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마케도니아 201003736 한지선 201101218 민새별 민족 정체성을 둘러싼 문화 갈등과 그 양상
2
목차 민족갈등의 역사적 전개과정 대외적 문화갈등 (1) - 민새별 대외적 문화갈등 (2) 대내적 문화갈등 (1,2) - 한지선
3
마케도니아 민족갈등의 역사적 전개과정 고대 ∙ 중세 마케도니아 연합 부족의 형태로 살고 있던 마케도니아인들 필립 2 세 시기 필립 2 세 시기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발칸반도 남부의 대부분의 지역 장악
4
알렉산더 대왕 (Alexander the Great) 발칸반도 뿐만 아니라 아시아, 아프리카에 걸친 광활한 제국 소유
5
알렉산더 대왕 사후 로마의 지배 동 ∙ 서로마 분열 후 : 동로마 ( 비잔틴 ) 제국의 영향력 하로
6
904 년 불가리아의 시메온 왕 제 1 불가리아 제국 수립 1018 년 다시 비잔틴 제국 하로 중세 마케도니아의 종교와 문화가 비잔틴 문명하에서 발전하게 되는 계기가 됨
7
세르비아 중세왕국의 스테판 두샨 (1331-1355) 황제 수도를 오흐리드로 확정 짓고 영토 확장 오스만 터키에게 세르비아 중심의 기독교 연 합군 마리짜강 전투에서 패함 500 여년간의 오스만 터키의 발칸 지배 가 시작되는 계기
8
1877 년부터 시작된 러시아 - 터키 전쟁 에서 러시아 승리 산스테파노 조약 (1878, 3) 으로 대 불가리아 국가가 형성 베를린 조약 (1878, 6) 에 따라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하에 있던 마케도니아 지역 탈환 마케도니아인들의 대대적인 폭동 근대 마케도니아 산스테파노 조약에 따른 불가리아 공국의 영토 ( 붉 은 선 ) 는 베를린 조약에 의해 축소 ( 완전히 붉은 부 분 ) 되었다
9
근대 마케도니아 제 1,2 차 발칸전쟁으로 오스만 터키의 지배는 끝을 맺고 마케도니아는 분할됨
10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연방 하의 마케도니아 제 1 차 세계대전 종결 후 들어선 세르비아 - 크로아티아 - 슬로베니아 왕국 ( 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개칭됨 ) 마케도니아인들 정체성 상실의 위기 국제 마케도니아 혁명위원회를 중심으로 마케도니아 독립 운동 전개됨
11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연방 하의 마케도니아 세계 2 차 대전 후 티토 주도 하에 마케도니아의 정체성 구축해 나감 세르비아 남부의 바르다르 바노비나 행정구역에 해 당 하였던 지역 세르비아 남부의 바르다르 바노비나 행정구역에 해 당 하였던 지역 ‘ 마케도니아 인민 공화국 (SR Makedonija)’ 이라는 새로운 이름 으로 공화국을 형성시켜줌
12
마케도니아 문화 갈등 양상과 그 의미 대외적 문화 갈등 세르비아불가리아그리스 마케도니아 정체성 논란 마케도니아 중세시기 세르 비아에 동화 마케도니아의 슬라브인들은 불라리아인으 로 동화되어 있었음 고대부터 마케 도니아인들은 인종적으로 그리스인 마케도니아의 주장 중세 이후 그리스를 비롯하여 주변 국가들의 지배 하에 있었으나 자신들의 고유한 민족정체성을 잃지 않고 동화되지 않았음
13
독립 문제를 둘러싼 그리스와의 문화갈등 1980 년 5 월 티토 사망증대된 민족주의 요구유고슬라비아 연방 내에서 다양한 문화 갈등을 촉발 마케도니아 주변국들과의 문화갈 등에 어려움을 겪음 마케도니아 독립, 국호, 국기 사용 그리스 vs 마케도니아
14
1991 년 11 월 헌법 초안 발표 헌법 3 조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영토는 결코 분할하거나 양도할 수 없다. 현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경선을 범해서는 안 된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국경선은 단지 헌법에 의해서만 변경되어질 수 있다. 헌법 49 조 공화국은 마케도니아 출신의 이민자 뿐만 아니라 이웃국가들에 거주하는 마케도니아 인들의 권리와 ( 민족 ) 지위를 보장하고 그들의 문화 발전을 지원하고 이들과의 연계를 강화한다. 공화국은 해외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문화, 경제 그리고 사회적 권리들을 보호한다. 1. 마케도니아 헌법 초안의 내용 민족주의 내용 포함 그리스 - 강력히 문제 제기 마케도니아 독립 압력 그리스에 대해 선전포고 과거 빼앗겼던 영토 회복 움직임 50 여 년 간 소수민족의 문제 부정 그리스 내 민족문제에 내정 간섭
15
2. 마케도니아 국명 1991 년 12 월 EC 독립문제 논의 - 그리스의 강력한 반대 - 독립논의 중단 심각한 외교 분쟁 ‘ 새로운 마케도니아 (New Macedonia/Nova Makedonija)’ ‘ 슬라브마케도니아 (Slavmacedonia/Slovomakedonija)’ 란 국명 제안 입장 고대 마케도니아인은 민족적으로 고대 그리스인의 후예이자 북부 그리스인의 일파 언어적으로도 ‘ 마케도니아 ’ 란 용어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말 주장 역사적 유산과 자산들을 상실 거절 입장 ‘ 마케도니아 ’ 란 명칭은 어느 한 국가만 이 독점할 수 있는 명칭이 아니며, 사회 주의 연방시절부터 공화국 명칭 ‘ 에게 마케도니아 ’, ‘ 피린 마케도니아 ’ 는 무관한 명칭 1993 년 8 월 17 일 ‘ 구 유고슬라비아의 마케도니아 공화국 ’
16
그리스의 입장고려 EU 의 주저 1994 년 1 월 불가리아, 터키 마케도니아 국가 인정 그리스의 외교관계 단절 데살로니카 항구 봉 쇄 전환점 1994 년 5 월 EU 법정 부당하다는 판결 1995 년 9 월 13 일 양국 간의 관계 정 상화에 합의 그리스 봉쇄 풀음
17
1992 년 8 월에 독립 마케도니아 국기 의 상징 ( 대 마케도니아 ) 으로 고대 마 케도니아 왕국의 상징인 버지니아의 (Vergina) 의 16 각형 별을 채택 1995 년 10 월 5 일 햇살을 8 개로 줄이 고 태양의 형태도 일부 수정한 뒤 제 정 민족주의를 부추기는 여러 상징물들 철회 약속 당시 맺어진 협약 국명 문제에 있어선 UN 감독 하에 계속 협상 이 지속될 것이라는 상징적인 문구만이 제시 양국 간의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는 상 태
18
대 ( 大 ) 알바니아주의의 기원과 발칸유럽에서의 의미 1920 년 독립국가 구성 이탈리아, 오 - 헝 이중 제국, 세르비아 등 위협 코소보, 마케도니아 서부 지역 통 합 실패 ‘ 영토적 민족주의 ’ 성향 현재까지도 이를 둘러싼 갈등 진 행 중 1878 년 ‘ 쁘리즈렌 연맹 ’ 이론 기초 1. 알바니아 민족주의의 활성 화 - 알바니아어, 역사 교육 확대 와 고유문화, 문학 발전 2. 코소보, 알바니아 북부의 쉬 코드라, 마케도니아의 모나스 티르와 야니나 지역 차지하고 있던 터키로부터 쟁취 But, 1881 년 오스만 터키 군의 진압 괴멸 순수한 알바니아 민족국가 수립 ‘ 대 알바니아 국가 건설 ’ 의 기초가 됨
19
마케도니아 내 알바니아 소수 민족문제 가장 다수 소수민족 : 알바니아인 발칸유럽 내 大알바니아 민족국가를 수 립하려는 알바니아 민족주의에 동조하 는 세력이 증대 서부 마케도니아 지역을 코소보와 같은 자치국으로 만들려는 움직임 확대 마케도니아 민족주의를 주도해 나갔던 대 표 세력 ’IMRO-DPMNU’ 당 (Internal Macedonian Revolutionary O rganization – Democratic Party for Ma cedonian National Unity) “ 마케도니아 독립국가는 순수 마케도니 아 민족만으로 구성된 단일 민족국가가 되어야 한다.” – 헌법 초안에 반영 1993 년 3 월 마케도니아 정부 출범 키로 글리고로브 대통령 선출 강한 반발 중앙정부 통제 거부
20
2001 년 3 월 알바니아 반군들이 자신 들이 수도로 정한 테토보를 장악한 후 마케도니아 정부군 부대들을 공 격하기 시작 마케도니아 내전 발발 미국 &NATO 도움요청 “ 국제사회가 이를 방관하면 장기 전으로 사태가 확대되어 결과적 으로 발칸유럽의 안정을 심각하 게 위협할 것 이다.” 미국의 발칸유럽에 대한 분석과 전략 親미 전략 국가로 설정 2001 년 7 월 5 일 ‘ 서부 마케도니아에 대한 자치권 논의와 알바니아 반군의 무장해제 ’ 라는 미국과 NATO 군의 중 재안을 받아들여 내전 종식 FinallyReason
21
『또 하나의 유럽, 발칸유럽을 읽는 키워드』 - 김철민, 김원회 - 구글 이미지 검색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