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연구실 2011. 04. 25. 김 홍 기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연구실 2011. 04. 25. 김 홍 기"— Presentation transcript:

1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연구실 2011. 04. 25. 김 홍 기 hgkim31@sch.ac.kr

2 2

3 군사용으로 사용되던 GPS 기술이 2000 년 초반 무료로 개방되 어 이를 이용한 LBS 서비스의 대중화가 급속하게 진행 됨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인해 LBS 기술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대중적 인기를 얻음 LBS 자산 추적차량 추적 그룹관리 네비게이션 주변정보 조회 3 월요세미나

4 LBS (Location Based Service)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 고 이를 활용하는 응용시스템 및 서비스라고 일반적으로 정의 4 월요세미나

5 GIS( 지리정보시스템 ), GPS( 위성 위치결정 시스템 ) 을 포함하여 무 선 단말기와 같은 특정 플랫폼을 통해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 대표적인 방법 GPS 인공위성 이용 이동통신 환경 이용 고정된 물체에 대한 근접성을 이용하는 방법 5 월요세미나

6 네트워크 기반 방식 위치 정확도가 통신망의 기지국 셀 크기와 측정방식에 따라 차이가 남 기지국의 위치에 따라 측정오차가 크지만, 기존의 단말기 및 네트워 크의 변경이 필요 없음 네트워크 기반방식의 종류 Cell-ID AOA(Angle of Arrival) TOA(Time of Arrival)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6 월요세미나

7 Cell-ID 이용자가 속한 기지국의 서비스 셀 ID 를 통해 이용자의 위치를 3 초 이내에 파악하는 방식 셀 반경의 크기에 따라 위치정보의 정확도가 큰 편차를 보임 기지국 단말기 R 근처 기지국의 위치를 자신의 위치로 판단 함 기지국의 반경이 크면 위치정보의 오차가 큼 7 월요세미나

8 Enhanced Cell-ID Cell-ID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거리정보를 추가 하여 정확도 개선 기지국과 양방향 통신을 통해 거리값을 수신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 간적 오차가 큼 기지국 단말기 R 위치판단은 Cell-ID 방식과 동일하지만 단말기의 위치 파악 후 서로간의 거리값을 교환 8 월요세미나

9 AOA (Angel of Arrival) 신호를 수신한 3 개의 기지국에서 신호수신 각도의 차이를 통해 위 치정보를 제공하는 기술 이론상으로는 50~150m 의 오차를 보이지만, 실제적으로 150~200m 의 오차를 보임 기지국 1 단말기 기지국 2 ∮1∮1 ∮2∮2 9 월요세미나

10 TOA (Time of Arrival)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한 한 개의 서비스 기지국과 2 개의 주변 기지 국들 사이의 신호 도달 시간의 차이를 이용 약 125m 의 정확도를 보임 기지국 1 단말기 기지국 3 기지국 2 10 월요세미나

11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 서비스 기지국 신호를 기준으로 인접 기지국들의 신호 지연을 측정 약 50~200m 의 정확도를 보임 기지국 1 단말기 서비스 기지국기지국 2 11 월요세미나

12 단말기 기반 방식 별도의 GPS 수신기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방식 위치 정확도는 높으나, 높은 빌딩, 도심지역, 산림, 숲 등 정확한 GPS 신호를 받지 못하는 장소에서는 오차율이 커짐 단말기 거리 측정 위치정보 전송 (A, B) AB 위치 결정 위치 정보 전송 ( 결과 ) 12 월요세미나 서버

13 LBS 를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 Mobile LBS+ 증강현실 위치기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지역의 생활정보, 부동산 정보, 경로정보 등을 제공 - City navigation - 부동산 정보제공 서비스 - AR 생활정보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위치 추적 기술과 증강현실 기술을 응용, 증강현실 콘텐츠, 게임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 AR make-up Service - Simulation - AR 도시탐험 게임 영상검색 영상인식 기술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 검색, 모바일 쇼핑, 사물 도감 등을 제공 - AR 백과사전 - AR 번역서비스 광고 2D, 3D 로 구성된 광고 콘텐츠를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증강현실의 형태로 제공하는 지역기반 광고서비스 - AR POP - AR Product Simulation 커뮤니케이션 위치정보와 Web2.0 기술을 응용하여 위치기반 메시징, SNS 등의 서비스 제공 - AR Messaging Service - 위치기반 SNS 13 월요세미나

14 국내 동향 단위 : 억원 출처 :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14 월요세미나

15 국내 동향 GPS 수신칩이 2007 년 5~10 달러로 가격이 하락 GPS 수신칩과 지리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산업이 성장하면서 LBS 에 관한 관심 증가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2008 년 안전 / 보안 서비스, 친구찾기와 같은 위치확인 서비스가 제공 (SK, KT) SK Pam 서비스 KT 분실폰 검색 서비스 15 월요세미나

16 국외 동향 단위 : 억원 출처 : ABI Research 16 월요세미나

17 국외 동향 2011 년 GPS 가능폰이 4 억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LBS 서비스의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됨 친구찾기 서비스의 관심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네비게이션 및 게임 서비스에서 각광을 받을것으로 예상 됨 세계 LBS 시장은 기존 통신사, 구글, 야후, 노키아 등의 업체에서 경 쟁하고 있는 상태 17 월요세미나

18 AT&T 위치기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FourSquare 포스퀘어는 고객들의 충성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상점, 카페, 도서 관 등 특정 장소를 기준으로 추천하는 맛집 및 주변정보를 공유하고 자신의 경험스토리를 나눌 수 있는 서비스 18 월요세미나

19 Call4Me 주변 택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설계된 어플리케이션 19 월요세미나

20 향후 발전을 위한 서비스업체와 정부의 역할 서비스업체 소비자의 공간이용 행태에 대한 연구를 강화해야 하며, LBS 활용 방안을 창의적으로 모색하여 서비스를 차별화하는 노력이 요구됨 정부 LBS 산업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고, 그 효과가 서비스 산업 전반의 혁신 을 견인하도록 부처간 협력을 강화하며, 규제 완화 및 인프라 확충 등의 노력이 필요 2010.6 “LBS 산업육성 및 사회안전망 고도화를 위한 위치 정보 이용 활 성화 계획 ” 에 따라 모든 휴대폰에 GPS 탑재 의무화 20 월요세미나

21 네트워크 기반방식에서 다수의 중계기로 인한 전파 신호 왜곡 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GPS 칩 내장 스마트폰이 대중화 됨에 따라 전파 신호 왜곡 문제 는 해결될 것으로 보임 ‘ 오빠믿지 ’ 어플이 사생활 침해로 제한됨에 따라 위치정보를 어 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정부의 개선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보호될 수 있도록 약관에 명시하고 개인위치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것으로 개인정보 법 개정 21 월요세미나

22

23 박찬휘, 최재혁, 진희채, “LBS 시장과 산업의 동향 및 전망 ”, TTA, 2009. 정구민, 최완식, “ 스마트폰 위치기반 서비스 기술동향 ”, TTA, 2010 이성호, 민경욱, “ 위치기반서비스 기술 동향 ”, 전자통신동향분 석, 2005 여건민, 안지환, “LBS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전자통신동향분 석, 2010 23 월요세미나


Download ppt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연구실 2011. 04. 25. 김 홍 기"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