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새롬 탄 Modified 6년 전
1
총합Loss 관리 용어정리 1. 공수 : 작업량을 표시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가장 많이 쓰이는 기준은 작업시간으로써 기계시간과 (Machine Hour) 사람 작업시간 (Man Hour)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둘 다 공수로 표현되지만, 일반적으로는 M.Hr(사람작업시간)를 가리킨다. 2. 총출근공수 : 일정기간내 측정단위 총인원(직접인원 + 간접인원)의 실제 총출근(총인원×출근시간)을 의미 하며, (관리자,사무기술직, Q.C 현장사원 제외) 총출근공수는 직접공수와 간접공수로 구분한다. (정원*8HR)+잔업공수+조출공수+특근공수+기타-(휴가+조퇴+기타) 3. 직접공수 : 직접작업 인원의 출근공수를 말한다. (직접인원 × 출근 공수) 실동공수와 무작업 공수로 구분한다. 4. 간접공수 : 제조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감독, 진도등 제조를 위해 부수적인 역할을 하는 공수. (간접인원 × 출근 공수) 반장공수+진도공수+기타공수 5. 실동공수 : 직접작업 인원이 작업에 임하는 작업시간으로 재작업 공수와 순작업 공수로 구분한다. 6. 무작업공수 : 무작업은 품절, 품질불량, M/Change시간, 교육,조회, 휴식 등이며 통제가능과 통제불능으로 구분함. 통제불가능 무작업공수 + 통제가능 무작업공수 7. 통제불가능 무작업공수 : 법률, 노경합의 또는 안전, 기타사유로 발생하지 않으면 안되는 공수 훈련공수+조회공수+휴식공수+교육공수+기타공수 8. 통제가능 무작업공수 : 외주 부품 및 판금,도장,사줄물의 품절, 품질, M/C Loss, 설비불량 등으로 인해 발생한 무작업 공수 품절 무작업공수+품질 무작업공수+M/C무작업공수+설비무작업공수+기타공수 9. 재작업공수 : 실동공수중 불량으로 인해서 조립 또는 가공 중에 발생하는 재작업 시간 10. 순작업공수 : 직접작업 인원이 목적하는 작업에 투입된 실제 작업시간으로 회수공수와 작업자 책임공수로 구분한다. 11. 회수공수 : 일정기간내의 생산량을 표준시간으로 환산한 시간(표준시간*생산량) 단, 조립라인은 품질보증팀의 검사가 끝난 시점을 회수시점으로 보고, 가공계 작업은 자체검사가 끝난 시점을 회수시점으로 한다.
2
총합Loss 관리 Loss의 구조와 세부내용 용어정리
12. 작업 Loss : 이론 T/T와 실제 T/T 차이, 작업자 미숙련, 노력부족 및 작업불량으로 발생된 공수등의 작업자 책임공수 13. Line Loss 공수 : 조립 공정의 Error로 인한 Loss 공수 공정Neck 손실공수+공정불량 손실공수+순간정지 손실공수 + 기타공수 14. 총합Loss : 간접공수 + 무작업공수 + 재작업공수 + Line Loss공수 또는 총출근공수 - 회수공수 15. 총합Loss율 : 생산 총Capa 대비 전체 Loss를 말한다. 총낭비요소/총투입요소*100, 총합Loss/총출근공수*100 Loss의 구조와 세부내용 간접공수 간접 Loss 간접원(반장,진도,기타) 공수에 의한 Loss 총 합 Loss 무작업공수 총 출 근 공 수 무작업 Loss 무작업 Loss 재작업공수 - 품절 Loss(외주부품,판금/도장/사출부품) - 불량 Loss(외주부품,판금/도장/사출부품) - 설비 Loss - M/Change Loss - 통제불능(교육 등) Loss - Line 비가동(물량축소 등) Loss L/Loss 공 수 직 접 공 수 실 동 공 수 순 작 업 공 수 회 수 공 회 수공 수 재작업 Loss 품질문제 등에 의한 재작업으로 인한 Loss Line Loss Line Loss - 공정불량 Loss - 순간정지 Loss - 공정Neck Loss - Line Balancing Loss
3
총합Loss 관리 용어정리 16. 회수율 (A)= 회수공수/총출근공수×100 17. 실동율 = 실동공수/총출근공수×100
18. 가동율 = 실동공수/직접공수×100 19. 효율 = 회수공수/직접공수×100 20. 능 율 = 회수공수/순작업공수×100 21. 간접Loss율 (B)= 간접공수/총출근공수×100 22. 무작업Loss율(C) = 무작업공수/직접공수×100 23. 재작업Loss율 (D)= 재작업공수/실동공수×100 24. Line Loss율 (E)= Line Loss 공수/총출근공수×100 ※ E= 총합Loss-(B)+(C)+(D) 25. 총합Loss율 = (B)+(C)+(D)+(E) 26. L/B효율 : (작업공정 소요시간의 합)/(작업공정 * T/Time) * 100 27. O.E.E(Overall Equipment Efficiency : 설비종합효율) = 시간가동률*성능가동률*양품율 28. 시간가동률 = (부하시간-정지시간)/부하시간*100 29. 성능가동률 = (이론 사이클타임*가송수량)/가동시간*100 30. 양품률 = (가공수량-불량수량)/가공수량*100 31. 부하시간 = 가동시간+정지Loss
4
총합Loss 관리 용어정리 31. 가동시간 = 정미 가동시간+속도 Loss
37. 7대 낭비 : 과잉생산의 낭비, 재고의 낭비, 운반의 낭비, 불량제조의 낭비, 가공자체의 낭비, 동작의 낭비, 대기의 낭비 38. PAP ( Precise Analysis of Process) : 정밀 공정 분석 39. NWT (Natural Work Team) : 현장의 소그룹 개선 활동팀, 현장의 직제개선활동 40. M.HR분석 : Man Hour분석, 인당시간당 생산성 분석 생산대수/(Man*Hour) 42. Q,D,C,S,M : 생산의 관리항목 Quality(품질), Delivery(납기), Cost(원가), Safety(안전), Morale(사기) 43. E,C,R,S : 개선의 Idea Eliminate(제거), Combine(복합), Rearrange(재배치), Simplify(단순) 44. L/B (Line Balance) : 각각의 공정에 대한 작업의 분배를 의미하며, L/B의 효율정도는 L/B효율로 나타낸다. 45. QDC (Quick Dir Change) : 신속,정확한 금형 교환을 의미함 46. QMC (Quick Model Change) : 신속,정확한 모델 교환을 의미함.
5
설비종합효율 및 Loss구조 (6대 Loss기준)
가치가동시간 설비종합효율(%)= ×100 부하시간 조 업 시 간 설비종합효율은 조회,교육훈련등을 제외한 총부하시간에 대한 양품을 생산한 시간의 Percentage로서 6대로스 개선활동을 위해 주로 관리되며, 설비총합효율 또는 O.E.E (Overall Equipment Effiency)라고도 표기함. 부 하 시 간 계획 정지 조 회 교육훈련 가 동 시 간 정지 로스 ① 고 장 -설비고장 -작업준비/기종변경/품질조정/품절/대기/치,공구교환 -전후 공정,설비의 Error로 인한 Nowork,Fullwork -소정지(일반적으로 10분이하의 고장,대기 등) -현재C/T(또는T/T)의 기준C/T와의 Gap ② 준비,조정 정미가동시간 속도 로스 ③ 공전,잠깐정지 6대 Loss ④ 속도저하 가치가동시간 불량 로스 ⑤ 공정불량 ⑥ 수율저하 내용상의 의미 가동시간 정미가동시간 가치가동시간 가치가동시간 설비종합효율 = 시간가동율×성능가동율×양품율= × × = 부하시간 가동시간 정미가동시간 부하시간 계산방법 가동시간 이론C/T×생산총수량 양품수량 설비종합효율 = 시간가동율×성능가동율×양품율= ×100 (%) × ×100 (%) × ×100 (%) 부하시간 가동시간 생산총수량
6
설비종합효율 및 Loss구조 (12대 Loss기준)
가치가동시간 설비종합효율(%)= ×100 부하시간 조 업 시 간 ☞ 가치가동시간 = 순수한 양품만을 생산한 시간 조회 / 교육훈련 ※ LOSS의 정의 ① 모델교환 : 모델교환을 위해 설비를 정지한 시점으로 부터 양품이 생산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② 품질조정 : 설비운전중 이상품질산포 발생 및 불량발생에 대해 설비를 조정하는 시간 (불연속 운전일 경우 양품생산 시간을 제외한 시간) ③ 기계고장 : 설비 기능정지 발생시간 (발생건당 10분이상이 해당되며 10분이하에 대해서는 잠깐정지 항목으로 분류함.) ④ 공구교환 : 드릴,지석 등 양산용 공구를 교환한 시간으로 교환후 양품이 생산 될 때까지의 시간.(교환후 드레싱을 해야하는 공정은 드레싱시간까지 포함함.) ⑤ 공구드레싱 : 공구 드레싱이 필요한 설비에 대해서만 적용되며, 드레싱후 양품이 생산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⑥ 자재품절 : 라인 원재료 품절로 인한 공전시간 ⑦ 공정대기 : 전후 공정/설비의 문제발생으로 인한 공전시간(발생건당 10분이상이 해당되며 10분이하에 대해서는 No_Full Work항목으로 분류함.) ⑧ 잠깐정지 : 자공정/설비의 문제 발생이 10분이하일 때(10분이하 기계고장등) ⑨ No_Full Work : 타공정/설비의 문제발생이 10분이하일 때 (10분이하 공정대기등) ⑩ 속도저하 : (현재T/T-기준 T/T) × (양품수량+불량수량) ⑪ 불량/불량수리 : 불량을 생산한 기간 및 불량을 재작업한 시간 ⑫ 초기수율저하 : 휴무등으로 설비를 휴지하고 있던 상태에서 처음 가동을 START 하는 경우 양품이 나오기 전까지 불량이 생산된 시간. 계획 정지 계획보전 부 하 시 간 ① 모델교환 ② 품질조정 ③ 기계고장 가 동 시 간 정지 로스 ④ 공구교환 12대 Loss ⑤ 공구드레싱 ⑥ 자재품절 정미가동시간 ⑦ 공정대기 속도 로스 ⑧ 잠깐정지 ⑨ No_Full Work ⑩ 속도저하 가치가동 시간 불량 로스 ⑪ 불량/불량수리 ⑫ 초기수율저하 내용상의 의미 가동시간 정미가동시간 가치가동시간 가치가동시간 설비종합효율 = 시간가동율×성능가동율×양품율= × × = 부하시간 가동시간 정미가동시간 부하시간 계산방법 가동시간 이론C/T×생산총수량 양품수량 설비종합효율 = 시간가동율×성능가동율×양품율= ×100 (%) × ×100 (%) × ×100 (%) 부하시간 가동시간 생산총수량
7
인당 생산성 (人/원) 1. 인당 생산성이란? - 인당 생산성은 총매출액에 투입 인원수를 나누어 1명당 매출액이 얼마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관리 지표 - 목적은 개선을 통한 혁신활동으로 생인화 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 것임 2. 산출 공식 인당 생산성(매출액) = 총 매출액 (원) 총 투입 인원수(명) 인당 생산성은 인당 매출액과 동일한 개념으로 월 단위로 지표를 산출 한다. 총 매출액(원) : 영업 마감기준으로 하며, LG 납품가를 기준으로 산출 총 투입 인원수(명) - 구성은 정규직 사원 + 임시직 사원 + 용역 사원이며 - 정규직 사원은 사무직 사원+ 기능직 사원으로 구성되며, 월말 인원을 기준으로 한다 - 임시/용역 사원은 평균 인원을 기준으로 한다 평균 인원이란 [총 근무일수 / 평균 근무일수] 로 산출 하며 총 근무 일수란 임시/용역 사원이 실제 근무한 일수(1일 이상)이며 평균 근무일수는 공휴일 및 특근 일수를 제외한 월 근무 일수를 말한다 예) ’03년 12월 평균 근무일수는 주휴일 6일, 크리스마스 1일을 제외한 24일임 3. 관리 방법 1) 먼저, 월 단위 팀별 예상 매출액/ 투입 예상 인원수로 예상 인당 생산성을 산출 2) 전년 실적 대비 금년 동 월 예상 인당 생산성을 비교하여 개선 강한 실행력
8
원당 생산성 ( =인건비 1원당 매출액) 1. 원당 생산성이란?
- 원당 생산성은 총매출액에 인건비를 나누어 인건비 1원당 매출액이 얼마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관리 지표 - 목적은 3대 제조원가중 하나인 인건비를 개선하여 원가 절감(혁신)을 하기 위함 2. 산출 공식 원당 생산성(매출액) = 총 매출액 (원) 총 지불 인건비(원) 원당 생산성은 인건비 1원당 매출액과 동일한 개념으로 월 단위로 지표를 산출 한다. 총 매출액(원) : 영업 마감기준으로 하며, LG 납품가를 기준으로 산출 총 지불 인건비(월) - 구성은 기본급+각 종 수당[잔업,특근,야간,철야 등]+상여금+퇴직충당금으로 구성하며 - 기본급은 근로계약에 의해 1일 8시간 기준으로 책정된 금액을 기준으로 하며, - 각 종 수당은 기본급 외에 연장근로로 인한 추가 근무 수당 + 근속 수당 등 제 수당으로 구성 된다. - 기본급과 각 종 수당은 실 지급액을 100% 반영하며 - [상여금과 퇴직 충담금]은 실 지급액의 일정 비율을 반영 한다. : 반영비율 => 사무직 사원 – 실 지급액의 65%, 기능직 사원 – 실 지급액의 50% 예) 사무직 사원 실 지급액이 100만원이고 기능직 사원 실 지급액이 1000만원이면, 총 지불 인건비는 100만원 만원 만원 만원 = 1665만원이 됨 (사무직 사원 지급액)+(사무직 사원 지급액 100만원*65%)+(기능직 사원 지급액)+(기능직 사원 지급액 1000원*50%) * 실 지급액은 급여내역의 지급 총액을 기준으로 한다 강한 실행력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