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Chapter 5. 외래종과 질병.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Chapter 5. 외래종과 질병."— Presentation transcript:

1 Chapter 5. 외래종과 질병

2 6. 외래종의 침입 외래종(exotic species) - 인간의 활동에 의해 자연(고유) 서식처를 벗어나 서식하고 있는 종
침입종(invasive species) - 원래 고유종을 밀어내고 자신의 자손 수를 늘리는 종류, - 제한된 자원에 대한 경쟁을 통해 고유종을 대체할 수 있음, - 고유종의 서식처를 변화시켜 더 이상 서식할 수 없게 만든다 - 예: 미국 멸종 위험종의 49% 외래종의 침입에 의해 위협 받고 있음) 위협종(endangering species)으로 불린다.

3 1) 외래종의 도입원인 유럽인의 식민지 건설: 유럽인들이 뉴질랜드, 호주, 남아프리카 등에 새로운 식민지를 개척하면서 수백종의 조류와 포유류를 도입 하였다. 원예와 농업: 장식용, 농업용, 목축용으로 새로운 지역에 도입 우발적 운반: 상업용 종자 등에 섞여 들어옴, 선박이나 항공기에 쥐나 곤충의 기주식물과 함께 이동 (예:일본의 물속에서 자라는 367종류의 해양종이 배와 함께 미국 오렌건주로 옮겨지기도 하였다(Carlton and Geller, 1993). 생물학적 방제: 외래종이 침입종이 되면 외래종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물을 원산지에서 도입 도입종이 침입종이 되는 경우가 더 많아 고유종을 공격하는 경우가 많음 (예: 매미나방 방제 북미의 기생성 파리Compsilura cocinnata를 도입하였으나  200종 이상의 고유나방에 기생하여 개체수를 감소시킴

4 2) 미국의 외래종 포유류: 20종, 조류 97종, 어류 70종, 패류 88종, 식물 2000종, 곤충 2,000종 이상
- 미국 남부지역 불개미의 침입 곤충과 조류의 40%가 감소 - 유럽산 지렁이 북미 전체의 토양조건을 변화 시킴

5 매미나방 유럽꿀벌 뒝벌

6 3) 도서지역의 외래종 섬지역의 격리는 특산종의 특유한 조합을 만드나, 외래종의 침입에 의한 피해에는 취약하다.
외래종이 도입될 때 병원균과 기생충을 동반하여 원래 개체군을 황폐화 시킨다. - 산타카타리나 섬의 식물: 도입된 염소와 다른 포유류 때문에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48종의 토착식물이 멸종 - 태평양 군도의 새: 갈색나무뱀이 도입되어 괌에서만 10여종류의 조류가 멸종 뱀 제거를 위해 년간 460만 달러를 투자

7 4) 수중 서식지에서의 외래종 호수, 개울, 해양생태계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
담수지역 내의 피해는 더욱 크며 낚시, 운하건설과 선박을 통한 외래종 유입이 가장 큰 문제 - 얼룩무늬홍합(zebra mussel): 5대호에 1988년도입 이리 호에서 70만 마리/1 mile2로 증식  토착 패류 질식 남쪽으로 이동하여 디트로이트, 테네시 강에도 영향을 미침

8 5) 외래종의 침입능력 도입종이 쉽게 침입하고 새로운 서식지를 우점하여 원래 토착종의 자리를 차지할 수 있을까?
- 새로운 서식지에는 포식자, 질병, 기생충이 없기 때문이다(예: 호주에 도입된 토끼의 증식) - 인간 활동의 결과 양분의 변동, 산불증가, 빛의 양 증가 같은 비정상적 여건이 조성되고, 이러한 환경에는 외래종의 적응이 쉬움

9 변화시켜 놓은 환경에 적응하여 종의 분포지역을 넓혀감(예: 미국의 산림 단편화,대도시 주변의 발달, 쓰레기로의 접근이 용이 코요테, 붉은여우, 청어갈매기 등 공격적인 종들이 증가함 저항력이 낮은 토착종은 분포지가 감소하고 개체수도 감소 - 토착생물과 근친관계를 갖는다. 교잡이 형성되면 특이한 유전형이 없어지고 종의 구별이 모호함(예: 미국 남서부의 아파치송어(Apache trout) 낚시어종인 무지개송어(Rainbow trout)와의 교잡에 의해 유전다양성 감소 < 사진 : 마치 스틸헤드처럼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낸 무지개송어>

10 7. 질병의 확산 질병의 확산 - 인간의 활동에 의해 서식처가 파괴되고 질병 매개체가 들어설 확률이 높아진다.
포획한 종의 육종과 희귀종의 관리에 방역학(동태학)의 기본 원칙이 응용될 수 있다. - 포획한 동물과 야생동물은 둘 다 밀도가 높을 때 기생충과 질병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 서식지가 좁아지면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접촉할 확률이 커진다. -서식지 파괴의 간접적 효과는 생물의 질병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서식지 감소는 먹이나 영양상태를 나쁘게 하여 감염에 민감해 진다. - 보호지역이나, 동물원의 동물은 야생의 동물과 접촉기회가 적으므로 접촉 시 쉽게 병이 옮게 된다.

11

12 < 사진 : 건강한 사육 비둘기가 멸종위기의 마우리티우스핑크비둘기에게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감염시킴>
< 탄자니아 세렝게티 국립공원(1990년: 개 홍역 바이러스로 사자의 25%가 죽음, 공원 주변에 사는 3만 마리의 애완견 중 일부로 부터 병이 옮김[Morell, 1994]>

13 3. 멸종에 대한 취약성 특정 범주의 생물이 더 멸종되기 쉽고, 그 중 많은 종이 희귀종의 특성을 보여준다. 그 범주는 다음과 같다. - 지리적으로 매우 좁은 지역에 분포하는 종 - 개체군이 한두 개에 불과한 종 - 개체군 크기가 작은 종 (소규모 개체군 패러다임)

14 - 개체군 크기가 줄어들고 있는 종 (개체군 규모 감소형)
- 개체군 밀도가 낮은 종: 서식지의 조각화 - 넓은 서식 영역이 요구되는 종: 먹이를 위한 영역 - 체형이 큰 동물 종: 사냥 등에 의한 피해 - 효과적으로 확산되지 못하는 종: 도로, 경작지, 댐 등이 원인 - 계절적으로 이동하는 종: 철새, 댐에 의한 연어의 낮은 회귀율 -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종: 병이나 포식자에 약함 - 요구하는 서식처 환경이 특수한 종: 수생생물 종류 - 안정되고 훼손되지 않은 환경에서만 특별히 발견되는 종: 환경 변화에 민감함 -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집단을 형성하는 종: 박쥐 - 고립된 곳에서 진화한 종과 사람들과 접촉한 적이 없는 종 - 사람들이 사냥화거나 수확하는 종 - 자매종이 최근에 멸종됐거나 멸종위기에 있는 종: 생태적 유사성 때문, 바다거북, 소철류 등


Download ppt "Chapter 5. 외래종과 질병."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