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선발 방법 천안연암대학 주종철 본 교재는 故 정흥교수의 강의 교재를 기반으로 일부 편집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선발 방법 천안연암대학 주종철 본 교재는 故 정흥교수의 강의 교재를 기반으로 일부 편집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Presentation transcript:

1 선발 방법 천안연암대학 주종철 본 교재는 故 정흥교수의 강의 교재를 기반으로 일부 편집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2 과거의 종축선발 – 혈통과 외모 중시 현재의 종축선발 – 혈통과 외모도 고려하지만, 가축의 유전 능력에 근거하여 선발

3 1. 개체선발 개체의 능력 만을 기준으로 종축으로서의 가치를 판단하여 선발 개체의 표현형에만 근거하여 개체의 육종가를 추정
개체선발의 장점 선발이 용이하다. 유전력이 높은 형질의 개량에 효과적이다. G E G E

4 개체선발의 단점 개체선발을 위해 쓰이는 방법 – 능력검정
한쪽 성에만 나타나는 형질의 개량을 위해서 개체선발 방법을 다른 쪽 성에 적용할 수 없다.(산유량) 도체형질에 대해 개체선발 이용 불가능 → 후대검정, 가계선발, 형매검정 이용 유전력이 낮은 형질의 개량에는 효과가 적다(환경요인). 개체선발을 위해 쓰이는 방법 – 능력검정 검정소 검정 농장검정

5 - 가능하면 검정 대상축들에게 동일한 환경조건을 제공
능력검정 - 선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쓰이는 방법 - 가능하면 검정 대상축들에게 동일한 환경조건을 제공 G E

6 추정생산능력(Most Probable Producing Ability, MPPA)
어떤 개체의 차기생산능력 (젖소 비유량, 돼지 산자수, 면양 산모량 등)

7 육종가(Breeding Value, BV)
MPPA : 해당개체가 반복하여 형질을 발현할 때 다음 번 능력 예측 BV : 그 개체의 종축으로서의 가치 형질의 측정 : 2~3회면 충분

8 계산연습) 어느 낙농농가의 연 평균 산유량은 8,000kg이고, 젖소 A의 3산차까지의 평균 산유량은 9,000kg이라고 한다

9 해당개체의 능력과 선조능력에 근거하여 선발시 유전력에 따른
2. 혈통선발 부모, 조부모와 같은 선조의 능력을 근거로 종축을 선발 선조능력에 적절한 중요도를 두고 선발에 이용시 개체선발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큰 효과 해당개체의 능력과 선조능력에 근거하여 선발시 유전력에 따른 선발의 정확도 구분 유전력 0.1 0.3 0.5 개체 0.32 0.55 0.71 개체와 부 또는 모 0.35 0.58 0.73 부,모 및 4조부모 0.27 0.43 0.53

10 선조능력에 근거하여 종축가치 판단 시 개체와 혈연관계가 가까운 선조일수록 큰 비중을 두어야 한다.
부, 모가 조부, 조모보다 비중을 크게 혈통선발 시 선조능력에 대한 중요도 결정시 고려사항 평가개체와 선조 간의 혈연관계가 어느 정도인가? 선조능력이 얼마나 정확한가? 개량하고자 하는 형질의 유전력이 어느 정도인가? 선조와 평가 개체 간의 환경상관은 어느 정도인가?

11 혈통선발의 장점 선조 자료 입수 가능하면 비용 절감 개체가 출생 전이나 어릴 때 선발 가능 한쪽 성에만 발현되는 형질 도살해야 측정 가능한 형질 수명과 같이 측정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형질 선발 혈통선발의 단점 선조능력에 지나치게 중점을 두면 개체선발 강도 저하

12 3. 방계친척의 능력을 기준으로 한 선발 전자매, 반자매, 전형제, 반형제, 숙모, 숙부 등의 능력에 근거한 선발
방계친척 능력 기준 선발 – 자매검정과 형매검정 자(형)매검정 : 자(형)매의 능력에 근거하여 종축선발 자매검정 활용 : 가금의 개량에 많이 이용-산란능력, 한쪽 성에만 발현되는 형질, 도살해야 측정 가능한 형질, 실무 형질(all or none trait) 형매검정 활용 : 도살해야 측정 가능한 형질 자매검정은 부모에 대한 후대검정이라고 할 수 있음 숙모와 숙부에 대한 검정은 조부모에 대한 후대검정이라고 할 수 있음

13 형제자매에 대한 명칭들 A(♀) X B(♂) X C(♀)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①과 ②의 관계 : 전자매(full sister) ③과 ④의 관계 : 전형제(full brother) ②와 ③의 관계 : 전형매(full sib) ①과 ⑤의 관계 : 반자매(half sister) ②와 ⑦의 관계 : 반형매(half sib) ③과 ⑧의 관계 : 반형제(full brother)

14 4. 가계선발 가계능력의 평균을 토대로 가계 내의 개체를 전부 선발하거나 도태하는 방법
가계 내 개체간 차이는 무시하고 가계의 평균 능력에 근거한 선발 가계 – 전형매 가계, 반형매 가계와 같이 개체간 상호 혈연관계가 있거나 유전적으로나 표현형적으로 서로 비슷한 무리 <가계 선발의 예> 가계번호 개체 체중 분포 가계 평균 1 ABC D 180 2 E F G H 195(선발) 3 I J K L 150 4 M N O P 188

15 가계선발의 장점 가계선발의 단점 유전력이 낮은 형질의 개량 (가계의 평균을 구하면 환경요인 영향이 상쇄됨)
개체간 공통환경요인 변이가 작을 때 (자돈 이유 체중) 가계 구성원 수가 많을 때 형질 발현이 한쪽 성에만 나타날 때 실무형질의 개량 (뿔 유무) 가축 수명같이 오랜 시간 소요되는 형질 가계선발의 단점 많은 시설과 경비 소요 선발되는 가계 수가 적을 때는 근친교배로 능력 저하 위험

16 5. 가계 내 선발 개체의 능력과 개체가 속한 가계의 평균 능력과의 차이를 기준으로 하는 선발방법
가계선발과 정반대의 선발 방법 가계능력을 무시하고 가계 내 개체들의 능력을 비교하여 선발하는 방법 (돼지 이유전 증체량 – 공통환경요인 중요) * 선발 : D, H, L, P 가계 내 선발의 장점 (가계선발과 정반대) 근친교배 위험 감소 (근교계수 상승 속도 감소) 가계번호 개체 체중 분포 가계 평균 1 ABC D 180 2 E F G H 195 3 I J K L 150 4 M N O P 188

17 6. 개체와 가계의 결합선발 개체 능력과 가계능력을 동시에 고려하여 선발하는 방법
개체선발이나 가계선발의 한가지 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개체와 가계의 능력을 동시에 고려하여 선발하는 방법이 효과가 크다.

18 7. 후대검정 후대검정 - 주로 수가축의 선발에 이용(자손을 많이 생산할 수 있으므로)
- 자손의 평균 능력에 근거하여 종축을 선발하는 선발방법. - 개체의 육종가 추정에 가장 이상적인 선발방법. 후대검정의 이용 한쪽 성에만 발현되는 형질의 개량(비유량 등) 유전력이 낮은 형질의 개량 도살해야 측정 가능한 형질의 개량(도체율 등)

19 검정 기간이 길다. (노령으로 폐사 또는 활용 불가) 세대 간격이 길어 단위시간당 개량량을 감소
후대검정의 단점 검정 기간이 길다. (노령으로 폐사 또는 활용 불가) 세대 간격이 길어 단위시간당 개량량을 감소 ☞ 연간유전적 개량량 = 세대당유전적 개량량/세대 간격 = (유전력 X 선발차)/세대간격 후대검정의 상대적 정확도 후대검정이 개체선발보다 정확하려면 자손수가 최소 5두 이상 개량 형질의 유전력이 0.7 이상인 경우 자손수가 10두가 되어도 개체선발보다 정확하지 못하다. 자손수가 많으면 정확도가 높아지나 많은 비용 수반

20 후대검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 환경요인이나 우성효과, 상위성효과 등 상쇄시키기 위해 많은 자손 검정
수가축의 유전자 절반 만이 자손에 전달되므로 암가축을 고르게 배분(많은 암가축에 교배) 태어난 자손의 환경여건을 동일하게 할 것 (검정소 검정), 또는 여러 곳에서 검정하여 환경 영향이 균등하도록 한다. 검정된 자손의 능력은 전부 평가(불량 개체 제외하지 말 것)

21 한우 후대검정에 걸리는 시간 우량씨수소 교배계획 및 교배 : 3개월 씨암소의 임신기간 : 10개월
송아지 분만 및 육성 : 6개월 후보 씨수송아지 당대검정 : 6개월 당대검정 자료 정리, 후보씨수소 선발, 후보씨수소 교배계획 및 교배 : 3개월 후보 씨수소의 배우자(암소) 임신기간 : 10개월 송아지 육성 및 도살 : 24개월 후대검정 자료 정리 및 보증씨수소 선발 : 4개월

22 한우검정 사업

23 한우육종농가 사업

24 우량암소 사육기반 구축

25 종웅지수(양친등가지수, sire index)
자식에게 부와 모가 동일하게 유전적인 가치를 전달한다는 가정 Z = 2D – M = D + (D – M) Z: 종웅지수, D: 딸의 평균, M: 어미의 평균 회귀지수(종웅지수의 결점을 보완) 회귀지수 = 0.5(종웅지수) + 0.5(품종의 평균)

26 질적형질에 대한 후대검정 앵거스 모색 : 흑모유전자(B) > 적모유전자 (b) 흑모 (BB, Bb), 적모 (bb) 유전자형 후대검정 열성 호모 (bb) X 검정축 (BB, Bb)  5~6두 자손 검정하여 1두라도 열성이면 헤테로 판정 헤테로 (Bb) X 검정축 (BB, Bb)  11~16두 자손 검정하여 열성이 없으면 호모로 판정

27 8. 간접선발 상관반응 : X라는 한 형질의 선발에 의해 Y라는 형질에 나타난 반응을 상관반응이라 함 (유량과 유지율)
간접선발 : X라는 형질을 개량하고자 할 때 X 대신 Y형질에 대해 선발하여 X형질에 상관반응이 나타나게 함으로써 X형질을 개량하는 방법 간접선발의 이용성 개량하려는 형질의 정확한 측정이 곤란하고 그 형질의 유전력이 낮은 경우 (가축 성비) 개량하려는 형질이 한쪽 성에만 발현되어 다른 쪽 성의 개체에 대해 선발할 수 없을 때

28 9. 다형질 선발법 여러 형질을 동시에 개량하고자 하는 경우, 3가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선발지수법 (Selection Index Method) 여러 형질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점수로 산출한 후 점수를 근거로 선발하는 방법 I = b1x1 + b2x2 + … + bnxn 여기서, bi = i번째 형질에 대한 가중치, xn = i번째 형질에 대한 측정치

29 9. 다형질 선발법 2. 순차적 선발법 (Tandem Method) 우선 한가지 형질에 대해 선발하여 그 형질이 일정 수준까지 개량되면 다음 형질에 대해 선발하여 한번에 한 형질씩 개량해 가는 방법 3. 독립(하한)도태법 (Independent Culling Method) 각 형질에 대하여 동시에 그리고 독립적으로 선발하는 방법. 형질마다 일정한 수준을 정하여 어느 한 형질이라도 그 수준 이하로 내려가는 개체는 다른 형질이 아무리 우수하더라도 도태하는 방법

30 선발지수법 : Hazel 과 Lush (1943) 여러 형질을 동시 개량하고자 할 때
I = b1X1 + b2X2 + ……. + bnXn I : 선발지수, b : 형질의 중요도, X : 각 형질 측정치 b값을 계산하기 위해 종합적 유전자형 H = a1G1 + a2G2 + ……. + anGn a: 형질의 상대적 경제가치, G: 각 형질의 유전자형 b는 I와 H간의 상관계수를 가장 크게 해 주는 중회귀 계수 세가지 방법 중 다형질 선발에 가장 효과적

31 선발의 중요도 계산 2 2

32

33

34

35 선발지수 산출에 필요한 통계치 표현형 분산 표현형 공분산 또는 표현형 상관계수 유전공분산 또는 유전 상관계수 유전력 또는 상가적 유전분산 상대적 경제가치 선발지수는 적용될 가축의 집단에서 조사된 자료를 근거로 한다. 선발지수는 선발지수가 만들어진 집단에서 이용될 때 가장 효과적이다.

36 선발지수식 두록 ID =1,140 + {-0.05× D90(일) – × FCR – 0.33 × BF(mm)} × 30 랜드레이스 IL = {-0.10× D90(일) – 9.18 × FCR – 0.46 × BF(mm)} × 20 요크셔 IY = {-0.09× D90(일) – 9.34 × FCR – 0.29 × BF(mm)} × 30

37 선발지수 계산 예 개체번호 90D (일) 사료효율 등지방두께 (mm) 선발지수 1 152 2.29 12.8 96.219 2
140 13.3 3 143 12.3 4 138 12.6 5 2.15 12.2 6 7 13.5 8 2.3 13.2 9 137 2.32 13.7 10 141 12.5

38 참고) 선발지수식 1 I = ×ADG(kg) – 34.5× FCR – 31.3 × BF - (등지방 0.8cm) 0.8cm : 250+{101×1.177g} - (34.5×1.96)-(31.3×0.8cm) = 276 - (등지방 1.7cm) 1.7cm : 250+{101×1.177g} -(34.5×1.96) -(31.3×1.7cm) = 248

39 선발지수식 2 (실용선발지수, 등지방) I = ×ADG(kg) × FE × ABF × | ABF(cm) | 0.8cm : 250+{101×1.177g} - (34.5×1.96)-(31.3×0.8cm) -31.3×| |= cm : 250+{101×1.177g} -(34.5×1.96) -(31.3×1.25cm) -31.3×| | = cm : 250+{101×1.177g} -(34.5×1.96) -(31.3×1.7cm) -31.3×| | = 234

40 10. 선발과 환경 Hammond(1947) : 종축선발은 형질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가장 좋은 환경 하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Falcorner(1952) : 종축선발은 불량한 환경 하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박영일(1966) : 선발에 의한 유전적 개량량은 그 계통이 육성될 때의 환경(사양조건) 하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다른 환경에 옮겨져서 사육될 때는 유전적 개량량이 약간 저하되었다. 종축선발은 그 자손이 사육될 환경조건 하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불량 환경 사육될 자손이면 종축선발도 불량한 환경에서 좋은 환경에서 사육될 자손이면 종축도 좋은 환경에서 선발 개량량을 크게 하려면 표현형 분산과 유전분산이 커야 하며 선발차와 유전력이 높아진다. 좋은 환경에서 종축선발이 유리하다 (농장검정 요건)


Download ppt "선발 방법 천안연암대학 주종철 본 교재는 故 정흥교수의 강의 교재를 기반으로 일부 편집하여 작성한 것입니다."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