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해설기법 및 시연 목 차 1P 해설기법 및 시연 1 해설의 정의 2 해설의 목적과 임무 3 해설의 혜택 4 환경해설의 6가치 원칙 5 해설모델 목 차 1 해설의 정의 2 해설의 목적과 임무 3 해설의 혜택 4 환경해설의 6가치 원칙 5 해설모델 6.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해설기법 및 시연 목 차 1P 해설기법 및 시연 1 해설의 정의 2 해설의 목적과 임무 3 해설의 혜택 4 환경해설의 6가치 원칙 5 해설모델 목 차 1 해설의 정의 2 해설의 목적과 임무 3 해설의 혜택 4 환경해설의 6가치 원칙 5 해설모델 6."— Presentation transcript:

1

2

3

4

5

6 해설기법 및 시연

7 목 차 1P 해설기법 및 시연 1 해설의 정의 2 해설의 목적과 임무 3 해설의 혜택 4 환경해설의 6가치 원칙 5 해설모델
목 차 1 해설의 정의 2 해설의 목적과 임무 3 해설의 혜택 4 환경해설의 6가치 원칙 5 해설모델 6 해설 프로그램 7 해설기법 8 해설가 9 방문객 센터

8 해설(Interpretation) 2P 이런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로 해설 해설기법 및 시연
자연과 환경, 문화와 관련된 기술과 지식의 습득은 자연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대시대에 있어서 휴식이나 즐거움 같은 휴양의 편익만큼 중요 이런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로 해설 해설의 역사 19세기말에 미국의 자연주의자들에 의해 비롯 Enos A. Mills(자연주의자, 최초의 해설가)의 등장(1889년) 1920년 Yellowstone과 Yosemite 국립공원에서 최초의 프로그램 시작 초창기에는 국립공원내의 자연생태계에 관한 현상을 다룸 최근 지구의 환경문제에 관한 것을 주제로 다루기도 함

9 해설(Interpretation) 3P 해설기법 및 시연
해설의 대상지 국립공원 외에도 국유림, 자연공원, 도시공원, 동물원, 유적지, 전쟁터, 박물관, 미술관, 수족관, 수목원, 식물원, 습지, 생태체험관, 네이쳐 센터, 방문자 센터 등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각 국립공원과 자연휴양림, 수목원 등지에서 해설프로그램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민․환경단체를 중심으로 해설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10 1. 해설의 정의 4P 해설의 정의 요약 해설기법 및 시연 Freeman Tilden(1957)의 정의
해설 또는 자원해설이란 단순히 사실적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라기 보다는, 실제의 목적물을 보여주며, 직접경험을 통하거나 또는 적절한 매체를 통하여, 현상에 내재된 의미와 관련성을 나타내 보이려고 하는 교육적 활동 Interpretation Canada(1976)의 정의 해설이란 문화, 자연유산의 의미와 관계를 알리기 위해 특정 대상물, 인공물, 그리고 경관 또는 지역을 대상으로 고안된 하나의 의사전달과정 해설의 정의 요약 해설이란 방문자에 대한 교육적 활동이고, 환경에 대한 인식을 넓혀주는 활동이며, 환경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이해와 통찰력, 열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활동이며, 환경보전에 대한 필요성을 일깨워 주는 기술

11 2. 해설의 목적과 임무 5P 해설기법 및 시연 Grant W Sharpe 해설의 세가지 목적 1 2 3
방문자가 방문하는 곳에 대해 예리한 인식능력, 감상능력, 이해능력을 갖게끔 도와줌 2 해설을 통하여 환경자원관리의 목표를 성취할 수 있음 3 휴양지의 홍보수단으로써, 여러 가지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촉진시켜 휴양지 및 관리자들에 대한 이미지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부각시키는데 기여할 것

12 2. 해설의 목적과 임무 6P 해설기법 및 시연 Grant W Sharpe 해설의 세가지 목적을 이루기 위한 임무
1. 광의적인 임무 ① 임무와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의 증진을 도모한다. ② 방문객에게 안정감과 영감을 줄 수 있으며, 심적 여유와 풍요로움, 그리고 즐거운 경험을 제공한다. ③ 방문객에게 환경자원에 대한 예리한 감수성과 인식, 그리고 이해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된다. ④ 휴양 지역의 홍보와 함께 자원과 시설의 사려 깊은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관리의 목적을 성취한다. ⑤ 양질의 해설프로그램과 방문객센터의 시설을 통하여 대중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창출한다.

13 2. 해설의 목적과 임무 7P 해설기법 및 시연 Grant W Sharpe 해설의 세가지 목적을 이루기 위한 임무
1. 세부적인 임무 ① 휴양지의 중요성에 대한 정보를 일반 대중에게 제공한다. ② 휴양지 내에 있는 휴양기회를 알리고, 어떻게 안전하게 참여할 수 있는가를 제공한다. ③ 방문객의 지식 부족으로 인하여 시설이 어떠한 피해를 입는가를 인식하게 한다. ④ 방문객이 원하는 방문 지역을 용이하게 이용토록 한다. ⑤ 방문객, 특히 청소년들에게 바람직하고 건전한 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연령․ 계층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⑥ 휴양지 내에서의 쓰레기 줄이기 등과 같은 계몽활동을 법률적인 접근 방법에서 교육적인 접근 방법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공원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⑦ 관리자들에게 환경자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⑧ 방문객들에게 공원 내에서 경험하는 것을 그들의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관련성을 부여한다. ⑨ 방문객들에게 해설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자연환경에 호기심을 자극시킴으로서 자연 환경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생활태도를 제공한다.

14 3. 해설의 혜택 8P 해설기법 및 시연 5가지 해설의 혜택 1 2 3 4 5
해설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소나 대상물에 대한 대외홍보와 관리의 수단으로 매우 유익 2 해설 장소나 대상물이 가지고 있는 자연, 문화자원의 보호에 참가자가 적극적 참여 3 장소나 대상물에 대한 가치를 이해, 소중함 인식을 통해 참가자에게 기쁨과 흥미 제공 4 지역주민들이 자연과 지역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보존활동 참여 5 참가자들이 해설 장소나 대상물의 가치를 이해, 시설물 파괴행위 감소 효과 기대

15 4. 환경해설의 6가지 원칙 9P 해설기법 및 시연 해설의 6가치 원칙 1 2 3 4 5 6
참가자의 개성, 경험을 고려하지 않은 해설, 전시 지양. 참가자가 가장 관심을 가지는 것 표현 2 해설은 정보의 전달이 아니라 정보에 근거를 둔 경험적 사실에 기초함 3 해설은 과학, 역사나 건축 등의 예술을 접목시킨 종합예술이며, 교육적 요소를 포함 4 해설의 목표는 자극을 주어 스스로 깨닫게 하는 것. 자연에 대한 이해, 가치평가, 자연보호 기대 5 해설은 부분보다 전체를 전달해야 함. 특정인이 아닌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정보를 전달 6 어린이와 성인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 준비가 바람직함

16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10P Cherem,1977 해설모델의 기초 그림 주제 또는 대상 참가자 목 적 기술과 서비스
해설가 관리실체 피드백

17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11P 해설모델 1 주요 해설주제나 대상을 결정  대상지 자원과 스토리 목록 작성
- 자연 자원 - 야생 동물 서식지 - 전망 포인트와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 - 문화 또는 사적 - 트레일 시스템 (자기 학습 트레일포함) - 기존의 해설 서비스, 미디어, 프로그램, 행사 등

18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12P 해설모델 2 달성하고자 하는 해설목표 개발(학습목표, 행동목표, 감성목표)
계획수립 단계에서 가장 먼저 해설계획의 목표, 해설미디어 및 실행될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구체적인 목표 세 가지 : 학습목표, 행동적 목표, 감성적 목표 학습목표 학습목표는 해설가가 참가자들이 무엇을 배우고 기억하고 설명할 수 있기를 원하는지 등에 초점을 둔 것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목적 예) 해설프로그램이 완료되었을 때, 대부분의 참가자들이 해설 장소와 대상물의 보전이 중요한 이유를 3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어야 함

19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13P 해설모델 2 달성하고자 하는 해설목표 개발(학습목표, 행동목표, 감성목표)
계획수립 단계에서 가장 먼저 해설계획의 목표, 해설미디어 및 실행될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2. 행동적목표 참가자들이 해설프로그램, 전시, 기타 미디어전시에서 얻은 정보나 영감을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목표를 제시 예1) 참가자의 대부분은 해설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나서 프로그램에 참가했었던 지역이 아닌 다른 역사적 유적지 또는 공원을 방문 예2) 관련기관 혹은 조직의 구성원이 되기를 희망하거나, 자원봉사를 고려 예3) 해설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바람직한 책임/의무에 대해 배우기 시작

20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14P 해설모델 2 달성하고자 하는 해설목표 개발(학습목표, 행동목표, 감성목표)
계획수립 단계에서 가장 먼저 해설계획의 목표, 해설미디어 및 실행될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3. 감성적 목표 감성은 행동을 이끌어내는 원동력이므로 해설프로그램은 감성을 움직여야 함 해설계획자들이 참가자들에게서 이끌어내는 강한 동기 혹은 영감 때문에 참가자들이 해설프로그램의 주제를 기억하고, 행동적 목적으로 달성하도록 도움 참가자 대부분은 해설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나서 지역사회에 대한 자부심을 느낌 예1) 관련 단체 혹은 기관의 숲해설 관리 계획을 지지한다. 예2) 해설프로그램의 이점을 3가지 이상 느끼게 된다. 예3) 쓰레기를 버리는 것이 정당한 행동이 아니라는 것을 느낌

21 5. 해설모델 햄(Ham, 1992) 좋은 주제의 조건 해설기법 및 시연 15P 해설모델 3
주요 해설 주제를 설명하는 데 사용할 언어와 문체 등 해설기법을 선택 해설프로그램의 주제는 해설가가 해설하려는 이야기(Talk), 즉 주된 생각 (Main Idea) 햄(Ham, 1992) 좋은 주제의 조건 ① 짧고 간결하며 완결된 문장으로 작성하고, ② 오직 하나의 아이디어만 포함하고, ③ 해설의 총체적인 목표를 나타내고, ④ 구체적이어야 하며, ⑤ 참가자들의 관심과 주의를 끌 수 있는 용어의 사용

22 5. 해설모델 Regnier(1992) 등은 해설기법 및 시연 16P 해설모델 4
참가자를 고려하여 해설을 기획 해설가는 ‘어떤 것을 모든 사람들에게’로 발전시키기 전에 참가자가 누구이며 또 무엇을 ‘프로그램 참가자들에게’ 해설할 것인지에 대해 미리 파악하도록 노력해야 함 Regnier(1992) 등은 “해설가 여러분이 해설 프로그램 참가자들을 이해하면 할수록, 여러분의 프로그램을 더 잘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해설가 여러분이 해설 프로그램 참가자들에 대해서 더 많이 이해할수록 참가자들에게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으며,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여러분은 곧 해설의 일반적인 흐름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라고 주장

23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17P 해설모델 5 해설 프로그램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평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갖도록
해설목표가 성취되고 있는지 참가자들로부터 평가를 받음 해설 프로그램이 본래 의도한 목적과 실제로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경험한 결과와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 해설 프로그램 평가의 가장 큰 목적 해설 프로그램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평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평가전문가에 의하여 평가 이론이 적용되어 평가가 실시되어야 하고, 타당하고 신뢰성이 있는 평가 결과로 평가를 받는 개인이나 해설 프로그램 또는 평가 기관의 발전을 도모하도록 하여야 함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먼저 프로그램 진행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들을 관찰 및 분석 필요 : 투입변인, 절차변인, 산출변인

24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18P 해설모델 5 해설목표가 성취되고 있는지 참가자들로부터 평가를 받음
해설 프로그램이 본래 의도한 목적과 실제로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경험한 결과와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 해설 프로그램 평가의 가장 큰 목적 ① 투입변인 : 자연환경해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변인을 말하며 해설 프로그램 진행 장소의 시설, 예산, 해설 프로그램 참가자, 해설가, 담당기관 관리자, 사회의 요구, 프로그램 과정, 해설 프로그램의 설계 등 포함 ② 절차변인 : 투입변인들이 해설 프로그램에서 어떠한 순서로 어떻게 활용되는가 하는 방법을 말하며 해설가의 해설 프로그램 진행방식, 담당기관 관리자의 관리방식, 해설 프로그램의 작용 등이 이에 속함 ③ 산출변인 : 투입 및 절차변인의 작용으로 나타나는 최종적 결과를 말하며 해설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경험 만족도, 프로그램 참가태도, 행동 등

25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19P 해설모델 5 평가는 해설 프로그램 준비 단계에서부터 종결단계에 이르기까지 계속적으로
해설목표가 성취되고 있는지 참가자들로부터 평가를 받음 해설 프로그램이 본래 의도한 목적과 실제로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경험한 결과와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 해설 프로그램 평가의 가장 큰 목적 평가는 해설 프로그램 준비 단계에서부터 종결단계에 이르기까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평가 후 수정 및 보완 작업 과정을 거쳐 다음 프로그램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함

26 해설기법 및 시연 20P 5. 해설모델 해설모델 6 해설가 각각의 해설프로그램에 자신의 독특한 해설기법, 이야기, 비교, 유머, 자원이나 스토리에 대한 지식 등을 제공 해설가의 목소리는 해설가와 프로그램 참가자들 사이의 중요한 연결고리이기 때문에 메시지를 분명히 전달하기 위한 해설가의 분명한 언어의 구사력과 친절한 음성은 해설의 중요한 도구 7 관리의 실체는 전체를 포함, 관리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야 함 해설 서비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관의 규정 또는 정책 준수 프로그램, 미디어 또는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사용 가능한 예산 가능한 직원 시간 / 프로그램이나 이벤트에 대한 마케팅이나 광고 - 파트너 또는 자원 봉사 단체의 필요성 / 유지 관리가 필요한 경우

27 해설기법 및 시연 21P 5. 해설모델 John Veverka의 해설모델

28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22P 해설계획 전략에 포함되는 여섯가지 구성요소 환경해설 모델의 구성요소:
WHY? (목적/목표) WHAT? (주제 또는 이야기). WHO? (방문객 및 시장 분석) Media (언제, 어디서, 어떻게 해설을 수행할 것인가). Implementation and Operations (지원인력 및 예산). Evaluation (평가 및 피드백).

29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23P 해설계획 전략에 포함되는 여섯가지 구성요소
모델의 노란색 박스에 대해 먼저 이야기 해봅시다. 해설의 목적/목표 및 결과. 주제 또는 이야기 방문객/시장 분석 환경해설자는 해설의 목적/목표 및 결과, 주제 또는 이야기, 시장분석을 가지고 해설계획을 수행하여야 하며, 또한 해설기법과 서비스 선택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이들을 분명하게 해야 함.

30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24P 해설계획 전략에 포함되는 여섯가지 구성요소
해설계획과정을 수행하기 전 해설자는 해설을 통해 성취하고자 하는 해설계획의 목적/목표 ,해설기법 또는 프로그램을 결정해야 함. 해설자는 해설프로그램 또는 해설서비스를 명확히 하지 않고서는 해설계획을 수행할 수 없을 것임.

31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The “What” Section 25P 임무, 목적, 결과
해설목적를 개발하는데 있어 정해진 규칙은 없으나, 해설가가 실질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명확하게 기술하여야 함. The “What” Section 해설계획은 해설가가 주제와 테마 혹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명확히 하는 과정이며, 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달성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해설지역의 주요 자원, 이야기, 그리고 중요성을 결정하고 그 지역의 자원을 목록화 - 해설을 수행함으로써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직원들과 함께 워크샵을 개최하고, 이 결과를 해설 주제/이야기 흐름도에 반영

32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26P 주제, 부주제, 이야기 < 해 설 주 제 >
해설주제는 어떠한 프리젠테이션, 전시 또는 다른 해설기법에 있어서의 주요 단서가 있어야 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주제 또는 해설의 목적/목표를 방문 객들이 해설프로그램을 통해 기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완벽한 문장으로 명시되어야 한다. 한가지 주제를 담고 있어야 한다. 해설프로그램 또는 전시의 주요 목적을 표현해야 한다. 흥미롭고 방문객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단어로 구성되어야 한다

33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27P 방문객 및 시장분석
방문객 분석은 종합적인 해설계획 과정과 예산계획을 위한 핵심요소이다. 해설계획가는 방문객들에게 입장료를 부과하거나, 식음료 서비스 또는 기념품 판 대 등에서 수입을 기대하게 될 것이다. 또한, 얼마나 많은 방문객들이 해설지역 을 방문해야 이윤을 남길 수 있는지에 대해 인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해설지역과 해설기법 및 서비스의 개발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해설가가 인지하고 있어야 하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34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28P 방문객 및 시장분석 시장 분석: 누가 해설지역을 방문하는가?
방문객의 연령대는 어떠한가? 방문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위치는 어떠한가? 그들이 관심있고, 경험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그들이 여행하는데 있어 제한(제약)사항은 무엇인가? 그들이 어떻게 해설지역/장소를 방문하게 되었는가? 방문객들에게 해설프로그램 및 서비스에 대해 어떻게 홍보할 것인가? 해설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주마다, 월마다, 계절별, 년도별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가? 가장 많은 방문객이 해설지역을 방문하는 계절은 언제인가? 해설계획가가 기대하는 방문객 수, 방문객 형태는 무엇인가?

35 5. 해설모델 해설기법 및 시연 29P 해설매체 및 서비스 선택
해설가가 어떠한 해설기법과 서비스를 이용하고, 개발하기 를 원하는지를 결정하는 해설계획과정이다. - 실연프로그램 - 야외 안내판 - 박물관 전시물 - 음성기기 - 웹사이트 - 인쇄 매체 - 전시지역 - 관망대 등

36 해설기법 및 시연 30P 5. 해설모델 실행 및 운영단계 다음단계는 실행과 관리단계이다. 해설계획가는 해설주제를 표현하고, 해설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해설미디어를 계획하고, 해설 프로그램, 서비스 또는 해설종합계획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In the I &O part of the plan we figure out: - 해설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과정과 단계 - 해설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 그것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비용, 인력은 얼마인가? - 그것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 홍보 할 것인가? - 해설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자금은 대부분 어디서 오는가? - 해설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위한 주별, 월별 등의 계획은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 In master planning, will it be a 3-5 year phasing to implement the planning recommendations?

37 6. 해설프로그램 해설기법 및 시연 해설에 있어서의 주제 개발은 가장 중요하고 흥미로우며,
31P 6. 해설프로그램 해설프로그램 준비시 고려사항  대상 지역의 크기 및 특성  방문객에게 무엇을 전달할 것인가? - 자연 역사, 생태, 지질, 역사 등  방문객이 누구인가? - 가족, 특정단체, 학교단체, 성인, 아동, 장애인 등 주제의 개발과 선택 해설에 있어서의 주제 개발은 가장 중요하고 흥미로우며, 해설의 적절한 대상과 개념을 선택하는 것

38 해설기법 및 시연 32P 6. 해설프로그램 국립공원에서의 해설주제에 대한 예시

39 6. 해설프로그램 해설기법 및 시연 33P 대상 방문객의 분석
방문객 분석이란 실질 방문객은 누구이며, 잠재 이용객은 누구인가를 파악하는 것 첫 단계의 분석 특정 대상지에 대한 해설프로그램의 계획을 추진하는데 기초가 되는 것으로 방문객의 흐름, 예상되는 방문객수(일일․주간․월간․연간), 계절적 이용 등에 대한 조사 분석 2. 두번째 단계의 분석 첫단계에서 조사되어진 일반적인 방문객 특성을 가지고 특정 해설 프로그램․서비스에 주된 이용객(표적시장)은 누구일 것인가를 파악하고, 어느 이용계층 (예, 초등학교 5~6학년, 중․고등학생, 자연보호모임)이 관심을 보일 것인가를 분석

40 7. 해설기법 해설기법 및 시연 34P 해설기법의 분류 1. 안내자 서비스 해설기법 2. 자기안내 해설기법 1
안내자 서비스 해설기법 (personal interpretive techniques) 해설자가 현장에서 해설을 하거나 일정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상황을 재현해 보이는 등의 활동을 함으로서 방문객과 직접적으로 의사를 주고받는 것 안내자 서비스 해설기법의 유형 ① 방문객 센터에서의 해설기법 : 방문객센터 내에서 간단한 유인물을 나누어주며 안내해 주는 서비스 제공 ② 이동식 해설기법 : 해설자가 해설대상지역을 옮겨다니며 해설 ③ 거점식 해설기법 : 방문객이 밀집되는 지점에 해설가를 배치하여 안내서비스를 제공 슬라이드를 이용한 해설기법 역사적인 것을 재현하는 방법

41 7. 해설기법 해설기법 및 시연 35P 안내자서비스 해설기법의 수단 1. 담화 / 2. 재현 / 3. 동행 1 담화(Talk)
담화기법은 해설을 위해 말하는 기능을 이용한 방법 담화는 장소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음 담화의 목적 달성을 위한 유의 사항 ① 청중을 읽어야 한다. ② 해설자 자신의 이미지를 좋게 해야한다. ③ 담화의 골격을 구성해서 이용해야 한다.

42 7. 해설기법 해설기법 및 시연 36P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3단계 담화 접근법
1. 담화 전단계 / 2. 준비 단계 / 3. 담화 단계 담화 전단계 : 설비를 점검하고 간단한 기능을 테스트 해보고 도착하는 이용자들을 맞으면서 잡담도 주고받는다. 준비 단계 : 모인 이용자들에게 인사를 하고 자신의 이름을 알려줌과 동시에 간단히 소개한다. 담화 단계 : 해설할 주제의 내용이 무엇인가를 알려 주고 해설을 시작한다. 끝내면서도 이야기했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해 준다.

43 7. 해설기법 해설기법 및 시연 37P 안내자서비스 해설기법의 수단 1. 담화 / 2. 재현 / 3. 동행 2
재현(demonstrations) 대상지역의 특성, 즉 역사적 시기, 생활, 사건들을 재현해 보이는 것 재현기법은 역사를 재조명 시켜 방문객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또는 자연 생태계를 설명하기 위해 모형을 만들어 제시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 재현을 위한 준비에는 많은 시간과 물품 그리고 기능인 모집 및 훈련 등의 어려움 있음

44 7. 해설기법 해설기법 및 시연 38P 안내자서비스 해설기법의 수단 1. 담화 / 2. 재현 / 3. 동행 3 동행(walk)
해설자가 방문객과 함께 걸으며 해설하는 고전적 방법 직접 경험하고 궁금한 사항을 물어 볼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흥미로운 방법 소규모 그룹의 경우 좋은 반응을 보임 동행의 유의 사항 ① 자원해설자가 일찍 도착해야 한다. ② 정시에 시작해야 한다. ③ 해설할 내용의 개요 주지 ④ 해설기간 조정 ⑤ 분명한 끝맺음

45 7. 해설기법 해설기법 및 시연 39P 안내자 서비스 해설기법의 특성
안내자 서비스 해설기법은 자기안내 해설기법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함. 안내자 서비스 해설기법은 해설자가 현장에서 방문객과 대화를 나눌 수 있고, 일정한 프로그램을 갖고서 해설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많은 인적자원이 필요하며 그들의 교육에 많은 비용이 들어 안내자 서비스 해설기법만으로는 해설이 불가능하며 일부 방문객은 안내자 서비스 해설기법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음 이러한 이유로 자기안내 해설기법이 필요

46 7. 해설기법 해설기법 및 시연 40P 해설기법의 분류 1. 안내자 서비스 해설기법 2. 자기안내 해설기법 2
자기안내 해설기법(self-guiding interpretive techniques) 해설자가 없는 안내기법으로 특수한 경관, 환경변화, 특이한 생물 등에 대해 스스로 읽어보고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고안된 해설 프로그램 자기안내 프로그램은 유인물이나 해설간판을 이용 해설을 필요로 하는 특별한 지점에 해설안내판이나 전시판을 사용 해설안내 책자는 원거리이동시 제공, 방문객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해설 안내판은 방문객의 불편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

47 7. 해설기법 해설기법 및 시연 41P 해설기법의 분류 1. 안내자 서비스 해설기법 2. 자기안내 해설기법 2
자기안내 해설기법(self-guiding interpretive techniques)  자기 안내 해설이 이루어지는 장소 ① 방문객센터(visitor centers) ② 자기안내등반로(self-guiding interpretive trails) ㉠ 안내용 팜프렛과 푯말이 있는 등반로(the leaflet and marker trail) ㉡ 안내판이 있는 등반로(sign-in-piece trail) ㉢ 키오스크 또는 길옆 전시(kiosk or wayside exhibits) ㉣ 자원해설 표시물(signs and display) ㉤ 인쇄물(publication) : 팜프렛이나 소책자, 간단한 안내물을 제작하여 방문객에게 제공

48 7. 해설기법 해설기법 및 시연 42P 해설기법의 분류 1. 안내자 서비스 해설기법 2. 자기안내 해설기법 2
자기안내 해설기법(self-guiding interpretive techniques) 키오스크 해설 안내판 등산로 정보 안내물

49 7. 해설기법 해설기법 및 시연 43P 해설기법의 분류 기타 : 음성기기 등의 전자장치 이용방법
전자 장치를 이용한 해설 기법은 전자장치에 자원해설 내용을 실어서 방문객들에세 들려주는 방법으로 방문객의 행태에 따라 첨단장치를 이용함으로서 호기심을 유발하고 편리성을 제공 음성기기 등의 전자장치 이용방법의 유형 1. 원거리 / 2. 근거리 / 3. 특별한 장치 원거리 : 라디오 근거리 : 마이크가 달린 헤드폰, 전자전시판, 교육용 TV, 멀티미디어 시스템, 무인정보안내소(Touch screen) 특별한 장치 : 테이프, 라디오 방송, 해설 안내소의 시청각 시설을 이용한 슬라이드, 비디오 상영 등

50 7. 해설기법 해설기법 및 시연 ① 장점 ② 단점 44P 음성기기 등의 전자장치 이용방법의 장단점
㉠ 인쇄물이나 해설간판 보다는 미적, 시각적 폐해가 적다. ㉡ 방문자들이 전시물, 축소모형, 풍경 등에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게 해 준다. ㉢ 인쇄물보다 더 긴 시간동안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다. ㉣ 소리의 크기나 장치의 모양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 자주 반복해야 하는 경우 다른 기법보다 효과적이다. ㉥ 여러 가지 언어를 준비해 두면 방문자들이 선택할 수 있다. ㉦ 음향효과를 잘 내게 하여 상황 재형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② 단점 ㉠ 기계이기 때문에 고장이 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보수를 하거나 예비품을 만들어 두어야 한다. ㉡ 전기를 이용해야 하는데 야외에서는 사정이 허락되지 않을 수도 있다.

51 8. 해설가 해설기법 및 시연 45P 해설가의 정의 해설가는 휴양지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대상지의 특성, 형태, 구성상태,
구성원간의 관계 등을 자연과 문화, 역사적인 것에 대한 이해와 자극을 통해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방문객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 해설가의 역할 ① 해설가는 방문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자연을 이해시켜 자연의 가치를 알게 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설가는 빠른 판단력과 상상력, 그리고 이에 따르는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② 해설 지역의 지질학적․생태학적 특성, 자생 동․식물 같은 특수성을 이용하여 개발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③ 해설 지역의 계속적인 특성의 조사와 변동 상황을 항상 파악해야 한다. ④ 기계․장비의 이용, 사진, 현장에서의 여러 가지 기술 등의 부수적인 수단을 필요로 한다. ⑤ 끊임없는 조사 연구와 관찰, 학습을 통해서 자신의 수준을 높여야 한다. ⑥ 학술 대회(Workshop)를 통해 해설의 방법과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52 8. 해설가 해설기법 및 시연 46P 해설가의 자격요건 ① 용모, 성격, 공손한 태도, 개성 ② 해설과 관련된 지식
③ 조직의 기능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④ 대중 상대를 잘하며 사무 능력도 있어야 한다. ⑤ 시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줄 알며 참을성도 있고 자기 확신적 능력이 있어야 한다.

53 9. 방문객 센터(Visitor Center)
해설기법 및 시연 47P 9. 방문객 센터(Visitor Center) 방문객 센터(Visitor center) 입지조건 : 방문객센터는 교육목적상 자연환경에 입지시키는 것이 바람직  이용객의 동선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 2) 시설 : 방문객센터의 시설은 해설 프로그램의 실천을 위해 매우 중요  입구 또는 로비, 안내 데스크, 관리실, 기자재실, 전시공간, 기념품 판매공간, 영상실, 야외 학습을 위한 공간 및 장소, 주차공간, 피크닉 공간, 화장실, 쓰레기 수집시설, 서고, 단체를 위한 회의공간 3) 규모 : 탐방객의 수요에 따라서 규모가 설정  이용형태가 계절적이고 특히 레저수요의 탄력성 때문에 이 규모를 설정하기가 어려움. 관리 및 사업계획의 특성상 방문객센터의 규모는 자원의 특성 또는 예산 규모에 따라 결정

54 9. 방문객 센터(Visitor center)
해설기법 및 시연 48P 9. 방문객 센터(Visitor center) 방문객 센터(Visitor center) 전시공간의 배치 및 기법 : 전시공간은 방문객센터의 목적과 이용자의 편의성 그리고 관리 등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되어야 함 ※ 전시기법 : ① 패널(Panel) / ② 대화식 패널(Interactive Panel: Lift ups, put hands on) ③ 자기안내 팸플릿(Self-guided brochure) / ④ 자기안내 MP3(Self-guided MP3) ⑤ 안내자 동반 관람(Live or guided Tour) / ⑥ 음성패널(Audio panel) ⑦ 복제품(Replicas - made with fiberglass) / ⑧ 영상(Projection video) ⑨ 슬라이드(Slide show at theater) / ⑩ 대화식 컴퓨터(Interactive computer) ⑪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 5) 전시물의 공통요소 ① 살아 있는 생물 또는 원형 (Anything Alive or Objects) ② 복제품 (Replicas) ③ 도시 (圖示, Graphic Representation) ④ 구두(口頭) 묘사(Verbal Description)연구 결과에 의하며 방문객에 의해 가장 놓은 관심을 보이는 전시대상은 살아 있는 생물 또는 원형이며, 그 다음으로 복제품, 도시(圖示), 구두(口頭) 묘사의 순서

55 해설기법 및 시연 49P 결언 해설은 방문객에게 단순한 즐거움을 주는 휴양활동이 아니다. 방문객으로 하여금 휴양활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이러한 과정에서 현재 방문한 곳의 특성을 알게 하고, 이를 통해 자연의 존재가치를 알게 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휴양활동이라 할 수 있다. 체계적인 해설 프로그램을 행하고 있는 외국에 비해 우리 나라는 아직 역사가 짧다. 외국의 해설 프로그램은 그 나라의 자연적․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여러 단계의 시행착오를 거쳐서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외국의 선진 프로그램을 우리의 특성에 맞게 검증과 평가의 단계를 거쳐 도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해설에서 나타나는 용어의 정립, 전문적인 인적자원의 육성(해설교육의 체계화, 해설 전문직의 설립), 정부차원의 경제적 지원, 사회정책적인 지원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지구환경에 대한 관심이 무엇보다도 중요시 될 것이다. 예로서 기후변화는 한 국가를 초월한 지구의 운명이 걸린 문제이다. 지구의 환경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각종의 규제들은 단기적인 해결대책이라 할 수 있다.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은 자연환경에 대한 의식을 바꾸어야 한다. 지속적인 해설 프로그램의 개발과 해설가의 양성, 해설의 실시는 지구환경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위해 매우 중요한 것이며, 이러한 인식의 전환이 지구환경을 보호하는데 매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Download ppt "해설기법 및 시연 목 차 1P 해설기법 및 시연 1 해설의 정의 2 해설의 목적과 임무 3 해설의 혜택 4 환경해설의 6가치 원칙 5 해설모델 목 차 1 해설의 정의 2 해설의 목적과 임무 3 해설의 혜택 4 환경해설의 6가치 원칙 5 해설모델 6."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