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화훼류 재배에 있어서의 주요 환경요인 III. 배양토. 1) 배양토의 역할 ① 식물체를 지지해 준다. ② 식물의 수분 및 양분흡수를 돕는다. ※ 토양의 성질 o 물리적 성질 : 토성, 토양구조, 토양공극 o 화학적 성질 : 토양산도 (pH), 전기전도도 (EC), 양이온치환용량.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화훼류 재배에 있어서의 주요 환경요인 III. 배양토. 1) 배양토의 역할 ① 식물체를 지지해 준다. ② 식물의 수분 및 양분흡수를 돕는다. ※ 토양의 성질 o 물리적 성질 : 토성, 토양구조, 토양공극 o 화학적 성질 : 토양산도 (pH), 전기전도도 (EC), 양이온치환용량."— Presentation transcript:

1 화훼류 재배에 있어서의 주요 환경요인 III. 배양토

2 1) 배양토의 역할 ① 식물체를 지지해 준다. ② 식물의 수분 및 양분흡수를 돕는다. ※ 토양의 성질 o 물리적 성질 : 토성, 토양구조, 토양공극 o 화학적 성질 : 토양산도 (pH), 전기전도도 (EC), 양이온치환용량 (CEC)

3 2) 배양토가 지녀할 구비조건 ① 배양토는 식물체를 지지해 줄 수 있어야 하며, ② 배수성이 좋아  관수 후 토양내가 과습하지 않아야 한다. ③ 또한 반대로 보수성이 있어  토양이 지나치게 빨리 건조해 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야 하며, ④ 보비력이 있어  비료분을 유실하지 않고 토양에 가지고 있다가 식물이 흡수할 수 있게 ⑤ 통기성이 있어야 통기성이 없으면 ? 뿌리가 호흡을 못하여 질식될 수 있다.

4 3) 토양의 종류 토양의 종류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일반상토 ( 교과서 76 쪽, 표 3-6 참고 ) - 보통 농가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상토로 밭흙 + 모래 + 부엽토로 이루어진다. - 작물에 따라 이들 비율은 달라짐 - 밭흙에 부엽토를 넣어 양분을 공급하고 모래로 배수성을 높여서 사용함 ☞ 부엽토 : 단풍나무나 참나무 등과 같은 활엽수의 낙엽을 부숙시킨 것으로 - 제조방법 : 가을에 낙엽을 모아 물과 비료 그리고 다소의 소석회를 공급하면서 퇴적한 후 비닐로 덮어 부숙시킨다. - 특징 : 보비, 보수력이 뛰어나며 통기성도 좋아 토양미생물의 활동이 좋다

5 ☞ 일반상토의 특징 - 일반상토는 값싸게 쉽게 구할 수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이 있는 반면, - 무거워서 분화류를 재배는데는 어려움이 있으며 - 또한 균이나 잡초의 씨들도 많다. - 따라서 사용 시는 가능한 한 소독한 후에 사용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이러한 일반상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광석을 가공해서 이용한다거나, 나무껍 질이나 기타 다른 재료를 이용하는 등 그 동안 많은 배양토가 개발되었는데 종류와 주 요 특성을 들면 다음과 같다.

6 (2) 광물질 재료 가. 질석 ( 버미큘라이트, vermiculite) - 질석을 1000 도에서 부풀린 것으로 매우 가볍고 보수성이 뛰어남 - 미량의 칼슘과 마그네슘, 칼륨 등을 함유 나. 펄라이트 (perlite) - 진주암을 1000 도 정도에서 뛰긴 것으로 가볍고 통기성과 배수성이 뛰어남 다. 암면 (rock wool) - 현무암을 1500 도에서 섬유상으로 가공한 것으로 보수력과 통기성이 양호 - 주로 양액재배에서 많이 이용됨 - 가공이 쉬어 슬라브나 큐빅 등 여러형태로 이용됨 라. 하이드로볼 - 점토를 800 도 정도에서 구운 것으로 다공질의 소재 o 기타, 난석, 녹소토 등등이 있다. ☞ 질석과 펄라이트는 가볍고 무균상태라는 점에서 파종, 삽목, 그리고 분화류 재배에 많이 이용되 고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두 가지 또는 피트모스까지 넣어서 3 가지를 혼합하여 사 용함

7

8 (3) 유기질 재료 가. 피트 ( 피트모스 ) - 초본식물이 습지에서 퇴적되어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탄화된 것 - 보수성과 보비력이 높고 공극이 커서 통기성이 좋음. - pH : 3-3.5 로 매우 산성 - 따라서 피트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일은 것의 없으며 약 알칼리고 배수성이 좋은 펄라이트와 혼합하여 사용 나. 수태 ( 물이끼 ) - 고산지대의 습지에서 자라는 물이기의 일종 - 보수성과 통기성이 양호한 소재 - 호기성 뿌리를 갖는 난류나 식충식물 등에 단독으로 많이 이용됨 - 캐나다, 뉴질랜드, 중국에서 수입 다. 부엽토 - 광엽 낙엽을 부숙시킨 것으로 투수성과 통기성이 좋으며 보비 및 보수력이 좋다. - 또한 토양미생물의 활동도 좋아 대부분의 화훼화분의 배양토로 이용 라. 왕겨 - 우리나라에서 대량으로 생산되어 값싸고 구하기 쉬운 소재 - 입자가 거칠어 흡습력이 나쁘지만 공극이 많고 크기가 일정하여 혼합용 소재로 적당 마. 훈탄 - 왕겨를 탄화한 것으로 무균 상태 - 왕겨에 비해 입자 내 공극이 크고 보수력이 커서 양액재배나 훈탄 육묘 등에 사용

9 (4) 목질소재 가. 수피 ( 바크 ) - 칩엽수 껍질을 잘게 부순 것으로 보수력과 보비력이 좋음 - 양란 심비디움 용토로 많이 이용 나. 톱밥 - 다공성이며 보수력 및 보비력이 좋아 피트모스의 대체 소재로서 이용이 가능 다. 코코피트 ( 코코넛 섬유 ) - 코코넛 껍질을 가공한 것으로 입자가 커서 통기성이 좋아 난류 등 호기성 뿌리를 가진 종류에 많이 이용 - 최근에는 양액재배 고형배지로도 많이 이용 기타 원예상토

10

11 4) 토양 반응 ( 토양 산도에 따른 반응 ) * 왜 토양 산도가 중요한가 ? * 왜 토양은 약산성 토양을 좋아하는가 ?

12 1) 많은 수의 이온은 약산성일 때 흡수가 가장 잘 됨 2) 질소질 비료 pH 5 이하에서는 알루미늄이나 철과 결합하여 불용성 pH 7.5 이상에서는 칼슘과 결합하여 불용성 3) 칼슘 알칼리에서 흡수가 잘됨 4) pH 가 낮으면 ( 산성 ) - Al 과 Mn 의 과잉장해 발생 - 반대로, Ca, Mg, B, Mo 의 흡수 감소 - P 는 불용화

13 1. 산성토양  Mn 과잉 - 스토크 : 잎 끝에 갈색 작은 반점 발생 - 카네이션 : 하위 잎 끝이 자색 – 갈색으로 변색 2. 산성토양  칼슘, 붕소 부족 증상 - 튤립 : 꽃목이 구부러지거나 화색 변색 3. 알칼리 토양  Fe, Mn, Zn, Cu 와 같은 미량요소 흡수 불량 - 장미 : Fe 결핍으로 신엽이 황백화 - 포인세티아 : Zn 결핍으로 엽맥 사이가 황백화

14 1. 수국 - 산성에서  보라색 - 중성 ~ 알칼리  붉은 색 - 산성토양에서 Al 이 많이 흡수  델피니딘과 결합  청색

15 피트모스 100 피트모스 75 적옥토 25 피트모스 100 피트모스 75 적옥토 25 블루 다이아몬드블루 스카이

16 산도 (pH) 화 훼류화 훼류 5.5 이하 철쭉류, 은방울꽃, 아게라텀, 크레마티스, 보스톤고사리, 아나나스, 5.5~6.5 칼라, 아나나스류, 시클라멘, 나리류, 칼세올라리아, 페츄니아, 금어초, 국화, 장미, 수국, 라일락, 금어초 6.5~7 포인세티아, 후크시아 ( 초롱꽃 ), 앵초, 카네이션, 거베라, 팬지, 베고니아, 개나리, 백일홍, 세인트폴리아, 7 이상메리골드, 아이리스, 제라니움, 다육식물류, 금잔화, 안개초, 선인장류

17 5) 토양장해문제 - 연작피해 ( 連作, successive cropping): 기지현상 ( 忌地現狀, Soil sickness) 이라고 함 : 연작의 결과로 작물의 생육이 불량해지고 수량이 감소되는 현상 원 인원 인대 책대 책 1) 토양 입단구조 붕괴 --> 토양물리성 악화. 1) 토양소독 2) 객토 및 환토 3) 윤작 4) 필요한 양분보급, 5) 병충해 저항성 품종 육성 6) 소석회 시용 2) 특정양분 흡수 -> 토양비료분 부족 3) 병충해 만연 4) 유해물질집적 (Alleropathy) 5) 염류축적 (Na, Ca, Mg, Cl, K) --> 삼투압이 높아짐 --> 양분흡수저해

18 6) 토양 소독 (1) 종류 : ①가열 소독 ( 증기소독, 건열소독 ), ②화학소독, ③태양광소독, 최근에는 ④에타놀 이용 가. 증기 소독법 - 작물 수확 후 1 년에 1 회 실시하는 것이 좋다 - 토양 약 35cm 깊이에서 70C 에 도달한 후 60 분간 증기를 토양 내에 - 약제 소독에 의한 잔류 독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나. 화학소독 - 약품소독으로는 클로로피크린과 메틸브로마이드, 포르말린이 쓰인다. - 소독이 끝나면 1 주일이상 휘저어 가스제거 후 사용한다.

19 다. 태양열 소독법 ※ 시행 시기와 기간 : 이소독법은 여름철 휴한기에 4 주 정도 행한다. 1) 경운 - 수확이 끝난 작물이나 자재들을 제거하고 깊이 30cm 이상 경운한다. - 가능한 한 흙을 하우스 안쪽으로 모은다. ( 하우스 가장자리 쪽은 열을 올리기 어렵기 때문 ) 2) 유기물과 석회시용 - 유기물 ( 왕겨, 볏짚, 옥수수 짚 등 ) 을 하우스 300 평당 2-3 톤을 넣는다 - 교정량 석회를 300 평당 100kg 정도를 골고루 뿌린다. - 로터리 작업을 해서 잘 섞는다. 3) 작은 이랑 만들기 - 작은 이랑을 만들고 헌 비닐로 전체를 피복한다. - 하우스 전체를 구석구석 빈틈없이 밀폐한다 4) 일시 담수 - 고랑 사이를 충분히 물을 대고 일시적으로 담수 상태로 한다. - 물이 공급되면 유기물들이 급격히 분해하기 시작하고 토양속 산소가 결핍 - 병균들이 산소 부족으로 질식하게 된다. 5) 하우스 밀폐 - 이상의 작업이 끝나면 하우스를 밀폐한다. - 밀폐상태에 따라 온도 상승이 크게 달라지므로 천창이나 측창 출입구를 완전히 밀폐 - 이 상태로 4 주 ~ 6 주 그대로 둔다. 6) 하우스 개방 및 피복제거

20 라. 에타놀 소독법  1~2% 에타놀을 2-30 톤 / 10a 정도 골고루 뿌려줌  토양 표면을 비닐로 1 주일 이상 피복  에타놀은 토양에서 1 주일 정도 지나면 자연 분해  토양 전염병 예방에 큰 효과


Download ppt "화훼류 재배에 있어서의 주요 환경요인 III. 배양토. 1) 배양토의 역할 ① 식물체를 지지해 준다. ② 식물의 수분 및 양분흡수를 돕는다. ※ 토양의 성질 o 물리적 성질 : 토성, 토양구조, 토양공극 o 화학적 성질 : 토양산도 (pH), 전기전도도 (EC), 양이온치환용량."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