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중국의 ‘東北工程’ PRESENTATION BY 전 인 갑.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중국의 ‘東北工程’ PRESENTATION BY 전 인 갑."— Presentation transcript:

1 중국의 ‘東北工程’ PRESENTATION BY 전 인 갑

2 CONTENTS 1. 문제의 발단 2. 현대 중국의 '변강'관과 관심지역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1) 변강의 정의 (2) 주목받고 있는 변강 CONTENTS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1) 동북공정의 출현 배경 (2) 동북공정의 주요 내용과 추진목적 4. 동북공정에서 드러난 만주관 5. 강의를 맺으며…

3 1. 문제의 발단 귀속권을 둘러싼 한국과 중국의 갈등 고조 만주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둘러싼 역사적, 지정학적 갈등의 산물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역사와 그 유적의 귀속권을 둘러싼 한국과 중국의 갈등 고조 만주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둘러싼 역사적, 지정학적 갈등의 산물

4 1. 문제의 발단 갈등 양상 중국 1980년 이후 “현재 중국 영토안에서 이루어진 역사는 모두 중국의 역사”라는 다민족 통일 국가론 강조. 고구려사도 중국사의 일부라는 주장이 주류를 형성. 최근에 와서 공식화, 노골화. 한국 동북공정 수행 소식이 메스컴을 통해 대대적으로 알려짐. 한국에서는 동북공정을 1) 고구려, 발해사의 중국사 편입 논리 개발 2) 한반도 정세변화가 동북지역에 미칠 영향에 대한 대응책 마련 이라는 의도로 해석.

5 1. 문제의 발단 중국의 소수민족 문제 / 정책과 이념 파악이 선결과제
중국의 동북공정 이해의 선행적 지식 중국의 소수민족 문제 / 정책과 이념 파악이 선결과제 중국의 민족 개념 : 중화민족이라는 독특한 개념이 일반화 됨 中華民族의 정의 현재 중국 영토 안에 존재하는 한족 및 소수민족 뿐 아니라 과거 중국 강역에 살았던 모든 민족 집단까지 포함한 개념. 즉 고대 민족도 당연히 포함됨 따라서 중국역사는 현재 중국 국경 내에 살고 있는 모든 민족의 역사를 총칭하게 됨

6 1. 문제의 발단 중국 공산당의 민족이론과 역사인식 민족이론 민족 평등, 민족대단결을 매우 중시.
중국의 동북공정 이해의 선행적 지식 중국 공산당의 민족이론과 역사인식 민족이론 민족 평등, 민족대단결을 매우 중시. “민족의 단결을 강화하고 조국 통일과 사회 안정을 유지하는 일은 중국 내 각 민족 인민의 공통 염원이자 근본이익”으로 그러한 일은 준수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행위준칙으로 설정.

7 1. 문제의 발단 중국 공산당의 민족이론과 역사인식 역사인식 중화민족의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가치관을 애국주의로
중국의 동북공정 이해의 선행적 지식 중국 공산당의 민족이론과 역사인식 역사인식 중화민족의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가치관을 애국주의로 포장하여 그 교육 강화. 다시말해 민족 단결과 애국주의가 체제유지의 당면 과제로 부각. 이러한 현식인식이 역사 인식(민족관, 역사관)에 투영됨. 동북 공정 등이 시작된 이유이기도 함.

8 1. 문제의 발단 근대 이후에 출현한 근대적 영토관념/민족관념을 전제로 하여 중국의 현재 영토 범위에 속한 모든 시대,
중국 측 주장의 문제점  근대 이후에 출현한 근대적 영토관념/민족관념을 전제로 하여 중국의 현재 영토 범위에 속한 모든 시대, 모든 민족을 중국사, 중국민족이라 할 수 있는가?

9 2. 현대 중국의 ‘변강’관과 관심지역 ‘중국’의 개념 중국 개념의 변천은 통일된 다민족 국가로 발전한 과정의 산물
(1) ‘邊疆’의 정의 ‘중국’의 개념 중국 개념의 변천은 통일된 다민족 국가로 발전한 과정의 산물  中國(middle kingdom)의 다섯가지 의미  1) 京師, 華夏地區를 의미하는 중국 - 정치적 중심 혹은 천자의 직할지  2) 周 왕실의 동성(同姓) 제후국(諸侯國) 및 그 동맹세력  3) 천하의 중심지역으로서의 중국 - 四夷의 중앙  4) 중국의 각 왕조가 실제 지배한 영토 - 영토적 개념, 大一統 및 영토보존에의 집착  5) 문화적 개념으로서의 중국 - 예교문화(禮敎文化)가 구현된 영역

10 2. 현대 중국의 ‘변강’관과 관심지역 변강의 개념 (1)‘邊疆’의 정의 지리적 개념 : 변강은 陸疆(육지의 변경)과
사전적 : 국경 가까이 있는 지방 혹은 영토 변강은 지리적 개념과 역사적 개념으로 구분 가능 지리적 개념 : 변강은 陸疆(육지의 변경)과 海疆(바다의 경계)으로 구분. - 陸疆은 국경선 뿐 아니라 자연, 역사, 문화 등 다방면의 특성 지님. - 동북 3성, 내몽골자치구, 감숙성, 신강위구르자치구, 서장자치구, 광서장족자치구, 운남성이 해당   국경선을 공유하지 않는 지역(영하회족자치구, 청해성, 귀주성)은 변강지구가 아니며, 邊遠地區로 분류. 참 고

11 2. 현대 중국의 ‘변강’관과 관심지역 변강의 개념 (2) ‘邊疆’의 정의
사전적 : 국경 가까이 있는 지방 혹은 영토 변강은 지리적 개념과 역사적 개념으로 구분 가능 역사적 개념 : 통일 다민족 국가의 형성 발전에 따라 형성되고, 고정된 개념 . - 현재 중국의 변강과 역사상 중국 변강 사이에 역사적 계승성과 연속성이 있음을 기본 전제로 삼고 있음.   秦의 통일 이후 수당의 강역 개척과 華融同軌, 冠帶百蠻의 형세를 거쳐,    宋遼金 시기 각 소수민족들의 중화의식이 증강되었고, 내지와 변강의 개발과 교류가 진척.   원은 중원과 변강의 대융합를 성취하여 통일된 다민족국가 형성.   청조는 大一統을 실현했으며, 이것이 현재의 강역 범위를 형성했음. 보충설명

12 2. 현대 중국의 ‘변강’관과 관심지역 海疆의 개념 국제법 중국의 일부학자 - 해안선과 인접한 성구와 대륙 해안선에서 영해기선
(2) ‘邊疆’의 정의  海疆의 개념 국제법 - 국가가 관할하는 領海基線 밖의 해역으로 영해, 전관경제수역, 대륙붕 등의 해역과 도서. 중국의 일부학자 - 해안선과 인접한 성구와 대륙 해안선에서 영해기선 사이의 해역

13 2. 현대 중국의 ‘변강’관과 관심지역 주목 대상 변강 동북지구, 외몽골 서북지구, 신강지구 그리고 南沙群島, 釣魚島
(2) 주목받고 있는 변강  주목 대상 변강 동북지구, 외몽골 서북지구, 신강지구 그리고 南沙群島, 釣魚島

14 2. 현대 중국의 ‘변강’관과 관심지역 주목의 원인 동 동북지역 신강지구
(2) 주목받고 있는 변강  주목의 원인 -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역사적 귀속을 쟁점으로 한국과 논쟁 - 외몽골 서북지구인 당노산에서 살언령까지의 분지 지역인 당노도와는 1921년 소련 지원으로 독립, 1944년 소련에 합병, 현재 러시아의 한 주로 남아 있음. - 이곳의 귀속 문제로 양국간 논쟁 - 과거 동돌권의 영토, 19세기 중엽 러시아에 합병됨. 논쟁 지속. 동북지역 외몽골 서북지구 신강지구

15 2. 현대 중국의 ‘변강’관과 관심지역 주목의 원인 海疆의 경우 (2)주목받고 있는 변강 남사군도 조어도
 주목의 원인 海疆의 경우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브르나이, 대만 등과 쟁론. 풍부한 석유와 천연가스 매장으로 분쟁 더욱 격화 대만 기륭시에서 92해리, 일본 오키나와군도에서 73해리에 위치. 중국측 주장(명초부터 중국 영토, 1895년 청일전쟁 중 이 군도를 절취하여 오키나와현 관할로 만듬. 일본 패망 후 돌려 주도록 명시했으나 불이행. 미일의 샌프란시스코 조약-조어도를 일본에 귀속- 무효 주장) 남사군도 조어도

16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동북공정의 정의 동북 변강의 역사와 그에 따라 파생되는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프로젝트.
(1) 동북공정의 출현 배경  동북공정의 정의    동북 변강의 역사와 그에 따라 파생되는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프로젝트.  정식 명칭 「東北邊疆의 歷史와 現狀系列 硏究工程」 (약칭 東北工程)

17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추진배경 (1) : 일련의 대규모 역사공정의 일환
(1) 동북공정의 출현 배경  추진배경 (1) : 일련의 대규모 역사공정의 일환 최근 중국에서는 東北工程처럼 국가지원을 받는 역사관련 프로젝트가 많아지고 있음.   ① 夏商周斷代工程, 中國古代文明探源工程    * 夏商周斷代工程은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진행된 사업으로 1200만위안의 연구비. 고고학 유적지의 대규모 발굴과 연구 분석을 통해 夏商周 시기의 역사 및 그 문명 발전 연구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  

18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추진배경 (1) : 일련의 대규모 역사공정의 일환
(1) 동북공정의 출현 배경  추진배경 (1) : 일련의 대규모 역사공정의 일환 최근 중국에서는 東北工程처럼 국가지원을 받는 역사관련 프로젝트가 많아지고 있음.   ① 夏商周斷代工程, 中國古代文明探源工程    * 中國古代文明探源工程 역시 5년 계획으로 역사학, 고고학 및 관련 자연과학 분야의 전문가들까지 참여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다. 

19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추진배경 (1) : 일련의 대규모 역사공정의 일환 ② 國家淸史纂修工程(淸史工程)
(1) 동북공정의 출현 배경  추진배경 (1) : 일련의 대규모 역사공정의 일환   ② 國家淸史纂修工程(淸史工程) * 약 10년 계획으로 매년 1억위안씩 총 10억위안 (한화 약 1300억원) 이상을 국가에서 지원하는 연구사업.

20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추진배경 (1) : 일련의 대규모 역사공정의 일환 ② 國家淸史纂修工程(淸史工程)
(1) 동북공정의 출현 배경  추진배경 (1) : 일련의 대규모 역사공정의 일환   ② 國家淸史纂修工程(淸史工程) * 淸史工程이란 1911년 辛亥革命으로 멸망한 중국의 마지막 왕조인 淸에 대한 正史를 편찬하는 연구프로젝트.

21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추진배경 (1) : 일련의 대규모 역사공정의 일환 ② 國家淸史纂修工程(淸史工程)
(1) 동북공정의 출현 배경  추진배경 (1) : 일련의 대규모 역사공정의 일환   ② 國家淸史纂修工程(淸史工程) * 이 사업은 2002년 8월 江澤民, 朱鎔基, 胡錦濤, 李嵐淸 등 4인의 政治局常務委員會의 비준을 거쳐 결정되었다. 이후 國務院 辦公廳의 주도하에 國家淸史編纂領導小組 (이하 淸史編纂領導小組로 약칭)가 구성되고 2002년 12월 國家淸史編簒委員會(이하 淸史編纂委員會로 약칭)가 정식으로 성립되어 본격적인 활동

22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추진배경 (2) ① 동북 변강에서 러시아, 북한, 한국, 몽골, 일본,
(1) 동북공정의 출현 배경  추진배경 (2)  ① 동북 변강에서 러시아, 북한, 한국, 몽골, 일본, 미국과 중국 간의 쌍방 혹은 다자간 관계에 큰 변화가 초래 ② 동북 변강의 전략적 중요성과 지위 증대

23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추진배경 (2) ③ 사회과학 연구의 신성한 사명과 동북 변강 역사와
(1) 동북공정의 출현 배경  추진배경 (2) ③ 사회과학 연구의 신성한 사명과 동북 변강 역사와 현상에 대한 사회과학의 불가피한 책임 * 일부 국가(북한, 남한을 포함한 한국 전체)의 학자와 연구기관이 특별한 의도를 가지고 史實을 왜곡, 정치가들이 정치적 목적으로 공론화하여 혼란을 초래. 이로 인해 동북 변강의 역사와 현상에 관한 연구가 도전에 직면. 이에 대한 대응.

24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추진배경 (2) ④ 최근의 한반도 형세 변화 대응
(1) 동북공정의 출현 배경  추진배경 (2) ④ 최근의 한반도 형세 변화 대응 남북통일이 동북지구 조선족 사회에 초래할 혼란을 예방하기 위한 필요성. (중국사회과학원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의 한반도 형세의 변화가 동북지구의 안정에 미칠 충격에 관한 조사연구자료 출간)

25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1997년 하반기부터.. 변강사지연구중심을 중심으로 중국 공안국 변방부,
* 추진과정 및 기구  1997년 하반기부터.. 변강사지연구중심을 중심으로 중국 공안국 변방부, 동북지역 유관기관의 지원을 받아 중조변경 조사 연구 착수. 길림성 당안관 소장 청대 조선관계 당안 자료 수집, 정리 * 변강사지연구 중심 외에 길림성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동북사범대학 동북아연구중심, 길림사범학원 고적 연구소, 인민대학 청사연구소 등이 중심 역할

26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1998년 중앙기관에 공작 보고서 제출: 주요 내용 한반도 형세변화의 추이 조사연구,
* 추진과정 및 기구  1998년 중앙기관에 공작 보고서 제출: 주요 내용 한반도 형세변화의 추이 조사연구, 중국과 한국간의 역사상 논쟁점, 동북지구의 아편문제, 종교문제, 민족관계 문제 등의 논쟁점에 대한 연구, 대규모 탈북자 출현 가능성과 대책

27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추진 조직 구성 동북공정 영도 협조기구 고문 정치국 위원 겸 사회과학원 원장 李鐵映, 영도소조
* 추진과정 및 기구  추진 조직 구성 동북공정 영도 협조기구 고문 정치국 위원 겸 사회과학원 원장 李鐵映, 중공중앙 재정부장 項懷誠. 영도소조 조장 사회과학원 부원장 왕낙림, 부조장 흑룡강성 당위원회 부서기 양광홍, 길림성 부성장 전철수, 요녕성 부성장 조신량, 변강연구 중심 연구원 마대정, 비서장 변강연구중심 주임 리성

28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추진 조직 구성 專家委員會 전가위원회 예하에 동북공정 판공실 설치. * 추진과정 및 기구
 추진 조직 구성 專家委員會 변강연구중심, 민족연구소, 세계사연구소, 고고학연구소, 과학연구국, 인민대학 청사연구소, 흑룡강성 사회과학원, 흑룡강성 선전부, 요녕성 선전부, 길림성 사회과학원, 요녕성 사회과학원 등에서 위원 참여 전가위원회 예하에 동북공정 판공실 설치.

29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추천 조직의 특징 변강연구중심과 중국사회과학원 예하 조직들이 총망라,
* 추진과정 및 기구  추천 조직의 특징 변강연구중심과 중국사회과학원 예하 조직들이 총망라, 또한 동북 3성의 행정조직, 당조직, 관련 연구기관, 대학, 사회과학원이 모두 참여 책임자들이 고위층

30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동북공정은 연구부문(기초연구와 응용연구)과 관련 외국서적
(2) 동북공정의 주요 내용과 추진 목적 동북공정은 연구부문(기초연구와 응용연구)과 관련 외국서적 번역 부문, 관련 당안자료의 수집과 정리부문으로 구성 연구 내용과 지침 고대 중국 강역이론연구, 동북지방사 연구, 동부민족사 연구, 고조선, 고구려, 발해사연구, 중조관계사 연구, 동북변강사회 안정전략 연구, 한반도 형세변화와 그 영향 연구, 동북변강과 러시아 원동지구의 정치, 경제 관계사 연구, 응용연구 등

31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동북공정의 목적 (2) 동북공정의 주요 내용과 추진 목적
 동북공정의 목적  1) 동북지역을 한국의 고토, 한국사라는 주장에 대한 대응 논리 개발하여 한국의 역사논리가 조선족 사회에 초래할지도 모르는 민족 정체성 혼란 및 조선족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하고 동북 지역의 안정을 꾀하는 것 (연구과제가 한국사, 한중관계사에 집중)

32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동북공정의 목적 (2) 동북공정의 주요 내용과 추진 목적
 동북공정의 목적 2) 남북통일 등 한반도 정세변화의 영향 연구.  3) 거시정책상으로는 소수민족 문제의 돌출과 확대를 차단함으로써 국가적 안정을 꾀하려는 거시 정책틀과 직결.

33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동북공정은 자신감을 회복한 중화주의의 현대적 재해석이라는 거시적 시각에서 조명할 필요 있음.
(2) 동북공정의 주요 내용과 추진 목적  동북공정은 자신감을 회복한 중화주의의 현대적 재해석이라는 거시적 시각에서 조명할 필요 있음. 개혁개방의 과실을 토대로 한 ‘중화’에 대한 자신감 회복이 현대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식구조의 전환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 - 중국의 ‘굴기’와 관련하여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던 지식인들조차 “20세기 80년대 이래 25년 동안 중국의 현대화 건설은 놀랄만한 성취를 이루어 내어 중국을 세계 강국의 대열에 우뚝 솟아오르게 하였다”는 자부심을 공공연히 드러내고 있음.

34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동북공정은 자신감을 회복한 중화주의의 현대적 재해석이라는 거시적 시각에서 조명할 필요 있음.
(2) 동북공정의 주요 내용과 추진 목적  동북공정은 자신감을 회복한 중화주의의 현대적 재해석이라는 거시적 시각에서 조명할 필요 있음. 개혁개방의 과실을 토대로 한 ‘중화’에 대한 자신감 회복이 현대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식구조의 전환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  - 또한 문화보수주의에 비판적인 어느 자유주의 지식인이 “현실 환경의 거대한 변화가 심리적 변화를 불러일으킴으로써 또 다시 보수주의 사조가 유행처럼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

35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사회적으로도… 핵심 내용으로 하는 고전 교육이 강화.
(2) 동북공정의 주요 내용과 추진 목적 사회적으로도… * 유교 윤리를 긍정적으로 재해석하는 한편 유교적 교양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고전 교육이 강화. * 공자를 재평가하여 복원시키는 동시에 전통문화 연구를 전담할 국가적 연구 기관인 공자연구원을 설립하고, 공자학원(공자아카데미)를 전세계에 설립하는 동시에 대대적인 釋奠儀式을 통해 공자에 대한 상징조작을 활발하게 진행.

36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2) 동북공정의 주요 내용과 추진 목적 이와 같은 분위기 속에서 우리는 중화제국의 경험으로부터 연원하는 자신들의 전통 즉 역사성이 자신감 회복의 자양분, 말하자면 ‘지속 가능한 강한 중국’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토대인 중국적 문화-‘중국적 보편’-를 재건하려는 움직임의 자양분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음.

37 3. 동북공정의 내용과 추진실태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의 전환을 배경으로 권력 엘리트의
(2) 동북공정의 주요 내용과 추진 목적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의 전환을 배경으로 권력 엘리트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동북공정, 단대공정, 문명탐원공정, 『청사』편찬 등 각종 역사 프로젝트가 조직적으로 진행되 었던 것.

38 4. 동북공정에서 드러난 만주관 중국(동북공정)의 고구려 인식 고구려를 西漢 현토군 고구려현 경내의 변강 민족이 수립한
 중국(동북공정)의 고구려 인식 고구려를 西漢 현토군 고구려현 경내의 변강 민족이 수립한 지방정권으로 규정. 중국 변강지구의 소수민족 정권으로 중화민족의 역사 범주에 속함. 논거는 다음과 같음.

39 <고구려민족은 한반도의 한민족과 무관>
4. 동북공정에서 드러난 만주관  중국(동북공정)의 고구려 인식 * 정권 수립 자체가 韓民族과 무관 부여족 일부와 서한 고구려현 기타 민족이 공동 수립 * 고구려민족의 원류 부여족 일파, 서한 고구려현의 변강민족을 기반으로 옥저, 소수맥 등 예맥족, 漢族, 선비족, 숙신인이 융합되어 고구려민족이 됨. <고구려민족은 한반도의 한민족과 무관>

40 < 고구려 초기에 서한이 직접 관할 >
4. 동북공정에서 드러난 만주관  중국(동북공정)의 고구려 인식 * 고구려의 활동 범위는 한사군의 관할 범위를 벗어나지 않음 * 평양 천도 이후도 사실상 한사군의 관할 범위 * 중국 역대 왕조와 臣屬關係 유지했으며, ‘중국’ 밖에 존재했던 적이 없음. < 고구려 초기에 서한이 직접 관할 >

41 <고구려 멸망 후 대다수의 유민이 漢族으로 흡수>
4. 동북공정에서 드러난 만주관  중국(동북공정)의 고구려 인식 * 70여만명 중 당 태종과 고종 때 약 30만이 중원으로 옮겨와 한족에 융합, 흡수 * 약 10만은 신라로 흡수, 약 10만 이상은 말갈의 발해에 망명하여 발해의 구성원이 되었다가 금대에 여진족에 흡수, 그 후 대부분 한족, 나머지 1만여명은 돌궐족에 융합 흡수 <고구려 멸망 후 대다수의 유민이 漢族으로 흡수>

42 4. 동북공정에서 드러난 만주관 고구려와 한반도의 계승관계 부정 고려, 조선족과 역사적 연속성, 계승성, 상관성이 전혀 없음.
 고구려와 한반도의 계승관계 부정 고려, 조선족과 역사적 연속성, 계승성, 상관성이 전혀 없음. 고려와 고구려의 계승관계 부정 뿐 아니라 王建=韓民族 역시 부정. 서한 낙랑군 한족의 후예일 가능성이 높음 주장 .

43 4. 동북공정에서 드러난 만주관 고구려와 한반도의 계승관계 부정 조선족의 혈통 해석=조선족의 민족 정체성 부정
 고구려와 한반도의 계승관계 부정 조선족의 혈통 해석=조선족의 민족 정체성 부정 고구려 멸망 후 장시간의 민족적 융합과 교류 속에서 신라인을 주체로 형성, 이 과정에서 소수의 고구려인, 말갈족, 한족이 섞여들게 되었고, 19세기 중엽이후 한반도의 일부 조선인이 중국으로 와서 오늘날의 조선족이 되었다

44 4. 동북공정에서 드러난 만주관 고구려인의 유적, 유물은 중국의 문물과 고적이다. 만주라는 용어
 고구려인의 유적, 유물은 중국의 문물과 고적이다.  만주라는 용어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동북지구로 변경. 경.... 이는 만주가 일본의 괴뢰정권인 만주국을 연상 혹은 중국의 온전한 영토가 아니라는 과거의 견해를 연상 시키기 때문.

45 5. 강의를 맺으며.. 한국인이 만주를 고구려, 발해의 고토로 인식, 애착을 갖는데 중국은 신경을 씀. 동
 한국인이 만주를 고구려, 발해의 고토로 인식, 애착을 갖는데 중국은 신경을 씀. 한국인이 중화민족을 분열 혹은 중화민족의 일원인 조선족을 이탈시키려는 ‘반민족적 범죄집단’으로 인식하고 있을 가능성 다분. 한반도 통일 후 만주와 조선족에 대한 통일 한국의 영향력 우려  동북 공정은 중화민족의 정체성 강화하고, 국가적, 사회적 통합과 체제의 안정을 달성하려는 거시적 국가 전략의 일환이다. .

46 5. 강의를 맺으며.. 중국의 역사관 비판 현재적 편의의 역사관 : 현재 중국 영토내의 각 민족의 역사는 모두 중국사
 중국의 역사관 비판 현재적 편의의 역사관 : 현재 중국 영토내의 각 민족의 역사는 모두 중국사 *역사(historiography)에 의한 역사(history)의 재구성 영토 지상주의 역사관 : 현재 영토를 기준으로 그 범위내의 모든 민족의 귀속권을 주장 현대판 중화주의 : 근대 이후에 형성된 영토, 국경개념을 전근대까지 소급 적용, 전근대적 華夷觀에 입각하여 역사해석

47 5. 강의를 맺으며.. 중국의 역사관 비판 중국판 문화패권주의 : 고대 민족의 역사문화유산에 대한 국가적 힘의 논리 강조
 중국의 역사관 비판 중국판 문화패권주의 : 고대 민족의 역사문화유산에 대한 국가적 힘의 논리 강조 현실적 의도 : 통일 국가의 체제안정을 위한 중국의 동북아 전략. 또한 자신감 회복의 반영.


Download ppt "중국의 ‘東北工程’ PRESENTATION BY 전 인 갑."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