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태근 어금 Modified 8년 전
1
Obesity Paradox 란 존재한다 “ 비만도 得이 될 수 있다 ” 2014.09.21 Won Jun Kim M.D./Ass. Prof.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Division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2
Venus from Willendorf? (~ 24.000 B.C.) What is beauty? Two threats Limited food supply Cold temperatures
4
BMI 에 따른 국내 성인 분포 (the KNHNES during 1998 to 2011) Diabetes Metab J. 2014;38:35-43 The prevalence of obesity: 26.9% 32%
5
국내 BMI 와 복부 둘레에 따른 비만 유병율의 변화 (1998~2011) 와 연령에 따른 비만 유병율 (2011) Diabetes Metab J. 2014;38:35-43
6
미국 국민 건강 영양 조사에서 BMI 와 사망율 JAMA 2005;293:1861-1867 BMI 25kg/m 2 기준으로 미만 또는 증가시에 사망률이 증가함 저체중, 비만 모두 사망률 증가하나 과체중군은 정상군과 차이 없음
7
Prospective 연구들에서 BMI 와 사망율 N Engl J Med.2010;363:2211-9 140 여 만명의 19 개 prospective 연구, 과체중, 비만 ( 그리고 저체중 ) 은 모든 원인의 사망률 증가와 연관됨 정상체중군 (BMI 20.0~24.9) 에서 사망률이 가장 낮음
8
Obesity paradox 는 존재한다
9
normal BMI patients (male or female, smokers or nonsmokers) had higher in-hospital & 1 year mortality rates when compared with overweight or obese patients 비만 패러독스와 관상동맥중재술을 시행받은 환자 Gruberg, et al. J Am Coll Cardiol 2002;39:578–584
10
심혈관질환 과거력의 250,000 여 명의 환자들을 포함하는 40 개의 코호트 연구 Lancet 2006;368:666–678 과체중군 (BMI 25-29.9 kg/m2) 이 가장 낮은 전체 ( 심혈관 ) 사망 위험도를 보이며, 비만군 에서 위험도가 증가하지 않았음
11
비만 패러독스 ( 고혈압과 관상동맥질환 기왕력 -22 만 명 ) Am J Med 2007;120:863–870
12
The Rotterdam Study In 2001, 181 patients among more than 5,000 subjects diagnosed with heart failure low BMI had more poor prognosis and in-hospital deaths than patients with higher BMI The Framingham Heart Study investigators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BMI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만성심부전에서 BMI 와 생존율 Eur Heart J 2001;22:1318-1327 Circulation 1993;88:107-115
13
Kalanta, et al. Nat Clin Pract Nephrol 2007;3: 493–506 Obesity Paradox = Reverse Epidemiology
14
심혈관질환 기왕력 있는 5 천여 명의 제 2 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PROactive study – 비만 그룹에 비해 저체중 또는 정상 체중 그룹의 사망률 Hazard Ratio 는 1.4~1.9 배 높았음 비만 패러독스와 당뇨병 Int J Cardiol 2012;162:20–26
15
체중 감소 / 체중 증가와 사망율 비교 체중 감소 정도에 따른 위험도 심혈관 질환 기왕력의 당뇨병 환자 Int J Cardiol 2012;162:20–26
16
나이, 성별, 인종, 혈압, 지질 수치, 허리둘레, 흡연 여부에 보정하였을 때 정상 체중 vs. 과체중 / 비만 총 사망률 2.08 (95% CI, 1.52-2.85) 심혈관계 사망률 1.52 (95% CI, 0.89-2.58) 비 - 심혈관계 사망률 2.32 (95% CI, 1.55-3.48) JAMA. 2012;308:581-590
17
비만 패러독스와 혈액 투석 Am J Epidemiol 2012;175:793–803
18
비만 패러독스와 만성 폐쇄성 폐질환 Crit Care Med 1999;160:1856–1861 COPD 관련 사망률은 저체중에서 COPD 의 중증 정도에 상관없이 가장 높았고 특히 심한 COPD 장애의 경우 정상체중인 경우도 과체중 / 비만인 경우보다 사망률이 더 높았음 (RR for low versus high BMI: 7.11 [ 95% CI: 2.97 to 17.05])
19
비만 패러독스와 폐렴 (170 만 명, 23 개 코호트 ) 페렴 발생률 ↑ 과체중 / 비만군 vs. 정상체중군 (RR = 1.33, 95% CI 1.04 to 1.71, P = 0.02, I2 = 87%). 페렴 사망률 ↓ 과체중 / 비만군 vs. 정상체중군 (RR = 0.83, 95% CI 0.77 to 0.91, P < 0.01, I2 = 34%) BMC Medicine 2014, 12:61
20
비만 패러독스에 대한 국내 연구
21
WHO for the Asian poptulation 저체중 (Group I:BMI < 18.5 kg/m 2, n=129) 정상군 (Group II:18.5≤BMI< 23.0 kg/m 2, n=1253) 과체중군 (Group III:23.0 ≤ BMI<27.5 kg/m 2, n=1959) 비만군 (Group IV: BMI ≥ 27.5 kg/m 2, n=483). Obese STEMI patients treated with primary PCI were associated with lower mortality,……
22
…. whereas obese stroke patients had decreased risks of mortality (HR of 0.83 and 95% CI of 0.74-0.92 for BMI 27.5-30; HR of 0.77 and 95% CI of 0.63-0.93 for BMI 30-32.5). Invers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status and mortality was not evident until 90 days after stroke bu t became significant 1 year after onset of stroke. The paradoxical relationship remained significant, regardless of causes of death
24
Relative to subjects with no diabetes and normal BMI (21 to 22.9 kg/m 2 ), lean subjects with diabetes (BMI <21 kg/m 2 ) had a greater risk for CVD and stroke deaths (HR, 2.83; 95% CI, 1.57 to 5.09; HR, 3.2 7; 95% CI, 1.58 to 6.76; respectively), while obese subjects with diabetes (BMI ≥25 kg/m 2 ) had no increased death risk (p-interaction <0.05).
26
Obesity Paradox 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
27
The “Obesity Paradox” in aging Early in life being lean appears optimal for overall health, whereas late in life being overweight to mildly obese appears optimal/ protective. ▫ Apparent shift in nadir/ ideal weight
28
Protective effect of nutritional status in overweight or obese elderly individuals?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in the elderly? Protective effect of lower-body obesity? (increased ppl fat store or muscle volume) Medication? Body fat distribution? Less risky obesity in elderly?
29
In patients with PCI In PROactive DM study 대상자의 3.8% 가 암의 병력 이들을 제외하고 분석하여도 사망률에 대한 obesity paradox 의 관계는 유지됨 Underlying disease(malignancy or health status) explains? Int J Cardiol. 2013;167:1154-8 과체중인 군이 정상군보다 낮은 사망률 (H R = 0.60, 95%CI [0.42–0.86]) 36 개 항목의 health status 를 고려해도 결과에 차이가 없었음
30
Adiposity doesn’t scale with BMI exactly Proportion of fat:lean mass are not constant BMI has its limitations JAMA 2005;293:1861-1867
31
성별, 당뇨병 유무, 심박출량, 심부전 원인, NYHA class 에 보정을 한 후에도 BMI 가 높은 그룹 뿐만 아니라 복부비만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생존률이 남녀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았음 심부전 환자의 복부 비만과 생존율 ? Am J Cardiol 2012;110:77–82
32
같은 허리 둘레군이라 하더라도 근육량에 따라 사망률에 차이를 보인다 Nutr Res Rev 2009;22:93-108
33
근감소성 비만과 사망률 British regional heart study 허리둘레, mid-arm 근육둘레로 각각 비만과 sarcopenia 로 분류 J Am Geriatr Soc. 2014;62:253-60
34
Cardiopulmonary Exercise has become the accepted standard for HF prognostication & risk stratification (RS); Peak VO 2 >14 mL/kg/min cut-off value –Peak VO 2 >18 mL/kg/min have a very good prognosis –Peak VO 2 <10 ml/kg/min have very poor prognosis Obese subjects with an increased cardiorespiratory fitness have lower all- cause mortality and lower risk of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s and certain cancers Cardiorespiratory fitness( 심폐지구력 ) Diabetes Care 2009;32(Suppl 2):S392–S397
35
Soluble TNF receptor
36
Obesity Paradox 의 Paradox 체중 감량을 권하지 말라는 말인가 ?
37
Review and meta-analysis of weight loss and all-on cause mortality (26 prospective studies) Nutr Res Rev 2009;22:93-108 의도하는 체중감량은 unhealthy 그룹에서만 사망률의 13% 정도 감소와 관련있음 ( 특히 비만인 unhealthy 그룹은 16%)
38
Number of sample size hold in much larger populations? Not cause-and effect conclusions Limitation of BMI to categorize obesity Chronic disease, Wasting disease lose weight(fat, muscle) over the course of disease Intentional(from TLC) vs. unintentional Wt. loss(from disease) Limitation of obesity paradox
39
비만은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 등의 주된 위험 인자이기는 하나, BMI 로 분류한 과체중 / 일부 비만 그룹은 저체중 / 정상 그룹보다 일부 만성 질환에서 낮은 사망률과 연관됨 대부분 elderly group 에서 보고된 Obesity paradox 는 age, nutritional status, body composition 및 cardiorespiratory fitness 등과 관련된 less risky obesity 그룹과 관련 있을 것으로 보임 Obesity paradox 는 관련성을 본 것으로 원인 - 결과 관계는 알 수가 없으며, BMI 의 한계와 함께 체중 감량과 관련하여 intentionl/unintentional 로 구분이 요구됨 Summary
41
Thank you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