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이러닝 세계화 - 한국의 교육정보화 교육수출 전략 -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이러닝 세계화 - 한국의 교육정보화 교육수출 전략 -"— Presentation transcript:

1 이러닝 세계화 - 한국의 교육정보화 교육수출 전략 -
이러닝 세계화 - 한국의 교육정보화 교육수출 전략 - 장 창 헌 (교육과학기술부 이러닝지원과)

2 목 차 한국의 ICT 교육 배경 교육원조(유·무상원조) 현황 III 전략적 교육수출(이러닝세계화)

3 I 한국의 ICT 교육 배경

4 ICT 활용교육의 의의 :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
교수학습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 지식기반 사회에 ICT 활용을 통한 인적자원 개발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육평등권 강화 학생들의 적극적 사고로의 변화 인터넷 사용 환경 개선 학생들의 요구 변화 교육 환경의 변화 다양한 교육 방법 교육 콘텐츠 변화 7차 교육과정 – 학생 개개인별 맞춤형 학습 제공

5 ICT 활용교육의 연혁 및 발전과정 마스터 플랜 I 마스터 플랜 II u-러닝 단계 이러닝 ICT 활용 초기 인프라 구축단계
1996 ~ 2000 2001 ~ 2003 2004~2005 2006 ~ 현재 모든 학교에 ICT 인프라 구축 - 1교사 : 1PC - 학급의 인터넷 접속 교육정보 서비스 시스템 EDUNET ICT 교육훈련 컨텐츠 개발 및 보급 - 표준화 - 교육자원공유 (ERS) 교수학습 지원센터 교육행정 정보시스템 NEIS ICT 활용을 위한 교사 연수 사이버가정 학습 EBS 비디오 스트리밍 컨텐츠 교육자원공유(ERS) 를 위한 표준규격으로서의 한국 교육 메타데이타 미래교육 R&D - u-러닝 시범 프로젝트 - 디지털 교과서 ICT 교육과정 학교장 리더십 연수 대학 이러닝 지원센터 마스터 플랜 I 마스터 플랜 II 마스터 플랜 III

6 ICT 활용교육의 성과 교사 86%, 수업 중 ICT 활용 (KERIS, 2004) 학생 99.6%, 학습 목적 ICT활용
초 · 중등 교육 학생들의 ICT 활용 학습 교사 86%, 수업 중 ICT 활용 (KERIS, 2004) 학생 99.6%, 학습 목적 ICT활용 - OECD 회원국가 내에서 2위(OECD, ’03) ICT 활용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지수 : 71.1 (OECD, 2005) - OECD 회원국 평균 : 64.2 고등 교육 학술연구정보서비스시스템(RISS) 사용자: - 교직원 : 60% - 대학원생 : 62% 대학의 이러닝 채택율(2006) : 56.7% 17개 가상 대학교

7 국가발전의 핵심동력인 교육성과에 대한 자신감
교육의 양적 성장 및 질적 우수성 입증 초․중등 교육 국제 학업성취도평가에서 우수한 평가 OECD PISA 2003 : 문제해결력 1위, 읽기 2위, 수학 3위, 과학 4위 세계수준의 석ㆍ박사 우수인력 양성 체제 구축으로 연구역량 풍부 SCI급 논문 순위 : 9,444편(18위, '98)→ 12,013편(16위, '00)→ 23,515편(12위, '05) 세계 최고 수준의 IT기반과 교육정보화 여건 보유 이러닝 준비도 : 아시아 1위(세계5위) 제1회 유네스코 교육정보화상 수상(’07. 1.) 이러닝 품질관리 체제 ISO 9001 인증 획득(’07. 12) 인적자본 확충을 한국 경제성장과 민주화의 핵심요인으로 평가 (’06. World Bank)

8 운영체계 시·도교육청 - 마스터 플랜 구축, 사업관리 및 국고보조금 교부결정 교육과학 기술부 - 이러닝세계화 사업 운영지원
교육과학기술부 - 마스터 플랜 구축, 사업관리 및 국고보조금 교부결정 보조사업기관(KERIS, APEC 국제교육협력원 등) - 이러닝세계화 사업 운영지원 보조사업기관 시·도교육청 시·도교육청 - 전략적 사업 실행 및 지역 교육예산 할당

9 교육수출(유·무상원조) 현황 II

10 교육수출 현황(무상원조 포함) 교육시설 및 특별연수 직업훈련 고등교육 교육정책 및 행정관리 중고등학교교육 취학전교육
루앙프라방 지방국립대 건설 교육정보화 직업훈련원 개선 직업훈련원 건립 직업훈련센터 건립 직업교육시설 개선 사업명 '06 라오스 대학 건설사업 우즈벡 사업 니카라과 '03 '02 캄보디아 직업훈련 관련사업 과테말라 스리랑카 '04 탄자니아 연도 국가 분야 교육시설 및 특별연수 직업훈련 고등교육 교육정책 및 행정관리 중고등학교교육 취학전교육 ※ KOICA 대외무상원조 교육분야 실적 : 14,006백만원(전체 251,086백만원 중 16.3%, ’07기준) ※ 수출입은행 교육분야 대외유상원조 실적 : 307,725백만원(’91년부터 현재까지 3,186,570백만원 중 9.7%)

11 교육수출을 통하여 자원외교의 새 지평 개척 지식기반경제에 부응하는 경제성장 및 수출 전략 창출
소프트웨어 수출이 하드웨어 수출을 지원ㆍ주도하도록 전환 호주 : 교육이 3대 수출 산업 중 하나(1위 광물자원, 2위 관광, 3위 교육) 교류협력국 중심으로 우리의 교육에 대한 벤치마킹 수요 확대 브라질 사회경제개발부 차관 : 한국교육모델 벤치마킹 의사표명 ('06. 9) 바레인 : 교육개혁 추진을 위해 교육정책전문가 자문 요청 ('07. 1)`등 수요증대 교육수출을 자원외교의 지렛대로 활용 자원 확보 및 해외 진출 선점을 위해 공적개발원조(ODA) 전략적 활용 우즈벡 : 교육정보화 EDCF 컨설팅 수주(300억원) 콜롬비아 : 교육정보화 EDCF 컨설팅 수주(300억원) 사우디 이러닝 연수프로그램 교육수출(’09. 4억원)

12 교육수출 문제점 교육수출용 콘텐츠 미비 불규칙적 사업수요에 따른 단발적 콘텐츠 제공 교육수출 관련 전문가 부족
전문요원 양성, 원조경험 전수 등 교육기관 부족 우수한 민간경쟁력을 활용할 수 있는 민간업체 네트워크 부재 개발 NGO 및 교육연구기관의 전문성 활용 부족 교육수출 관련 전문가 부족 국제개발기구와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미흡 개발 NGO 등 시민사회와의 연계부족으로 민간역량 활용 미진 대외원조 관련기관간 파트너십 부족

13 전략적 교육수출(이러닝세계화) III

14 이러닝세계화 사업이란?. 세계적 성공모델이 되고 있는 한국의 이러닝 시스템과 경험을 국제사회에 적극 홍보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 강화 선진국 및 글로벌 거버넌스 등과의 교류·협력을 통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이러닝 역량을 강화하고, 이러닝 정책 전파에 기여 국가간 교육정보 격차 해소에 적극적으로 동참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의 신뢰성을 구축하고, 우리의 이러닝 강점분야를 교육수출로 연계 전략적 투자협력 대상국에 이러닝 인프라 지원 및 연수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국가간 교육정보 격차 해소에 기여 이러닝 교육에서 우리의 우수성을 세계에 각인시켜 우리나라 IT 기업의 해외진출 기반 조성

15 이러닝 세계화 목표 및 추진방향 철저한 수요분석에 기초하여 전략적 투자협력대상국 선정 지식정보격차 해소 및
교육정보화정책 및 디지털교과서 등 우리의 이러닝 강점분야가 교육수출로 이어지도록 기반 구축 지식정보격차 해소 및 우리의 이러닝 강점분야 교육수출 진단 -> 컨설팅 -> 사후관리의 3단계 교육수출 체제 구축

16 전략적 교육수출(이러닝 세계화) 전략적 투자·협력 대상국에 이러닝 인프라 및 기술지원
e-러닝 전문 산업체와 전문인력의 해외진출 기반 마련 재구성 컴퓨터 지원 : 14,102대 ('05년 ~ ’08년) 정책결정가 및 선도교원 연수를 통한 노하우 전수 : 25개국 1,936명 ('05년 ~ ’08년) 이러닝 국제컨설팅을 통한 교육수출 연계 정부간 신뢰를 바탕으로 한 정부와 학계 구성한 컨설팅단 운영 국제기구의 다자간 원조와 연계 국제기구와 공동 ICT 리더십 연수 및 이러닝 국제컨퍼런스 개최(20개국, 2,024명 참가) 국제표준을 선도하여 디지털교과서 플랫폼 및 콘텐츠 관련 해외시장 선점 관련 부처(지경부, 문광부) 및 산업체와 협력 개발로 대외경쟁력 강화 차세대 이러닝 콘텐츠 상품으로서 디지털 교과서 개발

17 전략적 교육수출(이러닝 세계화) 교육훈련 분야 대외원조 비중 확대 유무상 ODA 의사결정과정에 교육과학기술부 적극적 참여
관련부처(기재부, 수출입은행)와 EDCF 자금 규모 협의(약 4,300억) 부처간 협조를 통해 국제기구의 기금 활용 방안 모색 교육원조관련 민관협의회 등을 통해 NGO 및 기업체의 역량 활용 교육연구개발 기관간 연계로 교육원조관련 조사ㆍ연구 효율화 국제기구(WorldBank, OECD 등)와 원조사업 공동추진 대외원조기관간 네트워크 강화

18 이러닝세계화 예산(’09년도) 년 도 금액 세부 내용 ’06-’08 10,100백만원 ’09 2,250 백만원
’09 2,250 백만원 ㅇ 국제기구 및 다자간 이러닝 협력사업 추진 : 500백만원     ㅇ 전략적 투자대상국 이러닝 인프라 및 기술지원 : 663백만원   가. 교육정보화 국가정책 및 기술지원 컨설팅   나. 전략적 투자대상국 재구성 PC 지원   다. 이러닝게이트웨이 운영   라. 전략적 투자대상국 IT지원단 파견    마. 교육수출 홍보자료 제작 ㅇ 이러닝 연수 및 경험전수 사업 : 1,087백만원   가. 전략적 투자대상국 선도교원 연수   나. APEC 이러닝 연수프로그램 운영   다. 한-월드뱅크 공동 이러닝 연수프로그램 운영

19 전략적 교육수출(이러닝 세계화) 우즈벡, 교육정보화 수출 (3천만불) 카자흐, 교육수출 MOU 체결예정 몽골 교육정보화 컨설팅
(’07.12) 도미니카 교육정보화 컨설팅 (’06.12) 한-월드뱅크 공동 이러닝 아프리카 컨퍼런스 세미나(’08.4) 동남아 국가 연수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등) 동남아 교육정보화 컨설팅 (베트남, 태국, 라오스 등) 중남미 국가 교육정보화 연수 (과테말라아) 콜롬비아, 교육정보화 수출 (3천만불) 아프리카/중동 국가 교육정보화 연수 (케냐,예멘) 이러닝 연수프로그램 교육수출(사우디)

20 향후 추진 계획 해외 진출 기반 강화 지원대상국 확대 해외이러닝 시장주도 2009년 2010년 2011년 이후
국제 이러닝 컨설팅 전문가 양성 민·관 공동 해외시장 개척 전략 마련 해외 진출 기반 강화 (기재부, 외교부, 방통위, 수출입 은행, 이러닝업체 등) 2010년 아시아 중심에서 중남미, 아프리카까지 권역 확대 (현재 25개국 개국) 지원대상국 확대 대상국 고위공무원 초청연수, 이러닝 컨설팅 추진 2011년 이후 우수 이러닝 컨텐츠 해외 보급 및 확산 (디지털 교과서, 사이버가정학습 등) 국내기업 개발 이러닝 컨텐츠 국제 표준화 해외이러닝 시장주도

21


Download ppt "이러닝 세계화 - 한국의 교육정보화 교육수출 전략 -"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