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Library Linked Data 2013.02.28. 박진호 전문연구관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기획과 2013 Linked Data Party.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Library Linked Data 2013.02.28. 박진호 전문연구관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기획과 2013 Linked Data Party."— Presentation transcript:

1 Library Linked Data 2013.02.28. 박진호 전문연구관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기획과 2013 Linked Data Party

2 도서관이 생산,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를 링크드 데이터 원칙 에 맞추어 발행하여 활용성, 재사용성, 상호운용성을 높이는 것.

3 Library Linked Data 간단히 말하면 서지(Bibliographic) 사람 ( 인명 ) (Name Authority) 주제명 (Subject Heading) URI, RDF/XML, RDFS/OWL, SPARQL

4 Library Linked Data 흔히 말하는 문제점 현재 도서관의 데이터는 전통적인 카드목록 시스템에 기 반 현재의 도서관 메타데이터 원칙, 기준은 상호운용성 뿐만 아니라 확장성에서 문제가 있음 현재의 메타데이터 표준, 기술형식은 기계처리 측면에서 떨어지고 외부와 소통에 실패

5 Library Linked Data 도서관 데이터 도서관 데이터 = 목록 (catalog) 목록 (catalog) = 거대한 데이터베이스 거대한 데이터베이스 = 레코드의 집합 각 각의 레코드 = 도서관에 있는 하나의 아이템 (item)

6 Library Linked Data 단순히 생각해 보면 NO.COLUMN NAMETYPELENGTHOPTIONSDESCRIPTIONS ……………… 4titlechar500 표제 5publisherchar500 발행자 6formatChar ………………

7 Library Linked Data 그런데 사실은 12 MARCLONG4000 MARC 를 나타냄

8 MARC 도서관 표준 (MARC, Z39.50) 은 단지 도서관 커뮤니티만을 위 해 디자인되었음. 링크드 데이터 기반 도서관 데이터 ( 서지, 저자명, 주제명 ) 의 개방과 자유로운 접근은 “ 공유, 확장, 손쉬운 재사용성을 가능 하게 함. (W3C Library Linked Data Incubator Group Final Report)

9 Library Linked Data 선두 그룹

10

11

12 Library Linked Data British Library 활용 Vocabularies Bibliographic Ontology Bio: A Vocabulary for Biographical Information British Library Terms Dublin Core Event Ontology FOAF: Friend of a Friend ISBD Org: An Organization Ontology OWL SKOS RDF Schema WGS84 Geo Positioning RDA

13 Library Linked Data British Library 접근점 및 서비스 (1950 년 이 후 ) SPARQL endpoint: bnb.data.bl.uk/sparql bnb.data.bl.uk/sparql Describe endpoint: bnb.data.bl.uk/describe bnb.data.bl.uk/describe Search service: bnb.data.bl.uk/search &bnb.data.bl.uk/items bnb.data.bl.uk/searchbnb.data.bl.uk/items RDF/XML sample files(here), Full Triples(the Data Hub).herethe Data Hub

14 Library Linked Data EDM The Europeana Data Model for Cultural Heritage

15 Library Linked Data EDM 디지털화 된 유럽의 문화유산은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 등에서 서비스되고 있고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를 활용함 유로피아나에서 이런 데이터들은 상호간에 연결을 필요로 하며, 링크드 데이트의 기술적인 접근이 이를 가능하게 함 EDM 은 유로피아나의 컨텍스트 사이의 차이를 이어주는 역할 을 함 EDM 으로 좀 더 풍부한 자원검색 환경과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 한 보다 개선된 디스플레이 변환이 가능함

16 Library Linked Data EDM -CHO: Cultural heritage object -Aggregation: The set of related resources in the Europeana system

17 Library Linked Data EDM

18 Library Linked Data EDM

19 Library Linked Data 왜 EDM 과 BL 의 Data Model 을 이야기하는가 ?

20 Library Linked Data 도서관의 LD 접근은 개념적 접근과 기술적 접근이 동시에 진행 중

21 Library Linked Data 개념적 접근 = FRBR, RDA BIBFRAME

22 Library Linked Data 출발점 Record Item 저자명전거 지리명 주제명전거

23 Library Linked Data FRBR

24 Library Linked Data FRBR Work Expression Manifestation Item is realized through is embodied in is exemplified by Group1

25 Library Linked Data FRBR Group1: 대상이 무엇인가 ? ( 저작, 표현형, 구현형, 아이템 ) Group2: 누구에 의한 것인가 ? ( 사람, 조직 등 ) FRAD Group3: 무엇에 관한 것인가 ? ( 개념, 객체, 사건, 장소 등 ) FRSAD

26 Library Linked Data The Bibliographic Framework Initiative(Bibframe)The Bibliographic Framework Initiative(Bibframe) 마크 이후 서지 환경 구현과 재설계 BIBFRAME 독립적 콘텐츠 모델 필요 전통적인 도서관 소장자료 ( 책, 연속간행물 등 ) 외 Born- Digital 자료를 포함한 새로운 디지털 정보자원의 기술, 관 리 필요 MARC 대체 필요

27

28

29

30 Resource bibo:Document a Identifier id.loc.gov dct:language nlon:Concept skos:Concept rdfs:subClassO f KDC DDC Code Title Miscellaneous Literals geo:SpatialThing nlon:Location rdfs:subClassO f Resource as Location a nlon:isGeographicAreaOf dct:alternative dct:title nlon:subtitle nlon:titleOfSeries nlon:titleOfMainSeries nlon:headingOfOriginalLanguage nlon:titleOfOriginalLanguage nlon:headingOfTranslation nlon:titleOfTranslation nlon:uniformTitleOfSeries An Instance A Literal A Class External Link bibo:uri bibo:number dct:requires dct:created dct:issued dct:extent dct:description dct:tableOfContents dct:format dct:abstract nlon:audienceNote nlon:supplementNote nlon:physicalFormAvailableNote nlon:reproductionNote nlon:reproductionPlace nlon:reproductionInstitution nlon:reproductionDate nlon:originalVersionNote nlon:locationNote nlon:holdingInstitution nlon:useAndReproductionNote nlon:languageNote nlon:linkingEntryComplexityNote nlon:awardsNote nlon:holdingItemNote nlon:publicationPlace nlon:department nlon:degreeYear nlon:bibliography nlon:restriction nlon:citationReferenceNote nlon:authenticationCode nlon:classificationNumberOfLC nlon:itemNumberOfLC nlon:classificationNumberOfNLK nlon:itemNumberOfNLK nlon:volumeOfNLK nlon:kdc nlon:itermNumberOfKDC nlon:editionOfKDC nlon:ddc nlon:itemNumberOfDDC nlon:editionOfDDC nlon:otherNumber nlon:itemNumberOfOtherNumber nlon:sourceOfOtherNumber dct:identifier nlon:nlkcn bibo:isbn bibo:issn nlon:cip nlon:strn foaf:Agent Resource as Agent a dct:creator dct:publisher nlon:awardedFrom nlon:create nlon:publish geo:location dct:isPartOf / dct:hasPart dct:isReferencedBy / dct:references dct:relation dct:hasVersion dct:hasFormat dct:replaces / dct:isReplacedBy dct:identifier bibo:ThesisDegree bibo:degree Resource as ThesisDegree a SubjectHeading dct:subject / nlon:isSubjectOf a a a nlon:birthYear nlon:deathYear foaf:name id.loc.gov dct:subject COMETLIBRISBNB owl:sameAs Subject Author / Organization nlon:numberMark KDATA owl:sameAs foaf:Organization rdfs:subClassO f nlon:Government rdfs:subClassO f owl:sameAs nlon:Library rdfs:subClassO f owl:sameAs nlon:University rdfs:subClassO f owl:sameAs Legend @prefix dc:. @prefix nlk:. @prefix foaf:. @prefix rdfs:. @prefix dct:. @prefix nlon:. @prefix owl:. @prefix rdf:. @prefix skos:. @prefix bibo:. @pefex geo:. PODE owl:sameAs skos:closeMatch

31 Library Linked Data 인터 링킹 관리

32 Library Linked Data 인터 링킹 관리

33 Library Linked Data NLK 링크드 데이터 새로운 Data Model 에 기반한 Linked Data 발행 새로운 Data Model 에 기반한 Linked Data 발행 현재 서비스 거점인 Dibrary.net 의 서비스 방식 점검 EDM, Bibframe 적용검토 외부 데이터와의 인터링킹, 반입 등으로 직접적인 데이터 관리 체계 구축 외부 데이터와의 인터링킹, 반입 등으로 직접적인 데이터 관리 체계 구축 국가서지 생성, 관리 기구로써 외부 데이터와 내부 데 이터와의 직접적인 연계를 통한 내부 데이터의 질적, 양적 변화 모색

34 Library Linked Data NLK 링크드 데이터 URI 정합성 연구URI 정합성 연구 http://dbpedia.org/page/Gwanghwamun http://ja.dbpedia.org/resource/ 光化門 http://ko.dbpedia.org/resource/ 광화문 http://fr.dbpedia.org/resource/Gwanghwamun http://es.dbpedia.org/resource/Gwanghwamun freebase: 광화문

35 Library Linked Data NLK 링크드 데이터 URI 정합성 연구URI 정합성 연구

36 Library Linked Data NLK 링크드 데이터 ISNI ISBN ISAN ISRC created-by/creates ISTC Role: Creator/Author Role: Adaptor Role: Performer Role: Contributor written-by performed-by adapted-by/adapts performed-by/performs contributed-by/contributes abstraction-of/manifestation contained-in/contains abstraction-of/performance

37 Library Linked Data NLK 링크드 데이터 ISNI ISAN ISWC ISRC ISTC ISBN ISSN IPI IDA CSI ISAN IPI VIA F IPD A

38 Library Linked Data NLK 데이터 플랫폼 국립중앙도서관 Data Platform 서지 MARC 저자명 전거 MARC 주제명 DB 디지털서지 (XML) 기타 ( 웹 등 ) 구조화된 데이터 비구조화 데이터 RDBAPIRDF filesRDF Store

39 Library Linked Data NLK 데이터 플랫폼 국립중앙도서관 Data Platform MARCOAI Open API RDFODataJASONXML FOAF, FRBR, SKOS, SIOC, DC, MODS, PREMIS, BibFrame, EDM… 원하는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원하는 Vocabulary/Data Model 로 활용할 수 있도록

40 Library Linked Data 시각적 서비스 기술적 배경 지식 없이 자유롭게 자신의 데이터와 조합하고 볼 수 있도록 http://www.viewshare.org

41 1 Library Linked Data NLK 데이터 플랫폼 2 3 4

42 Library Linked Data 2013 NLK 링크드 데이터 Open 이 먼저 국립도서관의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 는 공공데이터 (Public Data) 어떤 형태, 방식으로든 Open Open 하되 되도록이면 개방형 표준을 활용 Linked Data Principle 준수 Information Ecosystem 에 기여 Web 은 가장 보편화되고 일반적인 Platform 이자 Ecosystem Linked data 로 얻는 이득보다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Web) 세계에 기여한다는 마음이 우선 개방으로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이득 보다 우리의 데이터가 살아 서 누군가에게 새로운 “ 가능성 ” 을 열어 줄 수 있음을 우선 고려

43 Library Linked Data 진짜 문제 Library Data =Public Data =Open Data 인식의 전환

44 Library Linked Data 진짜 문제 2013 년 2 월 28 일에 국중에서 있었던 링크드 데이터 행사에서 도서관 쪽 발표 자료 ? 발표자 ? Q 발표자료 : http://www.0000.....http://www.0000 발표자 : 박진호 A?

45 Library Linked Data 진짜 문제 2013 년 2 월 28 일에 국중에서 있었던 링크드 데이터 행사에서 도서관 쪽 발표 자료 ? 발표자 ? Q dateplace organizationName subject Know WhatKnow Who Know WhereKnow How personName title DCSKOSFOAFSIOC

46 Library Linked Data 진짜 문제 2013 년 2 월 28 일에 국중에서 있었던 링크드 데이터 행사에서 도서관 쪽 발표 자료 ? 발표자 ? Q dateplace organizationName subject Know WhatKnow Who Know WhereKnow How personName title DCSKOSFOAFSIOC 국립도서관 !!

47 Library Linked Data Metadata RegistryLinked Open Vocabularies

48 감사합니다. 박진호 (Jinho Park) Twitter : jino_kor Facebook : jino.kor@gmail.com http://www.flickr.com/photos/eole/2349202525 http://www.flickr.com/photos/8601342@N03/4549779936 http://www.flickr.com/photos/reedsturtevant/4288406572 [ 이미지 출처 ] Europeana Data Model Mapping Guidelines V1.0.1 http://pro.europeana.eu/documents/900548/ea68f42d-32f6-4900-91e9-ef18006d652e http://pro.europeana.eu/documents/900548/ea68f42d-32f6-4900-91e9-ef18006d652e Local library data in the new global framework http://commonplace.net/tag/frbr/ http://commonplace.net/tag/frbr/ LC’s Bibliographic Framework Initiative: An Update http://3windmills.com/kefo-swib12-bfi/kefo-swib12.pdf Sam Oh. 2011. Invited Speech - ISO/TC46 & ISO/IEC JTC1/SC34. 『 LaRC 2011 』, June 10-11, 2011. [Seoul, Korea : Seoul Olympic Parktel] www.istandard.or.kr/_custom/ksa/download.jsp?file_id=16779 www.istandard.or.kr/_custom/ksa/download.jsp?file_id=16779 박진호. ISO Identifier & UCI. 『국가디지털콘텐츠식별체계 (UCI) 세미나 및 활용전략 발표회』, 2012.10.31. [ 서울, 한국저작권위원회 ] [ 참고자료 ]


Download ppt "Library Linked Data 2013.02.28. 박진호 전문연구관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기획과 2013 Linked Data Party."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