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멀티미디어의 이해(이론학습)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적인 설명보다는 주관적으로 서술하였습니다 ENJSOFT 김기환 부장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멀티미디어의 이해(이론학습)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적인 설명보다는 주관적으로 서술하였습니다 ENJSOFT 김기환 부장"— Presentation transcript:

1 멀티미디어의 이해(이론학습)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적인 설명보다는 주관적으로 서술하였습니다 ENJSOFT 김기환 부장

2 목 차 1. 멀티미디어 개요 1) 멀티미디어 기본용어 2) 멀티미디어 장치 및 특징
목 차 1.  멀티미디어 개요 1) 멀티미디어 기본용어 2) 멀티미디어 장치 및 특징 3) 멀티미디어 활용 및 그 사례(Naver, Daum) 2.  편집기 주요 기능설명 1) 편집기 기능 및 구성 설명 2) 편집기 실습(Sample 파일추가, 효과, 글자, 음원적용 등) 3.  편집기 실습

3 1.  멀티미디어 개요 1) 멀티미디어 기본용어 2) 멀티미디어 장치 및 특징 3) 멀티미디어 활용 및 그 사례(Naver, AfreecaTV)

4 + Multimedia Text Image Video Audio 1. 멀티미디어 개요 1) 멀티미디어 기본용어
1. 멀티미디어 개요 1) 멀티미디어 기본용어 멀티미디어란 다수(Multiple)과 매체(Media)의 합성어. 디지털 형태의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영상과 같은 여러 형태의 데이터 및 정보를 결합 하여 만들어진 콘텐츠라 쉽게 정의 할 수 있습니다. * 멀티미디어 구성요소 Text Image Video + Audio Multimedia

5 1. 멀티미디어 개요 1) 멀티미디어 기본용어 1) 포맷(콘테이너) : 멀티미디어 포맷의 경우 오디오 + 비디오를 담아두는 규격입니다. 콘테이너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짐을 잘 정리하여 쌓아두는 곳처럼 동영상 포맷은 디양한 규격의 오디오와 비디오를 사전에 정의한 규칙에 맞도록 잘 배열하여 넣어두는 것입니다. ☞ 동영상 포맷 (예) wmv, mp4, avi, mov, m4v, asf, mpg 등 ☞ 오디오 포맷 (예) mp3, ogg, wma 등 ☞ 이미지 포맷 (예) jpg, gif, bmp, png 등 2) 프레임레이트 : 영상의 이미지의 연속으로 만들어 지는 것으로 프레임레이트란 것은 영상 1초당 몇장의 이미지로 만들어진 것인가를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필름을 돌려가며 영사기로 상영되던 영화를 떠올리시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1초당 프레임수가 많은 경우 화면의 움직임이 자연스러우며 적은 경우는 끊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6 1. 멀티미디어 개요 1) 멀티미디어 기본용어 3) 비트레이트 : 특정한 1초마다 처리하는 비트의 수를 말합니다.
1. 멀티미디어 개요 1) 멀티미디어 기본용어 3) 비트레이트 : 특정한 1초마다 처리하는 비트의 수를 말합니다. 예를들어 점 1,000개와 2,000개를 처리하여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영상의 품질은 확연하게 틀립니다. 이처럼 영상을 표현 및 전송하는 데 있어 비트레이트가 높을수록 화질이 선명합니다. 반대로 처리용량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인터넷 환경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4) 해상도(가로:세로) : 통상 일반TV(4:3) 비율과 Wide(16:9) 비율로 나뉘며 콘텐츠가 제공 되는 물리적 장치의 화면에 크기에 따라(TV, 모니터, 핸드폰 등) 콘텐츠 를 해상도 크기(인치당 픽셀 수)에 따라 맞춰 만들어 냅니다. 1,024×768는 가로 1,024개, 세로 768개의 픽셀로 모니터에 나타낸다 는 표시 인치당 몇 픽셀

7 1. 멀티미디어 개요 1) 멀티미디어 기본용어 5) 코덱 : 코덱은 Compress(압축)와 Devompress(복원)의 합성어로 Compress는 말 그대로 덩치가 큰 파일을 적절히 줄여서 압축을 하는 것이고 DECompress는 압축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모니터에서 재생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동영상 파일이 PC에 저장되어 있는 데 간혹 ‘코덱 정보가 없습니다.’ 라는 문구를 보신적이 있나요? 혹은 소리는 들리는 데 영상이 보이지 않거나 영상은 보이지만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경우가 있지 않으신가요? 위와 같은 경우에는 시스템(컴퓨터)내에 만들어 진 동영상 규격(포멧:콘테이너)에 비디오 코덱 또는 오디오 코덱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해독 을 할수없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때 인터넷엣 ‘통합코덱팩’을 검색하여 설치 하시면 대다수 영상 재생은 가능합니다.

8 1. 멀티미디어 개요 1) 멀티미디어 기본용어 Tip. 추천 통합코덱 Pack
1. 멀티미디어 개요 1) 멀티미디어 기본용어 Tip. 추천 통합코덱 Pack 앞서 설명드린 코덱은 그 종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무수히 많습니다. 이러한 코덱을 일일이 찾아 설치하기란 불가능하기에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일부 개발자들이 코덱을 모아 하나의 패키지로 만들어 배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합코덱 팩’ 이라 부릅니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검증되지 않은 통합코덱 팩을 설치하실 경우 간혹 바이러스를 심어져 있거나 이상한 광고프로그램을 섞어 배포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검증된 통합코덱팩을 설치하셔야 하기에 다음 패키지를 추천합니다. ‘K-Lite Mega Codec Pack’ ‘My free Codec Pack’

9 1. 멀티미디어 기본용어 2)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 특징 ※ 촬영(저장)기기
일반 사용자가 쉽게 촬영 할 수 있는 장치는 핸드폰(스마트폰)과 휴대용 캠코더나 카메라 가 있습니다. 단, 콘텐츠를 촬영함에 있어 향후 화면이 큰 TV나 PC 모니터 등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넉넉한 저장장치(메모리 카드 등)를 장착하시어 해상도를 크게 촬영하시면 고화질로 보존하실 수 있습니다. ※ 시청(PLAY)기기 촬영기기를 포함하여 TV, PMP, 디지털액자, 지하철 역사 등에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사이네즈, 전광판 등에서 감상 하실 수 있습니다. Cf. TV 구분 1) IPTV : 근래 가정에서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서비스로 셋톱박스 기반으로 다채널 방송의 VOD 콘텐츠를 원할 때 볼 수 있는 인터넷 기반의 TV를 말합니다. 2) Smart TV : IPTV와 외형은 똑같지만 셋톱박스가 필요없으며 TV내에 Windows와 같은 운영체제가 내장되어 있어 TV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도 가능하며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약없이 활용이 가능한 급성장하고 있는 서비스분야입니다. ※ 통상 범용적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영상이 플레이 되는 규격은 mp4 포맷에 Video Codec은 h.264 Codec이며 Audio Codec은 AAC 코덱으로 생성되어 활용됩니다.

10 1. 멀티미디어 기본용어 3) 멀티미디어 활용 및 그 사례 ※ 콘텐츠 창작 관점에서 구분
1) UCC(User Created Contents) :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로 재미난 영상 추억 등을 보다 멋지게 남기기 위해 만드는 콘텐츠며 개인 블로그, 미니홈피, SNS 등에 게시물 형태로 등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PCC(proteur created contents) : ‘프로’ 와 ‘아마추어’ 합성어로 콘텐츠의 신뢰성이 높으며 콘텐츠의 가치가 높은 편입니다. ※ 서비스 관점에서 구분 1) VOD : Video On Demand 쉽게 설명하면 ‘다시보기’ 기능이라 이해하시면 됩니다. 사용자가 요청 시 언제든지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서비스로 이미 콘텐츠가 생성 되어있는 형태의 서비스를 말합니다. 2) Live : 생중계 방송을 말합니다. 콘텐츠 활용 및 개인서비스 : 1) Naver blog 포스팅 ( 조금의 노력만으로 멋진 콘텐츠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2) 나우콤 Afreeca TV 실시간 방송 (촛불시위 또는 개인방송국 서비스)

11 2. 편집기 주요 기능설명 1) 편집기 기능 및 구성 설명
2) 편집기 실습(Sample 파일추가, 효과, 글자, 음원적용 등)

12 INDEX 1. 메인 화면 창 2. 편집 기능 설명 1-1. 전체화면 구성 13, 14 1-2. 플레이어 영역
이미지.동영상 파일 선택한 경우 15,16 1-3. 편집 메뉴 영역 17,18 1-4. 작업공간(Story Board) 영역 19 2. 편집 기능 설명 2. 파일 추가하기 2-1. 파일추가하기 20 2-2. Story Board에 담기 21 3. 효과 넣기 3-1. 영상효과 넣기 22 3-2. 전환효과 넣기 23 3-3. 클립아트 넣기 24 4. 글자 넣기 4-1. 글자 넣기 25 4-2. 오프닝 타이틀/ 엔딩 크레딧 넣기 26 5. 음악 넣기 5-1. 효과음 넣기 27 5-2. 배경음악 넣기 28 6. 저장하기 29

13 1-1. 전체 화면 창(1) 전체 화면 구성 1 2 플레이어 영역 내 컴퓨터에서 불러온 이미지 및 동영상 파일을 보여줍니다.
편집 서브 메뉴 영역 : 파일추가, 효과 넣기, 글자 넣기, 음악 넣기 등 메뉴 클릭 시 해당 페이지에서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작업공간(Story Board)영역 : 이미지나 영상 클립을 Story Board 영역으로 담은 후 전환효과나 영상효과 그리고 배경음악 또는 효과음을 삽입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History & 편집 툴 : (1) History : Story Board 영역에서 파일을 선택한 후 실행취소/실행반복 기능이 가능합니다. (2) 편집 툴 : 삭제하기, 복사하기, 붙여 넣기, 잘라내기를 단축키나 버튼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 4-1 4-2

14 1-1. 전체 화면 창(2) 전체 화면의 명칭 설명 1 5 2 6 7 메인 메뉴 영상 플레이어/ 이미지 편집 영역
재생 버튼 영역 동영상 구간 설정 편집 서브 메뉴 영역 파일 추가 버튼: 이미지/ 동영상 파일 불러오기 빈 화면 추가 불러온 파일의 썸네일 보기 파일 정보: 파일명, 용량 및 해상도 작업공간(Story Board)영역 (1) : 순서 표시 (2) : 이미지 파일은 화살표 버튼을 클릭 하거나 숫자를 입력하여 조절이 가능합니다. (3) : 영상효과 넣기 버튼 (4) : 텍스트 넣기 버튼 (5) : 배경음악 넣기 버튼 (6) : 클립아트 넣기 버튼 (7) : 클립 효과음 넣기 버튼 (8) : 전환효과 넣기 버튼 전체시간 표시 History 영역과 편집 툴(Tool) (1) : History 작업단계(실행 취소/ 실행반복) (2) : 삭제하기 (3) : 복사하기 (4) : 붙여 넣기 (5) : 잘라내기 : 클립 미리 보기/ 전체 미리 보기 하단 메뉴 (자세한 사항은 해당 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8 9 3 4 11 10 12 13 14

15 1-2-1. 플레이어 영역 (이미지 선택한 경우) 플레이어 영역 (이미지 선택한 경우) 1
클립 타이틀(제목) : 선택한 파일의 썸네일 선택 시에는 파일명이 제시되며, Story Board 영역에 제시된 클립의 썸네일 선택 시에는 선택한 클립 명이 제시됩니다. 우측회전 : 이미지가 오른쪽 90도로 회전 됩니다. 좌측회전 : 이미지가 왼쪽 90도로 회전 됩니다. 좌우대칭 : 이미지가 좌우로 대칭 됩니다. 상하대칭 : 이미지가 상하로 대칭 됩니다. 색 보정 : 색 보정을 적용하시면 색이 밸런스 되어 더욱 선명해 집니다. 뽀샤시 : 이미지를 화사하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흑백사진 : 컬러모드에 있는 색을 흑백모드로 전환시켜 줍니다. 2 3 4 5 6 7 8

16 1-2-2. 플레이어 영역 (동영상 선택한 경우) 플레이어 영역 (동영상 선택한 경우) 1
클립 타이틀(제목) : 선택한 파일의 썸네일 선택 시에는 파일명이 제시되며, Story Board 영역에 제시된 클립의 썸네일 선택 시에는 선택한 클립 명이 제시됩니다. 재생영역 : 영상 파일을 선택 시, 플레이어에서 재생을 하실 수 있습니다. 구간 설정 하기 : (1) 동영상 구간을 설정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합니다. (2) 버튼을 클릭하면, 구간 설정할 (시작점), (끝점), (자르기), (취소)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3) (시작점), (끝점) 설정 후 를 클릭하면 동영상 구간 설정한 부분만 작업공간(storyboard) 영역에 담기가 됩니다. 재생시간 : 재생시간/ 전체시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볼륨조절 : 조절 바를 마우스로 움직여서 크게 또는 작게 조절하실 수 있습니다 사운드 버튼을 누르면 음 소거를 하실 수 있습니다. 재생하려는 경우 클릭합니다. 재생 중 일시 정지 시 클릭합니다.(Toggle키) 재생 중 정지하려는 경우 클릭합니다. 재생 중 뒤로 가려는 경우, 앞으로 가려는 경우 클릭합니다. 5 2 3 4 구간 편집 시작점.끝점

17 1-3. 편집 서브 메뉴 영역(1) 편집 서브 메뉴 영역 1-1 1-2 1-3 1-4 1-5 1
편집 서브 메뉴 : 서브 메뉴 클릭 시 해당 효과를 적용하실 수 있습니다. (1) 파일추가 : 편집할 이미지, 동영상 파일을 불러 오기하여, 임시적으로 작업공간(Story Board영역)으로 담기가 가능합니다. (2) 효과 넣기: 클립을 선택 후, 영상효과, 전환효과, 클립아트 등을 이용하여 동영상 만들기 시 필요한 효과들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3) 글자 넣기: 클립을 선택 후, 클립에 들어가는 텍스트를 넣으실 수 있으며, 오프닝타이틀과 엔딩 크레딧을 넣으실 수 있습니다. (4) 음악 넣기: 클립을 선택 후, mp3 , wav 파일의 효과음과 배경음악을 원하는 클립에 대해 구간설정 후 삽입이 가능합니다. (5) 저장하기 : 편집한 영상들을 랜더링하여 저장한 후 사이트로 업로드 됩니다.

18 1-3. 편집 서브 메뉴 영역(2) 편집 서브 메뉴 영역 2 1 파일 추가 시 지원되는 파일들 - Movie File : avi, wmv, mpg, mpeg, asf, mov, flv - Image File : bmp, jpg, jpeg, gif, png, tif, tiff 위 지원 파일을 파일 열기 창에서 단일 또는 다수 파일 선택 후 파일 추가를 하실 수 있습니다. (윈도우 탐색기에서 바로 drag & drap 도 가능합니다.) [TIP] - 이미지 클립 : 디폴트 값이 3초이며, 시간 조절 가능 - 동영상 클립 : 디폴트 값은 원본 재생 시간이며, 구간 설정 가능 빈 화면 추가하기 : 이미지나 동영상 파일 이외에도 단일 색상의 화면을 추가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파일 정보 보기 : 이미지나 동영상 썸네일을 선택 시 파일에 대한 파일명과 용량 및 해상도를 보여줍니다. 이전단계/ 다음단계 : 파일추가→효과 넣기→글자 넣기→음악 넣기→ 저장하기 메뉴에서 각 메뉴 페이지 별 [이전단계] 클릭하면 이전 단계로, [다음단계]클릭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삭제 : 삭제할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을 선택 후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불러온 파일이 삭제됩니다 교체 : 작업공간에 담기 한 파일을 다른 파일로 교체하실 때 의 교체할 파일 선택 후 [교체] 버튼을 클릭하면 교체가 됩니다. 담기 : 파일 추가한 이미지나 동영상을 [담기] 또는 Drag 하여 작업공간으로 담기를 하실 수 있습니다. 3 4 5 6 7

19 1-4. 작업공간(Story Board)영역 작업공간(Story Board)영역
효과적용하기 : 작업공간에 담겨진 이미지나 동영상 파일을 선택 후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 영상효과 넣기 버튼 (2) : 텍스트 넣기 버튼 (3) : 배경음악 넣기 버튼 (4) : 클립아트 넣기 버튼 (5) : 클립 효과음 넣기 버튼 (6) : 전환효과 넣기 버튼 전체시간 : 동영상 편집 시 전체 재생시간을 보여줍니다. 실행 취소/ 다시 실행(History) : Story Board 영역에서 파일을 선택한 후 실행취소/실행반복 기능이 가능합니다. Edit Tool 영역 : Story Board 영역에서 클립을 삭제하기, 복사하기, 붙여 넣기, 잘라내기 가능합니다. (1) : 삭제하기 (2) : 복사하기 (3) : 붙여 넣기 (4) : 잘라내기 클립 미리 보기 : 해당 클립에 대해 인코딩 후 미리 보기를 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미리 보기 : 전체 미리 보기는 인코딩 후 전체 미리 보기를 하실 수 있습니다. 1 3 4 5 6 2 7

20 2-1. 파일 추가하기 Click 파일 추가하기 1 파일 추가하기 파일추가 버튼을 클릭 후 파일 열기 창에서 원하는 파일을 Drag후 불러올 수 있습니다. [TIP] 윈도우 탐색기에서 편집기의 파일 추가 부분으로 바로 Drag & Drop 하여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lick

21 2-2. 작업공간(Story Board) 에 담기
Drag 1 작업공간(Story Board) 에 담기: 1) 파일 추가한 이미지 및 동영상 파일을 작업 공간에 넣기를 합니다. 2) 파일을 선택 후 [담기] 버튼을 누르거나 드래그(Drag) 하여 작업 공간에 삽입합니다. [TIP] 불러온 파일을 파일 추가 영역에서 파일 선택 후 [삭제] 버튼 클릭 작업공간(Story Board)영역에서 다른 이미지 또는 동영상 클립으로 바꾸고 싶을 때 [교체] 버튼 클릭 불러온 파일을 작업공간(Story Board)에 담기 할 때 [담기] 버튼 클릭 이전 단계의 서브 메뉴로 이동됩니다 다음 단계의 서브 메뉴로 이동됩니다. [Story Board 로 담기] 파일을 선택 후 [담기] 버튼을 누르거나 드래그(Drag) 하여 작업 공간에 삽입합니다.

22 3-1. 영상 효과 넣기 영상 효과 넣기 2 Story Board 의 클립 선택하기 작업 공간(Story Board)에 있는 클립을 선택합니다. (영상효과 넣기는 이미지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모두 적용 가능합니다.) 영상효과 메뉴 선택하기 : 클립 선택 후, 메뉴 영역에서 [효과 넣기]의 [영상효과] 메뉴를 클릭합니다. [TIP] 편집기 메인 메뉴나 서브 메뉴 선택이 가능합니다. 스토리보드의 영상효과 아이콘을 누르면 영상효과 페이지로 링크되어 영상효과를 삽입 하실 수 있습니다. 영상효과 적용하기 : 원하는 영상효과를 선택하여 [적용] 버튼을 클릭 후 [예]를 클릭하면, 영상 효과가 적용됩니다. 영상 효과 [적용] 표시 확인 하기 : 영상 효과가 적용되면 아이콘이 붉은 색으로 표시됩니다 → [TIP] 영상 효과 선택 후 클립 위에 마우스로 Drag 시 바로 적용 됩니다. 3 1 4

23 3-2. 전환 효과 넣기 전환 효과 넣기 2 Story Board 영역의 전환효과 아이콘 선택하기 : 장면과 장면 사이에 있는 를 선택합니다. (전환 효과는 장면과 장면 사이 효과를 삽입하는 기능으로 장면이 전환되면서 보여지는 효과입니다. 작업공간에 클립이 한 개 있을 때에는, 전환효과를 적용할 수 없습니다.) [전환효과] 메뉴 선택하기 : 를 선택 후, 서브 메뉴에서 [효과 넣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TIP] 편집기 메인 메뉴나 서브 메뉴 선택이 가능합니다. 스토리보드의 영상효과 아이콘을 누르면 영상효과 페이지로 링크되어 영상효과를 삽입 하실 수 있습니다. 전환효과 종류 선택하기 : 원하는 전환효과를 선택하여 [적용] 버튼을 클릭 후 [예]를 클릭하면, 영상 효과가 적용됩니다. 전환효과 변경하기 : 전환 효과를 다른 효과로 선택 하여 적용되면 기본 값(Cross Dissolve) → (Revolving Cube)로 표시됩니다. (여러 가지 전환효과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 3 1 4

24 3-3. 클립아트 넣기 클립아트 넣기 1 클립아트 메뉴 선택하기 : 상단 메뉴 [효과 넣기] 중 [클립아트] 페이지에서 넣으실 클립아트를 선택합니다. 클립아트 종류 선택하기 : 원하시는 클립아트를 선택 후 [적용]을 클릭 합니다. 클립아트 [적용] 표시 확인하기 : 클립아트가 적용되면 → 로 표시됩니다. [TIP] 클립아트 효과 적용된 것을 확인하시려면, [저장하기] 에서 저장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3

25 4-1. 선택된 클립(텍스트 넣기) 글자 넣기 글자 입력과 설정하기 : (1) 텍스트 입력 : 클립에 넣을 문구를 입력합니다. (2) 글자 위치 적용 : 9개 위치 중 알맞은 위치 선택 (플레이어에서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도 있습니다.) (3) 애니메이션 스타일: 입력한 글자에 삽입할 애니메이션을 선택합니다. (4) 글자 적용 시간 : 글자 애니메이션 적용하는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조절 적용 하기 : 텍스트 입력, 글자위치, 애니메이션 스타일 종류 선택, 글자적용 시간을 옵션으로 선택한 후 [적용]을 클릭 합니다. 글자넣기가 적용되면 → 로 표시됩니다. [TIP] 텍스트 입력된 것을 확인하시려면, [저장하기]에서 저장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1 1-2 1-3 1-4 2

26 4-2. 오프닝 타이틀/ 엔딩 크레딧 넣기 오프닝 타이틀/ 엔딩 크레딧 넣기
4-2. 오프닝 타이틀/ 엔딩 크레딧 넣기 오프닝 타이틀/ 엔딩 크레딧 넣기 글자 입력과 설정하기 : (1) 텍스트 입력 : 클립에 넣을 문구를 입력합니다. (2) 글자 위치 적용 : 9개 위치 중 알맞은 위치 선택 (플레이어에서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도 있습니다.) (3) 효과 선택 및 속도조절: 엔딩 및 오프닝에 들어갈 효과를 선택 후 속도를 조절하여 적용합니다. 적용 하기 텍스트 입력, 글자위치, 효과선택 및 속도조절을 선택한 후 [적용]을 클릭 합니다. [TIP] 오프닝과 엔딩 적용된 것을 확인하시려면, [저장하기]에서 저장한 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1 1-2 1-3 2 3 3

27 5-1. 효과음 넣기 효과음 넣기 그냥 [적용]을 클릭하신후 : 문구 삭제 1
효과음 선택하기 : 클립 효과음 리스트에서 원하는 효과음을 선택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크게 보기] 버튼 클릭 후 종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한 클립당, 효과음을 4개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효과음 설정하기 확인 창 : 선택한 효과음을 선택 후 재생, 구간설정, 옵션설정 후[적용]을 합니다. 적용된 효과음을 삭제하시려면, [효과음]탭의 x(삭제) 버튼을 클릭하시면 삭제가 됩니다. [구간 설정하기] 효과음 선택 후, 시작점과 종료 점을 조절하면 효과음 구간이 적용됩니다. [세부 옵션 설정하기] (1) 적용시간: 배경음 적용할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설정합니다. (2) 클립 내 반복 체크 (3) 페이드 효과인.아웃(Fade-in/Fade-Out): 음악의 처음 음량을 천천히 증가 시키고, 끝 부분을 천천히 감소 시키는 기능 (4) 볼륨 조절하기 (5) 적용 위치 지정하기 3. 효과음 [적용] 확인하기 : 선택한 클립에 배경음악 넣기를 하시면 > 적용됩니다. 3 그냥 [적용]을 클릭하신후 : 문구 삭제 2-1 2-2 2-3 2-5 2-4

28 5-2. 배경음악 넣기 배경음악 넣기 1 배경음악에 들어갈 음악파일 추가하기 : 내 컴퓨터에 저장된 mp3, wav 파일 중 배경음악으로 적용하고 싶은 파일을 불러옵니다. (불러온 음악을 삭제하시려면, 휴지통을 클릭하세요.) 배경음악 설정하기 : 음악 파일 추가 후 적용시간, 적용 위치, 반복 설정, 페이지 효과 옵션을 설정하신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구간 설정하기] 재생 버튼 클릭 후 배경음악의 시작점과 종료 점을 설정하면, 해당 구간의 배경음악이 적용됩니다. [세부옵션 설정하기] (1) 적용시간: 배경음 적용할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설정합니다. (2) 반복 체크 (3) 페이드 효과인.아웃(Fade-in/Fade-Out): 음악의 처음 음량을 천천히 증가 시키고, 끝 부분을 천천히 감소 시키는 기능 (4) 볼륨 조절하기 (5) 적용 위치 지정하기 3. 배경음악 넣기 [적용] 확인하기 : 선택한 클립에 배경음악 넣기를 하시면 > 적용됩니다. 3 2-1 2-2 2-3 2-4 2-5

29 6. 저장하기 저장하기 1 저장하기 메뉴 선택하기 : 편집한 동영상을 저장하시려면 [저장하기] 페이지를 클릭합니다.
저장하기 메뉴 선택하기 : 편집한 동영상을 저장하시려면 [저장하기] 페이지를 클릭합니다. 동영상 저장 및 서버로 저장하기 : [동영상 저장하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동영상 저장 완료 후 ‘서버로 저장하시겠습니까?’에서 [예]를 클릭하면 ‘서버에 저장하기 창’이 뜹니다. 서버에 저장하기에서 제목과 설명을 입력 후 [전송]을 클릭하시면 동영상과 내용이 함께 전송됩니다. Click 2

30 멀티미디어 기본 이론과 편집기에 대한 개요를 끝내고 잠시 10분간 휴식 후 실습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시간에는 다양한 샘플콘텐츠를 활용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보는 실습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Download ppt "멀티미디어의 이해(이론학습)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적인 설명보다는 주관적으로 서술하였습니다 ENJSOFT 김기환 부장"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