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노화의 주요측면과 노화이론 인간의 노화 노화이론 노인의 특성.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노화의 주요측면과 노화이론 인간의 노화 노화이론 노인의 특성."— Presentation transcript:

1 노화의 주요측면과 노화이론 인간의 노화 노화이론 노인의 특성

2 평화

3 평화

4 Ⅰ. 인간의 노화 늙음 : 몸의 조직과 기능이 소모되어 낡아져 가고 있음. 老化 : 정신적·신체적 기능의 감퇴·쇠퇴
노화의 시점: 출생과 동시에 진행 20-25세를 정점으로 서서히 진행 노인의 연령적 구분 靑老 세 (健老) 中老 세 (準健老) 老老 세 이상 (衰老)

5 늙음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Erickson (에릭슨 : 1902-1994) 인간의 생활주기로 본 발달 단계
1단계: 기본적 신뢰 대 불신(Trust vs Mistrust)(출생∼1세) 2단계: 자율성 대 수치와 회의(Autonomy vs Shame and Doubt)(1∼3세) 3단계: 주도성 대 죄의식(Initiative vs Guilt)(3∼6세) 4단계: 근면성 대 열등감(Industry vs Inferiority)(6∼12세) 5단계: 정체감 대 역할 훈련(Identity vs Identity confusion)(12∼20세) 6단계: 친밀성 대 고립(Intimacy vs Isolation)(20∼40세; 성인기 초기) 7단계: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s Stagnation)(40∼65세; 성인기 중기) 8단계: 자아통합 대 절망(Integrity vs Despair)(노년기)

6 에릭슨, 노년기의 심리적 특성 통합 vs 절망 통합 : 좌절 : 자신의 지난 생애를 있는 그대로 수용.
긍정적으로 자부심을 가짐. 좌절 : 자신의 생애를 부정적 시각으로 받아들임 지난날에 대한 후회와 미련을 가짐.

7 Ⅱ. 노화이론 생물학적 이론 심리학적 이론 사회문화이론 분자수준의 노화이론 / 세포수준의 노화이론 / 기관수준의 노화이론
분리이론 / 활동이론 / 지속성이론 / 사회교환이론 사회문화이론 연령이론 / 현대화 이론

8 1. 생물학적 이론 유전자이론 유전변이이론 : 프로그램이론

9 1) 분자수준의 노화이론 유전자이론 : 유전변이이론 : 프로그램이론 : 젊음을 지배하는 유전자와 늙음을 지배하는 유전자.
비정상적인 세포 또는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세포가 노화를 유발한다. 프로그램이론 : 생물학적 기제(機制 : mechanism) 생물학적 시계(生物學的 時計) 생체시계(生體時計) 체내시계(體內時計).

10 2) 세포수준의 노화이론 (1) 산화기 이론(free radical theory)
산화기를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근원은 산소대사이다. 인체는 생의 과정에서 대사를 위해 끊임없이 산소를 필요로 하고, 이 산화산물이 끊임없이 조직에 축적되면 역설적으로 인체를 파괴 

11 산화기 (酸化基)의 생성: 정상적인 대사작용에서 생산되며, 방사선이나 오염 물질 등에 노출되었을 때도 생성된다.
정상적인 대사작용에서 생산되며, 방사선이나 오염 물질 등에 노출되었을 때도 생성된다. 노화진행 의미:   산화기의 생산을 억제하고 복구하는 과정보다 산화기의 축적이 더 빨리 일어나면 노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본다. 이 이론이 타당하다면, 아동기부터 식이와 환경을 조절하거나 특정약물을 사용하면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게 됨.

12 산화기(酸化基) : 유리기설(遊離基設)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생명을 보존한다는 것은 생각할 수도 없는 일반상식이다. 그러나 산소독성을 입으면 치명적인 조직 손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 활성산소가 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공기 중에 있는 산소분자는 활성이 매우 약한 상태로 존재하다가 경우에 따라 다음과 같은 환원과정을 거쳐 점차 활성이 강한 활성산소의 형태로 바뀐다. O2               -O2                H2O2                ․OH   이 일련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O2(superoxide anion radical), H2O2(hydrogen peroxide) 및 OH(hydroxy radical)이 세가지 활성상태의 산소 유해 물질을 생물학적으로 활성산소라 칭하며 이들 중 ․OH 라디칼의 활성이 가장 강하며 많은 조직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3 에어로빅스(aerobics) 산소를 몸 안에 공급하면서 되도록이면 길게 계속할 것을 목적으로 한 온몸운동.
본래는 육상경기의 단거리경주 때처럼 근육이 산소를 사용하지 않는 무산소운동과는 달리 유산소운동을 뜻하는 의학용어이다. 이 운동을 제창한 사람은 미국의 의학자 K.H. 쿠퍼. 조깅·수영·사이클링·스키처럼 온몸으로 하고 시간이 걸리는 운동은 심장과 폐의 기능을 높이고 혈관의 퇴화를 막아 주며 산소를 몸의 구석구석까지 보내 줌으로써 조직과 세포의 작용이 보다 활발하게 된다는 것이 널리 인정되어 있다.

14 > 항산화 작용: 인체는 불필요한 노폐물을 배출하고, 유해물질을 중화하며, 손상을 복구하는 능력이 있다.
 > 항산화 작용: 인체는 불필요한 노폐물을 배출하고, 유해물질을 중화하며, 손상을 복구하는 능력이 있다. 비타민과 효소는 자유기 생산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E는 항  산화 기능이 있으며, 비타민 A와 C, 그리고 나이아신도 산화기 제거제로 알려져 있다.        노인은 전반적으로 비타민 A와 C가 감소되어 있다는 사실과, 이 물질들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 투약하면 자유기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15 유산소운동이란? 다이어트를 위해서는 유산소운동/심혈관 운동이 제일 좋다.
유산소운동이란 내 몸의 근육들이 산소를 소비하는 운동으로 몸 안의 지방을 태우는 효과가 있다. 유산소운동을 위해서는 30분 이상의 지속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 그리고 전신의 큰 근육들 - 허벅지, 등, 가슴 등을 낮은 강도로 사용하는 운동을 할 때 유산소운동이 될 수 있다. 자동차가 달릴 때를 생각해보자. 정속의 속도로 주행해서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어 완전 연소가 될 때가 고속으로 주행해 불완전 연소가 될 때보다 차에 더 도움이 된다. 마찬가지로 고강도의 운동보다는 적당한 강도의 유산소운동이 내 몸에 훨씬 더 도움이 된다.

16 유산소운동의 장점 내 몸의 지방과 칼로리를 태워서 체중감소를 가져옴 스트레스와 긴장을 감소시킴 면역기능의 강화 혈중지방의 감소
혈압의 감소 심혈관계 질환의 감소 불면증의 해소 근력의 증가 자존감의 회복 신체적 외모를 멋있게 함 골다공증의 감소 노화의 방지 대사성 질환(당뇨, 고지혈증,...)의 감소

17 (2) 교차연결이론 : 결체조직이론 이론 :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분리되어 있어야 하는 분자구조 사이에 강한 연결띠가 형성되어 있어서 노화가 진행  된다는 견해다. 증상 : 탄력소의 교차연결 현상을 잘 들어내는 조직은 피부이다. 부드럽고 탄력 있는 매끄러운 피부는 노화에 의해 건조해지고 탄력성이 떨어져 주름지고 늘어진다. 용인 : 매우 다양하고 식품과 환경 내에 무수히 존재하며, 알데히드, 산화지방, 구리와 마그네슘 등은 교차연결을 유발시키는 물질이다

18 (3) 마모이론 이론 : 인간의 몸은 기계와 같아서 인체의 어느 부위가 충분히 닳게 되면 인체기능이 저하된다는 견해.
세포의 마  모현상은 내적, 외적 스트레스에 의해 가중된다. 인체를 잘 보존하면 인체의 마모를 줄이고 기능을 다소 좋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유기체는 기계와 달라서 손상을 복구하는 내적 기전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유기체는 적정운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근력, 근질량, 심장 기능을 증가시키듯이, 사용하면 마모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개선되는 특성이 있다.

19 3) 기관계통 수준의 이론 신경내분비 조절 이론 (Neuroendocrine control theory)
면역 이론(Immunity theory)

20 (1) 신경내분비 조절 이론 신경내분비 이론은 노화를 수정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신경과 호르몬의 신호에 의하여 조절된다고 보는 견해다. 노화에 기여하는 유전적 생체시계는 신경계와 호르몬계의 조절에 의존한다. 균형유지 능력이 감소하여 자주 적응에 실패하면 이로 인하  여 노화가 초래되고 결국 사망한다.

21 (2) 면역 이론(Immunity theory)
노화를 면역계의 기능 변화 때문으로 본다. 따라서 면역계의 퇴화를 조절하면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견해다. 노년에 이르면 면역력이 감퇴하여 감염, 자가면역, 암발생, 성인 당뇨병, 죽상경화증, 고혈압, 혈전성 색전증, 심맥관 질환, 알레르기 동맥염, 류머티스성 심장질환, 알츠하이머 등이 이와 관련됨.

22 2. 심리학적 이론 노화의 심리적 측면에서는 노년기의 행동변화에 관심을 갖는다. 노화 심리이론의 종류:
감각, 지각, 학습, 기억, 지능, 동기, 정서, 성격. 태도, 정신운동, 사회적 관계 등 노화 심리이론의 종류: 사회유리 이론, 활동이론, 지속성 이론, 사회교환이론, 성장발달이론

23 1) 사회유리이론 노인들이 왜 사회의 중심권에서 벗어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 되었다.
노인들이 왜 사회의 중심권에서 벗어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   되었다. 전반적으로 노인이 사회에 유익하지 않기 때문에 사회는 노인을 사회로부터 분리시키며 개입을 허용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노인도 나이가 들면서 스스로 사회에서 멀어지기를 원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노인의 사회유리는 사회와 노인 모두에게 이롭다는 주장이다.

24 Cumming & Henry의 견해 Cumming은 노인이 사회와 유리되어야 자유롭게 죽을 수 있다는 견해.
예, 사회에 많이 개입하고 있는 중년이 사망하면 많은 관  계들을 정리하지 못한 채 남겨두게 되므로 상황을 혼란스럽게 만든  다는 견해임. Henry에 의하면 노인이 되면 점진적으로 사회로부터 유리되는 과정을 밟는다는 견해. 이러한 과정은 상호만족을 제공하며, 사회의 필연적·보편적·규범적인 현상으로 봄.

25 2) 활동이론 노년은 중년의 연장일 뿐이므로 활동을 중단할 것이 아니라 지속할 것을 당연하게 보기 때문에, 노년기의 생의 만족을 적정수준의 사회적 활동을 유지할 때 가능하다는 견해.  사회적 활동은 성공적인 노화에 필요조건이 되는 것으로, 신체적 및 정신적으로 활동에 적극 참여하면 노년기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본다. 노년기의 잦은 활동과 친교관계 유지는 자아개념의 강화와 생의 만족감을 주고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26 3) 지속성이론 노년기의 성격은 젊을 때의 성격성향을 지속하는 것이지 바뀌는 것은 아니라는 견해다.
성격을 역할활동과 생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본다. 노년기에는 옛날 방식  과 새로운 요구간에 갈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갈등에서 옛 방식을  억제하면 마치 성격이 변화된 것처럼 보이지만 근본적 성격은 변화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 남자 노인은 인내하고 보살피고 양육하는 역 할로 전환하고 여자노인은 지도적이고 공격적인 역할로 전환하는 경향이 있다. 노년기의 신체적·정서적 역량의 감소는 선택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게 하며, 자기 자신에게 보다 많은 관심을 두고 특정 취미에 몰두하게 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행동이 마치 노인들이 자기중심적이고 고집 세고 사회에 무관심한 성격으로 변한 것처럼 보이게 하기도 한다.

27 4) 사회교환이론 개인과 집단간 교환이 지속되는 경우는 교환에 참여하는 사람이 그 상호작용에서 이득을 얻는 한 지속되며, 노인이 되면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이득이 감소하므로 사회적 교환활동이 감소한다는 견해. 사회적 교환과정에서 이득 발생이란 소요되는 비용에 비하여 보상이나 자기만족이 동일하거나 이상일 경우를 의미한다. 노인이 되면 건강, 대인관계, 수입 등 권력의 원천이 줄어들어 사회와 노인간에 불균형 교환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노인의 사회 내 상호작용이 감소 내지 단절을 초래하게 된다.

28 5) 성장발달이론 노년기에 이르기 전 단계에서의 과업완수 수준은 노화과정의 예측인자가 된다는 견해이다. 즉, 훌륭한 적응전략을 개발하여 이제까지의 생애에서 성장발달과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노인은 노년기에도 성공적으로 대처한다는 주장. Erickson은 8가지 성장발달과업 중 생의 마지막 단계의 과업을 통합과 좌절의 균형으로 제시하였다. 즉, 개인의 전생애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였다면 노년기 과업도 성공 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29 Havinghurst 가 제시한 노년기 과업
신체적 기력 감소와 건강저하에 적응하기 은퇴와 수입감소에 적응하기 배우자 사별에 적응하기 동료노인과의 관계 형성하기 사회적 역할에 융통성 있게 대응하기 만족스러운 신체활동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

30 3. 사회문화이론 사회문화적 이론의 바탕을 이루는 가정은 대표적인 이론으로 연령문화 이론과 현대화 이론이 있다.
연령구조는 권력을 배분하고 책임을 규정하며, 규칙과 기대를 관리해야 하는 사회조직에 필수적이라는 점 생물학적 모델은 사회적 차원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노화를 설명하기는 부적합하다. 사회적 기대는 전생애에 걸쳐 계속 부과되고 변화한다. 새로운 사회적 기대와 행위들이 부과될 때 정체성은 변화한다. 대표적인 이론으로 연령문화 이론과 현대화 이론이 있다.

31 1) 연령문화이론 모든 인간사회는 일정한 연령군을 한 단위로 구분하여, 각 연령군별로 사회계층을 형성하여 사회적 지위를 부여하고 그 지위에 적합한 역할과 규범을 규정해 놓고 있다. 노인도 사회에서 부여한 지위에 따라 연령과 소속된 사회의 문화, 능력에 해당되는 적합한 노인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연령이 많아지면 보편적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적응력이 쇠퇴한다. 그러나 노년기에 인체기능이 쇠퇴한다고 해서 노인의 역할과 지위가 동시에 퇴화시키는 것은 아니다. 즉, 개체의 신체적 힘에 의해 지위가 결정되는 동물사회에서는 노약한 늙은 동물은 지위하락이나 추방을 강요당하지만, 문화적 존재인 인간사회에서 노인은 노령이라는 조건만으로 그 역할과 지위가 쇠퇴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상당한 지위와 권력을 인정 받기도 한다.

32 2) 현대화이론 현대화가 사람들의 기본관념을 변화시키고 노인의 지위와 역할에도 영향을 미친다.
과거 전통농경사회에서는 노인이 전문직업인, 전통문화의 전수자, 전문정치가 및 종교가로 군림하였다. 산업화 사회에서는 노동력이나 인력보다는 고도의 기술이 생산을 지배하게 되었다. 노인이  독점하던 지식도 젊은이에게 이전되고, 과거 노인이 독점하던 전문가의 역할도 교육받은 의사, 교사, 기타 전문가에게로 이관되었다. 이리하여 노인의 권위가 도전을 받게 되었다.

33 4. 노화와 환경 (Environment and aging)
인간의 행동은 개인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산물로서, 환경이 인간의 세포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과도한 태양광선이나 방사선에 노출될 경우, 피부를 파괴하고 질병을 초래. 공기오염, 화학물질, 심리·사회적 사건 등의 환경 적 스트레스의 반복적 및 축적 효과에 의해 기관의 불가역적인  화학적 상흔을 초래.

34 잠시 쉬었다 갑시다.

35 Ⅲ. 노인의 특성 신체적 특성 심리적 특성 사회적 특성 외형상의 변화 구조적 기능의 변화 감각기관의 변화 인지기능의 변화
성격특성의 변화 사회적 특성 사회적 지위와 역할변화 한국노인의 사회적 특성

36 1. 신체적 특성 외형상의 변화 구조적 기능의 변화 피부 및 근육 신장과 몸무게 신경계의 변화 순환기 및 호흡기관의 변화
소화기 및 내분비기관의 변화 생식기관의 변화

37 1) 외형상의 변화 :피부 및 근육 p.56.

38 1) 외형상의 변화: 신장과 몸무게 p. 56. 주로 60대 이후 발생하는 압박골절 환자는 여성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는데 이는 여성호르몬이 감소하는 폐경기 이후 여성의 골밀도가 남성에 비해 빠르게 낮아지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실내생활의 증가로 인한 운동부족과 근육의 수축으로 인해 작은 충격이 골절로 이어지기 쉬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39 2) 구조적 기능의 변화 신경계통의 변화 순환기 및 호흡기 계통의 변화 소화기 및 내분기기관의 변화 생식기관의 변화

40 (1) 신경계통의 변화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2가지로 나뉜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과 각 기관(근육·腺·감각기 등)을 연결하는 것이 말초신경계이다.

41 인간의 운동기능 외부자극 → 정보의 투입 → 지각기능에 의하여 의미부여(느낌) → 의미가 부여된 여러 정보들과의 통합(사고) → 자극에 대한 반응적 행동을 결정(판단) → 뇌는 그것을 수행할 것을 근육기관에 지시(명령) → 최종적으로 근육기관이 활동(행동)(반응)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심리근육운동기능이라 한다. 반응시간(reaction time)은 자극이 주어진 후부터 그 자극에 대한 반응적 행동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 나이가 많을수록 반응시간이 길다. 주어진 자극이 복잡할수록 반응시간은 더욱 길어진다. 따라서 단시간 내에 처리해야 할 일은 젊은이가 더 잘 하겠으나 시간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는 일은 나이든 사람들도 잘 해 낼 수 있다.

42 (2) 순환기

43

44 관상동맥 (冠狀動脈) : 사슴 뿔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심장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해주기 위해
대동맥에서 나와 심장에 피를 공급해주는 동맥

45 심장병의 주요 종류.   (1) 돌연사   (2) 실신   (3) 부정맥   (4) 심근증   (5) 선천성 심장병   (6) 심장 판막 질환   (7) 심부전증   (8) 고혈압   (9) 동맥경화증   (10) 관상동맥 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46

47 외계의 유해물질로부터 스스로를 지키는 폐의 방어
1일 1만 ℓ에 달하는 공기의 출입 외계의 유해물질로부터 스스로를 지키는 폐의 방어 기도계의 작용이나 폐포마크로페이지처럼 정치(精緻)되어 있다. 그러나 세균이나 바이러스로 그 방어계가 돌파되었을 때에는 각종 폐감염증이 생기며, 분진이나 자극성 가스로 진폐나 폐장애가 발생한다. 폐의 질환으로 인한 주요 증상은 기침·가래·호흡곤란·흉통·객혈 등이 있다.

48 폐포 : 지름 0.1∼0.2mm 사람의 경우 그 호흡면(폐포내면)은 폐포총수 약 4억 5000만 개 약 50㎡가 된다.
이것은 체표면적의 2.5배에 달하며 이것이 흡기(吸氣) 때에는 약 2배의 부피로 부풀어진다. 흡기 때의 호흡면은 다시 100㎡ 정도.

49 (3) 소화기 및 내분기기관

50 내분비기관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계통의 구성 요소   샘뇌하수체   신경뇌하수체   부신  랑게르한스섬  갑상샘  부갑상샘  송과샘 

51 한국인 평균수명 男73-女80세 45세를 기준으로 남자 : 45세를 기준으로 여자 :
암으로 사망 27.22%(폐암 7.04%,위암 5.38%, 간암 4.45%). 순환기 계통 23.16%(뇌혈관질환 14.46%, 심장질환 7.01%, 고혈압성질환 1.62%) 폐렴 등 호흡기계통 질환 9.0% 각종 사고사 6.88%(운수사고 2.07%, 자살 2.03%) 45세를 기준으로 여자 : 내분비질환 4.37%(당뇨병 4.18%) , 순환기계통 질환이 25.8%(뇌혈관질환15.73%, 심장질환 6.65%, 고혈압성질환 2.99%) 암 14.14%(위암 2.65%, 폐암 2.34%, 간암 1.62%) 호흡기계통질환 6.13% 내분비질환 5.03% 각종 사고사 4.46%.

52 (4) 생식기관

53 고환은 어떤 일을 하나? 정자생산,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생성
사춘기에 몸에 털이 나는 것, 남성 성기가 자라는 것은 이 호르몬 영향  때문이다. 고환은 그 날 목표량만큼의 정자와 호르몬을 만들 뿐이다. 정자는 하루에 약1억개 정도 생산

54 난소(알집) 자궁의 좌,우로 각1개씩 난관 후방부에 위치한 기관.
난소 안에는 좌우 양쪽에 각각 60-70만개 정도의 원시 난포를 갖고 태어난다. 사춘기가 되면 4-5만개 가량 남아 갱년기에 이르기까지 성숙한 난자는 약400개정도가 배출된다. 사춘기에 시작하여 폐경기가 될 때까지 한 달에 한 번씩 주기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난자가 성숙되어 배란된다.

55 노년기의 성에 대한 편견 노년의 성(性)은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니다?
성적 욕망과 관심을 표현하거나 성행위를 하는 노인은 부도덕한 것이다? 노인이 되면 성적 욕구는 감소된다? 노화는 성기능 장애를 수반한다? 여성은 폐경과 더불어 성기능도 끝났다?

56 노인의 성생활 건강상태가 양호하다면 성생활은 연령과 무관하다는 게 일반적인 견해이다.
부부간의 정상적인 성생활은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하고 자신감을 높여준다. 심폐기능을 높여주고, 부부간의 친밀감을 높여주고,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며 면역기능을 상승시키는 등 노후생활에 활력소가 된다.

57 2. 심리적 특성 감각기관의 변화 인지기능의 변화 성격특성의 변화 시각 / 청각 / 미각 / 후각 / 촉각 / 통각
우울증의 증가 내향성 및 수동성의 증가 성역할의 양성화 경향 친근한 사물에 대한 애착심 유산을 남기려는 경향 변화에 대한 저항

58 1) 감각기관의 변화 (1) 시각(視覺)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정체의 조정능력 약화 : 따라서 노인은 밝은 조명이 필요하다.
근거리 조절 곤란--돋보기 수정체의 섬유질 증가 -- 백내장 수정체의 황화(黃化)현상(yellowing) 색깔 감지능력 감퇴— 노랑ㆍ빨강ㆍ주황--곤란 보라ㆍ남색ㆍ파랑--수월 동공 크기 축소 -- 빛의 통과 량 감소. 60세는 20세의 1/3 따라서 노인은 밝은 조명이 필요하다. 야간운전은 위험이 따른다 -- 삼갈 것 40세 전후부터 시력 감퇴

59 (2) 청각 소리의 고저ㆍ강도ㆍ거리ㆍ간격(소리가 발생하는 시간 간격)을 식별하는 능력
연령의 증가에 따라 소리의 고저ㆍ강도에 대한 감지력은 감소 소리의 간격에 대한 감지력은 변화가 없다. 20세에서 서서히 진행. 50세 이후부터 스스로 느끼기 시작한다. 저음(진동수) 감지력은 경미하지만 고음 감지력은 상당히 약해진다.    나이가 들수록 강도가 낮은 소리(작은 소리 : 볼륨)를 잘 듣지 못한다. 즉, 노인은 낮은 음 일수록, 작은 소리일수록 잘 듣지 못한다.

60 (3) 미각(味覺) (4) 후각(嗅覺) (5) 촉각(觸角) (6) 통각(痛覺)
미각장애는 비교적 흔하지만 특히 65세 이상의 사람과 여성에게 많다 노인에게 발생하는 미각장애는 영양 상태의 심각한 불균형과 더불어 다른 전신적 질환이 합병될 경우 회복을 어렵게 한다. 조미료를 더 많이 넣은 음식을 좋아하고, 단 맛보다 시큼한 맛을 더 좋아한다. (4) 후각(嗅覺) 30대 이후부터 감퇴. 우울증 환자의 후각기능은 정상인에 비해 크게 감퇴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후각 통로가 손상된다. 따라서 후각기능 테스트로 알즈하이머를 조기 진단할 수 있다. (5) 촉각(觸角) 접촉에 대한 민감성은 45세 경까지는 증가, 그 후는 현저히 감퇴. 그러므로 노인들은 접촉의 강도가 높아야 쉽게 접촉을 느낄 수 있다. (6) 통각(痛覺) 통각은 신체가 안전을 위협 당하는 응급한 상황에 있음을 알려주는 주요한 감각기능이다. 통각은 연령에 따라 민감성이 약화된다고 하나, 개인차가 크고 문화적 요인에 따라서도 달리 느껴지므로 일반화하기 힘든다.

61 2) 인지기능의 변화 지식과 정보를 효율적으로 조작하는 능력. 인지기능 : 조직기능 : 범주화, 순서화
조직기능 : 범주화, 순서화 분석기능 : 비교, 요소 및 속성 파악, 관계와 유형 파악, 중심 아이디어 식별, 오류 확인 추론기능 : 귀납, 연역, 유추

62 정신(精神)기능 정신기능은 사람이 사람다운 기능을 하는 특징적인 기능이다.
이것은 감각기능, 지각기능, 심리근육기능을 기초로 하고 있다. 정신기능은 지능, 학습, 기억, 사고, 문제해결, 창의성 등의 다양한 요소로 나눌 수 있다.

63 (1) 지능(知能) 새로운 것을 학습할 수 있는 능력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
“개체가 목적을 가지고 행동하며,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을 효율적으로 처리해 나가는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능력” 어휘능력, 추리능력, 공간지각능력은 연령증가에 의한 큰 변화가 없다. 어휘능력(fluid intelligence) : 생래적으로 타고난 부문. 추리능력, 기억용량, 도형지각능력 등 결정화 된 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 : 경험, 교육, 훈련 등을 통하여 후천적으로 획득된 것. 어휘, 일반상식, 언어 이해 등 결론적으로 지능은 연령에 따라 변하는 면보다 교육의 정도에 따라 훨씬 더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평생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64 * 지능은 새로운 것을 학습할 수 있는 능력,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
유동적 지능 : 수학적 계산, 그림 구별, 전화번호 암기 등. 결정화 된 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 : 철학적 의미를 이해하는 것, 속담이나 격언을 기억하는 것 등.

65 (2) 학습능력(學習能力) 학습은 연습이나 경험을 통하여 정보나 기술을 습득하는 것. 연령이 증가할수록 학습능력은 저하된다.

66 (3) 기억력(記憶力) 기억은 외부에서 들어 온 정보를 기록(저장)했다가 회상 해 내는 것. 단기기억(5-10초 후 회상) :
노인에게는 상대적으로 약하다. 최근기억(1시간-며칠 후 회상) :  장기기억(오래 전에 일어났던 일로서 생의 과정을 통해서 자주 회상되었던 것) : 노인들은 상대적으로 더 잘 기억한다. 본 것의 기억 〈 들은 것의 기억 보면서 듣는 방식의 교육이 효과적이다.

67 (4) 사고능력(思考能力) 사고는 학습과 지각에 의하여 얻은 정보(자료)를 구별하고 분류하여 개념화 하는 것(과정)
나이에 따라 개념형성의 능력이 저하. 사고력 저하 교육 수준, 지능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는다. 과거의 교육, 추상화 또는 개념화의 경험이 많고 지능이 높으면 노인이 되어도 높은 사고력을 유지할 수 있다.

68 (5) 문제해결능력(판단력) 사고과정을 통해서 형성된 개념들로부터 논리적인 추리를 하여 결정을 내리는 것 (판단력 ).
연령에 따라 문제해결능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문제해결에 있어서의 오류도 연령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고집 말 것 그러나 이것도 교육수준, 지능, 직업, 동년배 집단효과 등에 영향을 받는다.

69 (6)창의성 인문학자•과학자•예술가의 연령별 업적
창의성(創意性) : 개인의 독특하고 발견적인 문제해결능력. # 창의성은 연령과 반드시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 어느 집단이나 30-60세 나이에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여준다. 예술분야는 40세를 정점으로 빠르게 쇠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과학자와 인문학자들은 60세 이후에도 활동이 거의 쇠퇴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70 3) 성격특성의 변화 우울증 경향 내향성 및 수동성 성역할의 양성화 경향 경직성 친근한 사물에 관한 애착심 조심성
과거에 대한 회상 유산을 남기려는 경향 의존성

71 1) 우울증 노년기 전반에 걸쳐 증가한다. 원인 : 신체적 질병, 배우자의 죽음, 경제적 사정의 악화, 사회와 가족들로부터의 소외 및 고립, 일상 생활에 대한 자기통제의 불가능, 지나온 세월에 대한 회한 ---- 증상 : 불면증, 체중감소, 감정적 무감각, 강박관념, 증오심 --- # 이런 현상이 전혀 없는 노인도 있다. -- 개인적 적응능력에 따라

72 2) 내향성(內向性) 및 수동성(受動性) 노인이 되면 : 관심과 주의를 외부의 사물이나 사건보다는 내면적인 자기자신에 돌리는 경향이 나타난다. 즉, 외부자극에 대한 반응보다는 자기자신의 사고나 감정에 의해서 사물을 판단하게 되는 경향이 많아진다. 객관성의 결여 〈 주관적 판단 문제를 적극적ㆍ능동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약해지고 (소극적),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 수동적으로 해결하거나 신비적으로 또는 우연히 잘 되도록 내 맡기는 경향이 증가 : 노인들을 상대로 하는 만병통치약을 파는 사기꾼에게 잘 속는다. 사이비종교에 빠져들기 쉽다.

73 3) 성역할의 양면성 남성 여성 접근

74 4) 경직성 경직성은 융통성에 반대되는 개념 어떤 문제 해결에 있어서 그 방법이나 행동이 옳지 않거나, 이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기에게 익숙해 있는 습관적인 태도나 방법을 고수하고, 이를 여전히 계속하려 하는 행동의 경향 보수성 이런 경향은 노인의 학습능력과 문제해결의 능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경직성(보수성)은 문화적, 경험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75 오래 사용해 온 물건에 대한 애착심이 많다 : 노인은 이사를 싫어한다. 쓰지 않는 물건도 버리지 않는다.
5) 친근한 사물에 관한 애착심 오래 사용해 온 물건에 대한 애착심이 많다 :   집, 가재도구, 사진, 골동품, 일용품 등등 노인은 이사를 싫어한다. 쓰지 않는 물건도 버리지 않는다. 시집 올 때 가져 온 옷을 한 번도 입어보지 않고 계속 보존 --- 아까워서

76 6) 조심성 : 보수성 노인들은 조심이 많다. --- 변화를 두려워 한다. 확실성을 기하기 위해서
「정답(正答)」을 말하기 보다 「오답(誤答)」을 말하지 않으려 한다 여론조사(무응답. 모르겠다) 변화를 두려워 한다.

77 7) 과거에 대한 회상(回想)의 경향 지나온 생(生)을 뒤돌아보고 회상하는 경향이 있다 과거의 일을 미화시킨다.
괴테 : "청년은 미래(희망)에 살고, 노인은 과거(추억)에 산다" 과거의 일을 미화시킨다. 과거의 과오(過誤) 또는 잘못에 대한 자기변명을 만들어 낸다. 참회가 필요하다. 자기의 무용담, 자랑거리를 과장해서 남에게 이야기하기를 좋아한다.

78 8) 유산을 남기려는 경향 남기고 싶어하는 것 : 자손, 예술작품이나 문학작품, 독특한 기술, 지식, 교훈(영적인 지식), 부동산, 돈(재물), 때로는 아름다운 기억 등등 일기, 자서전 등을 쓰도록 권유

79 9) 의존성 신체적ㆍ경제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의존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소득의 상실로 인한 경제적 의존성
신체적 기능의 약화로 인한 신체적 의존성 중추신경조직의 퇴화로 인한 정신적 의존성 생활에 있어서의 의미 있는 중요한 사람의 상실로 인한 사회적 의존성 (남편의 상실로 인한 가정과 사회에서의 힘의 상실, 아내의 사별로 인한 가사 일의 의존성) 심리적ㆍ정서적 의존성 --- 건강이 좋지 않을수록 더 커진다.

80 3. 사회적 특성 사회적 지위와 역할 변화 한국노인의 사회적 특성

81 1) 사회적 지위와 역할상실 퇴직과 소득의 감소 심신의 약화와 질병 가족의 보호기능의 약화 사회적 역할상실과 고립

82 ① 퇴직과 소득의 감소

83 ② 심신의 약화와 질병 “Senectus ipsa est morbus” : 늙음 그 자체가 병이다.

84 ③ 가족의 보호기능 약화

85 ④ 사회적 역할상실과 고립 성별•연령별 취업률

86 2) 한국노인의 사회적 특성 희생적 가족주의 가부장적 권위주의 자녀에 대한 의존성

87 수고하셨습니다.


Download ppt "노화의 주요측면과 노화이론 인간의 노화 노화이론 노인의 특성."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