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칼 마르크스의 1 사회학 고전읽기 III 제 1 강 김 호 기 (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
2
마르크스와 서구 근대사 2 칼 마르크스 (1818 – 1883) 당시 서구의 상황 박사 학위 취득 (1841) 프랑스 7 월 혁명 (1830) 프랑스 망명 (1843) 영국 제 1 차 선거법 개정 (1832) 집필 (1844) 독일 관세동맹 (1834) 벨기에 망명 (1845) 영국 차티스트 운동 (1838-48) 발표 (1848) 프랑스 2 월 혁명 (1848) 영국 망명 (1849) 미국 남북전쟁 (1861-65) 1 권 출간 (1867) 프랑스 파리 코뮨, 독일 통일 (1871)
3
마르크스의 사회학 마르크스 사회이론의 몇 가지 쟁점 1) 마르크스의 재발견 : 1960 년대 이후 2) 마르크스 사회사상의 연속과 단절 : ‘ 젊은 마르크스 ’ 와 ‘ 성숙한 마르크스 ’ 3) 마르크스주의 사회이론의 두 조류 - 비판적 마르크스주의 : 루카치, 비판이론 -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 : 알튀세르 4) 사회변혁이론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 - 동구의 현실사회주의 - 서구의 사회민주주의 3
4
젊은 마르크스와 성숙한 마르크스 젊은 / 성숙한 마르크스, 초기 / 후기 마르크스의 구분 1) (1847) 를 전후로 하여 초기와 후기 마르크스 사상 을 구분하는 문제 - 연속성을 강조하는 이들은 초기의 철학적 탐구가 후기의 경제적 분석 의 기초가 되고 있다고 주장함 : Bertel Ollman - 연속성을 부정하는 이들은 초기의 연구와 후기의 자본주의 분석 사이 에는 인식론적 단절이 존재한다고 주장함 : Louis Althusser 2) 이는 결국 에서 제시된 소외론을 마르크스 전체 사상에서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가의 문제임. 4
5
의 구성 1) 첫 번째 초고 - 노동임금 ; 자본의 이윤 ; 지대 ; 소외된 노동 2) 두 번째 초고 - 사유재산의 관계 3) 세 번째 초고 - 사유재산과 노동 ; 사유재산과 공산주의 ; 욕구, 생산과 분업 ; 화폐 ; 헤겔의 변증법과 철학 일반에 대한 비판 5
6
소외란 무엇인가 소외 (Entfremdung, alienation) 의 의미 1) 근대 자본주의에서 가장 주목할 현상 중 하나는 노동자와 그 가 생산한 재화 ( 상품 ) 의 분리임. 이 과정에서 노동자는 하나의 상품으로 전화됨. 2) 노동을 통해 자연을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주체로서의 노동자 는 그가 생산한 결과물인 객체와 같은 게 돼 버렸으며, 이는 결국 주체성의 상실과 객체에의 복종을 가져 왔다는 것이 마르크스 소외론의 핵심을 이루고 있음. 3) 소외에 대한 마르크스의 문제틀은 포이어바하가 에서 분석한 종교적 소외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마 르크스는 그러한 논리를 자본주의와 노동에 대한 분석에 적용하 고 있음. 6
7
소외의 네 과정 (1) 소외는 네 가지 과정을 통해 진행됨. 1) 생산활동으로부터의 소외 - 노동자들은 노동의 대가로 임금을 지불 받음. - 생존을 위해 노동하기 때문에 노동은 지루하고 무의미 한 과정이 됨. 2) 노동의 생산물로부터의 소외 - 노동의 결과인 생산물을 노동자는 통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는 자본가에게 귀속됨. - 자본가는 이윤을 남기기 위해 그것을 시장에서 판매함. 7
8
소외의 네 과정 (2) 3) 동료 노동자들로부터의 소외 - 마르크스에 따르면, 인간은 기본적으로 자연으로부터 자신 들이 생존에 필요한 것을 얻기 위해 협력하는 경향이 있음. - 자본주의 아래서의 노동은 다른 노동자들과의 경쟁을 유발 시키고, 이는 결국 동료 노동자들로부터의 소외를 가져 오게 됨. 4) ‘ 유적 존재 ’ 로부터의 소외 - 마르크스에 따르면, 인간은 동물과 구별되는 ‘ 유적 존재 ’ 으로 서의 특징을 지님. 자연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신을 실현할 수 있는 활동인 노동은 유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대표적인 특성임. - 앞서 지적된 다양한 노동의 소외는 노동의 의미를 훼손함으 로써 유적 존재의 삶으로부터의 소외를 가져 오게 됨. 8
9
소외론과 마르크스 사상 소외된 노동의 원인 - 무엇이 이러한 소외된 노동을 가져왔는가. 마르크스는 자본 주의의 사유재산과 노동임금에서 그 원인을 찾음. - 따라서 소외된 노동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유재산의 철폐가 요구되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마르크스는 공산주의를 제시 함. - “ 사유재산의 적극적 지양은 인간적 생활의 획득으로서, 모든 소외의 적극적 지양이며, 그러므로 종교, 가족, 국가 등에서 자신 의 인간적인, 다시 말해서 사회적인 현존으로 인간이 귀환한 것 이다.” (, 129 쪽 ) 소외와 물신숭배 - 소외라는 말은 이후 마르크스 저작에서 거의 사라지지만, 그 문제의식은 의 ‘ 상품의 물신숭배 ’ 로 다시 나타남. 9
10
소외론의 현재적 의미 소외론과 현대 비판 사회이론 - 이론적으로 볼 때, 소외론은 독일의 관념론과 영국의 고전경제 학을 결합시키려는 시도를 보여주지만, 그 결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님. - 소외론과 물신숭배론은 20 세기 현대사회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 루카치의 ‘ 물화 ’ 이론, 비판이론의 ‘ 도구적 이성 ’ 비판은 기 본적으로 소외론의 문제의식과 연관되어 있음. 소외론과 현대사회 - 주목할 것은 자본주의의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소외에 대한 마르크스의 통찰이 여전히 현대인들의 삶을 설명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한 문제틀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임. - 무한경쟁을 강제하는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대상과의 거리감 과 그로 인한 낯섬의 경험은 현대인들이 갖는 본질적인 숙명인 것처럼 나타나고 있음. 10
11
소외와 한국사회 한국사회 분석에서 소외론이 갖는 함의 1) 압축 자본주의 발전을 경험한 만큼 한국사회에서 소외는 매우 예각적인 현상으로 나타나 왔음. - 경우에 따라 소외는 노이로제 등 왜곡된 정신구조 형성이나 자살 등 극단적인 자기파괴 행동으로 드러나기도 함. 2) 소외된 노동의 현실 -“ 하루 14 시간 / 손발이 퉁퉁 붓도록 / 유명브랜드 비싼 옷을 만들어도 / 고급 오디오 조립을 해도 / 우리 몫은 없어, / 우리 손 으로 만들고도 엄두도 못내 / 가리봉 시장으로 몰려와 / 하청공 장에서 막 뽑아낸 싸구려 상품을 / 눈부시게 구경하며 / 이번 달 엔 큰 맘 먹고 물색 원피스나 / 한 벌 사야겠다고 다짐을 한 다.”( 박노해, “ 가리봉 시장 ”, ) 11
12
더 읽을거리 칼 마르크스,, 두레. 칼 마르크스,, 비봉. 게오르크 루카치,, 거름. 앤서니 기든스,, 한길사. 김호기 편,, 청아. 12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