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Programming Seminar 데이터와 입출력 함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0-7 부동소수점 (Floating-Point) 계산  컴퓨터에서 숫자를 표기하는 방법  가수 (Fraction) : 부호화된 고정소수점 숫자 지수 (Exponent) : 소수점의 위치를 표시 ( 예 )10 진수 를 표기하면 Fraction Exponent.
Advertisements

Chapter 12. 배열. 배열  동일한 항목들이 동일한 크기로 연속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되는 구조  동일한 자료 유형이 여러 개 필요한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 구조.
6 장. printf 와 scanf 함수에 대한 고찰 printf 함수 이야기 printf 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이다. – 예제 printf1.c 참조 printf 는 특수 문자 출력이 가능하다. 특수 문자의 미 \a 경고음 소리 발생 \b 백스페이스 (backspace)
1 Part 03 상수, 변수, 자료형 안산 1 대학 디지털정보통신과 임 성 국. 2 이 장의 내용 자료형이란 무엇인가 ? 상수와 변수 정수형 부동소수형 문자형.
1 08 배열. 한국대학교 객체지향연구소 2 C 로 배우는 프로그래밍 기초 2 nd Edition 배열  동일한 자료유형의 여러 변수를 일괄 선언  연속적인 항목들이 동일한 크기로 메모리에 저장되는 구조  동일한 자료 유형이 여러 개 필요한 경우에 이용할 수 있는.
1. 2 차원 배열  배열은 동일한 데이터 유형으로 여러 개의 변수를 사용할 경우 같은 이 름으로 지정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앞에서 1 차원 배열을 공부하였습니다.  2 차원 배열은 바둑판을 생각하면 되며, 1 차원 배열에서 사용하는 첨자를 2.
Chapter 4. 표준 입출력 함수.
Part 03 상수, 변수, 자료형 ©우균, 창병모 © 우균, 창병모.
ㅎㅎ 구조체 구조체 사용하기 함수 매개변수로서의 구조체 구조체 포인터와 레퍼런스 구조체 배열.
ㅎㅎ 구조체 C++ 프로그래밍 기초 : 객체지향의 시작 구조체 사용하기 함수 매개변수로서의 구조체 구조체 포인터와 레퍼런스
쉽게 풀어쓴 C언어 Express 제11장 포인터 C Express Slide 1 (of 27)
2장. 프로그램의 기본 구성. 2장. 프로그램의 기본 구성 2-1"Hello, World!" 들여다 보기 /* Hello.c */ #include int main(void) { printf("Hello, World! \n"); return 0;
Chapter 7. 조건문.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float radius; // 원의 반지름
제 9 장 구조체와 공용체.
3장. 변수와 연산자. 3장. 변수와 연산자 3-1 연산자, 덧셈 연산자 연산자란 무엇인가? 연산을 요구할 때 사용되는 기호 ex : +, -, *, / 3-1 연산자, 덧셈 연산자 연산자란 무엇인가? 연산을 요구할 때 사용되는 기호 ex : +, -, *, /
3. printf()와 데이터 형식.
윤성우의 열혈 C 프로그래밍 윤성우 저 열혈강의 C 프로그래밍 개정판 Chapter 12. 포인터의 이해.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8장 함수 함수의 필요성 라이브러리 함수와 사용자 정의 함수 함수의 정의, 원형, 호출 배열을 함수 인자로 전달 재귀호출.
SqlParameter 클래스 선문 비트 18기 발표자 : 박성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02 : printf(), scanf()
Chapter 06. printf 함수와 scanf 함수 정리하기
2주차: 변수, 수식, Control Flow.
11 표준 입출력과 파일 입출력 데이터를 읽고 쓰는 다양한 방법 익히기!.
6장. printf와 scanf 함수에 대한 고찰
윤성우의 열혈 C 프로그래밍 윤성우 저 열혈강의 C 프로그래밍 개정판 Chapter 03. 변수와 연산자.
14장. 포인터와 함수에 대한 이해.
11장. 1차원 배열.
C#.
C 2장. C 프로그램 시작하기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num;
사용자 함수 사용하기 함수 함수 정의 프로그램에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만든 하나의 단위 작업
2장 표준 입출력 표준 입출력 함수의 종류 형식화된 입출력 문자 입출력 문자열 입출력.
C 언어 교육 02 주차 – scanf & 반복문과 조건문 교육부장 조하정.
어서와 C언어는 처음이지 제14장.
박성진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09] 배열 part 1 박성진
2019년 2월 24일 오후 4시 59분 제2장 표준 입출력 함수
13. 포인터와 배열! 함께 이해하기 IT응용시스템공학과 김 형 진 교수.
3장 상수 변수 기본 자료형 키워드와 식별자 상수와 변수 기본 자료형 형변환 자료형의 재정의.
Java의 정석 제 5 장 배 열 Java 정석 남궁성 강의 의
24장. 파일 입출력.
상수와 기본 자료형.
C 3장. 변수와 데이터형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int num;
3장. 변수와 연산자 교안 : 전자정보통신 홈페이지 / 커뮤니티/ 학술세미나
Lesson 2. 기본 데이터형.
Chapter6 : JVM과 메모리 6.1 JVM의 구조와 메모리 모델 6.2 프로그램 실행과 메모리 6.3 객체생성과 메모리
프로그래밍 원리 Chapter 05 자바스크립트 기초 신한대학교 IT융합공학부 박 호 균.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 10th : 포인터 및 구조체 -
2장. 변수와 타입.
Chapter 05. 입출력 함수.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 8th : 함수와 변수 / 배열 -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 3rd : 상수,변수 생성규칙 및 자료형 -
8주차: Strings, Arrays and Pointers
Chapter 08. 함수.
Choi Seong Yun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03 : 변수와 자료형 Choi Seong Yun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초 [01] Visual Studio 설치 및 사용방법
Fucntion 요약.
쉽게 풀어쓴 C언어 Express 제4장 변수와 자료형 C Express Slide 1 (of 31)
함수(Function) ◈ 함수의 개념 및 사용 이유 ◈ 함수 정의, 호출 및 선언 ◈ 지역변수와 전역변수 ◈ return 문
구조체 (Structure).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1 컴퓨터의 데이터 표현 진법에 대한 이해 n 진수 표현 방식 : n개의 문자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표현 그림 4-1.
함수, 모듈.
구조체(struct)와 공용체(union)
실습과제 (변수와 자료형, ) 1. 다음 작업 (가), (나), (다)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작성
프로그래밍 개론 Ⅰ-실습 2장 데이터와 식①.
제 29 강 스트링(string) 다루기 s a i s . s T i h t g r i n.
어서와 C언어는 처음이지 제21장.
13. 포인터와 배열! 함께 이해하기.
6 객체.
2019 2학기 9장 배열과 포인터 1. 주소, 주소연산자(&) 2. 포인터, 역참조연산자(*) 3. 배열과 포인터.
Presentation transcript:

C Programming Seminar 데이터와 입출력 함수

변수와 상수의 관계 변수는 ‘변하는 수’라는 뜻 상수는 ‘항상 같은 수’라는 뜻 즉 상수와 변수는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다.

변수와 상수의 관계 상수 상수란 변하지 않고 고정된 값을 의미한다. 이것은 연산에 사용되는 실제의 데이터 또는 값으로 변수의 초기화 및 특정 값의 대입 시 사용된다.

변수와 상수의 관계 정수형 상수 int score; score = 100; // 정수형 상수 소수점 이하 부분이 없는 음수(-), 0, 양수(+)로 구성된다. signed 및 unsigned 수로 구분되며 8진수, 10진수, 16진수가 있다. 정수형 상수의 기억 장치상에 2byte 크기로 표현되며, 정수형 상수 뒤에 L자를 붙이면 4byte의 크기로 된다. int score; score = 100; // 정수형 상수

변수와 상수의 관계 실수형 상수 float pi; pi = 3.14; // 실수형 상수 소수점과 소수 부분을 포함하는 수를 말한다. 실수형 상수는 8byte로 표현되며, 4byte로 표현하고자 할 때는 실수 형 상수 뒤에 f자를 붙인다. Long double 유형의 실수형 상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끝에 l이나 L자를 붙인다. float pi; pi = 3.14; // 실수형 상수

변수와 상수의 관계 문자 상수 char ch; ch =‘K’; // 문자 상수 하나의 단일 문자를 의미한다. 문자 상수는 반드시 (‘ ‘)안에 단일 문자로 표기한다. 반드시 하나의 문자만 올 수 있으므로, ‘AB’등과 같이 사용할 수 없 으며 이 경우 컴파일 시 에러가 발생한다. char ch; ch =‘K’; // 문자 상수

변수와 상수의 관계 문자열 상수 printf(“%s”, “C++ Programming”); 두 개 이상의 문자가 모여 있는 것을 문자열이라고 한다. 문자열 상수는 이중인용부호(“ “)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C 에서는 문자열 상수를 기본 데이터형으로 제공하지 않는다. - C 언어에서 스트링은 문자 유형의 배열로 처리하고 있다. 문자열 끝에 null string(‘\0’)이 추가되어 그 끝을 알 수 있도록 한다. printf(“%s”, “C++ Programming”); char name[7] =“박남일”; // 문자열 상수

변수와 상수의 관계 그 밖의 문자 상수 문자 의미 \a 삑 소리가 나게 한다. (Alert) \b 커서가 한 문자 뒤로 이동한다. (Backspace) \f 프린터의 페이지 넘김 문자이다. (Formfeed) \n 커서가 다음 행의 처음으로 간다. (NewLine) \r 커서가 현재 행의 처음으로 간다. (Carrage return) \t 커서가 다음의 탭 위치로 이동한다. (Horizontal tab) \v 프린터의 8칸 수직 이동 문자이다. (Vertical tab) \’ 작은따옴표를 나타낸다. (Single quote) \” 큰따옴표를 나타낸다. (Double quote) \\ 역 슬래시를 나타낸다.

변수와 상수의 관계 변수 변수란 프로그램에서 변할 수 있는 값을 말한다. 정확히 말하면 어떤 기억장소가 주어지는데 그 안의 값 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기억장소를 의미하는 것이다.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즉, 컴퓨터 내부에서 기억장소를 마련해야 쓸 수 있는 것이다.

변수와 상수의 관계 변수 선언 규칙 int cost; 변수를 선언할 때는 자료형을 표기한 다음 변수 이름을 적는다. 여러 개의 변수를 동시에 선언할 경우에는 쉼표로 각 변수를 구분해 준다. int cost; int cost, price, tax = 90; float sum; float euro, dollar, won; double rate; char ch

변수와 상수의 관계 변수 선언으로 틀린 예 int n // ; 기호를 사용하지 않아 명령의 끝을 알려주지 못함

변수와 상수의 관계 변수의 정의, 초기화, 대입 int numbers; numbers = 3; int numbers;

변수와 상수의 관계 변수의 정의, 초기화, 대입 변수를 초기화해야 하는 이유는, 변수를 선언하고 아무런 값을 대입 하지 않을 경우에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가 아니라 알 수 없는 값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알 수 없는 값을 쓰레기 값(Garbage)이라고 한다. (-8097214 와 같은 수)

변수와 상수의 관계 int countA = 100; int CountB = 200; int sum; sum = sum + countA; sum = sum + countB;

변수와 상수의 관계 int countA = 100; int CountB = 200; int sum; // sum 변수에 쓰레기값 sum = sum + countA; sum = sum + countB;

변수와 상수의 관계 변수에는 변수의 자료형과 동일한 자료형의 상수를 대입해야 한다. 변수는 이름과 자리만 있을 뿐이며, 변수의 공간에 들어갈 내용 즉, 대입되는 값을 상수이다. 따라서 변수의 자료형에 따라서 대입되 는 상수의 자료형이 달라져야 한다. 정수형 변수에는 정수형 상수만 대입되어야 하고, 실수형 변수에는 실수형 상수를 대입해서 계산해야 한다.

입출력 함수 모니터 출력 함수 putchar() – 문자 상수를 출력할 때 사용한다. - putchar(‘a’); puts() – 문자열을 나타내는 ‘문자열 전용 출력함수’ 이다. - puts(“안녕하세요”); printf() – 큰따옴표 안의 문장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 printf(“정수 : %d \n”, 100);

입출력 함수 printf 실습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ge = 20; printf(“제 나이는 20살입니다.\n”); printf(“제 나이는 %d살입니다.\n”, Age); printf(“제 나이는 %d이고, 동생의 나이는 %d살 입니다.\n”, Age, Age-5); }

입출력 함수 printf 실습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ge = 20; printf(“제 나이는 20살입니다.\n”); printf(“제 나이는 %d살입니다.\n”, Age); printf(“제 나이는 %d이고, 동생의 나이는 %d살 입니다.\n”, Age, Age-5); }

입출력 함수 모니터 출력함수 getchar() – 문자 한 글자를 키보드로부터 입력받을 때 사용 - Character1 = getchar(); gets() – 문자열을 입력받기 위한 함수로 한 줄 전체를 입력받는다. - gets(name); scanf() – 사용자로부터 자료를 입력받게 해주는 함수이다. - scanf(“%d”, &number);

입출력 함수 scanf 실습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Number1, Number2; printf(“숫자를 두 개 입력하세요(보기 : 3 5) : “); scanf(“%d %d”, &Number1, &Number2); printf(“입력한 수는 %d와 %d입니다.\n”, Number1, Number2); }

입출력 함수 scanf 실습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Number1, Number2; printf(“숫자를 두 개 입력하세요(보기 : 3 5) : “); scanf(“%d %d”, &Number1, &Number2); printf(“입력한 수는 %d와 %d입니다.\n”, Number1, Number2); }

입출력 함수 대체문자 % 기호 형식 지정자 의미 %c 매개변수를 문자 상수(글자)로 출력 %d 매개변수를 10진수 형태의 정수로 출력 %ld 매개변수를 10진수 형태의 long형 정수로 출력 %lu 매개변수를 부호 없는 10진수 형태의 long형으로 출력 %f 매개변수를 float나 double의 실수로 출력 %s 매개변수를 문자열(문장) 형태로 출력 %o 매개변수를 8진수 형태의 정수로 출력 %u 매개변수를 부호 없는 10진수 형태의 정수로 출력 %x 매개변수를 16진수 형태의 정수로 출력

입출력 함수 %기호 실습 #include <stdio.h> void main() { printf(“1. 이것은 영문 %c \n”, ‘b’); printf(“2. 이것은 정수 %d \n”, 99); printf(“3. 이것은 실수 %f \n”, 12.34); printf(“4. 이것은 문장 %s \n”, “홍길동입니다.”); }

입출력 함수 %기호 실습 #include <stdio.h> void main() { printf(“1. 이것은 영문 %c \n”, ‘b’); printf(“2. 이것은 정수 %d \n”, 99); printf(“3. 이것은 실수 %f \n”, 12.34); printf(“4. 이것은 문장 %s \n”, “홍길동입니다.”); }

입출력 함수 %기호 실습 #include <stdio.h> void main() { printf(“1. 이것은 영문 %c \n”, ‘b’); printf(“2. 이것은 정수 %d \n”, 99); printf(“3. 이것은 실수 %f \n”, 12.34); printf(“4. 이것은 문장 %s \n”, “홍길동입니다.”); }

실전 예제 총점/평균의 계산

실전 예제 총점/평균의 계산 총점과 평균의 계산 total = score1 + score2 + score3 + score4 + score5; average = (float)total/5;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기하는 법 Printf(“%.2f”, ave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