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S W U 주 창 윤(언론영상학과) www.jooculture.com 언론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S W U 주 창 윤(언론영상학과) www.jooculture.com 언론사."— Presentation transcript:

1 S W U 주 창 윤(언론영상학과) 언론사

2 S W U 6주 일제 하 언론 1. 시대적 배경 2. 일제 하 신문 시대구분 3. 일제 하 신문들 4. 일제 하 라디오

3 S W U 1. 시대적 배경(1910-1945) 시대적 맥락 1910년 8.29 한일합방 1911년 105인 사건
1919년 3.1운동 이후 일제의 문화통치 1920년 신미증식계획 <동아일보>, <조선일보>, <시사신문> 창간 1924년 순종 서거-6.10만세운동 1929년 광주학생운동-일제의 탄압과 통제가 가중 1931년 만보산 사건-만주사변의 전주곡 1932년 일제 괴뢰정권인 만주국 세움 1936년 7대 총독 미나미 조선통치 5대지침 신사참배, 일본어 보급, 국기국가의 존중 1938년 징병제의 전단계로서 지원병제 실시

4 S W U 2. 일제하의 시대구분 임근수 무신문기(1910-1919): <매일신문>은 우리 신문이 아니다
변모쇠퇴기( ) 정진석 친일독점기( ) 민간지의 재생과 항일( ) 친일강요기( ) 조선일보 창간초기 수난기( ) 민족지로서 항쟁기( ) 중흥시대( ) 동아일보 초창기( )-식민통치의 가시밭길( ) 일제의 침략정치 밑에서( )-강제폐간 이후( )

5 S W U 3. 일제하 신문들 : 언론의 암흑기 총독부 3대 기관지 <매일신보>, <경성일보>, <The Seoul Press> 15개 지방 일간지도 <경남일보>를 제외하면 일본어 신문 이토 히로부미 <경성일보> 창간 통감부 기관지 <The Seoul Press>는 <The Korea Daily News>에 대항해서 창간 每日新報 1912년 망판인쇄 시설-사진게재 1913년 높은 수준의 신문사진: 뉴스사진과 피처 사진 장지연 등도 매일신보에 글을 게재(730편) 1917년 이광수의 <무정> 1920년 9월 여기자 이각경 입사

6 S W U 朝鮮獨立新聞 <조선일보> 1919.3.1 천도교 보성사에서 창간 창간주도: 천도교측 이종일
1호는 3월 1일 태화관 조선독립선언서 발표후 구인 비정기적 발행-해외 독립단체에 영향 해외 35종 신문발행 <朝鮮日報>와 <東亞日報>의 창간 <조선일보> 친일단체 대정실업친목회 창간(3월 6일) 진보주의를 사시로 표방 새 문명을 향상시키겠다는 것은 일제 문화정치의 구호와 같음 대정실업친목회는 <조선일보>와 결별 1924년 사장 이상재, 신석우, 유진태, 조만식 민족진영(사회주의 진형이 인수/사회주의 열풍) 1927년 신간회 조직 이후 신간회 기관지

7 S W U 1932년 경영난에 빠지자 방응모 인수 1933년 방응모가 사장 태평로 신사옥
방응모는 <동아일보> 정주지국장 출신, 광산갑부 방응모는 <동아일보> 기자들을 스카우트 동아조선의 싸움 방응모의 공격경영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이상협 명의로 발행허가 초대사장 박영효, 실질적 경영자는 호남지수 김성수 ‘동아’의 의미 “우리나라는 앞으로 발전하려면 시야를 크게 잡고 동아시아 전체를 무대로 삼아 활동해야 한다” <동아일보>는 민족지를 자처 1) 조선민중의 표현기관임을 자임하노라 2) 민주주의를 지지하노라 3) 문화주의를 제창하노라

8 S W U 김성수(1890-1955) 최대의 지주로 고창 만석꾼의 아들
동생 김연수는 만주 집단농장을 경영 관동군의 군량미 댐-조선최대부호 1919 경성방직주식회사 1932 보성전문학교 인수 1934 <매일신보>에 ‘대의에 죽을 때’, ‘황민의 책무’는 크다 등 해방 후 한민당 당수 1951년 피난수도에서 부통령, 이승만과 결별 송진우( ) 김성수의 친구 김성수와 와세다 대학을 다님 동아일보 창간발기인 3대 사장(상해통신원 여운형) 1930년 동아마라톤 해방 후 임정요원들과 반탁운동 전개하다 저격

9 S W U 4. 일제 하 라디오 경성방송국(JODK) 경성방송국(사단법인): 형식은 상업방송 실제는 국영방송
설립주체: 일제총독부 - 일본 무선통신에 대한 관심( 초) - 관동대지진으로 라디오 실용화 계획을 앞당김 - 조선일보 무선전화방송공개시험( ) - 경성방송국설립( ) - 문화통치의 연장선 속에서 라디오 출범 - 일제 대륙침략을 위해 원활한 통신 필요 한일 양국어 혼합방송: 한일방송시간비율(1:2) 청취료 수입은 미비 가입자는 늘지 않음 1928년 총 10,153대 조선인 1,573 일본인 8,558 1930년 총 14,309대 조선인 1,754 일본인 12,493

10 S W U 1933년 이중방송실시: 제1방송은 일본어 제2방송은 조선어
방송시간의 증가(단일방송 하루 8시간 45분에서 15시간 5분) 스포츠 중계에서 시간을 할애 1941년 12월 태평양 전쟁때 중지 단파방송사건 일제 하 청취할 수 있는 단파방송: 중경방송과 VOA 임시정부 중경방송 1941년 주1회 30분 VOA(Voice of America): 1942년(1일 3회)-이승만 연설 1941년 경성방송국 기술국 성기석이 단파수신기를 제작 중경방송청취 1942년 중경방송과 VOA방송청취 일본경찰에 발각 일본은 1942년 방송전파를 통제: 일본방송만 청취하게 함


Download ppt "S W U 주 창 윤(언론영상학과) www.jooculture.com 언론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