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강의자 소개 1984년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졸업 공학사(건축설계)
1986년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졸업 공학석사(한국건축사) 1994년 국립대만대학 건축도시연구소 졸업 공학석사(중국도시사) 1998년 중국 청화대학 건축학원 건축역사문물건축보호연구소 졸업 공학박사(건축역사이론/조선, 명청 시기 건축문화의 교류와 비교) 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 근무 년 고려대, 광주대, 건국대, 경기대, 동국대, 명지대, 목원대, 숭실대, 인하대, 한양대, 홍익대 시간강사 년 목원대 공과대학 건축학과 겸임교수 년 인하대 공과대학 건축학과 전임강사 2002년-현 재 한양대 건축대학 교수(동아시아건축역사연구실) 동양미술사, 미진사(공저) 중국고대건축사, 세진사(역서) 도설중국건축사, 세진사(역서) 중국건축의 개척자/양사성, 발언(역서) 중국고전건축의 설계원리, 시공사(공역) 등
2
강의자 연락처 및 홈페이지주소 연락처: 02-2220-0319, 010-3456-0895
홈페이지주소: 연구실: 과학기술관 705호실
3
과학과 기술로 본 건축역사(01) -건축역사의 개관-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한 동 수
2013년 제1학기 건축공학부건축사 과학과 기술로 본 건축역사(01) -건축역사의 개관-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한 동 수
4
건축이란? 건축(architecture)은 흙 . 나무 . 돌 . 쇠 등을 써서 짓는 것, 또는 그 자체, 어원은 그리스어의 Architekton, 또는 라틴어의 Architectura로서 Archi(大, 원리, 수령, 우두머리)와 Tectura(기술)를 합친 말로서 직인(職人)의 우두머리가 다양한 기술을 통제, 기획하며 지도하여 이룩한 공장(工匠)의 기술을 의미한다. 따라서 건축이란 '공간을 종합적으로 계획하고 구축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인간의 여러 가지 생활을 담기 위한 기술, 구조 및 기능을 수단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예술이다. 건축은 용도라는 목적에 적합하고, 적절한 재료로 가장 합리적인 형식을 취해 안전하게 이룩되어야 한다. 건축의 본질은 쾌적하고도 안전한 생활의 영위를 위한 기술적인 전개와 함께, 공간 자체가 예술적인 감흥을 가진 창조성의 의미를 가진다. 건축의 공간은 실용적 대상이고, 3차원의 지각적(知覺的) 대상이며, 자기인식의 실존적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단순한 건조기술(建造技術)을 구사하여 만들어진 결과로서의 구축물을 건물(building)이라 하고, 공간을 이루는 작가의 조형의지(造形意志)가 담긴 구축의 결과를 건축(Architecture)으로 표현한다. 건축이 추구하는 공간질서의 구축은 바로 인간질서의 구축이다.
5
건축과 건물이란? N. 페프스너는 “차고(車庫)는 건물이고, 대성당(大聖堂)은 하나의 건축이다. 사람이 들어가는 데 충분한 넓이를 갖춘 것은 모두 건물이지만, 건축이라는 말은 미적 감동을 목표로 설계된 건물에만 사용된다.”라고 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사람의 생활을 위해 건조되는 댐과 교량 등의 토목구조물은 건축이라고 할 수 없고, 분묘와 탑 그리고 기념비 등도 역시 건축과 유사한 방법으로 구축되지만 인간의 생활을 담는 기능이 없으므로 건축과 구별해야 한다. 건축을 이루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지만 대략 다음의 3가지로 정의된다. ① 예술적 감흥을 목표로 하는 공간형태(空間形態) ② 진실하고도 견실한 구조기술(構造技術) ③ 편리성과 유용성을 갖춘 기능적 실존존재(實存存在) 건축의 예술성이란 단순한 아름다움이 아니라 복합적인 조형(造形)을 통해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는 성능이 좋은 공간, 구조기술의 솔직한 표현, 소재가 가진 본연의 아름다운 성질, 그리고 이들의 종합으로 이루어지는, 균일한 관계로써 이루어진다.
6
건축의 다양한 정의(1) <漢語大詞典> 건조, 건립의 의미로서 청대 陳康祺의 <燕下鄕脞錄> 권7, 老舍의 <四世同堂>, 巴金의 <還魂草>에 보인다. 그리고 건축물을 지칭하는 집이나 교량 등의 의미로는 氷心의 <寄小讀者> 권18에 “휴가 동안 아무것도 보지 못했고 단지 몇 개의 위대한 학교건축을 보았을 뿐이다.”라는 글에서 처음 등장한다. *營建: 흥건, 건조라는 의미로는 <후한서>의 기록, 당 현장의 <대당서역기> 등에 보이고 창건이라는 의미로는 남조 시기 송의 劉義慶의 <世說新語>에 보인다. *營造: 건축공정 및 기기제작의 의미로는 <南史․蕭引傳>, 청대 陳康祺의 <郞潛紀聞> 등에 보인다. <대영백과사전> 건물은 순수하게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서 세워지는 것이다. 건축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조화를 배려하여 미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7
건축의 다양한 정의(2) 윌리엄 모리스 땅위에서 인간이 필요로 하는 것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는 것이다. 존 러스킨 모든 사람들이 배워야 하는 예술이다. 왜냐하면 건축은 모든 사람들과 관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브르노 제비의 <공간으로서의 건축> 건축은 우리의 삶이 펼쳐지는 무대이다. 라스무센의 <건축의 경험> 건축은 매우 특수한 기능적인 예술이다. 건축은 그 내부에서 우리가 살 수 있도록 공간을 한정하고 우리 삶 주위에 틀을 창조하는 것이다. 페브스너의 <유럽건축개관> 건축은 재료와 목적의 산물이 아니라 변화하는 시대의 변화하는 정신의 산물이다.
8
건축의 다양한 정의(3) 쉘링 건축은 응고된 음악이다. 헨리 우튼 실용성과 내구성 그리고 환희를 주는 것이다. 르 꼬르뷰지에 건축이란 빛 속에서 연출된 입체의 교묘하고 장엄하며 정확한 연출이다. 미스 반 데르 로에 공간 속에서 변화되어 가는 시대의 의지이다. 루이스 칸 건축은 위대한 초월에 대한 높고도 원대한 시도이며 내가 알고 있는 최고의 종교적 행위이다.
9
건축의 다양한 정의(3) 히틀러[건축가 슈페어] 국가의 능력과 단결력을 표현하는 석조물이다.
10
건축의 다양한 정의(4) 김정일[건축가 김영성] 건축은 수령의 혁명활동을 보좌하는 물질적 수단의 하나이고 계급성을 띤다.
11
건축학이란? 설계, 시공, 유지 등을 위한 이론과 기술체계를 연구하는 학문(건축학 建築學 architecture; architectonics; the science[art] of construction) ①건물의 수요: 건축가에 대한 주문으로 건물에 대한 출자자, 건축주 또는 사용자로서의 다양한 요구조건(공비, 형식, 사용법, 유지방법 등)이 어떤 형태로든 검토, 정리되고, 도시계획측면에서 입지조건이나 건축법규상의 규제도 고려하여 건축가에게 위촉한다. ②설계: 구체적으로 건축활동이 개시되는 단계로서, 사용할 재료나 구조법, 평면계획, 건축설비 등을 건축가의 조형적 감성과 기술자로서의 경험을 통해 검토, 종합함으로써 구체적인 도면, 시방서(示方書), 적산서(積算書) 등을 작성한다. 또한 시공법, 공비, 유지비 등의 경제적 문제, 건축법규 등도 끊임없이 검토된다. 건물의 주요 실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건축재료학, 건축구조학 등이 있고, 칸잡이나 설비를 계획하기 위해서 건축계획학이 포함된다. 이 밖에 도시계획학, 건축법규, 조경학 등의 지식도 필요하다. ③시공: 구체적인 기술의 응용단계로서, 일정한 경비와 건축가의 지정에 따른 시공방법, 건설기계에 관한 지식과 조작, 전체적인 시공작업의 계획 ․관리 등의 이론과 기술이 주요 사항이다.
12
건축역사란? 실제의 건축활동을 전제로 하며 그 본연의 의무는 고립주의로 나가려는 경향을 깨뜨려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건축역사란 교양을 쌓는 대상이 아니라 Banham의 말대로 실제 건축의 창조에 기여하는 건축방법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건축역사가는 자신의 동시대 사람들에게 과거의 이해, 현재의 규명, 선택 및 결단, 미래의 전망을 가능하게 해 주어야 한다. 여기서 더욱 중요한 것은 건축이 항상 구체적인 장소와 상황에서 인간들의 구체적인 생활을 담고 있다는 전제로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종래의 건축사 연구 전통은 연대의 고증과 유구의 실측을 위주로 한 역사과학의 한 지류인 고고학적인 접근이 주류를 이루었고 우리 학계 역시 그것을 그대로 답습해 왔다. 건축사연구의 경향은 다음과 같다. 건축형태에 관한 의장론의 경향 건축이론에 관한 예술사로서의 경향 미학적 비평에 관한 예술론으로서의 경향 공학적 지식에 바탕을 둔 기술사적인 경향
13
Marcus Vitruvius Pollio(BC 1세기)
본 명 : 마르쿠스 비트루비우스 폴리오(M.Vitruvius Pollio) 국 적 : BC 1세기 로마 분 야 : 건축 출 생 : 이탈리아 베로나 저 서 : 《건축서》(10권) 이탈리아의 베로나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마르쿠스 비트루비우스 폴리오(Marcus Vitruvius Pollio).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활약하였다. 《건축서》(10권)를 썼다. 그의 이론은 건축가로서의 경험과 동시에 고대 그리스, 특히 헬레니즘의 문헌에 근거한 것이 많다. 이 책은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연구와 더불어 1415년경에 재발견되었으며, 1484년에 로마에서 초판이 간행되었다. 그 후로 유럽 건축가에게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오늘날에도 고대건축 연구상의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14
Leon Battista Alberti(1402-1472)
국 적 : 이탈리아 분 야 : 건축 저 서 : 《건축론》(1450) 등 작 품 : 리미니의 성(聖)프란체스코 성당(1450?) 등 르네상스기의 만능인(萬能人)으로 파도바와 볼로냐의 양 대학에서 공부하고, 피렌체에 머물며 메디치가(家)에 출입하면서 많은 예술가들과 교류하고 1432년 이후, 로마에 정주(定住)하여 교황청의 문서관(文書官)이 되었다. 성직(聖職)에 관계하였음에도 종교보다 미술, 문예, 철학에 많은 저작을 남겼다. 가장 유명한 것은 1450년에 저술한 《건축론》(10권)으로 이 책에서 고대 건축의 연구와 예술가로서의 감각을 종합한 새 시대의 건축을 논하고 근세 건축양식의 모범을 보여주었다. 《회화론(繪畵論)》(1436)은 비례에 의한 원근법적 구성의 기본개념을 밝힌 최초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고, 《조각론》(1464?)도 저술하였다. 그가 설계한 건축은 호장(豪壯)한 내부 구조로 교회당의 장엄한 효과를 높이고 있으며, 고전(古典) 건축의 이상(理想)이 훌륭하게 구현되어 16세기에서 17세기에 걸친 이탈리아 사원(寺院)의 일반 형식이 되었다.
15
Andrea Palladio( ) 국 적 : 이탈리아 분 야 : 건축 저 서 : 《건축4서》(1570) 등 작 품 : 빌라 로톤다(1550~1553) 비첸차 출생. 처음에는 석공, 조각가로 활약하였으나 동향 시인 토리체노의 비호를 받아 로마로 유학하고, 고대 로마의 건축가 비트루비우스와 로마의 유적을 연구한 후, 고향에 돌아와 수많은 궁전과 저택을 설계하였다. 건축4서<I quattro Libri dell'architettura, 建築四書>는 로마의 건축술에 의존한 건축서로, 18세기 영국의 신고전주의 건축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팔라디오 양식'을 유행시켰다. 1570년에 발간되었다. 제1서는 총론(재료․구조․원주론), 제2서는 주택, 제3서는 도시계획과 공공건축, 제4서는 신전 건축과 교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6
Clode Nicola Ledoux(1736-1806)
국 적 : 프랑스 분 야 : 건축 출 생 : 프랑스 도르망 1771년 뒤바리(1746~1793: 프랑스왕 루이 15세의 애인) 백작부인의 지우(知遇)를 얻은 후부터, 상류계급의 저택, 성관(城館), 궁전 등을 많이 설계하여, 1773년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 왕실 건축가가 되었다. 그의 건축은 고전주의 계열의 중후감과 엄격성을 지녔지만, 단순하게 양식의 모방을 넘어선 독자적인 기하형태의 서정성도 지녔다. 오늘날 주목되는 것은 쇼의 도시계획이라고 불리는 일련의 디자인, 즉 건축이나 도시설계의 기본으로서 방형(方形), 입방체, 원, 구(球) 등의 원리적 형태를 쓰고 있는데, 이 때문에 역사가에 따라서는 그의 건축을 근대 합리주의 건축의 원류(源流)로 간주되기도 한다. 프랑스 혁명으로 한때 투옥되었으나, 만년에는 자기의 건축에 관한 저작에 힘을 기울였다.
17
John Ruskin( ) 국 적 : 영국 분 야 : 예술 출 생 : 영국 런던 저 서 : 《건축의 칠등(七燈)》(1849) 《베니스의 돌 The Stones of Venice》(1851~1853) 《참깨와 백합》(1865) 영국의 비평가, 사회사상가. 캘빈주의자인 모친의 엄격하고 청교도적인 교육을 받으면서 자랐고 옥스퍼드를 졸업한 이듬해인 1843년 낭만파의 풍경화가인 J.터너를 변호하기 위하여 쓴 《근대 화가론》(5권, 1843~1860)에서 예술미의 순수감상을 주장하고 “예술의 기초는 민족 및 개인의 성실성과 도의에 있다”고 하는 자신의 미술원리를 구축함과 동시에 《건축의 칠등(七燈)》(1849), 《베니스의 돌 The Stones of Venice》(1851~1853), 《참깨와 백합》(1865) 등의 대표작을 냈다. 1860년 이후 경제와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사회사상가로서의 활동하며 전통파 경제학을 공격하고 인도주의적 경제학을 주장하며 사회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18
William Morris( ) 국 적 : 영국 분 야 : 문학, 공예 출 생 : 영국 에식스주(州) 작 품 : 《제이슨의 생애와 죽음》(1867) 등 시인, 공예가(工藝家). 말보로 칼리지를 거쳐 옥스퍼드 엑시터 칼리지(1833~1855)에서 공부하며 러스킨의 사상에 접하고 고딕 건축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다. 처음에는 건축가가 되려고 스트리트의 사무소에 들어갔으나(1856), 로세티의 조언에 따라 회화로 방향을 바꾸었다. 이후 생활환경의 미화를 위해 1861년 친구들과 모리스마샬-포크너 상회(商會)를 설립, 벽면장식에서부터 스테인드글라스, 가구, 금장(金匠)에 이르는 모든 실내장식 미술을 다루며 1877년 처음으로 장식예술이라는 강연을 하고, 또 고대건축보존협회를 설립하는 등, 사회활동도 벌였다. 19세기 문명을 비판하고 기계문명의 해독을 입고 노동의 기쁨을 상실한 시대의 변혁을 위해서 한때 정치활동에도 투신하였다(1883). 1880년대에 들어 모리스의 영향으로 각종 공예가 조직이 형성되어, 근대 디자인 운동[Art and Craft 운동]선구자가 되었다.
19
영조법식《營造法式》 我聽說,《周易》“上棟下宇,以蔽風雨之句”,說的是”大壯”的時期;《周禮》”唯王建國,辨正方位”,就是天下太平時候的典禮。”共工”這一官職,在帝舜的時候就有了;”將作大匠”是從漢朝開始設置的。這些官職都有自己的職責,分別做自己的工作…至於千里的首都,以及九重的宮闕,就必須考慮內部宮寢的布置和外部宗廟朝庭的次序、位置;官署要互相連繫,按序排列…一切工作做的有條有理,選派了得力的官吏,制定了辦事的制度。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