 영리행위에 위반될 수 있어 외부투자운영사업 어려움(시주체시 가능) 5. 시 관리부서에서 관리시설에 대한 향후 계획 및 신재생 도입여부를 확정하므로, 관련 부서의 추진협조 필요 6. 현재는 유휴부지이나 향후 사용계획 시 신재생시설 설치는 문제가 될 수 있어 설치를 기피하고 있음 6. 위탁운영시설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설치 시 수익에 대한 권리는 시소유이나 운영관리∙ 노후설비 문제는 시설관리기관 책임 발생 1. 지역지원사업의 시비 지원금→ 디자인을 고려한 지원설치단가제도 도입 가능여부 검토 2. 인천시 신재생 투자사업에 대한 발굴운영관리 전담기관 필요 3. 설치부지 제공 기관에 대한 인센티브형제도 도입 필요 4. 자가용 설비 설치 시 발전량을 소모할 수 있는 대상이 없을 경우, 설치가능성이 높아도 설치 불가→ 발전사업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민간투자유치필요 < 기존건물/시설 잠재량> 정부의 보급지원사업 중심 설치 단기적(18~19년)설치계획수립중 건물 내 설치는 한계 → 주차장부지 적극 검토 유휴부지: 시 계획에 따라 사용처 변동여지가 있어 시설물 설치 회피 기존시설에는 태양광중심보급 검토 < 신축건물/시설 잠재량> 신축/개축/증축 여부 확인→ 건축과, 토지과, 회계과 설계시 반영할 수 있도록 신규제도 도입 필수 = 자발적 설치의 한계

2. 공공부문 2.4 교육시설 잠재량 분석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인천시 내 교육시설의 설치잠재량을 도출하기 위해 신축증축개축 학교 현황을 조사해 신재생도입계획을 보급률에 반영할 예정임. 기존 추진하려고 했던 햇빛발전민간투자사업 재개 가능 여부 검토 후 보급률 반영 및 기존 제도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신규제도를 도입여부를 논의 한 후 보급률에 반영할 계획임 Step1. 2 학교 기존 제도 내 설치잠재량 Step 3 학교 기존 제도 이외 설치잠재량 Step 4 신규제도 및 사업발굴 예상에너지사용량 = 건축연면적*단위에너지사용량*용도별 보저계수*지역계수 2) 신재생에너지 설치규모 = 예상에너지사용량*공급의무비율/단위에너지생산량/원별보정계수 2014 320 654 학교태양광 설치현황 (‘09~’16) 개교예정 학교 (’17~’20) 잠재량 산정방법 2013 2012 2011 ~2010 538 994 1040 556 2019 2018 2017 (단위:KW) 설치 대상 기관 157 기관 [공립학교 152(유1, 초80, 중45, 고23, 특수2, 각종1), 사업소 5] 부산시 『클린 에너지 학교』 부산시-부산시교육청-한국에너지 공단-부산기후환경네트워크 시(예산지원)-교육청(사업발굴)- 공산 및 부산네트워크(컨설팅) 2018년~2022년까지 총 100개 학교 50kW급 보급예정 사업비 160억 원(부산시 50%, 부산시교육청 50%) 투입 태양광 사업 시 탄소배출권 수익을 클린에너지 학교에 재투자 계획 442 2015 2016 4개소 잠재량 분석 (태양광) 208,825 3개소 3개소 2개소 85,353 15,481 유휴면적(㎡) 설치예상면적(㎡) 예상용량(kW) 광주 학교 태양광 발전 사업 110개 국공립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총 10MW 설치 한전KPS(주) 설치비 전액을 투자, 직접 운영계획 임대수입으로 학교발전기금 마련 계획 잠재량 산정방법 (태양광) 태양광예상용량 =((설치예상면적/1.6)*0.25)*1.15 국공립 학교 신재생설치 필요성 증가 인천교육청 햇빛발전민간투자사업 재개 타 신규제도 도입여부 검토 BOT방식으로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였으 나 최근 낮은 수익성으로 사업추진 무산 사업 재개 방법 및 지원책 필요 사업재추진시 15.481MW설치 가능 2020년까지의 개교예정 학교의 신재생설치 계획 반영 증축 및 개축 학교 추가조사 예정 타 지자체의 학교 설치 사업 사례 검토 인천교육청과 협의 –신규제도 발굴 신규제도 도입에 다른 설치가능잠재량 파악

3. 가정/상업 부문 3.1 보급현황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인천시는 수도권 지자체 중 지원단가는 중간 수준이나, 예산 규모가 작고 비주택 건물에 대한 지원사업이 부재해, 가정·상업부문의 보급확대를 위해 추가적인 지원책의 마련이 필요함 태양광 주택·건물지원사업 보조금 현황 (2017년 사업공고 기준) 인천은 수도권 타 지자체 대비 예산 총액이 매우 적으며, 상업부문(비주택건물)에 대한 지원사업은 없음 전국 광역지자체 보급지원사업과의 비교분석, 예산 대비 지원 예산 분석 등을 통해 인천시의 수준에 대한 보다 정확한 파악이 필요함 사업 예산 확대 방안의 마련이 요구됨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규모는 보조금 및 각 종 혜택의 수준에 직접적 영향을 받는 점을 고려해, 기존 사업의 조정이나 신규 사업의 도입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 [단독주택] *단위: 천원/㎾ 구분 정부 지자체 총액 서울 350~1,380 35~138 385~1,518 인천 404 754~1,784 경기 170 520~1,550 [공동주택] *단위: 천원/㎾ 구분 정부 지자체 총액 서울 1,320 600 1,920 인천 404 1,724 경기 170 1,490 [비주택건물] *단위: 천원/㎾ 구분 정부 지자체 총액 서울 1,140 600 1,740 인천 - 경기 1,200 2,340 [주택·건물지원사업 예산] *단위: 백만원 구분 지자체 비고 서울 5,000 베란다형, 대여사업 포함 인천 670 베란다형 220 지열, 태양열, 연료전지 포함 경기 1,025 주택 600, 비주택 140, 대여 60, 베란다형 225

3. 가정/상업 부문 3.2 보급현황의 특징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인천시는 주택부문은 태양광 및 연료전지, 상업부문은 태양광 및 지열의 보급규모가 작은 편임. 전반적으로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이 필요함. 특히 최근 높은 효율성으로 각광 받는 연료전지의 보급 확대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가정·상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2015년 기준) 주택부문의 경우 태양광 및 연료전지, 상업부문은 지열 및 태양광의 보급량이 적음 에너지 수요가 큰 상업시설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가 필요함 설치가 용이하고, 생산 에너지의 종류가 다양하며, 효율성이 높은 연료전지를 집중적으로 보급해야 한다고 판단됨 가정 태양열(㎡) 태양광(㎾) 지열(㎾) 연료전지(㎾) 전국 10,247 36,542 27,671 147 서울 44 5,798 1,154 11 인천 48 990 1,488 5 경기 1,236 6,953 12,033 51 상업 태양열(㎡) 태양광(㎾) 지열(㎾) 연료전지(㎾) 전국 2,497 288 17,248 30 서울 - 19 인천 143 경기 12 86 52 20 가정·상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11~’15년 누적) 가정 태양열(㎡) 태양광(㎾) 지열(㎾) 연료전지(㎾) 전국 94,032 136,673 120,356 976 서울 477 14,346 5,467 223 인천 722 4,217 5,854 41 경기 8,616 23,166 54,518 217 상업 태양열(㎡) 태양광(㎾) 지열(㎾) 연료전지(㎾) 전국 9,389 2,952 23,595 100 서울 245 775 - 인천 510 106 60 경기 232 393 272 20 인천시 가정·상업부문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태양열 2011 2012 2013 2014 2015 가정 512 62 94 6 48 상업 - 367 143 태양광 2011 2012 2013 2014 2015 가정 563 1,319 858 487 990 상업 49 13 44 - 지열 2011 2012 2013 2014 2015 가정 603 833 1,204 1,726 1,488 상업 - 연료전지 2011 2012 2013 2014 2015 가정 - 2 11 23 5 상업 60

3. 가정/상업 부문 3.3 향후 추진계획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가정·상업 부문 보급지원사업 예산 분석, 국가 및 타 지자체의 보급사업 벤치마킹 및 신재생에너지 업체 인터뷰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한 정책·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할 예정임 향후 추진 계획 사업 예산 분석 에너지사업기금 운용 현황 및 계획 분석 벤치마킹 국가 및 타 지자체(광역단위)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보급사업 및 규제제도 비교분석 비경제적 보급 장애요인 파악 소비자 및 사업자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 보급의 장애요인 파악 주요 이슈 타 지자체 대비 보조금 단가는 높은 편이나, 예산 총액은 낮으며, 이는 낮은 보급수준으로 이어짐 자가용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보급확대를 위해서는 보조금의 상승이 필수적임 상업부문 보급 확대를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함 기존 보급지원사업 및 규제제도의 개선을 통한 가정·상업 부문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전략 마련 기존 보급지원사업 구조 개선 미 추진 보급지원사업 및 규제제도 신규 도입 보급 확대의 비경제적 장애요인 해소방안 마련 인천도시공사 주택개발사업 등 아파트 개발사업 연계 사업 개발(연료전지)

4. 산업 부문 4.1 인천광역시 현황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인천광역시 내 조성된 산업단지는 국가산단 3개소, 일반산단 8개소, 조성중인 산단 3개소가 있음. 산업부문의 전력소비 수준은 인천시 전체의 53% 수준으로 타 광역 지자체와 비교하여 높은 수준으로 파악됨 인천지역 산업단지 현황 인천시 산업부문 전력소비 추세 (단위 : GWh) 산업단지 명 조성시기 조성면적 (천㎡) 산업시설 위 치 업체수 관리기관 합 계(조성완료 기준) 19,153 11,967 10,101 인천지방산업단지 1973 1,136 1,001 남구 도화동 457 인천지방산업단지관리공단 인천기계산업단지 1971 350 291 167 인천기계산업단지관리공단 인천서부지방산업단지 1995 938 770 서구 경서동 258 서부지방산업단지관리공단 하점지방산업단지 1994 59 43 강화 하점면 15 강화군청 청라1지구일반산업단지 2005 194 129 28 서 구 청 송도지식정보산업단지 2011 2,402 657 연수 송도동 184 경제자유구역청 검단일반산업단지 2014 2,245 1,382 서구 오류동 471 검단일반산업단지관리공단 강화일반산업단지 2015 462 319 강화 옥림리 63 인천상공강화산단㈜ 남동국가산업단지 1997 9,574 5,913 남동 고잔동 7,027 한국산업단지공단 인천지역본부 한국수출산업_부평 1969 609 527 부평 청천동 730 부평사무소 한국수출산업_주안 1974 1,177 935 서구 가좌동 481 주안부평지사 서운 조성중 523 315 서구 원창동 58 서운일반산업단지개발㈜ 인천서부자원순환특화 미개발 56 38 - 인천서부환경사업협동조합 IHP(인천경제자유구역) 1,179 645 LH 청라사업단 *출처: 에너지경제연구원_지역별 전력소비 통계자료(2017년 1월 자료) 타 지자체 산업부문 전력소비 비교 (단위 : GWh)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인천시 전체 22,241 22,652 22,673 22,578 23,212 인천시 산업용 11,739 11,838 11,840 11,921 12,283 비율(%) 53% 52% 울산시 전체 28,198 29,363 29,993 30,115 30,286 울산시 산업용 23,539 24,134 24,456 24,883 24,907 83% 82% 부산시 전체 20,562 20,665 20,365 19,981 20,002 부산시 산업용 7,539 7,605 7,386 7,362 7,264 37% 36% *출처: 한국산업단지공단_산업단지 현황조사 자료(2017년 1분기) *출처: 에너지경제연구원_지역별 전력소비 통계자료(2017년 1월 자료)

4. 산업 부문 4.2 공기업 대상 인터뷰 결과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인천시 내 소재하는 국가공기업, 발전자회사 및 민간 발전사 등의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계획을 조사하여 인천시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계획에 반영함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항만공사 > 신재생에너지 설치 현황 인천국제공항공사는 ’15년까지 약 1MW 수준의 태양광발전시설을 도입하였으며, 공항 3단계 건설에 따른 의무설치 비율을 이행하고자 약 4MW 태양광과 1,550USRT 지열을 ’17년까지 도입함 > 향후 추진 계획 60MW 수준의 연료전지 발전시설에 대한 도입 추진 중 북측/남측 유수지에 수상태양광 도입 추진 중이며, 그 외 4단계 건설 의무설치 비율 이행을 위해 유휴부지 확보하고 있음 > 신재생에너지 설치 현황 ’12년 4MW, ’13년 3MW, ’16년 2.4MW 총 9.4MW의 태양광발전과 350kW 지열 시설을 유휴부지 및 배후단지 내 창고 지붕에 설치하였음 ’17년 배후단지 지붕과 주차장에 3.3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중 > 향후 추진 계획 현재 인천항만공사 내 태양광/소형 풍력에 ESS를 접목한 시범단지 사업을 추진 중 인천항만공사는 ’21년까지 17MW 태양광, ’19년까지 7MW 지열, ’18년까지 1MW 풍력 발전시설을 추가적으로 도입하고자 계획 중임(인천항만공사 IPA 계획) *출처: 인천국제공항공사 저탄소/친환경 공항운영 중장기 전략수립 보고서 인천소재 발전사 국내 6대 발전 자회사는 문재인 정부의 신재생 3020에 대한 이행계획을 8월 말까지 수립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계획을 재 수립하고 있음. 8월 말 이후 인천시에 소재하는 중부, 남동, 서부 발전의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계획을 반영할 예정임 그 외 포스코에너지 등 민간발전사 신재생에너지 계획 조사 예정 *출처: 인천항만공사 IPA 추진계획

[참고] 산업단지 신재생에너지 설치 사례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산업단지 내 신재생에너지 설치 사업은 개별 입주 기업의 자체 설치, 한국산업단지공단 주관, 지자체 주관 사업 등이 존재하며, 유휴부지 및 공장 지붕 등을 활용한 대용량 규모로 추진이 가능함 Sun Roof Belt 구축 사업 (태양광) 부산 12개 산업단지 (태양광) 기관 : 한국산업단지공단-한국수력원자력 설치연도 : 2011년~(계속) 에너지원 : 태양광 설치용량 : 산업단지별 여건 고려 내용 국가산업단지 내 공장의 미활용되고 있는 지붕이나 옥상, 부설주차장 등에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 산단공과 민간 태양광업체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발전사업자(SPC)를 설립해 사업을 추진하고, 한수원은 태양광 발전에서 발생된 REC를 구매해 RPS 의무이행에 활용 기관 : 부산광역시-포스코에너지-부산경제진흥원 설치연도 : 2017년~ 에너지원 : 태양광 설치용량 : 50MW(예정) 내용 부산경제진흥원이 관리 중인 12개 산업단지 내 공장 지붕 활용 부산시는 업무지원, 부산경제진흥원은 수요조사 및 계약체결, 포스코에너지는 설치·운영 및 판매 담당 *출처: KC솔라에너지 홈페이지(이미지), 산업단지 Issue & Report 2013-09 제7호 (한국산업단지공단, 2013) *출처: 파이낸셜뉴스(이미지), 산업단지 지붕에 태양광 패널 입힌다(한국에너지, 2017.3.23.)

4. 산업 부문 4.3 향후 추진계획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인천시의 산업부문 신재생에너지 확대 방안 마련을 위해 국가/일반 산업단지 내 기업 및 인천 소재 공기업 등의 신재생에너지 보급계획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며, 사업 유형별 타당성 검토를 통해 추진 가능성을 검토함 향후 추진 계획 사업 타당성 분석 산업단지 내 신재생에너지 사업 유형별 타당성 분석 진행 벤치마킹 타 지자체(광역단위)의 산업부문 신재생에너지 사업계획 검토 발전사업자 신재생에너지 도입계획 검토 6대 발전사업자 및 민간 발전사업자 신재생에너지 추진 계획 검토 주요 이슈 문재인정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 20% 달성 → 500MW 이상 발전사업자 RPS 비율을 2030년 20% 수준으로 높이고, 연간 증가율 상향 조정 검토 전원구성비 조정에 따른 산업용 전기료 인상 요인 발생 → 심야나 주말 전력요금 등 경부하 요금 할인폭 조정을 통한 요금 인상 등 검토하고 있으며, 향후 실질적인 요금 인상안 등 도입할 것으로 예상 기존 산업부문의 문제점 파악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전략 마련 보급 확대의 비경제적 장애요인 해소방안 마련 대규모 발전사업 추진 시 인천시와의 협력 방안 검토

[’11~’16 지역별 공공급속충전기 보급량(환경부, 누적)] 5. 수송 부문 5.1 전기차 및 충전인프라 보급 현황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정부 및 지자체의 각종 지원으로 전기차 및 충전인프라 보급이 추진되고 있음. 인천광역시의 타 지자체 대비 보급수준은 낮은 편으로, 보다 적극적인 보급사업 추진이 필요함 보급사업 현황 (2017년 사업공고, 고속차량 기준) 보급 현황 *단위: 만원/대, 대 [’11~’16 지역별 전기차 보급량(누적)] 구분 정부 지자체 총액 총 지원대수 서울 1,400 550 1,950 3,438 인천 500 1,900 262 수원 254 경기 전체 1,127 성남 82 고양 100 용인 125 부산 대구 600 2,000 1,379 광주 700 2,100 95 대전 160 울산 50 세종 30 [’11~’16 지역별 공공급속충전기 보급량(환경부, 누적)] 서울은 수도권 지자체 중 보조금 총액 및 지원단가가 가장 높은 수준이며, 보조금 총액은 내륙 지자체 중 최대 수준임 인천은 ’16년 89대 대비 ’17년 262대로 약 3배 가까이 지원 물량이 증가하였으나, 수도권 타 지자체 대비 아직 부족한 것으로 평가됨 수송 부문의 기후변화대응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사업의 추진이 요구됨 수도권은 서울 1,807대, 경기 508대, 인천 118대로, 인천은 수도권 지역 중 3위, 전국 중 12위를 차지함 충전기 1기당 전기차 보급대수는 전국이 24대, 인천이 9대로, 인천은 전국 7위이나, 이는 전기차 보급량이 적기 때문임 전기차 수요 진작을 위해 공공 급속 충전인프라 확대가 필요함

5. 수송 부문 5.2 전기버스 도입 현황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현재 제주도(서귀포), 구미시, 부산광역시, 김포시에서 일반 버스 노선에 배터리교환형, 무선충전형, 플러그인형 등 다양한 형태의 전기버스가 운영되고 있으며, 인천시에 적합한 유형의 전기버스 및 사업지를 선택해 사업을 추진해야 함 구분 배터리교환형(BSEV) 무선충전형(OLEV) 플러그인형(Plug-in) 제작사 TGM(한국) 자일대우버스(한국) AVIC(중국) 모델명 E-FIBIRD CITY BUS BSEV NEW BS110 OLEV E-FIBIRD CITY BUS Plug-in ENVYON 1회 충전 주행거리 80km 70km 150km 100km 배터리 용량 100kWh(50kWhX2팩) 102kWh(25.5kWhX4팩) 163kWh 100kWh 충전시간 1분(배터리 교환 시간) 1시간 31분(충전 시간) 1시간 44분 40분 15분 가격 3억원(배터리 제외, 리스방식) 보조금 대상 6억 3천만원 4억 4천만원 보조금 비대상 3억 5천만원 도입 시기 및 지역 2016년 제주도 서귀포시 동서교통 100, 110, 120, 130번 노선(총 23대) 2014년 경북 구미시 일선교통 180번, 195번 노선(각 2대) 부산광역시 오성여객 1번 노선(’17년까지 30대) 2017년 경기 김포시 선진운수 33번 노선(10대, ’18년까지 40대 추가) 특징 가장 저렴한 버스 가격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설치 필요 가장 비싼 버스 가격 도로 지하 충전시설 매설위해 고비용 소요 가장 긴 주행가능거리 비교적 저렴한 충전설비 설치비 기술적·경제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배터리교환형 또는 플러그인형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됨 현재 전기버스를 도입한 지자체 및 운송회사 인터뷰를 통해 인천시에 적합한 버스유형 및 노선 선정, 정책·제도적 지원방안 마련 등이 필요함

5. 수송 부문 5.3 향후 추진계획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전기차 및 충전기 보급목표 설정 및 보급확대 전략 마련, 타 지자체 벤치마킹을 통한 전기버스 시범사업지 선정을 추진할 예정임 주요 이슈 : 전기차 및 충전인프라 인천시의 낮은 보조금 예산은 낮은 보급 수준을 야기함 전기차 수요의 주요 영향 요소인 보조금 지급과 충전인프라 설치에 대한 개선 방안이 필요함 주요 이슈 : 전기버스 국내 전기버스 도입사업은 시범사업 수준임을 고려해, 旣 도입 지자체에 대한 철저한 벤치마킹이 필요함 향후 추진 계획 향후 추진 계획 타 지자체 벤치마킹 부산광역시 및 김포시 전기버스 운행 관계자 인터뷰 사업 운영체계: 지자체, 버스회사 등 관계자별 역할 애로사항: 전기버스 도입 시의 애로사항 및 해소방안 시범사업대상지 선정 ①전기버스 충전방식, 주행가능거리 등, ②기존 노선 주행거리, 지역 등을 고려한 시범사업대상지 선정 송도 순환버스: 6-2, 6-3번 버스(대인교통) 강화도 순환버스: 1, 2번 버스(강화선진버스) 정책적 지원 방안 마련 전기차 및 충전인프라 보급목표 설정 국가 및 타 지자체 보급목표, 인천시 자동차 전망 등을 고려 전기차 보급목표 및 충전기 1대당 전기차 부담 목표를 고려한 필요 충전인프라 추산 보급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마련 지자체-충전사업자 MOU 등 충전 인프라 구축 방안 충전인프라 설치 장소(공영주차장, 마트 등)별 설치 방안 전기차 및 충전인프라 보급 확대를 위한 법·제도 개선 사항

태양광 250kW, 풍력 40W(10kW×4), ESS 1,125kWh, 디젤 75×3(비상용) 6 에너지 자립섬 6.1 인천광역시 도서지역 신재생에너지 설치 및 계획 현황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운영 도서명 신재생에너지시설 사업방식 비고 한전 백령도 계획 수립 단계 ★ 대청도 소청도 대연평도 소연평도 덕적도,소야도 - 디젤 2,900kW - 1단계: 태양광 144kW, 풍력 33kW, 지열 35kW, ESS 500kWh - 2단계: 태양광 500kW, 풍력 1.5MW, ESS 6MWh 1단계: 융·복합 지원사업(2014년)  2단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 조성사업 산자부(민간투자 방식, KT 컨소시엄) 문갑도 ★● 울 도 자월도 승봉도,소이작도,대이작도 옹진군 백아도 태양광 250kW, 풍력 40W(10kW×4), ESS 1,125kWh, 디젤 75×3(비상용) 융·복합지원 사업(2013년) 지 도 디젤 45×2, 태양광 20kW 융·복합지원 사업(2015년) 굴업도 태양광 22.5kW, 디젤 150kW 2002년 태양광 설치 ★”에너지신산업 2025 추진전략" 반영 도서 ● 옹진군 도서지역 친환경 에너지 자립도 향상 연구" 반영 도서

6 에너지 자립섬 6.2 에너지 자립섬 추진 상 주요 이슈 주요 이슈 Ⅱ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주요 이슈 디젤발전기와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의 연동 문제 > 기존에 보유한 디젤발전기를 활용하여 先 신재생에너지  발전량 부족시 디젤발전기를 활용해야 함 > 디젤발전기가 아날로그인 경우는 연계 불가. 디지털인 경우에도 데이터화 기능 보유 여부에 따라 가능여부 결정 > 국내에서 죽도와 지도 외에는 디젤발전기와 EMS 간 연동체계 구축 없이 설비 설치  발전 손실 발생 ※ 죽도 평균자립률(80%) : 국내 최대임  벤치마킹 풍력발전기의 발전량 > 기상데이터와 실제 풍속간 현저한 차이 발생 ※ > 국내 도서지역의 경우 정상 출력을 내기 위한 5m/s 이상의 풍속 발생 빈도 적음( 국내바람의 특성상 풍향 변화 잦음 ) > 소형풍력발전기 기술수준이 글로벌 대비 낮으며 경제성이 큰 부담 요인 (소형: 850만원/KW, 중대형: 250만원/KW) 민간사업자의 사업참여 유도 방안 부족 > 2015년 7월 사업자 선정 이후 PPA계약 울릉도 유일  kw당 전력거래단가 등 분석 미비, REC 가중치 결정 필요 > 발전단가가 낮은 조합 모색이 필요함  도서별 특성을 반영한 최적의 시스템 구성 필요 주민수용성 > 충분지 못한 여론수렴, 기존 사업의 실효성 등  인천광역시 모범사례 도출 필요 예) 덕적도 풍력발전기: 작동 정지(’16년 연중), 관광환경 훼손, 벌목 등  철거비용으로 인해 철거 자체도 불가 ※ 소음으로 인한 주민 반대로 최적 위치에 설치 못하는 경우도 있음

[참고] 디젤발전기 연동 현황 및 발전량 디지털 발전기는 발전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출력 제어장치의 정보(엔진 rpm, 냉각수 온도, 예열상태, 기동 모터가동 등)를 데이터화 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EMS와의 연동여부 결정 아날로그 발전기는 EMS와 연동 불가 디젤발전기 연동 현황(’16년 기준) 발전량 및 손실률(’15년 ~ ’16년) 도서명 설치(년) 연동현황 미연동 사유 연동방안 백아도(옹진군) 2004 × 연동체계 미구축 발전기 제어판넬 교체 삼마도(해남군) 1996 아날로그 디젤발전기 교체 상태도(신안군) 죽도(홍성군) 2003 ○ 지도(옹진군) 2007 비양도(제주시) 1995 풍도(안산시) 상태도 심마도 백아도 태양광 예상 발전량 85,910 200,426 476,100 실제 93,697 209,366 383,396 풍력 7,9434 93,336 76,176 5,404 15,714 5,473 사용량 44,640 198,962 371,132 손실량 120,704 95,205 181,513 손실률(%) 73.0 32.4 32.9 사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에서 방전된 량 손신량: 예상발전량 – 사용량 손실률: 손실량/예상발전량 출처: “2016 에너지자립섬 추진 현황“. 한국에너지공단

Contents 프로젝트 개요 부문별 현황 및 추진 방안 향후 계획

향후 계획 1차년도에는 공공, 산업, 가정/상업, 수송 부문별로 관계자에 대한 지속적인 인터뷰 및 워크숍을 진행하여 실질적인 신재생에너지 잠재량 파악에 주력할 것이며 2차년도에는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사업화 방안을 도출할 예정임 수행 프로세스 (기본용역) (실시용역) 대내외 환경분석 비전 및 정책목표 재정립 부문별 신재생에너지 수립 중장기 로드맵 Phase 1. 정부정책 및 잠재량 분석 Phase 2. 인천광역시 신재생에너지 비전 및 정책 목표 재정립 Phase 3. 부문별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확대 방안 수립 Phase 4. 인천광역시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로드맵 수립 Step 1.1 Step 1.3 담당자 인터뷰 진행 부문별 전략 수립 Step 2.2 사업화 방안 도출 Step 3.3 외부환경 분석 Step 1.4 부문별 잠재량 조사 Step 1.2 부문별 추진방안 도출 Step 3.1 실시용역 경제성 분석 Step 3.2 Step 4.1 로드맵 수립 내부환경 분석 비전 및 정책 목표 수립 Step 2.1 17년 12월 18년 12월 We are here

감사합니다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