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바람은? 소공동체 이론과 경험? 이 연수에서 구체적인 바램은? 2. 무엇이 소공동체인가?(정의) (무엇이 이루어지고 있나?) 3. 단체(레지오)와 소공동체 차이는? 4. 소공동체 사목의 문제점이나 걱정은?(단체 소홀/ 대전도 필요한가?/사목방향 다를 때 혼란) 5.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 바람은? 소공동체 이론과 경험? 이 연수에서 구체적인 바램은? 2. 무엇이 소공동체인가?(정의) (무엇이 이루어지고 있나?) 3. 단체(레지오)와 소공동체 차이는? 4. 소공동체 사목의 문제점이나 걱정은?(단체 소홀/ 대전도 필요한가?/사목방향 다를 때 혼란) 5."— Presentation transcript:

1

2 1. 바람은? 소공동체 이론과 경험? 이 연수에서 구체적인 바램은? 2. 무엇이 소공동체인가?(정의) (무엇이 이루어지고 있나?) 3. 단체(레지오)와 소공동체 차이는? 4. 소공동체 사목의 문제점이나 걱정은?(단체 소홀/ 대전도 필요한가?/사목방향 다를 때 혼란) 5. 소공동체 사목의 장점은? 6. 소공동체외 다른 대안은?

3 소공동체란 (small christian community) 200주년 사목의안; 기초교회 공동체 (Basic Ecclesial community) 선교사명51항; 교회기초공동체ecclesial basic communities

4 소공동체란(기초교회공동체 BEC) 기초;삶의 현장에 뿌리를 둠. 가정처럼 교회의 기초 세포이다. 그리스도의 기초로 돌아간다

5 소공동체 4가지 요소 이웃이 가정(삶) 모임 보편교회와 일치 복음 나누기 활동 선교

6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교회 선교사명’ 51항 젊은 교회들 안에서 신속히 번창하고 있고 주교들과 주교회의들이 사목활동의 우선적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것이 교회의 기초 공동체(ecclesial basic communities; also known by other names)이다.

7 기초공동체는 그리스도교 교육(양성)과 선교 추진의 좋은 중심처로 인정되고 있다.

8 기초공동체란 소수의 가정이나 인근 신자들이 기도와 성경 독서와 교회 공부와 인간적 교회적 문제에 대한 토론을 하고 공동 책임을 도출하는 소수 신자들의 집회를 말하는 것이다.

9 이런 공동체들은 교회의 활력의 표지이고 신자 양성과 복음화의 도구이며 사랑의 문화’에 바탕을 두 새로운 사회의 출발점이다.
이런 공동체들은 교회의 활력의 표지이고 신자 양성과 복음화의 도구이며 사랑의 문화’에 바탕을 두 새로운 사회의 출발점이다.

10 이 공동체들은 본당 공동체를 분권적으로 구성하면서도 항상 본당에 속하여 있다.

11 그들은 생활 주변과 촌락에 뿌리를 내려서 그리스도교 생활의 누룩이 되고 가난한 사람과 소외된 사람을 돌보고 사회 개량의 의무를 다한다.

12 이 공동체 안에서 각자는 공동체를 체험하고 그 안에서 능동적 역할(자신의 탈랜트 발견하고 피어남)을 접합시키도록 격려를 받는다.

13 그래서 이 공동체들은 복음화와 기초적 복음 선포의 도구가 되고, 새로운 직무의 기원이 되며,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고무되어 분열과 족벌과 종족주의를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14 교회 자체가 친교인 만큼 새로운 기초 공동체들이 참으로 교회와 일치하여 산다면 그들은 이 친교의 증명이 되고 더 깊은 친교를 이루는 방법이 된다. 그래서 이러한 기초 공동체는 교회 생활에 크나큰 희망을 준다.

15 남아프리카 주교회의는 1976년 이래 ‘육화’의 신비를 소공동체의 기초로 파악하였다
남아프리카 주교회의는 1976년 이래 ‘육화’의 신비를 소공동체의 기초로 파악하였다. 소공동체를 삶의 현장에 뿌리내린 교회의 지역적 육화로 간주했으며, 육화된 하느님 말씀이 신자들 가운데 생명력을 갖고 현존함으로써 공동체가 그리스도를 체험하게 되고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로 성장..

16 소공동체 4가지 요소 이웃이 가정에서 모임 보편교회와 일치 복음 나누기 활동 선교

17 소공동체 4가지 요소 보편교회와 일치 복음 나누기 활동 선교

18 소공동체 4가지 요소 이웃이 가정에서 모임 보편교회와 일치 활동 선교

19 소공동체 4가지 요소 이웃이 가정에서 모임 보편교회와 일치 복음 나누기

20 소공동체 4가지 요소 이웃이 가정에서 모임 복음 나누기 활동 선교

21 라. 소공동체 4가지 요소와 교회4특징 이웃이 가정모임 보편교회와 (공번되고) 일치(하나) 활동 선교 복음나누기 (사도로부터)
(거룩하고) 활동 선교 (사도로부터)

22 소공동체 4가지 요소와 교회4특징 이웃이 보편교회와 가정에서 일치(하나) 모임(공번되고) 활동 선교 복음나누기 (사도로부터)
(거룩하고) 활동 선교 (사도로부터)

23 4. 소공동체 사목의 문제점이나 걱정은?(단체 소홀/ 대전도 필요한가?/사목방향 다를 때 혼란)
1. 바람은? 소공동체 이론과 경험? 이 연수에서 구체적인 바램은? 2. 무엇이 소공동체인가?(정의) (무엇이 이루어지고 있나?) 3. 단체(레지오)와 소공동체 차이는? 4. 소공동체 사목의 문제점이나 걱정은?(단체 소홀/ 대전도 필요한가?/사목방향 다를 때 혼란) 5. 소공동체 사목의 장점은? 6. 소공동체외 다른 대안은?

24 구 분 레지오(단체) 소 공 동 체 기초.바탕 삶을 떠나 활동 삶의 현장(뿌리) 교회 사제의 오른팔 기초교회공동체
구 분 레지오(단체) 소 공 동 체 기초.바탕 삶을 떠나 활동 삶의 현장(뿌리) 교회 사제의 오른팔 기초교회공동체 필수 선택(본질) 선택(동아리) 필수 (학급) 카리스마 1~2개 모 든 역사 100년 이내(1921년/53년) 초대교회/수도원/공소 관찰 판단 실천 행동(군인정신) 관찰 판단 실천(복음정신) 복음 지도력 생명력 성숙 서울대교구 사목국

25 구 분 레지오(단체) 소공동체 사명.책임감 분명 과정 책임자 권한 신자 결속 느슨 모임빈도 매주 매 달 참여도 의지. 선택
구 분 레지오(단체) 소공동체 사명.책임감 분명 과정 책임자 권한 신자 결속 느슨 모임빈도 매주 매 달 참여도 의지. 선택 수동성 공동체.생명 참여자 10~20% 모두 서울대교구 사목국

26 4. 소공동체 사목의 문제점이나 걱정은?(단체 소홀/ 대전도 필요한가?/사목방향 다를 때 혼란)
1. 바람은? 소공동체 이론과 경험? 이 연수에서 구체적인 바램은? 2. 무엇이 소공동체인가?(정의) (무엇이 이루어지고 있나?) 3. 단체(레지오)와 소공동체 차이는? 4. 소공동체 사목의 문제점이나 걱정은?(단체 소홀/ 대전도 필요한가?/사목방향 다를 때 혼란) 5. 소공동체 사목의 장점은? 6. 소공동체외 다른 대안은?

27 소공동체 잘되는 점 소공동체 문제점(걱정) 서울대교구 사목국

28 소공동체 잘되는 점 소공동체 문제점 참여도 말씀 친교 선교 소외 도전 말 힘들
서울대교구 사목국

29 소공동체 사목의 장점 (시노드 건의안) 신자들의 상호 만남 친교 신앙의 일치 (신앙 삶의 일치)
복음 나누기를 통한 공동체 안에서의 기도와 생생한 신앙체험 신자들의 신앙생활의 성숙 소공동체 운동은 이미 한국교회 전 교구로 확산되어 시행됨

30 소공동체 운동의 단점(시노드건의안) 1.소공동체 정책이 일선 사목자들과의 충분한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
2.복음나누기 7단계 일변도의 획일적인 방법론 3.한국인 심성과 사회 현상을 고려한 토착화된 소공동체 모델과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미흡함

31 대책 (시노드 건의안) 소공동체 운동을 반성하고 소공동체를 한국 교회의 실정에 맞게 정착,심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마련되고 연구되기를 제안한다.

32 ①1. 소공동체에 대한 본당의 주임사제 및 수도자들의 관심이 가장 중요 한 관건이므로 이를 위한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
②2.한국인 심성에 맞는 토착화된 형태의 소공동체 모델의 연구와 교재 개발

33 3. 사회 현상(맞벌이 부부, 유동인구. 증가, 주5일 근무제, 여가활동. 증가 등)을 고려한 소공동체의
3. 사회 현상(맞벌이 부부, 유동인구 증가, 주5일 근무제, 여가활동 증가 등)을 고려한 소공동체의 모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 4. 소공동체와 연계된 가정성화 프로그램

34 5. 소공동체를 위한 평신도 지도자 양성 6. 소공동체 운동을 평가하고 지속적으로 연구 발전시키기 위한 기구의 설립과 지원

35 대시노드; 소공동체에 대한 태도 및 향후 전망 (2001년)
대다수(77.9%)의 사제들은 현재까지 실행해 온 소공동체운동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소공동체운동에 대한 태도(사제수=199]

36

37

38

39 소공동체 운동의 핵심; 사제가 공동체를 체험하고, 말씀의 맛을 들이고 있는가? 본당사목에서 지도력의 변화? 서울대교구 사목국

40 교회비젼, 방향, 목표, 교회상. (이 비젼을 사제 공동체나 본당공동체가 공감하고 있는가
교회비젼, 방향, 목표, 교회상. (이 비젼을 사제 공동체나 본당공동체가 공감하고 있는가?) 방법(과정)-지도력(인간관계- 함께하는 여정) 영성(부활하신 그리도와 통교 일치, 그분 안에 숨쉬고 삶) 서울대교구 사목국

41 교회 비전이 교회 지도자들 안에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으면 관계 안에 지도력의 분산과 불일치
서울대교구 사목국

42 지도력; 지배적인가. 함께하는가. 민감성, 귀를 기울임,사랑, 존중심,인내,믿음-부활하신 주님이 함께하시고 이끄신다
지도력; 지배적인가? 함께하는가? 민감성, 귀를 기울임,사랑, 존중심,인내,믿음-부활하신 주님이 함께하시고 이끄신다. 기도,변화, 복음,열정,투신,항구성,

43 1교회 무엇? 사제? 신자? 친교? 명칭? 서울대교구 사목국

44 1 2 3 5 4 4 서울대교구 사목국

45 일치. 개인. 냉냉. 시키는 일. 탈랜트. 지배적인 지도력.
일치. 개인. 냉냉. 시키는 일. 탈랜트. 지배적인 지도력. 서울대교구 사목국

46 역사적 배경 위에서 말한 교회의 모델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를 돌이켜 볼 필요가 있다
역사적 배경 위에서 말한 교회의 모델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를 돌이켜 볼 필요가 있다. 그 역사적 배경을 앎으로써 우리가 과거의 교회 모습을 변화시키려고 할 때 직면하게 되는 여러 가지 난관을 좀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서울대교구 사목국

47 평신도와 성직자간의 거리감 “평신도(laity)”라는 단어는 Laos(사람, 백성)라는 그리스어로부터 나왔으며, 교황 클레멘스 1세(93-97년)가 하느님의 백성과 이교도들을 구분하기 위해 처음 사용하였다. 서울대교구 사목국

48 3세기에 수도자들이 생겨났고, 수도자와 같은 경건한 생활이 “완전한” 그리스도인이 되는 길로 인식되었다
3세기에 수도자들이 생겨났고, 수도자와 같은 경건한 생활이 “완전한” 그리스도인이 되는 길로 인식되었다. 경건한 신앙 생활을 하는 계층은 “특등 그리스도인”으로 간주되었다. 서울대교구 사목국

49 교회법학자인 그라씨안은 “세상에는 두 부류의 그리스도인이 있다.” - 완전한 그리스도인 - 불완전한, 이등….
교회법학자인 그라씨안은 “세상에는 두 부류의 그리스도인이 있다.” 완전한 그리스도인 - 불완전한, 이등…. 서울대교구 사목국

50 11-13세기에 들어서는 로마 교황청 기구가 비대해짐에 따라 교회 관할권을 가진 고위 성직자가 등장
11-13세기에 들어서는 로마 교황청 기구가 비대해짐에 따라 교회 관할권을 가진 고위 성직자가 등장. 평신도는 교회 내에서 아무 관할권이나 권한이 없는 사람 서울대교구 사목국

51 주임신부는 양떼를 다스리는 주인 성직자와 평신도는 심지어 적대 관계로까지 변하게 되었다
주임신부는 양떼를 다스리는 주인 성직자와 평신도는 심지어 적대 관계로까지 변하게 되었다. 교황 보니파세 8세는 회칙 “성직자와 평신도(Clerics laicos, )”에서 다음과 같이 말함 서울대교구 사목국

52 “평신도는 성직자의 적이다. 이는 과거에 충분이 입증되었고, 이 시대에도 다시 가르쳐야 할 내용”
“평신도는 성직자의 적이다. 이는 과거에 충분이 입증되었고, 이 시대에도 다시 가르쳐야 할 내용” 서울대교구 사목국

53 1917년에 발표된 교회법에 의하면 평신도에게는 “성직자로부터 영적 양식과 구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권리만 주어짐(교회법 682조).
서울대교구 사목국

54 평신도에게는 종교 교육을 받을 권한 (교회법 1453-1455조)과 지역 교회의 재정을 관리하는 권한(교회법 1521조) 이외에는 더 이상 아무런 권한도 부여되지 않음
서울대교구 사목국

55 “평가 절하”된 평신도의 역사적인 짐이 우리의 사목적 전승
“평가 절하”된 평신도의 역사적인 짐이 우리의 사목적 전승. 수세기에 걸쳐서, 신자들에게는 단지 “받는” 권한 이외에는 아무 것도 주어지지 않았고, 서울대교구 사목국

56 평신도들에게 필요한 모든 영적 양식을 “베풀어” 온 전통은 오늘날의 사제와 평신도 양쪽에게 큰 얼룩을 남김
서울대교구 사목국

57 "어떤 사람은 남을 위하여 교사(敎師)나 신비의 관리자나 목자(牧者)가 되었지만, 그리스도의 몸을 건설한다는 점에 있어서 모든 평신도에게 공통된 품위와 활동은 누구에게나 참으로 평등한 것이다."(교회헌장32조) 서울대교구 사목국

58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도 “교회에 관한 신학”에 있어 변화가 있었음을 관찰할 수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도 “교회에 관한 신학”에 있어 변화가 있었음을 관찰할 수 있다 년 10월 14일 교황 비오 12세께서는 제1차 평신도 사도직 세계대회에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서울대교구 사목국

59 “가톨릭 액션(가톨릭 단체들)은… 성직자의 손에 있는 도구이며, 말하자면 연장된 팔이다”(교황문서 43호, 1951년).
서울대교구 사목국

60 제2차 세계 대회에서(1957년 10월 5일) 비오 12세께서는 다른 표현을 사용하셨다:
서울대교구 사목국

61 이 사도직(가톨릭 액션)은 항상 평신도의 사도직으로 남아 있으며, 비록 교회의 명에 따라 수행되더라도 “성직자의 사도직”이 되지 않는다”(교황문서, 1957년).
서울대교구 사목국

62 그리스도와의 일치에서 흘러 나오는 당연한 권리 및 의무로써 평신도 사도직의 근거를 찾으려고 한다. "평신도는
그리스도와의 일치에서 흘러 나오는 당연한 권리 및 의무로써 평신도 사도직의 근거를 찾으려고 한다. "평신도는... 주 자신으로부터 사도직에 임명되어 있다." 서울대교구 사목국

63 1 2 3 5 4 4 서울대교구 사목국

64 1교회 / 5교회 서울대교구 사목국

65 1교회 / 2교회/ 발전기준-참여 서울대교구 사목국

66 2교회 ;무엇? 사제? 신자? 사목? 발전-참여? 명칭? 서울대교구 사목국

67 2교회 사목회구성 사목? 사목회역할/ 사목도 참여하나? 본당 사목 협의회 서울대교구 사목국

68 사목司牧 ;목자가 양을 보살핀다 - 함께하는 것이다. 주님과 함께 하고 백성들과 함께한다. - 본당 사목; 인격적인 만남..
사목司牧 ;목자가 양을 보살핀다 함께하는 것이다. 주님과 함께 하고 백성들과 함께한다. - 본당 사목; 인격적인 만남.. 서울대교구 사목국

69 주교교령16항 주교는 착한 목자로서 자기 양들을 알고 양들도 목자를 알도록 하고, 참 아버지로서 사랑하는 마음으로 모든 사람을 보살펴 줌으로써, …자기 양들을 모아 한 가정을 형성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자기 의무를 자각하여 사랑으로 일치하여 살며 활동하도록 할 것이다. 서울대교구 사목국

70 양들을 아는데 한계>> 관리. 행정 대상화. 인격적 만남의 부족. 쉬는 교우.
서울대교구 사목국

71 2교회 / 3교회 서울대교구 사목국

72 3교회;무엇? 모임-입 열림-사제반응? 청소년? 서울대교구 사목국

73 3교회 신자 입 열림 지도자 장점; 지도자 단점; -지도자 반응? 복음적인 반응: 부정적인 반응:
3교회 신자 입 열림 지도자 장점; 지도자 단점; -지도자 반응? 복음적인 반응: 부정적인 반응: 반응의 결과; 앞으로 / 뒤로 서울대교구 사목국

74 3교회 신자 입 열림 지도자 장점; 강론을 잘하심, 따뜻함 지도자 단점;고집, 일방적임 변덕이 심함, 강론이 너무 김
3교회 신자 입 열림 지도자 장점; 강론을 잘하심, 따뜻함 지도자 단점;고집, 일방적임 변덕이 심함, 강론이 너무 김 수도자의 장점:예쁘다,포근함, 겸손, 친절 수도자의 단점; 사목위원장점;희생적이다, 편안함 사목위원단점;말만 잘함, 권위적임 -지도자 반응? 복음적인 반응:함께 감을 익힘 부정적인 반응:공격, 폐쇄 교회의 발전과 퇴보의 갈림길 서울대교구 사목국

75 3교회 / 4교회 서울대교구 사목국

76 4교회 ;단체?본?당<세상<참여율?기능주의?명칭?
서울대교구 사목국

77 4교회 ; 본당단체; 세상단체; 자신단체; 단체참여율? **본당신자;4000명 레지오와단체;400명? 복음의 역동성과 기능주의
명칭? 서울대교구 사목국

78 4교회/5교회 서울대교구 사목국

79 5;비교? 구조? 복음? 발전-참여? 미사? 명칭? 서울대교구 사목국

80 5사목구조. 서울대교구 사목국

81 1 2 3 5 4 4 서울대교구 사목국

82 왜소공동체인가? 1.새로운 교회상 구현 communio 2.말씀을 부활시키는 것이다. 3.평신도 사도양성 4.가난한 사도 양성. 5.가정교회 / 6. 평신도 영성의 변화 7.자유기도 / 8. 전례가 역동적 9.선교 파견의장 / 10. 신앙의 요람 12. 삶과 신앙이 일치 13. 육화의 신비 /14. 나눔과 대화

83 1교회 / 5교회 서울대교구 사목국

84 2교회 / 5교회 서울대교구 사목국

85 1 2 3 5 4 서울대교구 사목국

86 구분 1교회 5교회 중심 사제 하느님 백성 주인 지도자 .. 영적양식 먹여 스스로 누가교회? 우리가 자발성 약 탈랜트 지도력
 구분 1교회 5교회 중심 사제 하느님 백성 주인 지도자 .. 영적양식 먹여 스스로 누가교회? 우리가 자발성 탈랜트 지도력 구조 피라미드, 수평 인정 서울대교구 사목국

87 구분 1교회 5교회 참여도 말씀. 성서 친교.자유기도 선교 대화.나눔 가난/약점 미사 전례 삶 신앙일치 평신도양성 그대로
 구분 1교회 5교회 참여도 말씀. 성서 친교.자유기도 선교 대화.나눔 가난/약점 미사 전례 삶 신앙일치 평신도양성 그대로 서울대교구 사목국

88 지도력의 변화 1 2 3 4 5 사제 수도자 평신도 지배 지배/촉진 교육/격려 맡김/격려 함께/독립/자발성 서울대교구 사목국

89 서울교구 소공동체 도입 역사와 배경

90 왜 시작하였나? ` 말씀에 맛들이는 길, 옥수동 지역의 현실에서 출발함. 가난한 지역이다. 가난한 사람들은 행복하다는 말씀이 실현되는 본당./ 신학교 복음나누기, 지오세와 사제들 모임에서 복음나누기 매력을 갖음. 이 복음나누기를 계속할 수 있도록 기존의 구역 반 모임을 재편함..

91 88년 옥수동본당에 가서 구역 반 모임을 소공동체 형식으로 실시함. 복음을 나누는 그릅
88년 옥수동본당에 가서 구역 반 모임을 소공동체 형식으로 실시함. 복음을 나누는 그릅. 가르침을 배워서 전달한는 전달식 반모임에서 대화식 반모임으로 바꿈. 90년에 교구에 전달식 반모임이 소개되었고, 1년 정도 전달식 반모임을 도입하여 진행하다가 룸꼬 프로그램이 소개됨.

92 2. 90년 아시아 주교회의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강우일 주교 룸꼬 소공동체 프로그램 소개 받음

93 3. 91년 10월 ; 사제와 수녀(정월기신부 양권신신부 경혜자루이사 수녀. 양권식. 김아네스 수녀) 태국 후아인에서 있던 FABC Office of laity 주체  룸꼬 소공동체 1 달 교육 참여했다. 오스왈드신부와 웬디가 같이 소개했다. 1박스 가득한 사목자료와 프로그램을 보고 감탄하였다. 복음과 공의회문헌을 신자들이 쉽게 소개하고 설명하도록 만들어 졌다.

94 4. 92년; 서울 주교 3명 사제 40명 룸꼬 소공동체 교육 1주간 받음 오스왈드 제공함. (추기경님 참석하여 2000년대 복음화 프로그램으로 mbw 대신 lumko 프로그램 체택함/ 당신 2000년대 복음화 프로그램으로 사제들에게 mbw을 소개하였음)

95 5. 복음화 사무국에서 룸꼬 프로그램 번역 소개함.

96 6. 92년; 서울교구 구역장 반장에게 7단계와 소공동체 소개하기 시작함.

97 년; 사제들에게 소공동체 소개함 찬성과 반대, 의견 분분함.

98 감사합니다

99 사랑합니다 강의자료 홈페이지; http;// 자료실에 있음 서울대교구 사목국

100 이끄는 자발성과 생명력이 있는가? 세상의 문제를 보고 복음적 으로 응답하는 훈련이 되었는가? 아모스 복음나누기.
모임은 잘되는데, 활동이 잘 안 된다. 왜? 모임만 하는 것 아닌가? 자신 스스로 공동체를 이끄는 자발성과 생명력이 있는가? 세상의 문제를 보고 복음적 으로 응답하는 훈련이 되었는가? 아모스 복음나누기. 구조? 단순한 반 활성화/ 본당 사목 구조의 변화 서울대교구 사목국

101 활동이 나누어 지는가? 그것을 촉진하는 방법을 제시하는가?
사목회가 구역반 논의 구조를 촉진하는가? 구역장 총무 모임에서, 활동이 나누어 지는가? 그것을 촉진하는 방법을 제시하는가? 구역반의 논의구조, 선출과정, 조직 안에 흐름. 모든 본당 활동에도 구역반 책임자가 하도록 맡겨주는가?. 시스템, 갈증-본당변화. 세상의 변화 서울대교구 사목국

102 아래 지도력의 특성 중에 나에게 가까운 것 3가지만 선택하시오.

103 지배적인 지도자들의 특징 1.지배적이다 2.제공함으로써 봉사한다. 3.숟가락으로 떠먹이기 4.강의 / 5.밀어붙이기 6.“이것이 여러분에게 좋다” /7.“나는 우리 본당 사람들을 위해서 뭐든지 다 한다.” /8.“나는 내 사람들을 안다.”/9.“그들을 믿을 수 없다.” /10.“내가 대답을 알고 있다.” /11.“내가 말해 주어야 한다.” 12.“나는 신학을 공부했다. 13. “토론하는 것은 시간 낭비다.” 14. “내가 옳다.” 15. “내가 그들을 위해서 결정을 내린다.” 16. “내 일을 하기 위해서는 협조자가 필요하다.” 17. “제발 비판하지 마시오.” 18. “내가 상사다.” 19. “어떻게 그런 제안을 할 수 있는가? 20. 책임자는 나다.” 21. 내가 교회다. 비지배적인 지도자의 특징. 1.“. 성장하도록”사람들에게 봉사한다. 2.방향 제시 /3.활기를 준다. 4.영감을 준다. 5.조정한다. /6.일치한다. 7.사람들을 신뢰한다. 8.사람들을 존중한다. 9.재능을 발견한다. 10.사람들이 하도록 밀어준다. 11. 책임을 분담한다. 12. 귀를 기울인다. 13. 함께 계획한다. 14. 함께 기도한다 15. 함께 결정한다. 16. 함께 일한다. 17. “당신들 스스로 결정하시오.” 18.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9. 친구 /20. 형제 / 21. 자매 22. 우리가 교회다

104 지배적인 지도자들의 특징 1.지배적이다 2.제공함으로써 봉사한다. 3.숟가락으로 떠먹이기 4.강의 / 5.밀어붙이기 6.“이것이 여러분에게 좋다” /7.“나는 우리 본당 사람들을 위해서 뭐든지 다 한다.” /8.“나는 내 사람들을 안다.”/9.“그들을 믿을 수 없다.” /10.“내가 대답을 알고 있다.” /11.“내가 말해 주어야 한다.” 12.“나는 신학을 공부했다. 13. “토론하는 것은 시간 낭비다.” 14. “내가 옳다.” 15. “내가 그들을 위해서 결정을 내린다.” 16. “내 일을 하기 위해서는 협조자가 필요하다.” 17. “제발 비판하지 마시오.” 18. “내가 상사다.” 19. “어떻게 그런 제안을 할 수 있는가? 20. 책임자는 나다.” 21. 내가 교회다.

105 비지배적이다. 1.“성장하도록”사람들에게 봉사한다. 2.방향 제시 /3.활기를 준다. 4.영감을 준다. 5.조정한다. /6.일치한다. 7.사람들을 신뢰한다. 8.사람들을 존중한다. 9.재능을 발견한다. 10.사람들이 하도록 밀어준다. 11. 책임을 분담한다. 12. 귀를 기울인다. 13. 함께 계획한다. 14. 함께 기도한다. 15. 함께 결정한다. 16. 함께 일한다. 17. “당신들 스스로 결정하시오.” 18.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9. 친구 20. 형제 21. 자매 22. 우리가 교회다

106 어느 쪽이 선택하기가 쉬었습니까? 나는 어느 쪽의 지도력에 기우러 졌습니까?


Download ppt "1. 바람은? 소공동체 이론과 경험? 이 연수에서 구체적인 바램은? 2. 무엇이 소공동체인가?(정의) (무엇이 이루어지고 있나?) 3. 단체(레지오)와 소공동체 차이는? 4. 소공동체 사목의 문제점이나 걱정은?(단체 소홀/ 대전도 필요한가?/사목방향 다를 때 혼란) 5."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