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보규 소 Modified 8년 전
1
고조선의 성립과 여러 나라의 성장 꼬기 장수현 신아름 김은서 변상윤 김준수
2
청동제 무기를 사용하고 정복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빈부 격차와 계급이 발생하였다. 개인간의 빈부격차와 계급의 분화가 일어났다. 이는 죽은 뒤에까지도 영향을 미쳐 무덤의 크기에도 반영되었다. 청동기문화의 형성
3
청동기 세형 동검 초기 철기시대의 대표적인 근거리 무기이다 민무늬 토기 곡식을 저장
4
청동기 이 시기사람들의 생활모습은 어떠하였을까 ?
5
정치권력이나 경제력에서 우세한 부족은 청동제무기를 사용하여 주변을 정복하였다. 지배자를 군장 ( 족장 ) 이라고 하였다. 지배층의 무덤이었던 고인돌을 통해 군장이 소유한 부와 권력을 짐작할 수 있었다. 사냥 및 고기잡이의 성공과 농사 의 풍요를 기원하면서 바위그림을 그렸다. 고인돌 탁자 식 고인돌
6
만주와 한반도 지역에 철기가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5 세기경이였다. 처 음에는 청동기와 철기가 함께 사용되었으나 점차 철기가 확산되면서 청동기는 주로 제사용 도구로 사용되었다. 철기는 청동기에 비해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었고, 단단하고 날카로워 쓰임새 가 많았다.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면서 농업 생산량이 크게 늘어났으며 인구도 증가 하였다. 한편, 칼, 창 등의 철제 무기를 사용하면서 부족 간의 전쟁도 증가 하였다. 이 시기 유물로 명도전, 반량전, 오수전등 중국의 화폐가 출토 이는 당시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하였음을 보여 준다. 철기의 보급과 사회 변화
7
위 사진들의 이름을 맞추시오. ( 사탕 1) 반량전 명도전
8
국보 285 호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전경 (1995.6.23 지정 ) 이곳에는 75 종 200 여 점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우리나라의 바위그림을 살펴보면 시대별로 다른 형 태의 그림이 나타난다. 신석기 시대에 새겨진그림 에는 주로 동물과 인물상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었고 청동기 시대에 새겨진 그림에는 무기나 추상적인 도형이 나타났다. 바위그림
9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바위그림으로는 울산 울주 대곡리 반구대 바위그림, 경북 고령 장기리 바위그림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바위그림 장기리 바위그림 반구대 바위그림
10
쪼기 방식 : 바위 면을 두드려서 형상을 만든 것으로 깊이 가 얕고 간격도 넓다. 긋기 방식 : 긋기는 날카롭고 단단한 도구로 여러 차례 그 어서 모양을 만든 것으로 선의 깊이가 깊고 간격도 일정 하다. 반구대 바위그림이 새겨진 방식
11
쪼기 방식과 긋기 방식의 예 이와 같이 바위그림에 새겨진 동물 중에서 대부분의 고래는 쪼기방식으로 제작되었 고 육지 동물은 대부분 쪼기와 긋기를 결합한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12
반구대 지역의 주민들은 사냥의 성공을 빌면서 바위 면에 고래와 짐승을 새겨 넣었다. 또한 바위그림에 새겨진 샤먼 ( 제사장 ) 으로 추정되는 사람 의 모습을 통해 풍요로운 사냥과 고래잡이를 기원하는 종 교 의례도 행하였음을 추론할 수 있다. 바위그림에 담긴 의미 바위그림에서 샤먼으로 추정되는 사람의 모습 ( 왼쪽 ) 과 청동기 시대 제사장의 모습 ( 추정도, 오른쪽 )
13
청동기가 사용됨에 따라 랴오닝 지방과 한반도 서북부 지방의 부족사회에는 권 력을 가진 군장이 출현하였다. 그 가운데 세력이 가장 강한 군장이 주변의 여러 부족 사회를 통합하여 지배 영 역을 넓혀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우리 민족이 세운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이 등장하였다. 고조선의 성립과 변천
14
①. 단군은 농경 문화를 바탕으로 고조선을 건국하였음을 알 수 있다 ( 기원전 2333). ②. 고조선은 랴오닝 지방과 대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이러한 문화 범위는 청동기 시대의 특징적인 유물인 비파형 동검과 탁자식 고인돌의 출토 범위를 통해 추정하고 있다. ③. 기원전 4 세기경에는 ‘ 왕 ’ 이라고 칭하며, 중국의 연과 겨룰 만큼 강한 나 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기원전 3 세기 초에 연의 침략을 받아 일시적으로 세력이 약해지기도 하였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15
중국의 진 · 한 교체기에는 위만이 중국 연에서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왔 다. 고조선의 준왕은 위만에게 서쪽 변경을 수비하는 임무를 맡겼다. 이후 위만 은 세력을 키워 준왕을 몰아내고 고조선의 왕이 되었다. 위만 조선은 철기 문화를 본격적으로 수용하고, 철제 무기를 이용하여 주변으로 세력을 확장하였다.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면서 농업이 발달하였고, 한반도 남부 의 진과 중국 한 사이에서 중계 무역을 통하여 경제적으로 성장하였다. 고조선이 강성해지고 흉노와 연결하여 한을 압박하자 한 무제는 대군을 보내 고 조선을 공격하였다. 고조선은 패수에서 대승을 거두는 등 1 년여 동안 완강히 저 항하였으나 지배층에서 내분이 일어나 왕검성이 함락되어 멸망하였다 ( 기원전 108). 위만 조선
16
제정일치의 사회였던 고조선은 기원전 3 세기경부터 왕권이 세습되면서 정치 조 직이 안정되었다. 제정일치란 제사와 정치가 일치한다는 사상 및 정치형태, 신을 대변하는 제사장 에 의해 다스려지는 정치체제를 말한다. 건국 이야기에 나오는 풍백 · 우사 · 운사에 해당하는 관직은 농사와 형벌 등을 관 리하였다. 이후 국가가 발전하면서 왕 밑에는 비왕, 상, 경, 대부, 대신, 장군, 박사 라는 관직을 두었다. 고조선의 정치 조직과 사회 모습
17
①.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한다. ②. 남에게 상해를 입한 자는 곡물로써 배상한다. ③. 도둑질한 자는 그 집의 노비로 삼는다, 단 노비를 면하고자 할 때는 50 만의 돈을 내 야 한다. 이러한 조항은 위만 조선을 거쳐 군현시대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동안에 인지의 발달에 따라 그 내용이 더욱 복잡해져 60 여 조로 늘어났다. 사회 질서를 위한 고조선의 8 조의 법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