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 * * 경제학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이해하기 제 2장 McGraw-Hill/Irwin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 * * 경제학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이해하기 제 2장 McGraw-Hill/Irwin"— Presentation transcript:

1 * * * 경제학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이해하기 제 2장 McGraw-Hill/Irwin
경제학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이해하기 McGraw-Hill/Irwin Copyright © 2010 b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All rights reserved.

2 무하마드 유누스(MUHAMMAD YUNUS)
* 무하마드 유누스(MUHAMMAD YUNUS) 그라민뱅크의 설립자 프로파일 * 그라민은행은 마이크로크레디트, 즉 소액대출업무에 주력함 2006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함 See Learning Goal 1: Explain basic economics.

3 * 경제학의 주요 분야 경제학은 무엇인가? * LG1 경제학 --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서 자원을 어떻게 투입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과정과 개인이나 집단에 그 결과물을 어떻게 배분해야 할지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 거시경제학 – 국가 전체 차원에서 바라보는 경제학의 분야 미시경제학 – 특정 시장에서 사람이나 조직의 행동을 바라보는 경제학의 분야 See Learning Goal 1: Explain basic economics. This slide gives students insight into the definition of economics. When going over this definition it often helps to further define the term resources. The term resources ties back into Chapter 1 and the factors of production: land, labor, capital, knowledge and entrepreneurship.

4 * * 자원개발 자원개발 – 어떻게 자원을 증가시키고 그 자원을 더 잘 사용하는 조건을 찾아내는가를 연구하는 것
경제학은 무엇인가? * LG1 자원개발 – 어떻게 자원을 증가시키고 그 자원을 더 잘 사용하는 조건을 찾아내는가를 연구하는 것 See Learning Goal 1: Explain basic economics. Businesses can contribute to an economic system by inventing new products that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resources.

5 * * 자원을 증가시키는 방법의 예 새로운 에너지자원의 발견 식량을 늘릴 수 있는 새로운 방법 새로운 생산기술의 발명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LG1 새로운 에너지자원의 발견 자동차용 수소연료 식량을 늘릴 수 있는 새로운 방법 수경재배 새로운 생산기술의 발명 바다양식 나노기술 See Learning Goal 1: Explain basic economics.

6 녹색혁명으로부터의 이익창출 (친환경적인 생각하기)
* 녹색혁명으로부터의 이익창출 (친환경적인 생각하기) * 토요타의 프리우스 생산에 따른 성공적인 판매 바이오 연료를 얻기위해 옥수수나 다른 곡식을 더 많이 재배하는 농부 당신은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할 수 있는가? See Learning Goal 1: Explain basic economics.

7 * 토마스 맬서스와 우울한 학문 부유한 경제를 만드는 비결 * LG1 멜서스는 부자들이 부를 독점하고 있고 대다수의 사람들은 소작농인 세계가 된다면 식량과 자원이 부족해질 것이라고 믿음 이는 토머스 칼라일이 경제학을 ‘우울한 학문’이라고 부르게 되는 계기가 되었음 맬서스의 후계자들은 여전히 세상에는 사람이 너무 많아, 가난에 대한 해결책은 피임이나 낙태허용과 같이 산아제한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함 See Learning Goal 1: Explain basic economics. Thomas Malthus believed that if people were left to their own devices there would be chaos and that the government needed to be heavily involved in controlling the economy. Malthus’ ideas are still with us today. Neo-Malthusian ideas of overpopulation are still prevalent in books such as Paul Ehrlich’s The Population Bomb (1968) which contains ideas similar to those presented by Thomas Malthus 200 years ago.

8 * 자원으로서의 인구 부유한 경제를 만드는 비결 * LG1 멜서스와는 달리, 몇몇 거시경제학자들은 많은 인구, 특히 교육을 받은 인구가 유용한 자원이 될 수도 있다고 믿음 교육을 받은 인구는 매우 가치가 높음 기업을 경영하는 사람들은 지역사회에 일자리를 제공하고,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종업원들과 지역사회에 경제적 성장을 가져다 줌 See Learning Goal 1: Explain basic economics. Malthus viewed a large population as a negative. However, many economists see a highly educated population as a valuable scarce resource. Countries like Japan and Germany have become economically successful in a postwar environment with large well-educated populations producing sophisticated high-value products.

9 * * 애덤스미스 경제학의 아버지 스미스의 믿음 : 경제의 생존을 위해 자유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함
애덤 스미스와 부의 창출 * LG1 스미스의 믿음 : 경제의 생존을 위해 자유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함 땅이나 재산을 소유할 수 있는 자유와 땅을 경작하거나 사업을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자유가 필수적임 보상이 있는 경우에 사람들은 더 열심히 오랫동안 일함 See Learning Goal 1: Explain basic economics. Adam Smith’s ideas were laid out in his seminal book,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Smith believed strongly in more “natural liberty” and less government intervention into the economy which was anathema to the ideas of Malthus. Smith argued that allowing people the freedom to own land and the right to keep profit would not create chaos as Malthus had argued, but rather would create greater resources for all.

10 * 보이지 않는 손 비즈니스는 어떻게 공동체에 이익을 가져다주는가? * LG1 사람들이 자신의 상황을 개선하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그 노력은 필요한 상품, 서비스 및 아이디어를 생산하여 경제성장과 번영을 도움 보이지 않는 손 – 자기자신을 위한 이익이 모두를 위한 사회적 및 경제적 이익으로 변화하는 과정 See Learning Goal 1: Explain basic economics.

11 * * “보이지않는 손” 이론의 이해 농부는 다른 사람에게 농작물을 팔아서 돈을 벌게 됨
비즈니스는 어떻게 공동체에 이익을 가져다주는가? * LG1 농부는 다른 사람에게 농작물을 팔아서 돈을 벌게 됨 더 부유해지기 위해서 농부는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해야 하고 노동자를 더 고용해야 함 농부가 더 많이 생산할수록 사회전체적으로 더 많은 음식을 얻을 수 있음 농부는 자신 스스로를 위하는 과정 중에 결국 종업원을 돕고 사회를 돕게 됨 See Learning Goal 1: Explain basic economics.

12 부정부패는 경제를 파괴한다 (윤리적 의사결정)
* 부정부패는 경제를 파괴한다 (윤리적 의사결정) * 많은 나라들에서 기업가들은 정부 관료들에게 뇌물을 주어야 토지를 구입하고, 건물을 올리며, 정상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수가 있다. 당신이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있고 그 곳에서 이익을 높이기 위해 주류판매를 하려고 한다고 가정해보자. 이 때 정부에서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마침 정부기관에 아는 사람이 있고, 그가 제안하기를 재선을 위한 선거에 거액의 정치헌금을 제공하여 도움을 준다면 허가를 받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고 한다. 당신은 헌금을 제공하겠는가? See Learning Goal 1: Explain basic economics.

13 * * 진도평가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의 차이는 무엇인가?
낚시하는 것을 가르치는 것보다 경제에 더 도움이 되는 가르침은 무엇인가? 애덤 스미스가 이야기하는 ‘보이지 않는 손’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어떻게 ‘보이지 않는 손’이 국가의 부를 창출하는가? 1) Macroeconomics looks at the operations of a nation’s economy as a whole. Microeconomics looks at the behavior of people and organizations in markets for particular products or services. 2) To create wealth in an economy, it is better to teach a man to start a fish farm, and he will be able to feed a village for a lifetime. 3) The invisible hand is the term used by Smith to describe the processes that turns self-directed gains into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for all. To become wealthy, people working in their own self-interest producing goods and services hire others providing employment. They also tend to reach out to help the less fortunate over time.

14 * * 자본주의 자본주의 – 생산과 분배에 관련된 결정이 이익을 추구하는 개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제시스템
자유시장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 * LG2 자본주의 – 생산과 분배에 관련된 결정이 이익을 추구하는 개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제시스템 자본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국가 :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등 See Learning Goal 2: Explain what capitalism is and how free markets work. This slide give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apply the concept of capitalism in the United States and analyze the impact government ownership of AIG, Fannie Mae and Freddie Mac will have on the future state of capitalism in the United States.

15 자본주의의 근본은 자본이다 (중소기업에 대한 조명)
* 자본주의의 근본은 자본이다 (중소기업에 대한 조명) * FINCA는 우간다에서 아주 작은 상점을 운영하고 있는 프로스 메가가(Pros Magaga)에게 물품을 살 수 있도록 50달러를 빌려주었다. 메가가는 50달러를 갚을 수 있었고 새로운 자금을 더 빌릴 수 있게 되었다. FINCA는 4억 4,700만 달러라는 돈을 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의 60만명이 넘는 소규모 기업가들에게 대출해주었다. 차입자 중 97.6%가 빌려간 돈을 갚았다. See Learning Goal 2: Explain what capitalism is and how free markets work.

16 * * 자본주의의 4가지 기본원리 사유재산에 대한 권리 2. 사업체 소유와 이익에 대한 권리 3. 경쟁의 자유에 대한 권리
자본주의의 기초 * LG2 사유재산에 대한 권리 2. 사업체 소유와 이익에 대한 권리 3. 경쟁의 자유에 대한 권리 4. 선택의 자유에 대한 권리 See Learning Goal 2: Explain what capitalism is and how free markets work. The four basic rights under a capitalist system are straightforward, but which of the four basic rights has been weakened in the United States over the past 30 years? When asked this question, rarely do students touch on the concept of eminent domain and the weakening of right to own private property due to the Kelo vs. New London Supreme Court case from If time permits students can explore this case and the potential impact the case may have on America capitalism.

17 * * 루즈벨트의 4가지 추가적인 자유 표현의 자유 종교의 자유 욕구의 자유 공포로부터의 자유 LG2 자본주의의 기초
See Learning Goal 2: Explain what capitalism is and how free markets work.

18 * * 자유시장 자유시장 – 무엇을 생산하고 얼마만큼 생산할지가 시장에서 결정되는 경제체제
자유시장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LG2 자유시장 – 무엇을 생산하고 얼마만큼 생산할지가 시장에서 결정되는 경제체제 소비자들은 생산자들에게 무엇을 얼마나 어떤 색상으로 생산해야 할지 등에 대한 신호를 보냄 가격은 생산자들에게 얼마나 많은 제품을 생산해야 할지를 말해줌 만약에 누군가가 특정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원하는데 그것을 얻기 어렵다면 가격은 누군가가 그 제품을 생산하거나, 중고품을 팔거나, 대용품을 만들 때까지 계속올라갈 것임 See Learning Goal 2: Explain what capitalism is and how free markets work.

19 * * 가격 판매자는 30달러를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기본가격으로 결정한다.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 LG2 판매자는 50달러에 T 셔츠를 팔고자 하지만 그 가격에 옷을 사려는 사람은 매우 적을 것이다. 만약에 판매자가 30달러를 제시하면 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판매자는 30달러를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기본가격으로 결정한다. See Learning Goal 2: Explain what capitalism is and how free markets work. Prices are determined by consumers negotiating with the sellers.

20 * * 공급곡선 공급 – 생산자가 특정 시점에 특정 가격에 팔려고 하는 제품의 양 공급의 경제적 개념 LG2
See Learning Goal 2: Explain what capitalism is and how free markets work.

21 * * 수요곡선 수요 – 소비자가 특정 시점에 특정가격에 사려고 하는 제품의 양 수요의 경제적 개념 LG2
See Learning Goal 2: Explain what capitalism is and how free markets work.

22 * * 균형 시장가격(균형점)–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되는 균형가격 LG2 균형점 또는 시장가격
See Learning Goal 2: Explain what capitalism is and how free markets work.

23 * * 경쟁의 4가지 강도 완전경쟁 독점적경쟁 과점 독점 자유시장에서의 경쟁 LG2
See Learning Goal 2: Explain what capitalism is and how free markets work.

24 * * 자유시장의 장점과 한계 장점 : 한계 : 참여 기업끼리의 경쟁을 허용
자유시장이 가진 장점과 한계 * LG2 장점 : 참여 기업끼리의 경쟁을 허용 가난한 사람들이 빈곤을 탈출하기 위해 일할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해줌 한계 :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음 See Learning Goal 2: Explain what capitalism is and how free markets work.

25 * * 진도평가 자유시장 자본주의에서 사람들이 지녀야 할 4가지 기본 권리는 무엇인가?
자유시장 자본주의에서 사람들이 지녀야 할 4가지 기본 권리는 무엇인가? 사업가들은 무엇을 얼마나 생산할지 어떻게 결정하는가?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네 가지 경쟁의 형태와 각각의 예는 무엇인가? 1) The four rights are: the right to own private property, the right to own a business and keep all that business’s profits, the right to freedom of choice, and the right to freedom of competition. 2) Decisions about what to produce and in what quantity are decided by the market, consumers sending signals about what to make, how many in what color, and so on. 3) Prices are determined by the economic concepts of supply and demand. 4) The four degrees of competition are: Perfect competition – such as a farmer’s market where good are indistinguishable. Today, however, there are no good examples of perfect competition. Monopolistic competition – such as fast-food restaurants where products are similar but consumers perceive the products to be different. Product differentiation is a key here. Oligopoly – a situation where just a few major producers dominate a market such as tobacco, gasoline, automobiles, etc. A few sellers dominate because the initial investment to enter such a market is significant. Monopoly – a situation where only one producer exists in a market. U.S. law prohibits the creation of monopolies.

26 * * 사회주의 사회주의 – 정부가 기업을 소유하여 이익이 모든 사람에게 독같이 분배되는 경제시스템을 기본 전제로 함
사회주의에 대한 이해 * LG3 사회주의 – 정부가 기업을 소유하여 이익이 모든 사람에게 독같이 분배되는 경제시스템을 기본 전제로 함 기업가들은 종종 작은 기업을 소유하거나 경영함 개인은 엄청난 세금을 지불해야 함 정부가 환경보호 및 빈곤층 구제 등에 훨씬 더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함 See Learning Goal 3: Compare socialism and communism.

27 * * 사회주의의 장점 사회적 평등 무상교육 무상의료 무상 보육 더 많은 휴가 일수 더 적은 주당 노동시간 관대한 병가 허용
LG3 사회적 평등 무상교육 무상의료 무상 보육 더 많은 휴가 일수 더 적은 주당 노동시간 관대한 병가 허용 See Learning Goal 3: Compare socialism and communism.

28 * * 사회주의의 단점 기업가들의 사업의욕을 저하시킴 두뇌유출 : 뛰어난 인재를 다른 국가에 빼앗기는 현상
LG3 기업가들의 사업의욕을 저하시킴 두뇌유출 : 뛰어난 인재를 다른 국가에 빼앗기는 현상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이 자본주의 시스템에서처럼 보상을 받지 못하는데 따른 적은 수의 발명과 낮은 수준의 혁신 See Learning Goal 3: Compare socialism and communism.

29 * * 공산주의 공산주의 – A정부가 거의 모든 경제적인 의사결정과 주요 생산요소를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 정치적 시스템
공산주의의 이해 * LG3 공산주의 – A정부가 거의 모든 경제적인 의사결정과 주요 생산요소를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 정치적 시스템 가격이 수요와 공급을 반영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물자부족현상이 발생함 대부분의 공산주의 국가들은 현재 심각한 경제침체를 겪고 있고, 정부를 두려워 함 See Learning Goal 3: Compare socialism and communism.

30 * 두 가지의 주요 경제시스템 혼합경제 * LG4 자유시장경제 – 시장이 무슨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할지, 누가 얼마만큼 생산할지, 어떻게 경제가 성장할지를 결정하는 경우 계획경제 – 정부가 주로 무슨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할지, 누가 얼마만큼 생산할지, 어떻게 경제를 성장시킬지를 결정하는 경우 See Learning Goal 4: Analyze the trend toward mixed economies.

31 * * 혼합경제 혼합경제 – 자원의 배분이 시장에 의해 일어나지만 일정 부분 정부의 개입이 일어나는 경제시스템
LG4 혼합경제 – 자원의 배분이 시장에 의해 일어나지만 일정 부분 정부의 개입이 일어나는 경제시스템 두 경제체제 모두 완벽한 체제가 아니기 때문에 여러 국가들이 두 경제시스템이 혼합된 혼합경제를 사용함 See Learning Goal 4: Analyze the trend toward mixed economies.

32 * * 혼합경제체제로의 이행 공산주의정부는 사라지고 있음
LG4 공산주의정부는 사라지고 있음 대부분의 사회주의 정부는 사회보장프로그램을 줄이고, 세금을 줄여주며, 자본주의 쪽으로 전환하고 있음 대부분의 자본주의 국가는 사회보장프로그램을 늘리고 사회주의 쪽으로 이동하고 있음 See Learning Goal 4: Analyze the trend toward mixed economies.

33 해외에서 사업에 성공하기 (우리의 경계를 넘어)
* 해외에서 사업에 성공하기 (우리의 경계를 넘어) * 얌브랜드(Yum Brands)는 2005년부터 중국 내 이익을 별도로 보고할 정도로 중국에서 대규모 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얌은 멕시코에서 타코벨가게를 열면서, 광고 슬로건으로 “무엇인가 다르다”(Es otra cosa)를 사용함 미국음식회사가 다른 여러 나라에서 음식을 판매할 때 어떤 문제에 당면하게 될까? See Learning Goal 4: Analyze the trend toward mixed economies.

34 * * 진도평가 사회주의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사회주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현재 어느 국가가 아직도 공산주의를 채택하고 있는가? 혼합경제의 특징은 무엇인가? 1) Socialists believe that the distribution of wealth should be more evenly distributed than in free-market capitalism. Government should be empowered to carry out the distribution of wealth. 2) Free education through college, free health care, and free child-care are some of the benefits of socialism. The key drawback of socialism is high taxes often causing a “brain drain” in the economy. Socialism also tends to inspire less innovation. 3) Most nations have drifted away from communism but North Korea, Cuba still espouse communism. Russia, Vietnam, and China still have some communist ideals in place. 4) Mixed economies have systems where the allocation of resources is made by the market and some by the government. Like most nations of the world, the United States is a mixed economy.

35 국내총생산 * 국내총생산 * LG5 국내총생산(GDP) – 일 년간 한 국가에서 생산된 제품과 서비스의 최종가치의 합. 생산 주체가 국내기업이든 외국기업이든 생산 지역이 같은 국가의 범위 안에 있으면 해당 국가의 국내총생산에 포함됨 국내총생산의 변화가 경제에 영향을 미침 미국의 국내총생산 14조 달러는 높은 생활수준을 누리는 이유가 됨 See Learning Goal 5: Discuss the economic system of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e significance of key economic indicators (especially GDP), productivity, and the business cycle.

36 * * 실업 실업률 – 지난 4주 내에 직장을 구하려 했지만 고용이 되지 않은 자로서 최소 16세 이상의 시민의 수
LG5 실업률 – 지난 4주 내에 직장을 구하려 했지만 고용이 되지 않은 자로서 최소 16세 이상의 시민의 수 실업의 네 가지 유형 마찰적 실업 구조적 실업 경기적 실업 계절적 실업 See Learning Goal 5: Discuss the economic system of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e significance of key economic indicators (especially GDP), productivity, and the business cycle. While the term unemployment seems simple enough, the 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 has a very specific definition. According to the BLS unemployment is the percentage of civilians at least 16-years-old who are unemployed and tried to find a job within the prior four weeks. If that was not confusing enough there are four types of unemployment which students are often surprised to discover.

37 * *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 제품이나 서비스 가격이 상승하는 현상
인플레이션과 물가지수 * LG5 인플레이션 – 제품이나 서비스 가격이 상승하는 현상 디스인플레이션 – 제품이나 서비스 가격의 증가가 느려지는 현상(인플레이션 비율의 감소) 디플레이션 – 물가가 실제로 하락하는 현상 스태그플레이션 – 경제가 침체되고 있는데 가격이 오르는 상황 See Learning Goal 5: Discuss the economic system of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e significance of key economic indicators (especially GDP), productivity, and the business cycle. When discussing inflation, disinflation, deflation and stagflation, introducing the term hyperinflation is particularly interesting to students. Historical examples of countries suffering from hyperinflation post-World War I and currently Zimbabwe bring this topic to life.

38 * * 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CPI) –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의 크기를 측정하는 월간 통계치
인플레이션과 물가지수 * LG5 소비자물가지수(CPI) –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의 크기를 측정하는 월간 통계치 정부는 소비자물가지수 산정을 위해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주택가격, 식료품, 의류, 의약품 등)이 상승 또는 하락하는지를 계산함 임금, 임대료, 세금, 정부의 재정지출, 이자율 등을 결정하는 근거가 되는 매우 중요한 경제지표임 See Learning Goal 5: Discuss the economic system of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e significance of key economic indicators (especially GDP), productivity, and the business cycle. After discussing hyperinflation in the previous slide students can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a nation’s inflation rate to prevent it from spiraling out of control. As inflation is increasing it acts as a hidden tax increase eroding the purchasing power of the population.

39 * * 생산성 서비스분야에서의 생산성은 새로운 기술들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 발전 속도가 느림
미국에서의 생산성 * LG5 서비스분야에서의 생산성은 새로운 기술들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 발전 속도가 느림 미국에서의 생산성은 컴퓨터와 기타 기술의 발전이 생산을 더 빠르고 쉽게 만들면서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음 See Learning Goal 5: Discuss the economic system of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e significance of key economic indicators (especially GDP), productivity, and the business cycle.

40 * * 서비스 분야에서의 생산성 생산성이 높을수록 비용이 낮아지고 가격이 낮아짐
서비스분야에서의 생산성 * LG5 생산성이 높을수록 비용이 낮아지고 가격이 낮아짐 새로운 기술의 도입이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는 있으나 근로자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은 아님 서비스산업에서의 생산성 측정은 새로운 기술에 의해서 야기되는 질적인 향상 부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 See Learning Goal 5: Discuss the economic system of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e significance of key economic indicators (especially GDP), productivity, and the business cycle.

41 * * 경기순환 경기순환 –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경제가 주기적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것 4가지 경기순환의 양상 : 호황
LG5 경기순환 –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경제가 주기적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것 4가지 경기순환의 양상 : 호황 침체 – 국내총생산이 연속적으로 2분기 이상 감소하는 경우 불황 – 심각한 경기침체 회복 – 경제가 안정화되고 성장하기 시작한 때. 회복은 결국 경제를 호황으로 이끔 See Learning Goal 5: Discuss the economic system of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e significance of key economic indicators (especially GDP), productivity, and the business cycle. Yes, it is true that a recession is two or more consecutive quarters of contracting gross domestic product, but students will be interested in knowing that for a recession to be officially labeled a recession it must be declared by 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Their website, provides numerous resources to further explain this part of the business cycle.

42 * * 재정정책 재정정책 – 정부가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세금이나 정부지출을 줄이거나 늘리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
재정정책을 통한 경제안정화 * LG6 재정정책 – 정부가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세금이나 정부지출을 줄이거나 늘리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 재정정책의 수단 : 조세 정부의 지출 See Learning Goal 6: Define Fiscal Policy and Monetary policy, and explain how each affects the economy.

43 * * 재정적자, 부채, 흑자 재정적자 – 정부의 조세수입보다 정부지출이 더 많은 상태 국가부채 – 정부 적자의 누적 합
재정정책을 통한 경제 안정화 * LG6 재정적자 – 정부의 조세수입보다 정부지출이 더 많은 상태 국가부채 – 정부 적자의 누적 합 재정흑자 – 세수가 지출보다 많은 경우 See Learning Goal 6: Define Fiscal Policy and Monetary policy, and explain how each affects the economy.

44 * * 통화정책 통화정책 – 연방준비은행을 통한 통화의 공급과 이자율 관리
통화정책을 통한 경제성장 * LG6 통화정책 – 연방준비은행을 통한 통화의 공급과 이자율 관리 연방준비은행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이자율을 낮추고 올리는 일임 경제가 활황기인 경우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이자율을 높여서 돈을 빌리는 비용을 증가시킴 경제가 침체기인 경우,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이자율은 낮춤 See Learning Goal 6: Define Fiscal Policy and Monetary policy, and explain how each affects the economy.

45 * * 진도평가 세 가지 경제지표를 나열하고, 각각의 지표를 통해서 미국의 경제 상황을 분석해보자.
세 가지 경제지표를 나열하고, 각각의 지표를 통해서 미국의 경제 상황을 분석해보자. 경제침체와 불황의 차이는 무엇인가? 정부는 재정정책을 통해서 경제를 어떻게 관리하는가? 통화정책의 의미는 무엇인가? 또한 어떤 조직이 이런 통화정책을 이끄는가? The three key economic indicators are the Gross Domestic Product (GDP), the unemployment rate, and the price indexes. The U.S. GDP is approximately about $14 trillion. Our high GDP allows citizens to enjoy a high standard of living. In 2000, the U.S. reached it lowest unemployment rate in over 30 years. However, the recession of may lead unemployment to at least 10 percent. The consumer price index (CPI) has not risen to high levels keeping inflation in check. However the recession has caused fears of deflation. A recession is two or more consecutive quarters of decline in the GDP. A depression is a severe recession, usually accompanied by deflation. Fiscal policy refers to the government’s efforts to keep the economy stabl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axes or government spending. Monetary policy is the management of the nation’s money supply and interest rates. The Federal Reserve controls the money supply in the United States.


Download ppt "* * * 경제학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이해하기 제 2장 McGraw-Hill/Irwin"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