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목 차 Contents 1 기후변화협약 2 온실가스 인벤토리 3 CDM 사업.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목 차 Contents 1 기후변화협약 2 온실가스 인벤토리 3 CDM 사업."— Presentation transcript:

0 기후변화대응 온실가스 인벤토리 및 CDM 검인증 소개

1 목 차 Contents 1 기후변화협약 2 온실가스 인벤토리 3 CDM 사업

2 Ⅰ. 기후변화협약

3 1.기후변화협약 실행체계 기후변화협약 교토 의정서 교토 메카니즘 Non-Annex I Annex I Annex I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안정화 1992년 체결 교토 의정서 선진국의 감축목표 설정 / 실천방안 제시 1997년 12월채택 2005년 2월 발효 교토 메카니즘 Non-Annex I CDM CDM Annex I ( 의무국 ) Annex I ( 의무국 ) JI사업 배출권거래

4 2.기후변화대응 단계별 접근 방법 측 정 인벤토리 구축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관리) 외부환경분석, 내부환경분석 분 석
2.기후변화대응 단계별 접근 방법 분 석 전략설정 시스템구축 실 행 측 정 외부환경분석, 내부환경분석 -> 위험 및 기회요소 파악 온실가스 전략방향 수립 인벤토리 구축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관리) 기후변화 대응 조직체계 구축 실천계획 수립 및 감축사업 발굴

5 Ⅱ 온실가스 인벤토리

6 1. 기업 온실가스 인벤토리 온실가스 인벤토리란 : 기업 활동으로 인해 배출되는 모든 온실가스를 파악,
기록, 보고하는 총괄적인 온실가스 관리시스템 Scope 1 (필수) 고정연소 배출원 공정 배출원 이동연소 배출원 누출 배출원 Scope 2 (필수) 구입전력 구입스팀 Scope 3 (선택) 기타 간접 배출원

7 기업 이미지를 위한 배출량 공개 및 온실가스 프로그램 참여
2. 인벤토리 구축 목적 및 검증의 필요성 Risk 설정관리 (감축목표) 및 감축 잠재량 파악 온실가스 관련 규제에 따른 향후 발생 가능한 Risk 관리 비용효과적인 감축 기회 파악 온실가스 측정, 보고 절차 수립 및 전담조직 구성 기업 이미지를 위한 배출량 공개 및 온실가스 프로그램 참여 온실가스 배출량(탄소정보) 공개 로 기업 환경이미지 개선 향후 감축 목표치 설정으로 감축프로그램 참여 확대 CDM사업, 온실가스 배출감축사업 등 국내외 인센티브수혜 향후 정부의 강제적 배출량 보고 의무 대비 “Early Bird” 웹기반의 온실가스 관리시스템 기능향상 강제적 보고 프로그램 대비 향후 배출권거래를 위한 준비 탄소세 대비 온실가스 시장 참여 베이스라인 보호 조기행동에 대한 신뢰성 확보 에너지이용설비의 실 에너지사용량파악, 자료의 정확성 제고 조기 자발적 활동 대외인정 및 에너지절감계획 완전성 향상

8 3. 인벤토리 작성 기준 기업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지침서 (2006. 에너지관리공단)
기업 온실가스 인벤토리 검증 가이드라인 ( 에너지관리공단 ) GHG Protocol ( 2001.WRI/WBCSD : 산정 및 보고기준) IPCC (1994. 국가 인벤토리 가이드라인) ISO (KS A ISO , 2006) EU-M&R Guideline (2004) Japan Guideline (2005)

9 4. 인벤토리 구축 절차 구축조직 구 성 구축기준 수 립 인벤토리 구 축 가이드라인 인벤토리 조사/분석 구축절차 인벤토리
구 성 자료수집 및 양식 작성 구축기준 수 립 인벤토리 구 축 가이드라인 조사/분석 인벤토리 구축절차 인벤토리 검 증 감축사업 발굴/추진

10 5. 인벤토리 검증프로세스 + 1 단계 2 단계 3 단계 착수회의 (Kick-off Meeting) 문서검토 (리스크 분석)
및 자료보완 요청 현장 평가 지적사항 시정조치 검증보고서/검증성명서 작성 내부심의 검증성명서 발행 검증팀장 검증팀원 조직 검토 위원 행정 담당 + 1 단계 2 단계 3 단계

11 6. 국내 인벤토리 구축 및 검증 현황 2008 년 : 업종별 시범검증사업 추진중 2007년 2006년 2005년 이전
- 세아베스틸 등 7개기업 추진 예정 2007년 서부발전, LG화학, 롯데대산유화, LG마이크론 등 6개기업 삼성그룹, POSCO 등은 자체적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한화석유화학, 금호석유화학, GS Caltex 등 개별 검증실시 2006년 SK 울산복합단지, LG화학 청주공장, 울산공장 2005년 이전 기아자동차 : BSI(화성공장), DNV(전체공장) 검증 삼성전자 : 에너지관리공단- KFQ 검증

12 7. 산업체 인벤토리 검증 지원체계 업무협약 인벤토리 구 축 인벤토리 검 증 검증서 수 여 <산업체> 사업장 대표
구 축 인벤토리 검 증 검증서 수 여 <산업체> 사업장 대표 <공 단> - CDM인증원장 <산업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공 단> - 전문교육 실시 <산업체> 자발적 감축목표 제시 탄소시장 참여 적극 추진 <공 단> - 검증 실시 <산업체> 홍보, 시스템화 추진 등 <공 단> - 검증서 수여

13 Ⅲ. CDM 사업

14 1. 교토의정서 선진국의 온실가스 의무감축 목표 설정(39개국)
1차 의무이행기간(’08~’12) 동안 ’90년 대비 평균 5.2% 감축 감축대상 온실가스 : CO2, CH4, N2O, HFCs, PFCs, SF6 교토메카니즘 도입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JI(Joint Implementation) ET(Emission Trading)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흡수원(sink) 활용 인정

15 2. CDM이란 개도국(non-Annex I 국가)에서 시행되는 온실가스 감축사업
사업에 의한 감축실적 크레딧(CER)은 선진국 (Annex I 국가) 의 온실가스 감축의무에 사용 (1CER = 1CO2톤) 해당 국가에서 일반적으로 보급된 사업은 CDM사업에서 제외 (추가성)

16 3. CDM사업 분야(15개) 구분 사업분야 사업 예시 1 에너지산업(재생에너지/일반)
재생에너지 발전(태양광, 풍력), 열병합, 폐열회수 발전 2 에너지 송배전 송배전, 지역난방배관 효율향상 3 에너지 수요관리 증기시스템 효율개선, 양수펌프 효율개선 4 제조업 연료전환, 폐열회수 5 화학산업 아디핀산 생산시설 N2O 감축, 6 건 축 - 7 수 송 온실가스 저배출 자동차 이용 8 채광, 광물생산 탄광 또는 석탄층에서의 메탄 포집 9 금속생산 알루미늄 공장에서 양극효과(anode effect) 때문에 발생되는 PFC를 줄이는 사업 10 연료 탈루성 배출 석유시추정 가스 포집, 가스 배관 누출 방지 11 HFCs, PFCs SF6 탈루성 배출 HFC23 소각 12 유기용제 사용 13 폐기물 관리 및 처리 매립지, 축분 메탄 포집 14 신규조림 및 재조림 황무지 재조림 15 농 업 축분, 축산폐수 메탄 포집

17 4.CDM사업의 종류 규모별 구분 참여형태별 구분 대규모 사업 : 소규모 사업을 제외한 사업 소규모 사업
용량이 15MW 이하인 재생에너지 사업 연간 60GWh 이하의 에너지 효율향상 사업 연간 60,000 CO2 톤 이하를 감축하는 기타 온실가스 감축사업 참여형태별 구분 Bilateral(Multilateral) : 선진국(Annex I 국가)과 개도국이 모두 참여하는 사업 Unilateral : 등록단계에서 선진국의 참여없이 개도국 단독으로 수행하는 사업(단, CER의 계좌이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는 선진국의 승인서 필요)

18 5. CDM사업 절차 1. 사업계획서(PDD) 작성 : 사업참여자(Project Participants)
2. 타당성확인(Validation) : CDM운영기구(DOE) 해당 CDM사업이 관련 기준에 부합여부평가 3. 참여당사국 승인 : 국가승인기구(DNA) 유치국(Host Party)의 DNA가 해당 CDM사업이 지속가능한 개발에 기여여부 평가 등록단계에서는 선진국(Annex I)의 승인서가 없어도 가능 4. 등록 : CDM집행위원회(EB) PDD 및 타당성확인 보고서 등을 토대로 등록여부 결정 5. 모니터링 : 사업참여자(Project Participants) PDD에 기술된 모니터링 계획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량 산출 데이터 기록 6. 검증 및 인증(Verification & Certification) : CDM운영기구(DOE) 검증은 모니터링된 온실가스 감축량을 확인하는 행위 인증은 검증된 온실가스 감축량에 대해 DOE가 서면으로 보증하는 것임 7. CER 발행 : CDM집행위원회(EB) 인증된 온실가스 감축량에 해당하는 CER 발행 발행시 CER의 2%는 개발도상국을 지원기금으로 공제

19 6.국내 CDM사업 등록현황 NO 사 업 명 유형 연간감축량 (천tCO2) 기간 크레딧 발급시작일 1
울산화학 HFC 열분해사업 HFCs 1,400 7 2 온산 로디아 N2O 감축사업 N2O 9,151 3 강원풍력발전 (14*2+35*2=98 MW) Wind 149 10 4 시화조력발전 (254MW) Tidal 315 5 영덕풍력발전 (40MW) 60 6 수자원공사 소수력 발전 (4.74MW) Hydro 지역난방공사 강남지사 연료전환 Fuel switch 35 8 동해태양광발전 (1MW) Solar 9 휴켐스 질산공장 N2O 제거사업 1,268 수자원공사 소수력 발전 2 (3.125MW) 11 양양 재생에너지사업 (풍력 3MW, 소수력 1.4MW) 12 수도권매립지 가스 이용 전력생산사업 Landfill gas 1,210 13 남동발전 소수력 (영흥 3MW, 삼천포 2.97MW) 21 14 울산 한화 질산공장 N2O 감축사업 281 15 대구 방천리 매립지 가스 405 16 한경풍력발전 2단계 29 17 수자원공사 방아머리풍력발전

20 7. 온실가스 감축 관련 정보제공 < 2007년도 추진 > CDM사업 경제성분석 모형(프로그램) 개발 기업에 제공
7. 온실가스 감축 관련 정보제공 < 2007년도 추진 > CDM사업 경제성분석 모형(프로그램) 개발 기업에 제공 재생에너지, 효율향상, 바이오매스 등 총 20개 분야 대상 사업규모, 예상 감축량, 투자금액, 사업별 특성 등 다양한 리스크 요소 반영 CDM사업 베이스라인 방법론맵(지도) 작성 보급 15개 CDM 분야의 방법론을 심층 분석을 통해 분야별, 기술별 ,방법론지도 < 2008년도 추진 > 인벤토리 검증 가이드라인 제정, 시행 기업 인벤토리 작성 해외 우수사례 조사․분석 배포 본격적인 온실가스 검증 대비, 해외 산업체 검증 실제사례(EU-ETS, 일본) 조사 분야별 방법론별 국내사업 인증 적용성 조사 및 분석 제공 CDM사업 추진시의 핵심요건인 베이스라인 방법론을 기술분야별 인증사례 중심으로 세부 분석후 기업에 제공 < 홈페이지 > 주소 : 국내외 CDM사업 현황(매주 업데이트) 경제성분석 프로그램 및 방법론맵 제공 국내외 온실가스 관련 정보 등 지속제공

21 8. 온실가스 실무전문가 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대상 2008년부터 온실가스 인벤토리와 CDM사업에 대해 실제
사례 위주의 교육과정 마련 교육대상 기업의 온실가스 관련 부서장 및 실무자 기업의 환경경영시스템 운영 부서장 및 실무자 10. 8 ~ CDM사업 실무전문가과정 4차 9. 3 ~ 9. 5 기업인벤토리 실무전문가과정 3차 6. 18 ~ 6. 20 2차 2박 3일 합숙교육 온양 그랜드 호텔 500 천원 4. 16 ~ 4. 18 1차 비   고 교육 장소 교육비 교 육 기 간 과 정 명 차수

22 <참고> CDM인증원 홈페이지

23 -----------------------------------------
감사합니다 Thank you! 에너지관리공단 CDM인증원 전화 : ~5


Download ppt "목 차 Contents 1 기후변화협약 2 온실가스 인벤토리 3 CDM 사업."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